KR102127823B1 -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 Google Patents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7823B1 KR102127823B1 KR1020180160781A KR20180160781A KR102127823B1 KR 102127823 B1 KR102127823 B1 KR 102127823B1 KR 1020180160781 A KR1020180160781 A KR 1020180160781A KR 20180160781 A KR20180160781 A KR 20180160781A KR 102127823 B1 KR102127823 B1 KR 102127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main body
- potential
- diameter
- diamete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58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constructions of electrode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58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combined constructions of electrodes, coils or magnetic circuit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액부가 일단부에 설치된 본체부를 측정관으로부터 제거함에 있어서, 단자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측정관(23) 내에 노출된 접액부(37)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도통된 본체부(31)를 갖는다. 본체부(31)의 타단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원판부(41)(접촉부)를 포함하는 단자부(32)를 갖는다. 본체부(31)에 인발 공구(61)를 접속하는 접속부(34)를 갖고 있다.
측정관(23) 내에 노출된 접액부(37)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도통된 본체부(31)를 갖는다. 본체부(31)의 타단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원판부(41)(접촉부)를 포함하는 단자부(32)를 갖는다. 본체부(31)에 인발 공구(61)를 접속하는 접속부(34)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액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단자부가 별개로 형성된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유량계로는, 측정관 내를 흐르는 유체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전위 검출용 전극에 의해 취출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 전위 검출용 전극을 형성하는 재료는, 스테인리스강이 일반적이지만, 검출 대상의 부식성에 따라서 여러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내식성이 높아지는 전극 재료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백금 등의 귀금속 재료가 많다. 귀금속 재료는, 재료 강도가 낮기 때문에 작성할 수 없는 형상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귀금속이 아닌 재료를 기초 금속으로서 전극을 형성하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전극을 귀금속 재료로 덮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측정관 내를 흐르는 유체에 마모성의 물체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는, 전극을 덮는 귀금속 재료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측정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측정관의 부식이나 제조시의 결함 등에 의해 전극을 덮는 귀금속 재료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귀금속 재료가 박리되면, 기초 금속과 귀금속 재료의 전위차에 의해 전기 화학적인 노이즈가 발생한다. 이 노이즈는, 전자 유량계의 출력 노이즈가 된다.
전극을 덮는 금속 재료가 박리되어 노이즈가 생기는 문제는, 본원의 출원인이 특허문헌 2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극 본체를 절연체에 의해 형성하고, 절연체의 표면을 귀금속 재료로 덮어 이 귀금속 재료를 도전 경로로 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중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체인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된 모재(1)가 내식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전체(2)로 덮인 구조의 전위 검출용 전극(3)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전위 검출용 전극(3)은, 측정관(4)에 형성된 전극 삽입 관통용의 구멍(5)에 삽입되는 제1 소직경부(3a)와, 측정관(4)의 외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3b)와, 이 대직경부(3b)로부터 제1 소직경부(3a)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소직경부(3c)를 갖고 있다. 제2 소직경부(3c)에는 리드선(6)이 접속되어 있다.
제2 소직경부(3c)는, 리드선(6)을 접속하는 단자로서의 기능과, 이 전위 검출용 전극(3)을 측정관(4)에 부착하거나 측정관(4)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손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3)에서는, 제1 소직경부(3a)와 대직경부(3b)로 이루어진 본체부(7)(도 9 참조)에, 제2 소직경부(3c)로 이루어진 단자부(8)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위 검출용 전극(3)을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극으로 하는 경우는, 모재(1)의 절연 재료로서 세라믹스를 채용하면, 단자부(8)를 본체부(7)와는 별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체부(7)와 단자부(8)를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이들 부재의 강도가 향상되고, 제조할 때의 난이도가 낮아지고, 도전체(2)의 재료를 도포하는 면적이 저감하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체부(7)와 단자부(8)와 별개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본체부(7)와 단자부(8)를 결합하는 결합 구조가 필요해진다.
이 결합 구조로는, 예컨대 압입, 인서트 나사를 이용한 체결, 납땜, 접착 등이 고려된다. 모재(1)가 알루미나와 같은 취성 재료인 경우의 결합 구조는, 압입에서는 파손될 우려가 있고, 접착에서는 전기적 도통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인서트 나사나 납땜 등으로 실현 가능하다.
전위 검출용 전극(3)의 본체부(7)에 인서트 나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 9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전위 검출용 전극(11)은, 세라믹스제의 모재(1)를 도전체로 덮어 형성된 본체부(7)와, 이 본체부(7)에 결합 구조(12)를 통해 부착된 단자부(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결합 구조(12)는, 본체부(7) 내에 매설된 암나사 부재로 이루어진 인서트 나사(13)와, 이 인서트 나사(13)에 나사 부착된 단자부(8)의 수나사(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인서트 나사(13)는, 본체부(7)의 대직경부(3b)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대직경부(3b)는, 인서트 나사(13)를 수용 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인서트 나사(13)는, 대직경부(3b)를 관통하고, 선단부가 제1 소직경부(3a)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직경부(3b)는, 도 10에 나타내는 대직경부(3b)와 비교하여 얇게 형성되고, 제1 소직경부(3a)는, 외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서트 나사(13)를 본체부(7)의 대직경부(3b)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대직경부(3b)의 두께를 통상보다 두껍게 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본체부(7)가 길이 방향으로 대형화한다. 이러한 문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서트 나사(13)를 대직경부(3b) 내만이 아니라, 제1 소직경부(3a) 내에도 도달하도록 매설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소직경부(3a)가 굵어지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측정관(4)에 제약을 받게 된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측정관(4a)에는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측정관(4b)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한편, 본체부(7)에 단자부를 납땜하는 경우는, 사용 가능한 측정관(4)에 제약을 받지는 않지만, 도전체(2)를 소성할 때에 고온에 노출되는 것에 기인하여 문제가 생긴다. 도전체(2)를 소성하기 이전에 납땜을 하면, 소성시의 열로 납땜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이 경우는, 납땜의 납재로서 소성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의 것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납땜후에 소성을 하는 경우는, 납땜 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소성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성을 특수한 분위기로에서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비용이 높아지는 방법이다.
이 때문에, 본체부(7)에 단자부(8)를 결합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기는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체부(7)에 결합된 단자부(8)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부(7)를 측정관(4)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를 측정관으로부터 제거함에 있어서, 단자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은, 전자 유량계의 측정관 내에 노출되는 접액부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도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이 접촉부가 상기 타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와, 상기 본체부에 인발 공구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정관의 전극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접액부가 되는 원기둥형의 소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접속되어 상기 소직경부에서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하는 원판형의 대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대직경부가 삽입되는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에서의 상기 단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통형부에 설치된 인발 공구용 부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대직경부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외주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협동하여 고리형 홈을 구성하는 고리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부에 개구된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의 구멍벽면에 개구된 제2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로부터 단자부가 떨어진 상태로 본체부에 접속부를 통해 인발 공구를 접속하고, 이 인발 공구를 빼는 것에 의해, 본체부를 측정관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를 측정관으로부터 제거함에 있어서, 단자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위 검출용 전극을 구비한 전자 유량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의 관로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모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을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체부에 인발 공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의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의 본체부의 인발 공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체부의 대직경부에 인서트 나사가 매설된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체부의 제1 소직경부에 인서트 나사가 매설된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의 관로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모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을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체부에 인발 공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의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의 본체부의 인발 공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체부의 대직경부에 인서트 나사가 매설된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체부의 제1 소직경부에 인서트 나사가 매설된 종래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은, 청구항 1∼청구항 3에 기재된 전위 검출용 전극의 일례가 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위 검출용 전극(21)(이하, 단순히 전극(21)이라고 함)은, 전자 유량계(22)의 측정관(23)에 유체 통로(24)의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측정관(23)은, 본체(25)와, 이 본체(25)의 내면에 설치된 라이닝(26)과, 전극(21)을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전극캡(27) 등을 구비하고 있다. 라이닝(26)에는, 전극용 부착 시트(2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전극용 부착 시트(28)에는, 전극(21)을 삽입하기 위한 전극 삽입 구멍(29)이 뚫려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극(21)은, 라이닝(26)의 전극 삽입 구멍(29)에 삽입된 본체부(31)와, 이 본체부(31)에 중첩된 단자부(32)와, 본체부(31)가 감합하는 원통체(33)를 이용하여 구성된 접속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1)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측정관(23) 내의 유체 통로(24)로 향하는 원기둥형의 소직경부(35)와, 이 소직경부(35)의 타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판형의 대직경부(3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31)의 일단부는, 측정관(23) 내에 노출되고, 측정관(23) 내를 흐르는 유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는 접액부(37)가 된다. 대직경부(36)는, 소직경부(35)보다 외경이 커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단자부(32)의 원판부(41)를 통해 가해지는 압축 코일 스프링(42)(도 1 참조)의 스프링력에 의해, 라이닝(26)을 향해 압박되어 있다. 대직경부(36)와 전극용 부착 시트(28) 사이에는 개스킷(43)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부(32)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중첩되는 원판부(41)와, 이 원판부(41)의 축심 부분으로부터 본체부(31)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축부(44)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원판부(41)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접촉부」에 해당한다.
축부(4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체로 이루어진 통체(45)로 덮여 있고,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전극캡(27)의 저벽(27a)을 관통하여 전극캡(27)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저벽(27a)에는 관통 구멍(46)이 뚫려 있고, 축부(44)는 이 관통 구멍(46) 내를 통과하고 있다. 축부(44)의 돌출측 단부에는, 리드선용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기 위한 나사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캡(27)은, 압축 코일 스프링(42)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전극캡(27)은, 내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42)을 수용한 상태로 본체의 나사 구멍(48)에 나사 부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2)은, 중심부에 단자부(32)의 축이 삽입된 상태로 압축되어 전극캡(2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2)의 일단부는, 와셔(49)와 단자부(32)의 원판부(41)를 통해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를 전극용 부착 시트(28)를 향해 압박하고, 타단부는, 고리형의 절연판(50)을 통해 전극캡(27)의 저벽(27a)을 본체부(31)와는 반대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극(21)의 본체부(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재료인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된 모재(51)와, 이 모재(51)를 덮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이 모재(51)를 덮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를 단순히 「도전체(52)」라고 한다. 전술한 단자부(32)의 원판부(41)는,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에 중첩되는 것에 의해, 도전체(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재(51)의 세라믹스 원료로는, SiC, Al2O3, ZrO2, Y2O3, Si3N4, Si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재(51)는, 세라믹스 원료를 주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부(31)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소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전체(52)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체(52)를 형성하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는, 예컨대, Pt, Ti, Au, Ta, WC 등의 내식성을 갖는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땜납이나, 도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나, 도전성 잉크 등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도전체(52)는, 소성전의 모재(51)에 도포된 금속 페이스트(도시하지 않음)를 모재(51)와 함께 소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금속 페이스트는, 금속의 분체와 용제를 혼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금속 페이스트가 소성됨으로써, 금속의 분체가 용융되어, 모재(51)의 외측 표면을 전역에 걸쳐 덮는 도전체(52)가 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31)가 도전체(52)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본체부(31)의 접액부(37)가 설치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도통되게 된다.
본체부(31)의 모재(5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도전체(52)와 협동하여 소직경부(35)를 구성하는 원기둥부(53)와, 전술한 도전체(52)와 협동하여 대직경부(36)를 구성하는 원판부(5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부(53)와 원판부(5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판부(54)의 외주부이자 원판부(54)의 일단측(원기둥부(53)측)은, 타단측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판부(54)의 외주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부(54)의 축선 방향의 일단부면(54a)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둘레면(54b)과, 이 제1 둘레면(54b)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원판부(54)의 가장 외측의 제2 둘레면(54c)에 접속되는 단부면(54d)에 의해 단차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모재(51)의 외측 표면에 금속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이들을 소성함으로써, 모재(51)의 외측 표면이 도전체(52)로 덮인 본체부(31)가 형성된다. 이 본체부(31)는, 모재(51)의 원기둥부(53)가 도전체(52)로 덮여서 이루어진 소직경부(35)와, 모재(51)의 원판부(54)가 도전체(52)로 덮여서 이루어진 대직경부(36)에 의해 구성된다. 원판부(54)의 단차부(55)의 제1 둘레면(54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체(52a)에 의해 덮이고, 단부면(54d)은, 도전체(52b)에 의해 덮인다. 이 때문에, 대직경부(36)의 외주부에는, 단차부(55)가 도전체(52a)와 도전체(52b)에 의해 덮이는 것에 의해, 고리형의 오목부(56)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극(21)의 접속부(34)는, 원통체(33)를 사용하여 본체부(31)에 인발 공구(61)(도 6 참조)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 원통체(33)는,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통형부(62)와, 이 통형부(62)의 일단부에 설치된 걸림부(63)와, 통형부(62)의 타단부에 설치된 인발 공구용 부착부(64)를 갖고 있다.
통형부(62)는, 대직경부(36)의 가장 외경이 커지는 외주부가 감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외주부보다 단자부(32)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통형부(62)의 돌출 부분(62a)에는 단자부(32)의 원판부(41)가 감합하고 있다.
걸림부(63)는, 통형부(62)에서의 단자부(32)와는 반대측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31)의 고리형의 오목부(56)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63)의 내경은 대직경부(36)의 외경보다 작다. 즉, 걸림부(63)의 내주부는, 대직경부(36)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 부여되어 대직경부(36)에 걸린다.
인발 공구용 부착부(64)는, 통형부(62)의 전술한 돌출 부분(62a)에 뚫려 있는 복수의 관통 구멍(6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65)은, 통형부(62)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극(2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체(52)가 외측 표면에 설치된 본체부(31)에 단자부(32)와 접속부(34)의 원통체(33)를 부착하여 조립된다. 단자부(32)를 본체부(31)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체부(31)에 원통체(33)를 일단측(소직경부(35)측)으로부터 조립하고, 원통체(33)의 걸림부(63)를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에 건다. 그리고, 이 원통체(33)의 통형부(62)의 돌출 부분(62a)에 단자부(32)의 원판부(41)를 감합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부(31)에 원통체(33)가 부착됨으로써, 대직경부(36)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리형의 오목부(56)와, 원통체(33)의 걸림부(63) 사이에, 측정관(23) 내를 향해 개방된 고리형 홈(66)이 형성된다. 이 고리형 홈(66)에는, 전술한개스킷(43)이 수용된다.
이 전극(21)을 전자 유량계(22)의 측정관(23)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자부(32)의 축부(44)에 통체(45), 와셔(49), 압축 코일 스프링(42) 및 절연판(50) 등을 통과시키고, 이 조립체를 측정관(23)의 나사 구멍(48) 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본체부(31)의 소직경부(35)를 전극 삽입 구멍(29)에 삽입하고, 이 상태로 전극캡(27)을 나사 구멍(48)에 조인다. 전극캡(27)은, 압축 코일 스프링(42)이 압축되어 전극(21)이 소정의 하중으로 전극용 부착 시트(28)에 압박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조여진다. 이와 같이 전극캡(27)이 측정관(23)의 본체(25)에 나사 부착됨으로써, 전극(21)의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전극(21)은, 유체 통로(24) 내를 흐르는 슬러리와의 접촉에 의해 도전체(52)가 박리되거나, 접액부(37)에 이물이 부착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신품과 교환된다. 전극(21)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극캡(27)을 측정관(23)의 본체(25)로부터 제거하고, 다음으로, 단자부(32)를 통체(45), 와셔(49), 압축 코일 스프링(42) 및 절연판(50) 등과 함께 제거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발 공구(61)를 나사 구멍(48) 내에 삽입하고, 이 인발 공구(6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갈고리편(61a)을 원통체(33)의 인발 공구용 부착부(64)(관통 구멍(65))에 원통체(33)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상태로 인발 공구(61)를 본체부(31)와는 반대 방향으로 빼는 것에 의해, 본체부(31)의 소직경부(35)가 전극 삽입 구멍(29)으로부터 인출되고, 본체부(31)를 측정관(2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체부(31)를 측정관(23)으로부터 제거함에 있어서, 단자부(32)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접속부(34)는,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가 삽입되는 원통체(33)와, 이 원통체(33)에서의 단자부(3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대직경부(36)에 걸리는 걸림부(63)와, 원통체(33)에 설치된 인발 공구용 부착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체(33)는 단순한 구조이며, 더구나, 이 실시형태를 실현함에 있어서 본체부(31)에 인발 공구(61)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발 공구(61)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대직경부(36)의 외주부에는, 접속부(34)의 원통체(33)와 협동하여 고리형 홈(66)을 구성하는 고리형의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형 홈(66)에 개스킷(43)을 수용함으로써, 이 개스킷(43)보다 본체부(31)의 직경 방향의 내측이 시일부가 된다. 이 때문에, 원통체(33)는, 시일부의 밖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원통체(33)는, 측정관(23) 내를 흐르는 유체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통체(33)를 내식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통체(33)를 형성하는 재료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전위 검출용 전극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도 1∼도 6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위 검출용 전극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전위 검출용 전극의 일례가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본체부(31)의 대직경부(36)는, 축선 방향의 전역에 걸쳐 외경이 일정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접속부(34)는, 본체부(3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접액부(37)가 일단부에 위치하는 본체부(31)의 타단부(31a)에 개구된 제1 구멍(71)과, 이 제1 구멍(71)의 구멍벽면(71a)에 개구된 복수의 제2 구멍(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구멍(71)은, 대직경부(36)의 축심부에 형성되고, 대직경부(36)의 축선(C)과 평행하게 본체부(31)의 타단부(31a)로부터 소직경부(35)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구멍(72)은, 대직경부(36)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단부가 제1 구멍(71)에 개구됨과 더불어, 타단부가 대직경부(36)의 외주면(36a)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2 구멍(72)은, 대직경부(36)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속부(34)를 갖는 전위 검출용 전극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부가 본체부(31)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인발 공구(61)를 제1 구멍(71)과 제2 구멍(72)에 삽입하여 본체부(31)에 걸고, 이 인발 공구(61)를 빼는 것에 의해, 본체부(31)를 측정관(2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발 공구(61)를 본체부(31)에 접속함에 있어서 본체부(31) 외에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른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전극의 조립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체(52)로 덮인 본체부(31)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체부를 특수한 재료로 형성하고, 접액부를 갖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도통을 확보할 수도 있다.
21 : 전위 검출용 전극, 22 : 전자 유량계, 23 : 측정관, 29 : 전극 삽입 구멍, 31 : 본체부, 32 : 단자부, 34 : 접속부, 35 : 소직경부, 36 : 대직경부, 37 : 접액부, 41 : 원판부(접촉부), 51 : 모재, 52 : 도전체, 56 : 고리형의 오목부, 61 : 인발 공구, 62 : 통형부, 63 : 걸림부, 64 : 인발 공구용 부착부, 66 : 고리형 홈, 71 : 제1 구멍, 72 : 제2 구멍.
Claims (4)
-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에 있어서,
전자 유량계의 측정관 내에 노출되는 접액부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도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이 접촉부가 상기 타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와,
상기 본체부에 인발 공구를 접속하는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정관의 전극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접액부가 되는 원기둥형의 소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접속되어 상기 소직경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하는 원판형의 대직경부
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대직경부가 삽입되는 통형부와,
상기 통형부에서의 상기 단자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통형부에 설치된 인발 공구용 부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대직경부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외주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협동하여 고리형 홈을 구성하는 고리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에 있어서,
전자 유량계의 측정관 내에 노출되는 접액부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도통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이 접촉부가 상기 타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와,
상기 본체부에 인발 공구를 접속하는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타단부에 개구된 제1 구멍과,
상기 제1 구멍의 구멍벽면에 개구된 제2 구멍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40986 | 2017-12-15 | ||
JP2017240986A JP6970001B2 (ja) | 2017-12-15 | 2017-12-15 | 電磁流量計の電位検出用電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453A KR20190072453A (ko) | 2019-06-25 |
KR102127823B1 true KR102127823B1 (ko) | 2020-06-30 |
Family
ID=6681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0781A KR102127823B1 (ko) | 2017-12-15 | 2018-12-13 |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663329B2 (ko) |
JP (1) | JP6970001B2 (ko) |
KR (1) | KR102127823B1 (ko) |
CN (1) | CN10993199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40392B2 (ja) * | 2017-12-15 | 2021-09-29 | アズビル株式会社 | 電磁流量計の電位検出用電極 |
JP6948244B2 (ja) * | 2017-12-15 | 2021-10-13 | アズビル株式会社 | 電磁流量計の電位検出用電極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23936B2 (ja) * | 2015-01-16 | 2016-11-09 |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 遊技機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3936Y2 (ja) * | 1980-03-12 | 1985-07-17 | 東光株式会社 | コイルを具えたリ−ドフレ−ム |
KR890017063A (ko) | 1988-05-04 | 1989-12-15 | 제이.유.뉴컴 | 사출 공정 및 장치 |
JPH0216024U (ko) | 1988-07-19 | 1990-02-01 | ||
JPH08271302A (ja) | 1995-03-31 | 1996-10-18 | Yamatake Honeywell Co Ltd | 電磁流量計 |
DE10312824B4 (de) * | 2003-03-22 | 2007-04-05 | Siemens Flow Instruments A/S | Magnetisch-induktiver Durchflußmesser |
NO328055B1 (no) * | 2006-09-05 | 2009-11-23 | Roxar Flow Measurement As | Forseglet elektrodeenhet for maling av fluider |
DE102010030229A1 (de) * | 2010-06-17 | 2011-12-22 | Endress + Hauser Flowtec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gnetisch-induktiven Durchflussmessgeräts |
CN102297710A (zh) * | 2010-06-25 | 2011-12-28 | 上海一诺仪表有限公司 | 磁电式流量计的快卸插入式芯体 |
JP5887683B2 (ja) * | 2013-04-08 | 2016-03-16 | Smc株式会社 | 電磁流量計 |
KR102396377B1 (ko) | 2015-09-30 | 2022-05-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 |
EP3385024B1 (en) * | 2016-01-27 | 2023-05-03 | Kyokutoh Co., Ltd. | Electrode tip removal device and hammer |
JP6754312B2 (ja) | 2017-03-02 | 2020-09-09 | アズビル株式会社 | 電磁流量計の電極構造 |
JP6940392B2 (ja) * | 2017-12-15 | 2021-09-29 | アズビル株式会社 | 電磁流量計の電位検出用電極 |
-
2017
- 2017-12-15 JP JP2017240986A patent/JP6970001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2-13 CN CN201811527588.0A patent/CN10993199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8-12-13 KR KR1020180160781A patent/KR102127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13 US US16/219,265 patent/US1066332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23936B2 (ja) * | 2015-01-16 | 2016-11-09 |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 遊技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9109088A (ja) | 2019-07-04 |
JP6970001B2 (ja) | 2021-11-24 |
US20190186965A1 (en) | 2019-06-20 |
CN109931994B (zh) | 2020-09-04 |
KR20190072453A (ko) | 2019-06-25 |
CN109931994A (zh) | 2019-06-25 |
US10663329B2 (en) | 202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3330B2 (en) | Electropotential detection electrode of electromagnetic flow meter | |
JP5344675B2 (ja) | ガスセンサ | |
KR102127823B1 (ko) |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 |
CN110383012B (zh) | 电磁流量计的电极构造 | |
JP5295743B2 (ja) | 燃焼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 |
CN112105925B (zh) | 气体传感器 | |
JPH0530122Y2 (ko) | ||
KR102075765B1 (ko) | 전자 유량계의 전위 검출용 전극 | |
JPS5882150A (ja) | 耐久性のあるチタニア製排ガスセンサ | |
US10996087B2 (en) | Electropotential detection electrode of electromagnetic flow meter | |
JP2013246093A (ja) | ガスセンサ | |
CN105744658B (zh) | 陶瓷加热器以及传感器 | |
EP1096140B2 (en) | Attachment structure of glow plug | |
JP2019027917A (ja) | ガスセンサ | |
JP2009085940A (ja) | ガスセンサ | |
JP2011247657A (ja) | ガスセンサ | |
CN113557428A (zh) | 气体传感器 | |
CN117147656A (zh) | 气体传感器 | |
JP2009198189A (ja) | ガスセンサ | |
JP2019135456A (ja) | ガスセ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