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638B1 -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638B1
KR102127638B1 KR1020130109724A KR20130109724A KR102127638B1 KR 102127638 B1 KR102127638 B1 KR 102127638B1 KR 1020130109724 A KR1020130109724 A KR 1020130109724A KR 20130109724 A KR20130109724 A KR 20130109724A KR 102127638 B1 KR102127638 B1 KR 10212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unit
external force
medicin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457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10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6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는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상기 약제포장지에 불출되도록 하는 약제불출부; 및 상기 약제불출부에 삽입된 상기 약제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에 위치 가변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에 불출된 상기 약제에 의한 무게에 의해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포장지를 지지하는 위치가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Medication input device and medication pack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제형 약제를 스틱형 포장지에 포장되도록 하기 위한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방전에 따라 약국 등에서 조제된 약제는 이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뒤 환자가 1회분씩 복용할 수 있도록 분배한 후 복수의 약제포장지에 투입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정시에 정량의 약을 복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분말약은 약의 효과가 몸에 흡수되는 속도를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어 저연령층의 유아나 아동환자가 복용하는 약제로 제조되고 있으며, 일반 알약은 아동이 복용하고자 할 경우에 절구통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복용하는 상황이고, 복용 시에도 물에 개어서 복용하거나, 다른 물약 성분과 같이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종래의 분말약은 사각형의 포장지에 포장되어 유아나 아동에게 약을 복용시키기 위해 물약병 또는 약스푼 등에 덜어낸 후에 물에 개어 투약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조제된 봉투의 투입구가 넓어 개봉 시 흘러내리거나 날리게 되는 등의 문제로 정량의 약을 정확히 복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즉, 분말약의 경우 정량으로 분배하여 유아등의 환자에게 투입하기가 무척 곤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비교적 정량으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분말약 투입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포장지를 사각 형태가 아닌 스틱형 포장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스틱형 포장지에 분말약을 각각 투입한 후, 실링함으로써 환자가 1회분씩 복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분말약이 투입된 다수개의 스틱형 포장지를 동시에 실링하여 포장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분말약이 투입된 각각의 스틱형 포장지를 실링기로 각각 실링 포장 함으로서 생산성이 저하 되고 분말약의 투입 및 포장 처리시에 스틱형 포장지의 파손과 분말약이 외부로 방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약국 또는 병원에서 분말약 조제시 많은 인원의 약을 한번에 조제하면서 타 약제와 섞어거나 이물질 등이 같이 투입되어 그 청결성이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따라서, 분말약을 1회 복용분씩 포장하는데 있어서, 정량을 효과적으로 실링하는 동시에 포장속도를 신속하게 하여 포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말약 투입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약제포장지에 균일한 정량으로 분말약을 투입하는 동시에 분말약이 투입된 복수의 약제포장지를 동시에 실링되도록 하여 분말약의 포장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약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약제포장지의 파손 및 분말약이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는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상기 약제포장지에 불출되도록 하는 약제불출부; 및 상기 약제불출부에 삽입된 상기 약제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에 위치 가변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에 불출된 상기 약제에 의한 무게에 의해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포장지를 지지하는 위치가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이탈된 상기 약제포장지가 실링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약제불출부 사이에 실링공간을 제공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약제불출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약제포장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는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약제포장지의 일측단을 덮어 상기 약제포장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약제불출부는 외부로부터의 약제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호퍼부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는 연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연통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약제불출부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약제가 통과되는 약제통과부 및 상기 약제통과부가 장착되는 기준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기준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약제포장지가 배치되는 약제포장지배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약제통과부는 상기 약제포장지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와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준부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기준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약제통과부는 외부로부터의 약제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호퍼부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는 연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는 상기 연통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약제포장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이동부가 상기 기준부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수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약제 투입 장치;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적이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외력제공부; 및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의 위치의 가변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상기 약제불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공간에 노출되며,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의 위치 가변에 의해 상기 실링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이 실링되도록 상기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를 직선 운동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실링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접촉부 및 상기 회동부와 상기 접촉부를 서로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회동부가 외력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실링공간을 제공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부가 외력에 의해 회동되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의 복귀되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외력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가 상기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외력제공부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기 위해 상기 외력제공부에 추가외력을 제공하는 추가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실링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기 접촉부를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회동부를 연결시키는 연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추가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제공부가 상기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연동축과 접촉되어 상기 연동축에 추가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추가외력제공부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약제불출부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약제불출부로 상기 약제가 투입되도록 하며, 상기 약제불출부로의 상기 약제의 투입여부는 회동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약제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상기 약제투입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약제투입부로부터 상기 약제불출부로 투입되는 상기 약제의 범위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외관을 제공하며, 상기 약제 투입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실링부가 삽입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 및 상기 외력제공부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력제공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접촉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에 의하면, 약제를 약제포장지에 균일한 정량을 투입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개의 약제포장지의 실링을 한번의 동작으로 구현 가능하여 약제의 포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포장 시 약제포장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는 수동과 자동을 모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실링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약제 투입 장치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약제투입부에 약제가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약제투입부의 회동에 의해 약제가 약제포장지로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의해 약제포장지에 약제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에 수동으로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개략단면도 및 내부구성도.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가압부가 추가외력제공부에 의해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을 사이에 두고 실링부를 향해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100)는 분말약 등의 약제를 스틱형 약제포장지에 적정량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약제불출부(110) 및 위치가변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불출부(110)는 상기 약제포장지(P, 도 3 내지 도 5 참조)가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M, 도 4 참조)가 상기 약제포장지(P)로 불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에 가변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약제포장지(P)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불출부(110)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통과하는 약제통과부(113) 및 상기 약제통과부(113)가 장착되는 기준부(11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통과부(113)는 외부로부터의 약제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광하협의 내부공간(S1)을 구비하는 호퍼부(111) 및 상기 내부공간(S1)과 연통되는 연통홀(S2)을 구비하는 연통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12)는 상기 약제포장지(P)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 관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포장지(P)의 안정적인 삽입을 위해 일측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부(11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약제를 상기 연통홀(S2)로 유입시키는 일종의 일시적인 저장장소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은 상기 연통홀(S2)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112) 및 상기 호퍼부(1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도 1 및 도 2에서는 3개)의 상기 연통부(112) 및 상기 호퍼부(111)가 하나의 유닛을 구성한 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닛이 상기 기준부(116)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약제불출부(110)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연통부(112) 및 상기 호퍼부(111)의 개수는 일정하게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기준부(116)는 상기 약제통과부(113)가 장착되는 장착부(114) 및 상기 장착부(114)의 양측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1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15)에는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위치 가변을 구현토록 하는 레일부(R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R1)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의 레일대응부(R2)가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외력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에 제공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115)에는 손잡이부(117)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100)의 이동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후술할 본체부(B, 도 7 참조)에 착탈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연통부(112)에 삽입되는 약제포장지(P)를 지지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기준부(116), 즉, 날개부(115)에 위치 가변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불출부(110)로부터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P)에 불출된 약제에 의한 무게에 의해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상기 연통부(112)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포장지(P)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약제불출부(110)로부터 이탈된 상기 약제포장지(P)가 실링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110)로부터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약제불출부(110) 사이에 실링공간(S3)을 제공토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P)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S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약제포장지(P)가 안착되는 안착부(122) 및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122)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S4), 상기 안착부(122) 및 상기 받침부(124)는 후술할 약제포장지배치부(125)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상기 기준부(116)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동부(129) 및 상기 이동부(129)에 장착되어 상기 약제포장지(P)가 배치되는 약제포장지배치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29)는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125)가 장착되는 결합부(126), 상기 이동부(129)가 상기 기준부(116)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결합부(126)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12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26)의 양측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날개대응부(1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날개대응부(128)는 날개부(115)의 레일부(R1)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레일대응부(R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일대응부(R2)가 상기 레일부(R1)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위치 가변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125)는 앞서 언급한 상기 연통부(112)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P)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S4), 상기 약제포장지(P)가 안착되는 안착부(122) 및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122)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S4)는 약제포장지(P)의 외형, 즉, 스틱형의 약제포장지(P)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약제포장지(P)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22)는 상기 약제포장지(P)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부(S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24)는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약제포장지(P)에 약제(M)가 투입되기 전 상기 약제포장지(P)가 약제불출부(110)의 연통부(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약제포장지(P)에 약제가 투입되고 위치가변지지부(120)가 위치 가변되는 경우 투입된 약제(M)의 무게에 의해 상기 연통부(112)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포장지(P)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S4), 상기 안착부(122) 및 상기 받침부(1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도 1 및 도 2에서는 3개)의 상기 수용부(S4)가 하나의 유닛을 구성한 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유닛이 상기 이동부(129)에 장착됨으로써 위치가변지지부(120)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100)의 작동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100)를 통해 약제포장지(P)에 적정량의 약제를 투입하기 위해 스틱형의 빈 약제포장지(P)를 약제불출부(110)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약제포장지(P)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약제통과부(113),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통과부(113)의 연통부(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모든 연통부(112)에 상기 약제포장지(P)가 삽입되면,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호퍼부(111)의 내부공간(S1)에 약제(M)를 투입한다.
상기 호퍼부(111)의 내부공간(S1)에 약제(M)가 투입되면, 상기 약제(M)는 자연적으로 상기 연통부(112)의 연통홀(S2)을 통해 상기 약제포장지(P)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약제포장지(P)의 내부로의 약제(M)의 투입이 완료되면, 위치가변지지부(120)에 외력(F)을 인가하여 위치 가변을 시킨다.
즉,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에 수동으로 외력(F)을 인가하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이동부(120)의 레일대응부(R2)는 약제불출부(110)의 기준부(116)의 레일부(R1)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상기 약제불출부(110) 사이에는 소정의 실링공간(S3)이 제공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날개대응부(128)의 레일대응부(R2)는 날개부(115)의 레일부(R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공간(R3)에는 약제(M)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연통부(112)로부터 이탈된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이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약제포장지배치부(125)는 상기 약제포장지(P)가 상기 연통부(112)에 삽입된 경우와 이탈된 경우 모두에 있어서, 상기 약제포장지(P)를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받침부(124)에 의해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력에 의해 위치가변지지부(120)가 위치 이동하여 약제불출부(110) 사이의 실링공간(S3)에 약제(M)를 수용한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이 노출되면, 상기 타측단을 실링하여 밀봉시킨다.
상기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이 밀봉되면, 상기 약제포장지(P)를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125)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약제포장지(P)로의 약제(M) 투입의 모든 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약제 투입 장치와 본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약제 투입 장치(100),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위치를 가변적이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외력제공부(210) 및 약제가 투입된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이 실링되도록 하는 실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20)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위치의 가변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상기 약제불출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공간(S3)에 노출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투입 장치(100)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200)의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B)는 상기 실링부(220)가 삽입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S5) 및 상기 외력제공부(210)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력제공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접촉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S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S6)에 삽입되는 상기 외력제공부(210)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할 접촉부(219)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219)에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외력제공부(210)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위치를 가변적이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제공부(210)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위치 가변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약제불출부(110) 사이에 제공되는 실링공간(S3)에 배치되는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이 실링되도록 상기 타측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부(220)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2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회동축(A1)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를 직선 운동 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가압부(211)는 상기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가압하여 상기 타측단을 상기 실링부(220)에 의한 열에 의해 밀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타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력의 구현은 상기 외력제공부(210)의 회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제공부(210)는 상기 가압부(211)의 양측단과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212), 상기 회동부(21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실링공간(S3)을 제공토록 하는 접촉부(219) 및 상기 회동부(212)와 상기 접촉부(219)를 서로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부(21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13)와 상기 회동부(212)는 연동축(A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212)가 외력에 의해 회동축(A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212)와 연동축(A2)에 의해 연결된 상기 연결부(213)의 일측단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219)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213)의 타측단은 직선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121)의 회동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상기 연결부(213)의 타측단으로 인해 상기 타측단과 연결되는 접촉부(219)도 직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219)는 본체부(B)의 관통공(S6)에 삽입되어 위치가변지지부(120)의 걸림부(127)에 걸린 채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를 직선 운동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촉부(219)의 단부는 굴곡되어 본체부(B)의 관통공(S6)을 통과한 후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는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이동부(129)의 일 구성요소인 걸림부(127)에 걸림으로써 상기 접촉부(219)의 직선 운동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도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가 상기 접촉부(219)의 직선 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하게 되면, 실링공간(S3)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가압부(211)는 상기 실링공간(S3)에 배치되는 연통부(112)로부터 이탈된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가압하여 실링부(220)에 의한 열에 의해 상기 타측단을 밀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제공부(210)가 외력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219)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 즉, 걸림부(127)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실링공간(S3)을 제공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21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은 연결부(213)에 장착되는 탄성부(E)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제공부(210)의 회동에 의한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향하는 가압력은 수동에 의한 외력 및 추가외력제공부(230)에 의한 추가외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면서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약제투입부에 약제가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약제포장지(P)에 적정량의 약제를 투입한 후 밀봉시키기 위해 약제 투입 장치(100)의 약제불출부(110)에 스틱형의 빈 약제포장지(P)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약제포장지(P)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약제통과부(113),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통과부(113)의 연통부(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모든 연통부(112)에 상기 약제포장지(P)가 삽입되면, 상기 약제통과부(113)의 호퍼부(111)와 연통되는 약제투입부(240)에 약제(M)를 투입한다.
상기 약제투입부(240)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약제불출부(110)로 상기 약제(M)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불출부(110)로의 약제(M)의 투입여부는 회동여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제투입부(240)에 투입된 약제(M)는 상기 약제투입부(240)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규정부(242)에 의해 상기 약제투입부(240)로부터 상기 약제불출부(110)로 투입되는 상기 약제(M)의 범위를 규정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복수의 연통부(112) 중 일부에만 약제포장지(P)를 삽입한 후 삽입된 약제포장지(P)에만 약제(M)의 불출을 구현시키려 하는 경우 규정부(242)를 이동시켜 상기 약제포장지(P)가 배치된 범위로 약제투입부(240)에 투입된 약제(M)를 모으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규정부(242)로 인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20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약제포장지(P)가 삽입되지 않은 연통부(112)를 통해 약제가 불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약제불출부(110)의 연통부(112)로의 약제포장지(P)의 삽입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투입 장치(100)가 본체부(B)에 장착된 이후에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약제 투입 장치(100)를 상기 본체부(B)로부터 분리시킨 후 약제포장지(P)를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약제투입부의 회동에 의해 약제가 약제포장지로 투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약제투입부(240)에 약제(M)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약제투입부(240)를 회동시켜 상기 약제투입부(240)의 공간을 약제불출부(110)의 호퍼부(111)와 연통시킨다.
상기 약제투입부(240)의 공간이 상기 호퍼부(111)의 내부공간(S1)과 연통되면, 상기 약제투입부(240)의 공간에 투입된 약제(M)는 자연스럽게 상기 호퍼부(111)의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된 후 연통부(112)의 연통홀(S2)을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112)에 삽입된 약제포장지(P)의 내부로 불출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의해 약제포장지에 약제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약제투입부(240)의 회동에 의해 약제(M)가 약제포장지(P)로 불출되게 되면, 상기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밀봉하기 위해 외력제공부(210)에 외력(F)을 인가하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에 수동으로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개략단면도 및 내부구성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외력제공부(210), 즉, 가압부(211) 또는 회동부(212)에 수동으로 외력(F)을 인가하면, 상기 회동부(212)는 회동축(A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212)와 연동축(A2)에 의해 연결된 상기 연결부(213)의 일측단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219)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213)의 타측단은 직선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212)의 회동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상기 연결부(213)의 타측단으로 인해 상기 타측단과 연결되는 접촉부(219)도 직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13)의 타측단 및 상기 접촉부(219)의 직선 운동은 상기 접촉부(219)가 본체부(B)의 내면에 장착되는 본체레일(R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21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접촉부(219)는 본체부(B)의 관통공(S6)에 삽입되어 위치가변지지부(120)의 걸림부(127)에 걸린 채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를 직선 운동하게 하여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약제불출부(110) 사이에 실링공간(S3)을 제공토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219)는 상기 본체레일(R3)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디부(219a), 상기 바디부(219a)의 일측면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연결부(213)의 타측단과 연결되는 이동감지대응부(219b) 및 상기 바디부(219a)의 타측면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B)의 관통공(S6)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27)에 걸리는 돌출부(219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9c)는 상기 회동부(212)의 회동에 의해 본체부(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127)에 외력을 직접적으로 인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감지대응부(219b)는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센서부(S)와 접촉되어 상기 센서부(S)에 의한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S)는 후술할 추가외력제공부(230)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는 회동부(212)의 회동을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추가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S)는 추가외력제공부(230)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대응부(219b)와의 접촉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219)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전기적 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및 자기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수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위치가변지지부(120)의 위치가 가변되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와 상기 약제불출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공간(S3)에는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실링부(220)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220)는 가압부(211)의 가압력에 의해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공간(S3)에는 약제를 수용한 약제포장지(P)가 약제(M)의 무게에 의해 연통부(112)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이 배치되는 것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가압부가 추가외력제공부에 의해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을 사이에 두고 실링부를 향해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200)는 수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외력제공부(210)가 회동축(A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실링공간(S3)에 배치되는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가압하여 실링부(220)에 의해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220)에 의해 발산되는 열에 의한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의 밀봉은 소정의 시간이 요구되는 바 사용자가 수동에 의해 외력제공부(210)의 가압부(211)를 실링부(220)를 향해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외력을 가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는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상기 소정의 각도까지는 수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회동을 구현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 이상부터는 자동으로 회동을 구현하여 밀봉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200)는 자동에 의한 회동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외력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S, 도 1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S) 및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는 본체부(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S)는 수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회동부(212)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부(212)의 회동에 의해 접촉부(219)가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219)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서부(S)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S)에 접촉되는 상기 접촉부(219)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감지대응부(219b, 도 17참조)일 수 있으며, 접촉부(219)가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감지대응부(219b)가 상기 센서부(S)에 접촉되면 추가외력제공부(230)는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는 센서부(S)의 신호를 수신하면, 회동부(212)와 연결부(213)를 연결하는 연동축(A2)에 접촉되어 상기 연동축(A2)을 미는 외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212)는 수동에 의한 외력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각도 이상부터는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에 의한 외력(F1)에 의해 가압부(211)는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사이에 두고 실링부(220)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에 의한 외력은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될 수 있으며, 이는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실링부(22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는 시간과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S)는 추가외력제공부(230)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대응부(219b)와의 접촉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219)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특정 시점에 상기 추가외력제공부(230)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적 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및 자기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외력제공부(210)가 수동에 의한 외력 및 추가외력제공부(230)에 의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밀봉시키고 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제공부(210)의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은 상기 외력제공부(210)의 연결부(213)에 장착되는 탄성부(E)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E)는 일측단 및 타측단이 각각 상기 연결부(213)와 본체부(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212)가 수동에 의한 외력 및 추가외력제공부(230)에 의한 외력에 의해 회동되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들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210), 즉, 상기 회동부(212)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212)가 외력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접촉부(219)의 돌출부(219c)는 위치가변지지부(120)의 걸림부(129)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위치가변지지부(120)는 상기 실링공간(S3)을 제공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이 완료된 약제포장지(P)를 수용부(S4)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약제 포장의 전 과정이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력제공부(210)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는 앞서 언급한 탄성부(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300)는 수용부(S4), 안착부(322), 약제통과부(313) 및 덮개부(39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1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수용부(S4), 상기 안착부(322), 상기 약제통과부(313) 및 상기 덮개부(39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용부(S4) 및 안착부(322)는 위치가변지지부(320)의 일 구성요소로, 상기 수용부(S4)는 약제포장지(P)를 수용하도록 상기 약제포장지(P)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포장지(P)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등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S4)의 내면의 형상도 그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S4)의 폭은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향하여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연통부(312)에 삽입된 약제포장지(P)의 형상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수용부(S4)의 폭은 반드시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향하여 증가할 필요는 없으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연통부(312)의 단면은 상기 수용부(S4)의 단면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원형, 타원형, 도 2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빈 약제포장지(P)의 개구부를 상기 연통부(312)에 삽입하는 경우 약제포장지(P)의 개구부 형상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포장지(P)는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약제통과부(113),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통과부(113)의 연통부(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모든 연통부(112)에 상기 약제포장지(P)가 삽입되면, 상기 약제불출부(110)의 호퍼부(111)의 내부공간(S1)에 약제(M)를 투입한다.
안착부(322)는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 부근을 효과적으로 안착시키도록 소정영역이 함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약제포장지(P)는 전체적으로 수용부(S4), 안착부(322) 및 받침부(324)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약제통과부(313)는 상기 약제포장지(P)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P)와 상기 위치가변지지부(32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기준부(316)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기준부(316)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약제포장지(P)를 연통부(312)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약제통과부(313)를 상기 기준부(316)로부터 회동 시킨 후 삽입하게 되면, 타 구성요소와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약제통과부(313)의 상기 연통부(312)에 약제포장지(P)를 삽입시키고 나면, 상기 약제통과부(313)를 회동 시켜 상기 약제포장지(P)가 수용부(S4) 및 안착부(32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약제포장지(P)가 상기 수용부(S4) 및 안착부(322)에 안착되면, 상기 약제포장지(P)는 받침부(3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300)는 상기 받침부(324)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덮어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가변지지부(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39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약제포장지(P)는 외부의 요인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약제(M)의 상기 약제포장지(P)로의 투입을 오류없이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300)의 작동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300)를 통해 약제포장지(P)에 적정량의 약제를 투입하기 위해 약제통과부(313)를 기준부(316)로부터 회동시킨 후 연통부(312)에 삽입한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약제포장지(P)를 연통부(312)에 삽입하고 난 뒤 상기 약제통과부(313)를 회동시켜 상기 약제포장지(P)를 수용부(S4), 안착부(322) 및 받침부(324)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외부의 요인에 의한 상기 약제포장지(P)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개부(390)를 회동시켜 상기 약제포장지(P)의 일측단을 덮는다.
이후의 약제 투입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정과 동일하다.
[제4 실시예]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며,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400)는 완충부(500)를 제외하고는 도 6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2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완충부(50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부(500)는 약제포장지(P)에 약제(M)의 투입이 완료되고 실링부(420)에 의해 상기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밀봉시키고 난 뒤 탄성부(E)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외력제공부(410)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충부(500)는 상기 탄성부(E)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410)의 회동부(41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복귀되는 특정 시점에 접촉부(419)가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412)의 복귀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부(500)는 일종의 쇼바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충격흡수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400)에 제공되는 외력제공부(41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외력제공부(410)가 수동에 의한 외력 및 추가외력제공부(430)에 의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약제포장지(P)의 타측단을 밀봉시키고 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제공부(410)의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은 탄성부(E)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제공부(410)의 복귀는 특정 시점부터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력제공부(410)가 탄성부(E)에 의해 복귀되는 과정에서 접촉부(419)가 완충부(500)에 접촉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419)는 연결부(413)와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형성되는 완충부접촉부(5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접촉부(501)는 외력제공부(410)의 복귀에 따른 접촉부(419)의 직선운동 과정에서 완충부(500)와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력제공부(410)가 탄성부(E)에 의해 원위치까지 복귀되기 전에 상기 완충부접촉부(501)는 상기 완충부(500)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후부터는 상기 완충부(500)에 의해 속도가 저감된 채 서서히 원위치까지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400)는 완충부(500)에 의해 외력제공부(410)의 갑작스런 복귀를 방지하여 각종 소음 및 충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약제 투입 장치
110: 약제불출부
120: 위치가변지지부
200: 약제 포장 장치
210: 외력제공부
220: 실링부
230: 추가외력제공부
240: 약제투입부

Claims (25)

  1.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약제가 상기 약제포장지에 불출되도록 하는 약제불출부; 및
    상기 약제불출부에 삽입된 상기 약제포장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에 위치 가변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에 불출된 상기 약제에 의한 무게에 의해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포장지를 지지하는 위치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약제 투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이탈된 상기 약제포장지가 실링되도록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약제불출부 사이에 실링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약제 투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약제불출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약제포장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약제포장지의 일측단을 덮어 상기 약제포장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투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불출부는 외부로부터의 약제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호퍼부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는 연통부를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불출부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약제가 통과되는 약제통과부 및 상기 약제통과부가 장착되는 기준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기준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약제포장지가 배치되는 약제포장지배치부를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과부는 상기 약제포장지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약제포장지와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준부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기준부에 장착되는 약제 투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과부는 외부로부터의 약제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호퍼부 및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포장지가 삽입되는 연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는 상기 연통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약제포장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약제포장지의 일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약제포장지배치부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이동부가 상기 기준부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약제 투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수동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약제불출부로부터의 위치가 가변되는 약제 투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 투입 장치;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의 위치를 가변적이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기 위한 외력제공부; 및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의 위치의 가변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상기 약제불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공간에 노출되며,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의 위치 가변에 의해 상기 실링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이 실링되도록 상기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를 직선 운동 하도록 하는 약제 포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실링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접촉부 및 상기 회동부와 상기 접촉부를 서로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가 외력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위치가변지지부는 상기 실링공간을 제공한 상태로 유지되는 약제 포장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부가 외력에 의해 회동되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의 복귀되는 속도를 저감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외력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약제포장지의 타측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약제 포장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가 상기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외력제공부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기 위해 상기 외력제공부에 추가외력을 제공하는 추가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접촉된 채 위치 이동되어 상기 실링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기 접촉부를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회동부를 연결시키는 연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추가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제공부가 상기 외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연동축과 접촉되어 상기 연동축에 추가외력을 제공하는 약제 포장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외력제공부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불출부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약제불출부로 상기 약제가 투입되도록 하며, 상기 약제불출부로의 상기 약제의 투입여부는 회동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약제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투입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약제투입부로부터 상기 약제불출부로 투입되는 상기 약제의 범위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외관을 제공하며, 상기 약제 투입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실링부가 삽입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 및 상기 외력제공부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력제공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가변지지부와 접촉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1020130109724A 2013-09-12 2013-09-12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10212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724A KR102127638B1 (ko) 2013-09-12 2013-09-12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724A KR102127638B1 (ko) 2013-09-12 2013-09-12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57A KR20150030457A (ko) 2015-03-20
KR102127638B1 true KR102127638B1 (ko) 2020-06-29

Family

ID=5302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724A KR102127638B1 (ko) 2013-09-12 2013-09-12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4506A (zh) * 2020-08-27 2020-12-08 谢双 一种中药材加工用的破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84Y1 (ko) 2001-03-20 2001-10-08 임태기 조제약 자동 포장장치
KR100925052B1 (ko) 2008-12-03 2009-11-03 박수일 제약포지 포장기 및 그를 이용한 제약포지 포장 방법
KR100994282B1 (ko) 2010-06-25 2010-11-18 이영섭 분말약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84Y1 (ko) 2001-03-20 2001-10-08 임태기 조제약 자동 포장장치
KR100925052B1 (ko) 2008-12-03 2009-11-03 박수일 제약포지 포장기 및 그를 이용한 제약포지 포장 방법
KR100994282B1 (ko) 2010-06-25 2010-11-18 이영섭 분말약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457A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588B2 (en) Dispensing cartridge
US9144642B2 (en) Shipping container integrating a sharps disposal container with a new product storage container
US10577152B2 (en) Safe container
KR20200098588A (ko) 정밀 도즈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78528B1 (ko) 알약 정량배출장치
US20150090686A1 (en) Safe container
CN101641071A (zh) 多腔室包装件
KR20150065828A (ko) 약물 유체의 적용 장치
KR20200097807A (ko) 디스펜서 캡 장치
JP2011522610A (ja) 医薬を分配するために有用なパッケージおよび挿入物
JP2016527048A (ja) 事前充填デュアルチャンバーシリンジ又は事前充填デュアルチャンバーカートリッジ製造用の中間製品及びこの中間製品を製造する製造方法
KR102127638B1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EP3781001B1 (en) Dispensing and mixing device
KR20160027466A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CN105197429A (zh) 粉体药物包装瓶及其使用方法
KR102042435B1 (ko)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US7055717B1 (en) Disposable pill dispensing chute liner
CN111801085A (zh) 用于给容器计量地填充填料的装置
KR20210000942U (ko) 가루약 분배기
KR101125912B1 (ko)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CN109850192B (zh) 用于对饮用吸管用填充材料进行计量填充的装置
JP3191619U7 (ko)
KR101652178B1 (ko) 약 조제용 기구
KR101825733B1 (ko) 작은 입자 약제 이송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