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808B1 -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808B1
KR102127808B1 KR1020180093312A KR20180093312A KR102127808B1 KR 102127808 B1 KR102127808 B1 KR 102127808B1 KR 1020180093312 A KR1020180093312 A KR 1020180093312A KR 20180093312 A KR20180093312 A KR 20180093312A KR 102127808 B1 KR102127808 B1 KR 102127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circuit
bias
start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854A (ko
Inventor
하종옥
김정훈
조병학
이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808B1/ko
Priority to US16/265,082 priority patent/US10903794B2/en
Priority to CN201910312243.1A priority patent/CN110829981B/zh
Publication of KR2020001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bipolar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8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bias of the gate of a FET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protected to temperature influ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55A voltage generating circuit being realised for biasing different circuit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2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2203/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2203/2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03F2203/21127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the input bias current of a power amplifier being controlled, e.g. by an active current source or a current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는, 동작 개시시점부터 상기 정상 구동시점 직전까지의 기동시간 동안에 내부 전압 및 스타트업 전압에 기초하여 스타트업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기동시간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부터 상기 내부 전압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에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POWER AMPLIFIER DEVICE WITH IMPROVED RESPONSE SPEED}
본 발명은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시간분할 방식(TDD time division duplexing)과 주파수 분할 방식(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이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한정된 자원 안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와 통신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간 분할 방식은 동일 주파수에서 통신을 하는 시간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여러 사용자와 통신을 하는 방법이며, 주파수 분할 방식은 사용자 별로 주파수를 다르게 할당하여 통신을 하는 방법이다.
통상 시간 분할 방식은 동일 주파수에서 통신을 하는 시간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여러 사용자와 통신을 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통신을 하는 시간을 구분하여 통신을 하게 되므로 통신하는 과정에서 송신과 수신이 반복적으로 전환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의 빠른 응답 속도가 시간 분할 방식의 통신에서 중요한 성능 요인이 되며, 송신기 및 수신기에 포함되는 증폭 회로도 빠른 응답 속도가 요구된다.
그런데, 기존의 송신기의 응답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송신기의 파워 증폭기(Power amplifier)의 응답속도를 보다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파워 증폭기가, 기동시부터 정상 상태에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도달하기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US 2013/003414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상 상태에서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보다 큰 스타트업 전류(Ist)를 기동 초기에 짧은 시간동안에 공급하여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동작 개시시점부터 상기 정상 구동시점 직전까지의 기동시간 동안에 내부 전압 및 스타트업 전압에 기초하여 스타트업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기동시간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부터 상기 내부 전압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에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를 포함하는 파워 증폭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스타트업 전류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입력받는 베이스를 갖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1 전압 단자에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파워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해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제1 전압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온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제1 전압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바이어스 저항;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원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원 회로는, 기준전압 단자에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내부 전압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동작 개시시점부터 상기 정상 구동시점 직전까지의 기동시간 동안에 스타트업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정상 구동시점부터 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스타트업 전류의 생성을 위해 상기 바이어스 회로에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및 상기 스타트업 전류에 따라 기동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 회로; 를 포함하는 파워 증폭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스타트업 전류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내부 전압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입력받는 베이스를 갖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1 전압 단자에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파워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해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제1 전압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온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제1 전압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바이어스 저항;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원 회로는, 기준전압 단자에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내부 전압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정상 상태에서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Ibias)보다 큰 스타트업 전류(Ist)를 기동 초기에 짧은 시간동안에 공급함으로써, 파워 증폭 장치의 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응답속도 개선을 통해서, 동적-EVM(Dynamic Error Vector Magnitude corrections)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회로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요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및 타이밍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의 일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는, 바이어스 회로(100), 스타트업 회로(300) 및 파워 증폭 회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회로(100)는, 동작 개시시점(T1)부터 상기 정상 구동시점(T2) 직전까지의 기동시간(△T) 동안에 스타트업 전류(Ist)를 생성하고,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이어스 회로(100)는, 상기 스타트업 전류(Ist) 또는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트업 회로(300)는, 동작 개시시점부터 상기 정상 구동시점 직전까지의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스타트업 전류(Ist)의 생성을 위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접속노드(Nbase)에 제어전압(Vc)에 응답하여 생성된 스타트업 전압(Vst)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기동시간(△T) 이후에는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업 회로(300)는, 상기 제1 전압(V1)에 기초해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스타트업 전류(Ist)는, 파워 증폭 회로(500)가 신속한 정상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어스 전류(Ibias)보다 큰 전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압(V1)은 배터리 전압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타트업 회로(3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어스 회로(100)는,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에 기초하여 스타트업 전류(Ist)를 생성하여 파워 증폭 회로(5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회로(100)는, 상기 기동시간(△T) 이후에 상기 내부 전압(Vint)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하여 파워 증폭 회로(5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바이어스 회로(1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파워 증폭 회로(500)는, 상기 스타트업 전류(Ist)에 따라 기동하여 신속하게 정상 상태에 도달하고, 정상 상태에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Ibias)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워 증폭 회로(500)는, 증폭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5)는 동작 전압(Vcc) 단자에 코일(L1)을 통해 접속된 컬렉터와, 접지에 접속된 에미터와, 제1 커패시터(CB1)를 통해 입력단(IN)에 접속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는 제2 커패시터(CB2)를 통해 출력단(OUT)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는, 제어 회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700)는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Sen)에 응답하여 상기 스타트업 회로(300)에 제어전압(Vc)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회로(700)는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Sen)가 로우레벨일 경우에 오프(OFF)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Vc)을 제공하고,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Sen)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되면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온(ON)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Vc)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대해,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 대해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이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어스 회로의 일 예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어스 회로(100)는, 출력 회로(110) 및 전압원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회로(110)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 제1 저항(R11) 및 제2 저항(R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1 저항(R11)을 통해 제1 전압(V1) 단자에 접속된 컬렉터와, 상기 제2 저항(R12)을 통해 상기 파워 증폭 회로(500)의 바이어스 접속노드(Nbias)에 접속된 에미터와,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을 입력받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에 기초하여 스타트업 전류(Ist)를 생성하고,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 내부 전압(Vint)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에 기초한 베이스 전압(Vbase)에 따라 스타트업 전류(Ist)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 내부 전압(Vint)에 기초한 베이스 전압(Vbase)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원 회로(120)는, 상기 내부 전압(Vint)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타트업 회로(300)는,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트랜지스터(Q3) 및 바이어스 저항(R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Q3)는, 상기 제1 전압(V1)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접속노드(Nbase)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온(ON)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Vc)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저항(R3)은,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와 상기 제1 전압(V1)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상기 베이스 접속노드(Nbase)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이어스 저항(R3)은 상기 제1 저항(R11)의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Q3)는,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온(ON)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Vc)에 응답하여 온상태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압(V1)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접속노드(Nbase)를 상기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접속노드(Nbase)에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에 기초하여 스타트업 전류(Is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Q3)는,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는 오프(ON)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Vc)에 응답하여 오프상태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 내부 전압(Vint)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전류(Ibia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원 회로(120)는, 상기 내부 전압(Vint)을 출력하기 위해, 기준전압(Vref)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3 저항(R21),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D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저항(R21)의 일단이 기준전압(Vref) 단자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의 컬렉터에 접속된다. 상기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2)의 컬렉터는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되며, 그 베이스는 컬렉터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상기 내부 전압(Vint)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압원 회로(120)는,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DT2)에 의해 2배의 베이스-에미터 전압 (2Vbe)을 상기 내부 전압(Vint)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일 예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 안정화를 위해 커패시터(Cb)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압원 회로(120)는, 2개의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DT2)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출력 회로(110)에 포함된 제1 트랜지스터(Q1) 및 파워 증폭 회로(500)의 증폭 트랜지스터(Q5)의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트랜지스터(Q1) 및 증폭 트랜지스터(Q5)에 대한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DT1,DT2)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 및 증폭 트랜지스터(Q5)와 동일한 온도 특성을 갖는 소자가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온도 보상의 정확성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요 전압 및 전류의 파형 및 타이밍 도이다.
도 4에서, Sen은 상기 제어 회로(700)에 입력되는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이고, 이는 본 발명의 적용된 송신 시스템이 디스에이블 상태에서는 로우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시스템이 인에이블 상태에서는 하이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Vc는 상기 제어 회로(70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이고, 이는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Sen)의 라이징에 동기되어 온(ON) 레벨로 될 수 있고,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온(ON)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기동시간(△T) 이후에는 오프(ON) 레벨로 될 수 있다.
V1은 제1 전압이고, 일 예로, 상기 제1 전압(V1)은 배터리 전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인에이블 신호(Sen)의 라이징에 동기되어 공급된다.
Vbase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이고, 상기 베이스 전압(Vbase)은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에 기초한 전압이고,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 내부 전압(Vint)에 기초한 전압이다.
Ibias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이고, 상기 바이어 전류(Ibias)는 상기 기동시간(△T) 동안에 상기 내부 전압(Vint) 및 상기 스타트업 전압(Vst)에 기초한 베이스 전압(Vbase)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기동시간(△T)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T2)부터 내부 전압(Vint)에 기초한 베이스 전압(Vbase)에 따라 생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나, 파워 증폭이 요구되는 통신 모듈 또는 통신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 장치의 제어 회로는, 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입력 디바이스(예: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등), 출력 디바이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 및 통신접속장치(예: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장치 등)가 서로 상호접속(예: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네트워크 등)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환경은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바이어스 회로
120: 전압원 회로
200: 스타트업 회로
500: 파워 증폭 회로
Q1: 제1 트랜지스터
R11: 제1 저항
R12: 제2 저항
Q3: 스위치 트랜지스터
R3: 바이어스 저항

Claims (14)

  1.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동작 개시시점부터 정상 구동시점 직전까지의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내부 전압 및 스타트업 전압을 베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스타트업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기동시간 이후의 정상 구동시점부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내부 전압을 상기 베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바이어스 회로에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1 전압 단자에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파워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제1 전압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온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상기 제1 전압 단자를 통한 제1 전압에 기초해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공급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제1 전압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바이어스 저항; 를 포함하며,
    상기 스타트업 전류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보다 큰
    파워 증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파워 증폭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원 회로는,
    기준전압 단자에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내부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증폭 장치.
  8.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동작 개시시점부터 정상 구동시점 직전까지의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내부 전압 및 스타트업 전압을 베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스타트업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정상 구동시점부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내부 전압을 상기 베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상기 스타트업 전류의 생성을 위해 상기 바이어스 회로에 스타트업 전압을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 및
    상기 스타트업 전류에 따라 기동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1 전압 단자에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파워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회로는, 상기 제1 전압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기동시간 동안에 온 레벨을 갖는 제어전압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상기 제1 전압 단자를 통한 제1 전압에 기초해 상기 스타트업 전압을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공급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 및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제1 전압 단자 사이 또는 상기 스위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베이스 접속노드 사이에 접속된 바이어스 저항; 를 포함하며,
    상기 스타트업 전류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보다 큰
    파워 증폭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저항은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파워 증폭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원 회로는,
    기준전압 단자에 접속된 일단을 갖는 제3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내부 전압을 공급하는
    파워 증폭 장치.
KR1020180093312A 2018-08-09 2018-08-09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KR10212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12A KR102127808B1 (ko) 2018-08-09 2018-08-09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US16/265,082 US10903794B2 (en) 2018-08-09 2019-02-01 Power amplifier device with improved response speed
CN201910312243.1A CN110829981B (zh) 2018-08-09 2019-04-18 具有提高的响应速度的功率放大器装置及偏置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12A KR102127808B1 (ko) 2018-08-09 2018-08-09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54A KR20200017854A (ko) 2020-02-19
KR102127808B1 true KR102127808B1 (ko) 2020-06-29

Family

ID=6940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12A KR102127808B1 (ko) 2018-08-09 2018-08-09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3794B2 (ko)
KR (1) KR102127808B1 (ko)
CN (1) CN110829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9624A (zh) * 2021-09-28 2021-12-24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功率放大器控制方法、装置、功率放大系统和存储介质
CN114070212A (zh) * 2022-01-18 2022-02-18 唯捷创芯(天津)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电流保护功能的射频前端模块及相应的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298A (ja) 2001-05-16 2002-11-29 Yamaha Corp パワー・オン/オフ・リセット回路
US20110279185A1 (en) 2010-03-25 2011-11-17 Lloyd Lautzenhis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gate bias for field effect transistors
WO2012111274A1 (ja) * 2011-02-14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33B1 (ko) * 1995-06-21 1998-07-15 김광호 능동소자를 이용한 스타트업 회로
JP2004080356A (ja) * 2002-08-16 2004-03-11 Nec Corp バイアス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増幅装置
KR100545262B1 (ko) * 2003-08-01 2006-01-24 (주)에프씨아이 지능형 전력증폭기의 바이어스 회로
US6946911B2 (en) * 2003-08-08 2005-09-20 Skyworks Solutions, Inc. Temperature-insensitive bias circuit for high-power amplifiers
US7639080B2 (en) * 2006-06-07 2009-12-29 Panasonic Corporation Radio frequency amplifier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8260224B2 (en) 2009-12-02 2012-09-04 Sig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of prebias for rapid power amplifier response correction
JP2011160256A (ja) * 2010-02-02 2011-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ミッタフォロワ型バイアス回路
JP5673361B2 (ja) * 2011-05-31 2015-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増幅器
US9154090B2 (en) 2012-05-17 2015-10-06 Microsemi Corporation Integrated start-up bias boost for dynamic error vector magnitude enhancement
KR101792271B1 (ko) * 2012-05-29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바이어스 회로 및 이를 갖는 전력 증폭기
JP5857898B2 (ja) * 2012-07-11 2016-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増幅器
KR101422952B1 (ko) * 2012-12-14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전력 모드를 갖는 바이어스 회로 및 전력 증폭기
TWI516021B (zh) * 2013-05-03 2016-01-01 日月光半導體製造股份有限公司 射頻功率放大器與電子系統
CN104753471B (zh) 2013-12-31 2019-03-12 天工方案公司 关于动态误差向量幅度校正的系统、电路和方法
US9806679B2 (en) * 2014-09-10 2017-10-31 Skyworks Solutions, Inc. High-linearity CMOS WiFi RF power amplifiers in wide range of burst signals
KR20160055492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바이어스 회로 및 이를 갖는 전력 증폭기
CN106788282A (zh) * 2016-12-16 2017-05-31 锐迪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改善动态误差矢量幅度的装置及方法
CN107332520B (zh) * 2017-07-24 2024-03-19 尚睿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偏置电路及功率放大电路
KR102029553B1 (ko) * 2017-12-22 2019-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성 향상을 위한 바이어스 회로 및 파워 증폭 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298A (ja) 2001-05-16 2002-11-29 Yamaha Corp パワー・オン/オフ・リセット回路
US20110279185A1 (en) 2010-03-25 2011-11-17 Lloyd Lautzenhis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gate bias for field effect transistors
WO2012111274A1 (ja) * 2011-02-14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03794B2 (en) 2021-01-26
CN110829981A (zh) 2020-02-21
US20200052651A1 (en) 2020-02-13
KR20200017854A (ko) 2020-02-19
CN110829981B (zh)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808B1 (ko) 응답속도가 개선된 파워 증폭 장치
US7724075B2 (en) Method to provide a higher reference voltage at a lower power supply in flash memory devices
CN108205348B (zh) 用于调节电子设备的启动和操作电压的电路
JP6690110B2 (ja) 線形性を改善するためのバイアス回路及び電力増幅装置
US9651980B2 (en) Bandgap voltage generation
KR20080101215A (ko) 공정 변동을 보상하는 기준 바이어스 회로
JP2014515588A (ja) 同相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た広帯域幅c級増幅器
CN104079287A (zh) 输出电路、集成电路、振动器件、电子设备、移动体
US8339871B2 (en) Voltage sensing circuit capable of controlling a pump voltage stably generated in a low voltage environment
KR20210028074A (ko) 링 전압 제어 발진기 회로
KR20190029896A (ko) 온도 센싱 회로
CN217213529U (zh) 一种高阶温度补偿的带隙基准电路及终端
US9385658B2 (en) Fast recovery scheme of transconductance gain for folded cascode amplifier
KR20210092490A (ko) 기준 전압-전류 발생회로
US10261538B2 (en) Standard voltage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2061692B1 (ko) 전류 발생기,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20070096786A1 (en) Reset circuit
CN109992034B (zh) 一种低压差线性稳压器
TW201506578A (zh) 電壓產生裝置
KR20140145814A (ko) 기준전압 생성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저전압용 내부전원 생성장치
US77602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 control
CN112018840A (zh) 一种微小电流和容性负载的检测电路
KR100434432B1 (ko) Pvt 변화에 둔감한 저전압 고속용 셀프-오실레이터
TW202007071A (zh) 半導體電路及半導體系統
US10700637B2 (en) Oscillator circuits capable of compensating for PVT vari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