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245B1 -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245B1
KR102127245B1 KR1020190058090A KR20190058090A KR102127245B1 KR 102127245 B1 KR102127245 B1 KR 102127245B1 KR 1020190058090 A KR1020190058090 A KR 1020190058090A KR 20190058090 A KR20190058090 A KR 20190058090A KR 102127245 B1 KR102127245 B1 KR 10212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xing
fastening
connection
brack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길
Original Assignee
두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는, 각종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물탱크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 벽체 측에 고정 배치되는 두 개의 고정 브래킷과, 상기 두 개의 고정 브래킷 간을 곡선(曲線)의 연결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한 개 이상이 체결 설치되는 보강 지지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Inner Supporting Bracket Assembly For 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대형 물탱크들은 대부분 규격화된 복수 개의 패널들이 서로 평면이나 각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면서 탱크 내측에 용수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형 물탱크들의 사용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밀성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내부 유체 압력에 대응하는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형태의 탱크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물탱크는 내부에 대용량의 용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탱크의 둘레부 측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유체 압력이나 하중을 받게 되므로, 이와 같은 사용 환경에 대응하는 내부 보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탱크 구조가 요구된다.
(특허 0001) 특허등록 제10-1865758호_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물탱크 내측에 설치되어 탱크의 형태 안정성 확보와 부합하는 보강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고, 특히 설치 편의성 및 설치 호환성이 한층 향상된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종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물탱크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 벽체 측에 고정 배치되는 두 개의 고정 브래킷;
상기 두 개의 고정 브래킷 간을 곡선(曲線)의 연결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한 개 이상이 체결 설치되는 보강 지지바;
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고정 브래킷은, 물탱크의 내부 벽체 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와, 이 고정부 측에서 상기 보강 지지바 단부의 체결 위치 조절과 부합하는 홀부 상태를 이루도록 연장된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물탱크 내부의 서로 마주하는 벽체 간을 고정 브래킷과 보강 지지바로 연결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탱크의 형태 변형 억제와 부합하는 보강 지지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브래킷과 보강 지지바는 물탱크 내측에 설치될 때 탱크 내부의 각종 설치 구조물(예: 수평 지지대, 수직 지지대, 슬로싱 억제판) 측에 접촉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연결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만족할 만한 설치 편의성 및 설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는, 고정 브래킷(10)과, 보강 지지바(20)를 포함한다.
고정 브래킷(10)은 물탱크(T) 내측에서 후술하는 보강 지지바(20) 측과 연계하여 탱크의 형태 변형 억제와 부합하는 체결 고정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 브래킷(10)은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가 한 조로 구성되며, 물탱크(T)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 벽체(W)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된다.
고정 브래킷(10)은 물탱크(T) 내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2)와, 이 고정부(12) 측에 형성되는 체결 가이드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브래킷(10)의 재질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중에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2)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용 홀(16)들이 형성된 판상의 형태를 가지며, 고정용 홀(16)들을 통해서 물탱크(T)의 내부 벽체(W)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 브래킷(10)은 도 1에서와 같이 물탱크(T)의 내부면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 벽체(W) 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을 체결 고정 상태로 잡아주기 위한 고정 지지력 확보가 가능하게 물탱크(T) 내측에 설치된다.
체결 가이드부(14)는 후술하는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을 체결 연결 고정 상태로 잡아주되,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이 체결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체결 가이드부(14)는 체결홀(18)을 구비하고, 이 체결홀(18)은 도 2에서와 같이 보강 지지바(20)의 체결 위치 조절을 위한 이동 방향의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곡선(曲線)을 이루는 상태로 연장된 홀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홀(18)은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12)의 일면에서 호(弧) 모양의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돌출 연장된 형태의 홀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체결 가이드부(14)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12) 일면에서 호(弧) 모양으로 돌출된 곡면(曲面)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고, 호 모양의 곡면 측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호(弧) 모양의 연장구간을 갖는 슬롯(SLOT) 타입의 홀부 형태로 체결홀(18)이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체결 가이드부(14)의 체결홀(18) 측이 호(弧)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홀부를 갖도록 형성되면, 후술하는 보강 지지바(20) 측이 물탱크(T) 내측의 구조물(S) 측에 접촉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용이하게 체결 연결될 수 있는 체결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체결 가이드부(14)는 요구되는 시공 환경에 따라 고정부(12) 측에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가이드부(14)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 브래킷(10)의 고정부(12) 일면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T)는 대부분 도 1에서와 같이 가장자리 측에 일종의 보강 리브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P1)가 형성된 복수 개의 패널(P)들이 평면 및 직각(코너부)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 고정되면서 내부에 용수가 담겨질 수 있는 탱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고정 브래킷(10)의 고정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물탱크(T)의 내부 벽체(W) 내에서 패널(P)들의 플랜지부(P1)가 서로 맞대어진 지점에 도 1에서와 같이 고정 브래킷(10)을 설치함으로서 안정적인 보강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브래킷(10)은 도 1에서와 같이 패널(P)들의 플랜지부(P1)가 맞대어진 지점에서 별도의 체결용 브래킷(B1) 및 체결부재(B2, 예: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물탱크(T)의 내부 벽체(W) 측에 고정 설치된다. 체결부재(B2)는 물탱크(T)의 외측에서 체결용 브래킷(B1) 측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부(12)의 고정용 홀(16)을 통해서 나사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보강 지지바(20)는 물탱크(T)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 벽체(W) 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0)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체결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보강 지지바(20)는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 측과 연계하여 물탱크(T) 내부의 기능성 구조물(S, 예: 수직 지지대, 수평 지지대, 슬로싱 억제판) 측과 접촉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체결 연결될 수 있도록 곡선(曲線)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보강 지지바(20)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바(Bar) 길이방향을 따라 호(弧)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구부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지지바(20) 측이 호(弧)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면, 물탱크(T) 내측에서 두 개의 고정 브래킷(10)들 간을 연결할 때, 호(弧) 모양으로 돌출된 체결 가이드부(14) 측과 연계하여 구조물(S)을 비켜가는 연결 상태로 배열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보강 지지바(20)는 물탱크(T) 내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보강 브래킷(10)들 간을 연결하는 상태로 한 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보강 지지바(20)를 연결 설치하면 고정 브래킷(10)들 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은 물론이거니와, 서로 비틀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는 보강 지지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보강 지지바(20)의 재질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중에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지지바(20)의 양쪽 단부 측에는 체결부(22)가 형성되며, 이 체결부(22)는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 측에 체결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체결부(22)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보강 지지바(20)의 양쪽 단부 측에 수나사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 측에 형성된 체결홀(18)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24)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브래킷(10) 및 보강 지지바(20) 구조에 의하면, 물탱크(T) 내부의 구조물(S) 형태나 위치에 따라 보강 지지바(20) 측이 구조물(S) 측과 접촉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물탱크(T)의 형태 변형 억제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물탱크(T) 내측에 설치된 수평 지지대와 같은 구조물(S)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내부 벽체(W) 측에 두 개의 고정 브래킷(10)이 배치되더라도 이 두 개의 고정 브래킷(10) 간을 연결하는 상태로 보강 지지바(20)들을 체결 설치할 수 있다.
즉,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는 고정부(12) 측에서 호(弧)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돌출 연장된 형태의 체결홀(18)이 형성되고, 보강 지지바(20)는 호(弧) 모양으로 구부러진 바(Bar) 형태로 형성되므로, 도 1에서와 같이 보강 지지바(20) 측이 구조물(S) 측과 접촉 간섭되지 않도록 벗어난 상태로 용이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는, 연결 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조절부(30)는 고정 브래킷(10) 측에 배치되며 보강 지지바(20)의 체결 연결 위치 및 연결 각도 조절과 부합하는 조절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 조절부(30)는 도 5에서와 같이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 측에 배치되는 제1 연결 조절구(32)와, 이 제1 연결 조절구(32) 측과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을 연결 각도 전환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 조절구(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 조절구(32)는 슬라이드홈(32a)을 구비하고, 체결 가이드부(14)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 부분을 슬라이드홈(32a) 측으로 잡아주는 상태로 끼워져서 체결홀(18)의 연장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 조절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제1 연결 조절구(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체결홀(18)의 연장구간 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보강 지지바(20)의 체결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조작될 수 있는 상태로 체결 가이드부(14) 측에 배치된다.
제1 연결 조절구(32)는 체결 가이드부(14) 측에서 도 5에서와 같이 걸림부(36)의 걸림 접촉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6)는 걸림돌기(36a)와 걸림홈(36b)으로 구성되며, 제1 연결 조절구(32)와 체결 가이드부(14)의 접촉 지점에서 체결홀(18)의 연장방향으로 걸림 접촉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36a)와 걸림홈(36b)은 예를 들어, 톱니 모양의 돌기부와 홈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연결 조절구(32)의 슬라이드 홈(32a) 측은 도 5에서와 같이 체결 가이드부(14)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돌기(36a)와 걸림홈(36b) 간의 걸림 접촉이 해제될 수 있는 정도의 홈 유격(G)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구조는 연결 조절부(30) 측에 보강 지지바(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홈(32a)의 유격(G)에 의해 걸림돌기(36a)와 걸림홈(36b) 측이 록킹 해제 상태를 이루도록 걸림 접촉이 해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 연결 조절구(32)는 체결홀(18)의 연장구간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조절부(30) 측에 보강 지지바(2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1 연결 조절구(32) 측이 바 단부 측으로 당겨지면서 걸림돌기(36a)와 걸림홈(36b) 측이 록킹 상태를 이루도록 서로 걸려지고, 이로 인하여 제1 연결 조절구(32)는 위치 조절을 위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걸림부(36)를 구비하면, 특히 연결 조절부(30)와 보강 지지바(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연결 조절구(32) 측이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 측에서 비정상적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연결 조절구(34)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측에는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34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연결 조절구(32) 측에 연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이음부(34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결홈(34a)은 보강 지지바(20) 단부의 체결부(22) 수나사부 측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연결홈(34a) 내측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2)의 수나사부는 보강 지지바(20)와 같이 구부러지지 않고 직선으로 연장된 형태의 수나사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연결 조절구(34)의 연결홈(34a) 측과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이 나사부 결합으로 체결 연결되도록 형성되면, 시공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제1 연결 조절부(32) 측에서 제2 연결 조절구(34) 측을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바(Bar)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조절구(34)의 외부면 중에서 연결홈(34a) 측과 대응하는 외측 둘레부는 다각형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예를 들어, 육각렌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제2 연결 조절구(34) 측을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음부(34b)는 도 5에서와 같이 볼 조인트(Ball-Joint) 타입으로 제1 연결 조절구(32) 측과 서로 연결되어 연결 축선을 중심으로 연결 각도 조절은 물론이거니와, 자유 회전 조작이 가능한 이음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연결 조절구(34)는 제1 연결 조절구(32) 측에서 보강 지지바(20)의 단부 측을 나사부 결합에 의해 안정적인 체결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에서와 같이 연결 각도 및 연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조작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연결 조절부(30)의 구조에 의하면, 물탱크(T)의 형태 변형 억제를 위하여 탱크 내측에서 두 개의 고정 브래킷(10)들 간을 보강 지지바(20)로 체결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예를 들어, 물탱크(T), 고정 브래킷(10) 또는 보강 지지바(20)의 위치 편차나 형태 편차 등이 발생되더라도 이와 부합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체결 연결 위치 및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브래킷(10) 측에는 보조 지지부(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40)는 고정 브래킷(10) 측에서 체결 가이드부(14)의 형태 안정성 확보와 부합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조 지지부(40)는 도 7에서와 같이 홀더(42)와, 탄성 지지구(44)를 구비하고, 고정 브래킷(10) 측에서 호(弧)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가이드부(14)의 형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
홀더(42)는 체결 가이드부(14)의 체결홀(18) 측에 끼워져서 홀부의 폭방향 양측 부분을 걸림 접촉으로 잡아줄 수 있는 홈부(42a)를 갖도록 형성되며, 도 7에서와 같이 체결홀(18)의 연장구간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다.
탄성 지지구(44)는 인장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되며, 코일스프링 일단은 고정 브래킷(10)의 고정부(12) 일측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홀더(42) 측에 연결 고정된다.
탄성 지지구(44)는 홀더(42)가 체결홀(18) 측에 끼워진 상태일 때, 홀더(42) 측을 탄력적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인장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보조 지지부(40)는 홀더(42) 및 탄성 지지구(44)에 의해 고정 브래킷(10)의 고정부(12) 측에서 체결 가이드부(14) 측을 탄력적인 인장력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보조 지지부(40)는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 측에 보강 지지바(20)가 체결 연결된 상태일 때, 호(弧)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가이드부(14) 측이 보강 지지바(20) 측으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비(非) 정상적으로 변형되는 현상을 탄력적인 지지력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지지부(40)는 홀더(42) 측이 도 7에서와 같이 탄성 지지구(44) 측에 연결된 상태로 체결 가이드부(14)의 체결홀(18)의 연장구간을 따라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요구되는 지지 여건에 따라 홀더(42)의 지지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재셋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지지부(40)는 간단한 탄성 지지 구조로 고정 브래킷(10)의 체결 가이드부(14)의 형태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 브래킷(10)과 보강 지지바(20) 간의 체결 연결 안정성 및 체결 신뢰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탱크(T) 내측에서 두 개의 고정 브래킷(10) 간을 보강 지지바(20)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탱크의 형태 변형 억제를 위한 보강 지지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 브래킷(10) 및 보강 지지바(20)는 물탱크(T) 내측의 각종 구조물(S, 예: 수평 지지대, 수직 지지대, 슬로싱 억제판) 측과 접촉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한층 향상된 설치 편의성 및 설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고정 브래킷 20: 보강 지지바
30: 연결 조절부 40: 보조 지지부
T: 물탱크 W: 내부 벽체

Claims (5)

  1. 각종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물탱크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 벽체 측에 고정 배치되는 두 개의 고정 브래킷; 및
    상기 두 개의 고정 브래킷 간을 곡선(曲線)의 연결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한 개 이상이 체결 설치되는 보강 지지바;
    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고정 브래킷은,
    물탱크의 내부 벽체 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일면에서 호(弧) 모양으로 돌출된 곡면(曲面)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며 이 곡면 측에는 상기 보강 지지바의 단부 측이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슬롯 타입의 홀부 형태로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 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 측이 상기 고정부 측에서 곡선(曲線) 모양으로 돌출된 슬롯 타입의 홀부 연장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고정부 측에서 호(弧) 모양의 연장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돌출된 슬롯 타입의 홀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는, 연결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조절부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 가이드부 측에서 상기 체결홀의 연장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연결 조절구와, 이 제1 연결 조절구 측과 상기 보강 지지바의 단부 측을 연결 각도 전환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 조절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보조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고정 브래킷의 체결 가이드부 측에 걸려지는 홀더와, 상기 고정 브래킷 측에서 상기 홀더 측을 탄력적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되는 탄성 지지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KR1020190058090A 2019-05-17 2019-05-17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KR10212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90A KR102127245B1 (ko) 2019-05-17 2019-05-17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90A KR102127245B1 (ko) 2019-05-17 2019-05-17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245B1 true KR102127245B1 (ko) 2020-06-26

Family

ID=7113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090A KR102127245B1 (ko) 2019-05-17 2019-05-17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2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005U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물탱크 지지대용 연결부재
KR100953395B1 (ko) * 2009-05-22 2010-04-20 (주)동명산업 조립식 물탱크용 조립부
KR101453992B1 (ko) * 2014-05-12 2014-10-30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조립식 물탱크의 내부보강장치
KR101438077B1 (ko) * 2014-02-05 2014-11-04 주식회사 젠트로 물탱크용 타이로드 설치구조
KR101865758B1 (ko) 2017-10-18 2018-07-04 주식회사 종우 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005U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물탱크 지지대용 연결부재
KR100953395B1 (ko) * 2009-05-22 2010-04-20 (주)동명산업 조립식 물탱크용 조립부
KR101438077B1 (ko) * 2014-02-05 2014-11-04 주식회사 젠트로 물탱크용 타이로드 설치구조
KR101453992B1 (ko) * 2014-05-12 2014-10-30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조립식 물탱크의 내부보강장치
KR101865758B1 (ko) 2017-10-18 2018-07-04 주식회사 종우 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786E (en) Molded plastic stud box support and box
KR101450161B1 (ko) 클램핑 요소
AU2020201302B2 (en) Load carrier foot
JP2012012887A (ja) 固定具
KR102127245B1 (ko) 물탱크용 내부 지지 브래킷 어셈블리
US9518381B2 (en) Plumbing outlet box with mounting features
JP4738241B2 (ja) 給水湯用の管状体固定具
JP4851490B2 (ja) 配設体の支持具
JP2019090513A (ja) ボルト連結具
JP2011196391A (ja) 配設体支持具
US2017031472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upling a Valve to a Duct
KR200492093Y1 (ko) 물탱크용 내진 코너 브래킷
KR20110004735U (ko) 파이프 배관용 클램프
WO2018237360A1 (en) NUT FIXING CLAMP AND NUT FIXING CLAMP
JP5517557B2 (ja) 水栓
EP2314936A1 (en) Support device for radiators, particulary of the type with radiant plates
JP6945701B1 (ja) 連結金具
JP5415188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JP4175701B2 (ja) 長尺体支持具
JP7266721B1 (ja) 固定金具
US10627017B2 (en) Reinforcement element for the securing of a mixing valve to a mounting rail
JP4940459B2 (ja) ケーブル受金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器具
KR102287209B1 (ko) 보강구조가 구비된 엘보조립체
JP7292083B2 (ja) 連結具
KR200336138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힌지식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