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282B1 - 분말약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약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282B1
KR100994282B1 KR1020100060459A KR20100060459A KR100994282B1 KR 100994282 B1 KR100994282 B1 KR 100994282B1 KR 1020100060459 A KR1020100060459 A KR 1020100060459A KR 20100060459 A KR20100060459 A KR 20100060459A KR 100994282 B1 KR100994282 B1 KR 100994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dispensing
rotating plate
rear wall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이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섭 filed Critical 이영섭
Priority to KR102010006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약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약포장지 내에 균일하게 분말약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분말약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좌우 양측면에 한 쌍의 측벽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그 후방에는 후방벽체가 배치되며, 상기 후방벽체의 전방 맞은편에는 회동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투하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분배공간 및 상기 복수의 분배공간과 개별적으로 소통하는 복수의 투입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분배깔대기; 및 상기 분배깔대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약포장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후방벽체의 하부와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 상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상단 좌우 양단부는 힌지핀을 통해 한 쌍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판의 힌지핀 둘레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후방벽체측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격벽은 좌우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말약 투입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THE POWDERED MEDICINE}
본 발명은 분말약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약포장지 내에 균일하게 분말약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투입시킬 수 있는 분말약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방전에 따라 약국 등에서는 조제된 약은 이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뒤 환자가 1회분씩 복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여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투입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정시에 정량의 약을 복용할 수 있게 되어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한편, 분말약은 약의 효과가 몸에 흡수되는 속도를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어 저연령층의 유아나 아동환자가 복용하는 약품으로 제조되며, 일반 알약은 아동이 복용하고자 할 경우에 절구통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복용하는 상황이며, 복용 시에도 물에 게어서 복용하거나, 다른 물약성분과 같이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약품규격으로는 유아나 아동에게 약을 수여할경우 물약병 또는 약스푼 등에 덜어낸 후에 물에 게어 투약하는 과정에서 조제된 봉투를 개봉할 경우 그 투입구가 넓어 흘러내리거나 날리어 투약용 약병, 스푼 또는 주사기형 약투입스푼 등의 입구에 삽입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분말약의 경우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정량으로 분배하여 1회분의 약으로 투입하기가 무척 곤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비교적 정량으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분말약 투입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대해 분말약이 정량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투입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약국 또는 병원에서 분말약 조제시 많은 인원의 약을 한번에 조제하면서 타 약품과 썩이거나 이물질 등이 같이 투입되어 그 청결성이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균일한 정량으로 분말약을 투입함으로써 그 포장속도를 신속하게 하여 포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말약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말약 투입장치는,
좌우 양측면에 한 쌍의 측벽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그 후방에는 후방벽체가 배치되며, 상기 후방벽체의 전방 맞은편에는 회동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투하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분배공간 및 상기 복수의 분배공간과 개별적으로 소통하는 복수의 투입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분배깔대기; 및
상기 분배깔대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약포장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후방벽체의 하부와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 상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상단 좌우 양단부는 힌지핀을 통해 한 쌍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판의 힌지핀 둘레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후방벽체측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격벽은 좌우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부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투입부에 인접하여 분말약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하호퍼에는 하나 이상의 칸막이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방에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벽체의 상단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체의 끼움홈에는 칸막이의 끼움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깔대기의 일측면에는 "T"자형 단면의 제1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타측면에는 "T"자형 단면의 제1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후방 일측가장자리에는 제2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하방 타측가장자리에는 제2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평탄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깔대기의 투입부는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제약포장지에 균일한 정량으로 분말약을 투입함으로써 그 포장속도를 신속하게 하여 포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의 단순화 및 구성요소가 작게 소요됨에 따라 세척 및 관리하기가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약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약 투입장치의 분배깔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3은 투하호퍼의 폐쇄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투하호퍼의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약 투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도 4 및 도 7의 화살표 D부분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약 투입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약 투입장치는, 분말약을 수용한 후에 하부로 투하는 투하호퍼(10), 투하호퍼(10)의 하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배깔대기(20), 분배깔대기(2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약포장지(30)를 포함한다.
투하호퍼(10)는 그 좌우 양측면에 한 쌍의 측벽(11, 12)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그 후방에는 후방벽체(13)가 배치되며, 후방벽체(13)의 전방 맞은편에는 회동판(14)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투하호퍼(10)는 지지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프레임(18)의 좌우 양측면에는 측벽(11, 12)을 지지하는 지지측벽(18a, 18b)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8)의 하부에는 분배깔대기(20)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8c)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14)의 하단부(14a)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회동판(14)의 하단부(14a)는 후방벽체(13)의 하부면과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된다. 회동판(14)의 하단부(14a) 상측에는 경사면(14c)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14c)에 의해 회동판(14)과 후방벽체(13) 사이의 공간은 삼각형 단면을 가진다.
회동판(14)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손잡이부(14b)가 형성되고, 이 손잡이부(14b)를 통해 회동판(14)의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동판(14)의 상단 좌우 양단부는 힌지핀(14d)을 통해 한 쌍의 측벽(11, 1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동판(14)의 힌지핀(14d) 둘레에는 토션스프링(15)이 설치됨으로써 회동판(14)의 하단부(14a)는 후방벽체(13)측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도록 설치된다. 토션스프링(15)의 일측 탄성다리(15a)는 회동판(14)측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15)의 타측 탄성다리(15b)는 측벽(11, 12)의 지지리브(11a, 12a)측에 지지된다.
도 3과 같이 회동판(14)의 하단부(14a)가 후방벽체(13)의 하부에 기밀하게 접촉함에 따라 회동판(14)과 후방벽체(13)의 하단부가 폐쇄되고, 이에 회동판(14)과 후방벽체(13) 사이의 공간에는 분말약이 일시 수용되며, 도 4와 같이 회동판(14)이 회동하여 회동판(14)의 하단부(14a)가 후방벽체(13)의 하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회동판(14)의 하단부(14a)와 후방벽체(13)의 하부가 개방되어, 즉 투하틈새가 형성되어 분말약이 하부로 투하될 수 있다.
투하호퍼(10)에는 하나 이상의 칸막이(16)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칸막이(16)는 그 후방에 끼움부(16a)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벽체(13)의 상단에는 복수의 끼움홈(13a)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13a)에는 칸막이(16)의 끼움부(16a)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칸막이(16)에 의해 투하호퍼(10)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투하공간으로 가변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칸막이(16)에 의해 제약포장지(30)의 개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16)에 의해 구획된 각 투하공간에는 서로 다른 제약성분이 투입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이 그 투약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약성분이 투입될 경우 칸막이(16)의 구획에 의해 제약성분의 구분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16)의 후방에는 제1 및 제2 브라켓(16b, 16d)이 설치되고, 제1 및 제2 브라켓(16b, 16d)은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에 의해 칸막이(16)는 그 후방에서 회동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칸막이(16)에 의한 구획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브라켓(16d)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16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벽체(13)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13c)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롤러(16c)가 가이드레일(13c)을 따라 안내됨에 따라 칸막이(16)의 이동이 용이해져 칸막이(16)에 의해 투하호퍼(10)의 투하공간이 보다 용이하게 가변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깔대기(20)는 복수의 격벽(21)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분배공간(22)을 가지고, 분배깔대기(20)의 전방에는 복수의 분배공간(22)과 개별적으로 소통하는 복수의 투입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분배깔대기(20)는 분배공간(22) 및 투입부(23)의 각 저면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각 투입부(23)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이 투입부(23)가 제약포장지(30)의 각 격실(31)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분말약이 제약포장지(30)의 격실(31) 내로 투입된다.
분배깔대기(20)의 일측에는 분배깔대기(20)에서 제약포장지(30)로 투입되는 도중에 분말약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막(24)이 형성하고, 이탈방지막(24)은 투입부(23)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분배깔대기(20)의 격벽(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투하호퍼(10)로부터 투하되는 분말약이 분배공간(22) 내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한편, 2 이상의 분배깔대기(20)는 그 측방향으로 상호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깔대기(20)의 일측면에는 "T"자형 단면의 제1조립홈(25a)이 형성되며, 분배깔대기(20)의 타측면에는 "T"자형 단면의 제1조립돌기(25b)가 형성된다. 이에 측방향으로 인접하는 분배깔대기(20)들은 제1조립돌기(25b) 및 제1조립홈(25a)이 상호 끼움결합됨으로서 견고하게 조립된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깔대기(20)의 후방 일측가장자리에는 "ㄷ"자형 단면의 제22조립홈(26a)이 형성되고, 분배깔대기(20)의 하방 타측가장자리에는 일자형 제2조립돌기(26b)가 형성되며, 이에 인접하는 분배깔대기(20)들은 제2조립돌기(26b) 및 제2조립홈(26a)이 상호 끼움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깔대기(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테두리(21a)가 형성되고, 분배깔대기(20)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평탄테두리(21b)가 형성된다. 이에 2개의 분배깔대기(20)들이 측방향으로 결합되면, 일측 분배깔대기(20)의 돌출테두리(21a)가 인접한 타측 분배깔대기(20)의 평탄테두리(21b) 상부에 밀착됨으로써 결합된 2개의 분배깔대기(20)들의 결합가장자리에서 틈새 발생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분말약의 투입시에 분말약이 외측 하부로 누설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약포장지(30)는 격벽(31a)에 의해 복수의 격실(31)로 구획되고,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약포장지(30)는 그 폭 보다 길이가 긴 스틱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약포장지(30)가 스틱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약병, 주사기, 수저 등에 담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약 투입과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제약포장지(30)의 갯수에 맞춰 투하호퍼(10) 내에 하나 이상의 칸막이(16)를 조립한 후에 도 3과 같이 투하호퍼(10) 내로 분말약을 충전한다. 이때, 투하호퍼(10)의 회동판(14)은 토션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편향됨에 따라 회동판(140의 하단부(14a)와 후방벽체(13)의 하부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에 도 4와 같이, 투하호퍼(10)의 회동판(14)을 손잡이부(14b)를 통해 회동시키면, 회동판(14)의 하단부(14a)와 후방벽체(13)의 하부 사이가 개방되어 즉, 투하틈새가 형성되어 투하호퍼(10) 내의 분말약이 하부에 위치한 분배깔대기(20)의 분배공간(22)으로 투하된다. 이에, 투하되는 분말약들은 분배깔대기(20)의 경사진 격벽(21)에 의해 복수의 분배공간(22) 내로 균일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분배깔대기(20) 내로 분말약이 수용된 후에는 분배깔대기(20)의 각 투입부(23)를 제약포장지(30)의 각 격실(31)측에 끼운다. 그 후에 분배깔대기(20)와 제약포장지(30)를 함께 투하호퍼(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작업자가 분배깔대기(20) 및 제약포장지(30)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분배깔대기(20) 내의 분말약이 자중에 의해 제약포장지(30)의 각 격실(31)로 투입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약 투입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깔대기(20)의 투입부(23)는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분배깔대기(20)의 상단 일측에는 걸림턱(28)이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8)의 하부는 개방되고, 지지프레임(18)의 하측에는 장착돌기(18d)가 형성된다. 이에 분배깔대기(20)의 걸림턱(28)이 지지프레임(18)의 장착돌기(18d) 측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분배깔대기(20)의 투입부(23)가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에 의해, 분배깔대기(20) 내에 충전된 분말약들은 그 자중에 의해 바로 제약포장지(30)의 각 격실로 투입될 수 있다.
10: 투하호퍼 11, 12: 측벽
13: 후방벽체 14: 회동판
20: 분배깔대기 21: 격벽
22: 분배공간 23: 투입부
30: 제약포장지 31: 격실

Claims (5)

  1. 좌우 양측면에 한 쌍의 측벽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그 후방에는 후방벽체가 배치되며, 상기 후방벽체의 전방 맞은편에는 회동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투하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분배공간 및 상기 복수의 분배공간과 개별적으로 소통하는 복수의 투입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분배깔대기; 및
    상기 분배깔대기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약포장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후방벽체의 하부와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 상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판의 상단 좌우 양단부는 힌지핀을 통해 한 쌍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판의 힌지핀 둘레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동판의 하단부는 후방벽체측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격벽은 좌우 양측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깔대기의 투입부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여 분말약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호퍼에는 하나 이상의 칸막이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칸막이의 후방에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벽체의 상단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체의 끼움홈에는 칸막이의 끼움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 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깔대기의 일측면에는 "T"자형 단면의 제1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타측면에는 "T"자형 단면의 제1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후방 일측가장자리에는 제2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하방 타측가장자리에는 제2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분배깔대기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깔대기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평탄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 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깔대기의 투입부는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 투입장치.
KR1020100060459A 2010-06-25 2010-06-25 분말약 투입장치 KR100994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59A KR100994282B1 (ko) 2010-06-25 2010-06-25 분말약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59A KR100994282B1 (ko) 2010-06-25 2010-06-25 분말약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282B1 true KR100994282B1 (ko) 2010-11-18

Family

ID=4340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59A KR100994282B1 (ko) 2010-06-25 2010-06-25 분말약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2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457A (ko) * 2013-09-12 2015-03-20 (주)제이브이엠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200478406Y1 (ko) * 2013-12-30 2015-10-02 임태권 막대형 약포지용 약 포장장치의 약제 분배 기구
WO2015199446A1 (ko) * 2014-06-24 2015-12-30 하수선 분말약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말약 분배 포장장치
KR20160092215A (ko) * 2015-01-27 2016-08-04 류재경 산제 조제기
WO2018048084A1 (ko) * 2016-09-09 2018-03-15 장기욱 가루약 분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457A (ko) * 2013-09-12 2015-03-20 (주)제이브이엠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102127638B1 (ko) 2013-09-12 2020-06-29 (주)제이브이엠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200478406Y1 (ko) * 2013-12-30 2015-10-02 임태권 막대형 약포지용 약 포장장치의 약제 분배 기구
WO2015199446A1 (ko) * 2014-06-24 2015-12-30 하수선 분말약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말약 분배 포장장치
KR20160092215A (ko) * 2015-01-27 2016-08-04 류재경 산제 조제기
KR101701879B1 (ko) * 2015-01-27 2017-02-02 류재경 산제 조제기
WO2018048084A1 (ko) * 2016-09-09 2018-03-15 장기욱 가루약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282B1 (ko) 분말약 투입장치
EP0806197B1 (en) Manual capsule filling device
KR101591989B1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 장치 및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시스템
ES2684403B1 (es) Procedimiento para el llenado gravimetrico en condiciones esteriles de solidos en un contenedor farmaceutico y contenedor farmaceutico utilizable en el mismo
KR20010031727A (ko) 조제 약품의 투여 방법 및 투여 장치
US20080283544A1 (en) Device for Offloading Capped Vial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CN109152696B (zh) 固体药物的包装装置和包装方法、这种药物的存储和分配装置以及分配方法
US9123195B2 (en) Modular, multi-orientation conveyor
KR101556511B1 (ko)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JP6362112B2 (ja) 薬剤手撒き装置
CN201216743Y (zh) 一种颗粒制剂定量调剂装置
KR20110112088A (ko)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KR20200063584A (ko) 가루약 분배기
KR102042435B1 (ko)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KR20180004719A (ko) 약제 포장을 위한 장치
KR20130020359A (ko) 가루약 분배 장치
CA3018285C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treating cancer
KR101178585B1 (ko)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US8863996B2 (en) Controllable medicinal dosage packaging for liquid medication
FR3059228B1 (fr) Adaptateur et procede pour la suspension de piluliers a une suspente comprenant deux tiges paralleles ecartees horizontalement
KR20150030457A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20240068832A (ko) 가루약 조제 시스템
KR101014873B1 (ko) 약제포장장치
KR101265958B1 (ko) 약품공급장치
SE460637B (sv) Laekemedelsfoerpack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