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202B1 -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202B1
KR102127202B1 KR1020180084872A KR20180084872A KR102127202B1 KR 102127202 B1 KR102127202 B1 KR 102127202B1 KR 1020180084872 A KR1020180084872 A KR 1020180084872A KR 20180084872 A KR20180084872 A KR 20180084872A KR 102127202 B1 KR102127202 B1 KR 10212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hicle
pipe
steam
pip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875A (ko
Inventor
김현모
김준형
박현덕
Original Assignee
김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모 filed Critical 김현모
Priority to KR102018008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파이프모듈을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도록 복수개 구비하여 세차하는 차량의 크기에 맞게 길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파이프모듈에 스팀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고정 및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며 물과 세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세차를 가능하게 하며, 지면과 맞닿는 파이프모듈 하단부에 이동부재를 형성하여 차량 등을 이용한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이프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차량과 이격되어 상기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이프모듈, 복수개의 상기 파이프모듈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모듈 및 상기 파이프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MOVABLE CAR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파이프모듈을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도록 복수개 구비하여 세차하는 차량의 크기에 맞게 길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파이프모듈에 스팀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고정 및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며 물과 세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세차를 가능하게 하며, 지면과 맞닿는 파이프모듈 하단부에 이동부재를 형성하여 차량 등을 이용한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유지 및 관리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것은 세차이며, 세차는 기계설비를 이용한 자동기계세차와 손 세차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인은 촌각을 다투는 바쁜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따라서 신속하고 간편한 자동기계세차를 이용하여 세차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자동기계세차는 세차기를 구비한 주유소, 세차장 등과 같은 공간에서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차량 소유자는 차량의 세차를 위하여 주유소, 세차장 등이 위치한 곳을 찾아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유소 또는 세차장의 운영 시간 외에는 세차를 진행할 수 없는 불편함 역시 존재한다.
한편, 자동기계세차는 차량의 도장면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동기계세차 시 대량의 물과 화학세제가 사용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 역시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장세차 및 셀프세차 등을 활용할 수 있으나, 세차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차를 수행하는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하며 세차를 위한 다양한 세차용품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오물을 닦아내는 방법에 따라 물 세차, 스팀 세차, 케미컬 세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물 세차는 전통적인 세차방법이며, 브러쉬 등을 활용하여 차량 표면의 오물을 직접적으로 닦아내어 가장 효과적인 세차 방법이지만 물과 세제 등을 대량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케미컬 세차는 각각의 세차 용도에 맞게 제조된 화학용품을 사용하여 세차를 하는 방법으로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나 화학물질이 지면이나 물 등에 스며들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 역시 있다.
한편, 스팀세차는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오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물 및 세제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브러쉬 등으로 차랑 표면을 직접적으로 닦아내지 않기 때문에 차량 도장면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스팀 및 에어만을 이용하여 세차를 진행하는 주유소 및 세차장을 찾기 어려우며, 스팀세차기가 구비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080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파이프모듈을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도록 복수개 구비하여 세차하는 차량의 크기에 맞게 길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파이프모듈에 스팀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고정 및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며 물과 세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지면과 맞닿는 파이프모듈 하단부에 이동부재를 형성하여 차량 등을 이용한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파이프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차량과 이격되어 상기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이프모듈, 복수개의 상기 파이프모듈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모듈 및 상기 파이프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모듈은, 상기 차량을 둘러싸는 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파이프모듈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파이프모듈이 이격된 간격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모듈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모듈은,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파이프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 상기 파이프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차량으로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부는, 상기 파이프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노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모듈은, 다른 종류의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상기 유체공급부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유체공급부 중 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체공급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모듈은, 상기 파이프모듈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모듈이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차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모듈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파이프모듈에 바퀴와 같은 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차량 등에 적재 및 이동이 용이하고, 따라서 세차 장소에 상관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둘째, 세차 대상 차량의 크기에 맞춰 폭, 길이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셋째, 고정식 및 이동식 노즐을 이용하여 세차 대상 차량의 전체적인 부위의 효과적인 세차가 가능하다.
넷째, 물 및 화학세제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반자동화 시스템으로 사용이 간편하며 신속하게 세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파이프모듈 및 고정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제1 길이조절부 및 제2 길이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사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이동노즐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가 스팀 및 에어 공급을 위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파이프모듈 및 고정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제1 길이조절부 및 제2길이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사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이동노즐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가 스팀 및 에어 공급을 위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파이프모듈(100), 고정모듈(200) 및 분사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모듈(100)은 파이프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세차 대상 차량과 이격되어 상기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모듈(100)은, 예를 들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의 파이프모듈(100)이 차량의 전면부 양측 일측부에서 타측부를 향해 차량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고, 세차 대상 차량 중간부 및 후면부에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파이프모듈(100)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 전체를 향해 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모듈(10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어 녹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팀 및 에어로 인하여 재질 및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소재라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모듈(200)은 복수개의 파이프모듈(100)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파이프모듈(100)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며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에어 및 스팀 분사압력에 의하여 파이프모듈(1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모듈(100)은 차량을 둘러싸는 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파이프모듈(100)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모듈(200)은, 파이프모듈(100)이 이격된 간격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고정모듈(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길이조절부(110) 및 제2 길이조절부(210)는 걸림홈(111) 및 걸림부재(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모듈(100) 및 고정모듈(20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파이프 형태의 관이 연결되어 결합되는 형상으로, 각각의 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있어서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부재(112)가 형성되어 걸림부재(112)가 걸림홈(111)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홈(111)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걸림부재(112)가 복수 개의 걸림홈(111)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파이프모듈(100) 및 고정모듈(20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는 파이프모듈(100)의 제1 길이조절부(110)를 이용하여 차량의 크기에 맞춰 파이프모듈(100)이 차량을 둘러싸는 폭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모듈(200)의 제2 길이조절부(210)를 통해 파이프모듈(100)이 이격된 간격을 길이를 조절하여 차량의 길이에 맞춰 고정모듈(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이프모듈(100)이 배치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세차하는 대상 차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세차 대상 차량의 크기에 맞춰 폭, 길이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여기서, 제1 길이조절부(110) 및 제2길이조절부(210)는 걸림홈(111) 및 걸림부재(112)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파이프모듈(100) 및 고정모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분사모듈(300)은 파이프모듈(100)에 구비되어 차량을 향해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모듈(300)은 유체공급부(310), 유로부(320) 및 노즐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체공급부(300)는 유체를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가 결합 및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스팀 및 에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경우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배관이 유체공급부(300)에 결합될 수 있어 유체는 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전술한 유체공급부(300)에 스팀 및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스팀발생기(C) 및 에어컴프레셔(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발생기(C)에 물을 제공하는 급수탱크(F)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스팀발생기(C) 및 에어컴프레셔(D)를 구동시키기 위한 발전기(E)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스팀 및 에어를 이용한 차량의 세차 및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차량 도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세차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물과 세제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유로부(300)는 파이프모듈(100)에 구비되며, 유체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내열성 연질 튜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로부(320)가 유체의 열 및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부(320)가 파이프모듈(100)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로부(320)는 파이프모듈(100) 및 고정모듈(200)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로부(320)가 유체를 유동시키고 차량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면 그 형태 및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유체공급부(310)는 파이프모듈(100) 하측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유체공급부(310)에 연결하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노즐부(330)는 파이프모듈(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차량으로 향하여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부는(330), 파이프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노즐유닛(34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있어서, 노즐부(330)는 복수 개 형성되고, 일부는 파이프모듈(100)의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된 고정식 노즐로 차량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는 파이프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식 노즐로 차량의 하측부에서 상측부로 이어지는 파이프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유체를 분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세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체적인 부위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어 효과적인 세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이동노즐유닛(340)은, 레일(342), 이동식노즐(344) 및 이동식노즐(344)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진행방향제어기(346)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레일(342)은 파이프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식노즐(344)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진행방향제어기(346)는 레일(342)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레일(34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식노즐(344)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방향제어기(346)는 레일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방향변경버튼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이동식노즐(344)의 돌출부가 전술한 방향변경버튼을 누르면 이동식노즐(344)의 진행방향이 변경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노즐(34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42)에 결합하는 바퀴(347), 진행방향제어기에 접하며 진행방향을 바꾸도록 지시하는 돌출부 및 차량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3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노즐(344)이 레일(342)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차량의 전체적인 면적에 유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량 상단부와 하단부를 반복 이동하여 차량의 오염 물질 및 물기를 차량 하부쪽으로 밀어내어 보다 효과적인 세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있어서 분사모듈(300)은 유체공급변환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모듈(300)은, 다른 종류의 유체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유체공급부(310)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유체공급부(310)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유체공급변환부(312)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있어서 유체는 스팀 및 에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스팀 및 에어를 공급하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유체공급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유체공급부(310)는 스팀 및 에어를 공급하는 배관을 결합하는 결합부위가 형성되고, 전술한 결합부위에 연결된 각각의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로가 유동하는 튜브가 각각 형성되어 유체공급변화부(31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체공급변환부(312)에는 에어 및 스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버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입력에 의하여 체크벨브가 작동되며 복수 개의 유체공급부에 공급되는 유체 중 어느 하나의 유체공급부(310)를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체공급변환부(310)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탈착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형태일 수 있어 자체적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공급변환부(312)에서 선택된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는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된 유체가 유로부(3230)를 효과적으로 유동하고 분사모듈을 통해 차량을 향해 효과적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된다면 파이프모듈에 구비되는 유로부(320)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장치에 있어서, 차폐모듈(400)은 파이프모듈(100) 및 고정모듈(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차량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향해 분사되는 유체가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세차하는 차량 외에 다른 공간에 스팀 및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차폐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모듈(400)은 파이프모듈 및 고정모듈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차량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모듈(400)은 내열성 비닐 소재로 형성되어 분사모듈(300)에서 분사되는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방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폐모듈(400)이 차량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차폐모듈(400)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410)는 차량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차량이 수용되는 파이프모듈의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페부(410)는 지퍼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크로 부재가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차폐모듈(41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대응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차량을 향해 분사되는 유체가 차량을 향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연결부(미도시)에는 스팀발생기(C)가 연결될 수 있으며, 세차 진행 전에 차량을 향해 스팀을 미리 분사하여 차량의 도장면에 부착되어 있는 흙, 먼지, 오물 등을 불려 흙, 먼지, 오물 등의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모듈(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파이프모듈(100)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는 이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120)는 바퀴로 형성되어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궤도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120)가 파이프모듈(100) 하단부에 구비되어 파이프모듈(100)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사용자 또는 세차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보다 간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트럭과 같은 이동차량(10)에 적재되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이동시키는 이동차량(10)은 트럭일 수 있으며, 짐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에는 전술한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의 이동부가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홈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차량(10)의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이 이동차량(1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가 적재공간의 양측 및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이동차량(1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는 외측방향을 향해 하향 회전하며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후단부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파이프모듈(100)의 이동부(120)가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홈브(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홈부(11)는 레일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파이프모듈(100)의 이동부(120)가 전술한 홈부(11)에 결합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이동차량(10)의 적재공간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세차 대상 차량이 위치한 공간으로 보다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는 세차 장소에 상관없이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사용양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를 이동차량(10) 적재공간에 적재하여 세차 대상 차량이 위치한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의 파이프모듈(100)의 하단부에는 이동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차량(10)의 적재공간 및 차단플레이트에는 전술한 이동부(120)를 안내하고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는 홈부(11)가 형성되어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차량(10)의 적재공간에 적재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세차 공간으로 이동한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를 지면에 위치시킨 후, 세차 대상 차량의 크기에 맞춰 제1 길이조절부(110) 및 제2 길이조절부(210)를 조절하여 파이프모듈(100)의 폭, 높이, 그리고 고정모듈(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이프모듈(100)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한다.
따라서, 세차 대상 차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스팀 세치를 이용하여 스팀 및 에어 세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차폐모듈(400)의 개폐부(410)를 개문하여 세차 대상 차량을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노즐부(220)는 파이프모듈(100)에 고정되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노즐유닛(340)의 이동식노즐(344)은 레일(342)에 고정되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요 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차폐모듈(400)의 개폐부(410)를 닫아서 차량을 향해 분사되는 유체가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체공급부(310)에 에어컴프레셔(D) 및 스팀발생기(C)를 연결하고, 이어서 에어컴프레셔(D) 및 스팀발생기(C) 구동을 위한 발전기(E) 및 급수탱크(F)를 연결한다.
여기서, 차폐모듈(4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세차 전 스팀을 유입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체공급부(310)에 스팀발생기(C)를 연결하기 전에 전술한 연결부에 스팀발생기(C)를 연결하여 차량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을 통해, 세차 전 차량 외부 도장면에 생긴 흙, 먼지 및 오물 등이 사전에 불려 세차 시 보다 용이하게 제거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유체공급부(310)에 연결된 스팀발생기 및 에어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스팀 및 에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유체공급변환부(312)를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유체공급변환부(312)에서 스팀을 선택하여 차량을 향해 스팀이 분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이동노즐유닛(340)을 구동하여 이동식노즐(344)이 차량의 전체적인 부위에 스팀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오물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스팀 분사가 완료되면 유체공급변환부(312)에서 에어를 선택하여 차량을 향해 에어가 분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이동노즐유닛(340)을 구동하여 이동식노즐(344)이 차량의 전체적인 부위에 스팀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을 통해 물 및 화학세제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자동화 시스템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세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파이프모듈
110: 제1 길이조절부
111: 걸림홈
112: 걸림부재
120: 이동부
200: 고정모듈
210: 제2 길이조절부
300: 분사모듈
310: 유체공급부
312: 유체공급변환부
320: 유로부
330: 노즐부
340: 이동노즐유닛
342: 레일
344: 이동식 노즐
346: 진행방향제어기
400: 차폐모듈
410: 개폐부
10: 이동차량
11: 홈부
C: 스팀발생기
D: 에어컴프레셔
E: 발전기
F: 급수탱크

Claims (8)

  1. 파이프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차량과 이격되어 상기 차량의 측부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이프모듈;
    복수개의 상기 파이프모듈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모듈; 및
    상기 파이프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은,
    다른 종류의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에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셔,
    상기 파이프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
    상기 파이프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차량으로 향하여 분사하는 노즐부,
    복수개의 상기 유체공급부 중 일부가 물, 에어, 스팀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유체공급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모듈은,
    상기 차량을 둘러싸는 폭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파이프모듈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파이프모듈이 이격된 간격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모듈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파이프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노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모듈은,
    상기 파이프모듈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모듈이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수용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차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모듈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팀 세차장치.
KR1020180084872A 2018-07-20 2018-07-20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KR10212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72A KR102127202B1 (ko) 2018-07-20 2018-07-20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72A KR102127202B1 (ko) 2018-07-20 2018-07-20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75A KR20200009875A (ko) 2020-01-30
KR102127202B1 true KR102127202B1 (ko) 2020-06-29

Family

ID=6932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872A KR102127202B1 (ko) 2018-07-20 2018-07-20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8057A (zh) * 2021-02-24 2021-05-07 千潮互联网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洗车机
KR102626609B1 (ko) * 2021-10-17 2024-01-18 이영욱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51734U (zh) * 2014-01-10 2014-06-18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式汽车自动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204A (ja) * 1995-10-25 1997-05-06 Tatsuno Co Ltd 門型スプレー洗車装置
KR200223227Y1 (ko) * 1998-07-28 2002-08-27 김봉주 농축산용차량의소독장치
KR200290805Y1 (ko) 2002-07-02 2002-10-07 조성채 자동 스팀세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51734U (zh) * 2014-01-10 2014-06-18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式汽车自动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75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202B1 (ko)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EP3590613B1 (en) Machine for collecting liquid with phytosanitary products
DE202016003341U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cheuersaugmaschinen
KR20110097055A (ko) 이동식 친환경 세차기
KR20140128600A (ko) 차량 하부 세척장치
KR101000125B1 (ko)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CN206749750U (zh) 一种车辆及其车辆顶棚
JP4125218B2 (ja) 洗車装置
CN201736963U (zh) 一种便携人力或电动气压式高效自洁洗车器
JP6274084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6264263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KR101627603B1 (ko) 스팀 보일러
KR200353152Y1 (ko) 셀프 스팀 세차장치
CN207311387U (zh) 一种节水型洗车机
USRE23294E (en) Vehicle washer
JP6414020B2 (ja) 洗車機および水抜き制御方法
JP6477426B2 (ja) 洗車機およびポンプの水抜き方法
JP2016013784A (ja) 自動車の洗浄装置
CN214420296U (zh) 带清洗功能的转运车
JP4084283B2 (ja) 洗車装置
CN219425192U (zh) 垃圾桶自动清洗设备
JP6256313B2 (ja) 洗車機及び水抜方法
JP2009056824A (ja) 洗車機
KR200422002Y1 (ko) 간이 세차장치
CN217864039U (zh) 一种带有清洗设备的车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