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125B1 -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125B1
KR101000125B1 KR1020100037577A KR20100037577A KR101000125B1 KR 101000125 B1 KR101000125 B1 KR 101000125B1 KR 1020100037577 A KR1020100037577 A KR 1020100037577A KR 20100037577 A KR20100037577 A KR 20100037577A KR 101000125 B1 KR101000125 B1 KR 10100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hing water
handle
discharge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승
Original Assignee
최현승
주식회사 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승, 주식회사 티드 filed Critical 최현승
Priority to KR102010003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수용되고 세척수공급관(111)이 내부에 연결되는 세척수수용부(112)가 후방 내측에 구성되고 전방측에 이물질수용부(113)가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수용부(113)의 상단에 디딤판(114)이 구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세척수공급(111)관과 에어공급관(121)의 내부측으로 배관되고 이들 세척수공급관(111)과 에어공급관(121)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연결부(122) 및 세척수연결부(123)가 하면에 구성되며 상면에 에어건거치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측 상면에 입설되는 거치봉(120)으로 구성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 하면에 구성되는 에어연결부(122)와 세척수연결부(123)가 각각 연결되는 에어유로부(216)와 세척수유로부(217)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20)의 상면에 구성된 에어건거치부(124)에 거치되며 에어 또는 세척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에어건(2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건(200)은, 상부에 제1힌지핀(211)이 돌설된 손잡이(212)와,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부(213)와 손잡이(212) 하부측에 구성되는 에어관연결니플(215) 및 세척수관연결니플(215)과, 상기 에어관연결니플(215)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에어유로부(216)와, 상기 세척수관연결니플(215)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세척수유로부(217)와, 상기 에어유로부(216)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218)와, 상기 세척수유로부(217)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19)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배출관(221) 및 이 배출관(221)의 선단측에 연결되는 노즐(220)과; 상기 몸체(210)의 제1수용부(218)에 수용되는 제1스프링(231)과, 이 제1스프링(231)에 의해 압축신장되고 상기 에어유로부(216)를 개방하는 에어토출부(232)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토출부(232)의 양측에 각각 제1패킹(233)이 끼워지며 후면에 상기 손잡이(212)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1푸쉬부(234)가 돌설되는 에어조절부(230)와; 상기 몸체(210)의 제2수용부(219)에 수용되는 제2스프링(241)과, 이 제2스프링(241)에 의해 압축 신장되고 상기 세척수유로부(217)를 개방하는 세척수토출부(242)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토출부(242)의 양측에 각각 제2패킹(243)이 끼워지며 전면측에 상기 손잡이(212)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2푸쉬부(244)가 돌설되는 세척수조절부(240)와; 상기 손잡이(212)의 상부에 돌설된 제1힌지핀(211)에 상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12)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에어조절부(230)의 제1푸쉬부(234)를 밀어주는 에어레버(250)와; 상기 손잡이(212)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세척수조절부(240)의 제2푸쉬부(244)를 밀어주도록 상기 손잡이(212) 전면 상측에 제2힌지핀(26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세척수레버(2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CLEANING EQUIPMENT USING AIR GUN}
본 발명은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내부에 각각 에어가 유로하는 에어유로부와 유체가 유로하는 세척수유로부를 형성하고, 이들 에어유로부와 세척수유로부를 제어하는 에어레버와 세척수레버를 각각 구성하여 압축공기와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에어건 거치대를 구성하되 거치대에 엘이디광고부를 구성하여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거치대에 올라서서 먼지 등을 청소함으로써 이물질의 청소작업이 용이하고 세정제수용부를 구성하여 세척수에 세정제가 같이 분사되도록 하며 역류밸브를 더 구성하여 에어가 세척수유로부측으로 유로되어 세척수유로부의 잔여 유체를 외부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성의 향상과 함께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건은 콤프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단속하여 분사시키는 것으로, 콤프레셔로부터 에어건까지 압축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공급호스가 결합되는 니플 및 손잡이 등이 일체로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성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를 단속시키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에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인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분사 시키는 노즐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에어건은, 손잡이 바닥에 결합되는 니플에 콤프레셔의 공급호스를 연결한 후,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고 레버를 당기면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인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노즐을 통해 밖으로 분사되는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제품이나 작업대 등에 묻어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나 가공 후 발생하는 칩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에어건은 압축된 공기만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도색작업을 할 때 도색 스프레이건으로 활용하거나 또는 세척작업을 할 때 세척 스프레이건으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에어건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페인트 도색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도장 에어건의 경우에는 무거운 페인트공급통이 장착되고 세척작업시에 사용되는 세척 에어건의 경우에는 무거운 물통이 장착되기 때문에, 무거운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에어건의 경우 압축된 압축공기만이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예를 들어 기계부품이나 자동차 엔진 내부의 세척작업을 할 때, 세척수를 먼저 세척대상인 기계부품이나 자동차 엔진 내부에 분사한 다음, 다시 에어건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세척수에 의해 기계부품 또는 엔진 내부가 세척되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작업의 이중성에 의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수 분사장치와 압축공기만이 분사되는 에어건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야 함에 따라 따로 구성되는 이들 장치들을 각각 구비하는 비용의 부담성이 가중되고 이들 장치들이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727569호인 스프레이건이나 에어건으로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건의 손잡이에 에어호스연결부와 오일호스연결부가 구비되고, 에어호스연결부는 에어관을 거쳐 조절부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오일호스연결부는 오일관을 거쳐 조절부에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하고, 상기 조절부에는 고정프레임이 구비되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는 스프링과 에어홈 및 오일홈을 갖춘 이동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동프레임의 끝단에는 조절레버가 구비되며, 조절레버를 작동시키면 에어관과 배출관은 에어홈에 의하여 연결되어 배출노즐로 에어를 분사시키고 오일관과 배출관은 오일홈에 의하여 연결되어 배출노즐로 오일을 분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에어관과 오일관이 구획된 상태에서 에어관과 오일관을 개폐시키는 조절부와 이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조절레버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에어와 오일을 같이 분사하는데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에어만을 분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나의 조절부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오일관의 폐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에어와 오일이 같이 분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절레버를 중간까지 잡아 당기면 에어만이 분사되고 조절레버를 완전히 잡아당기면 에어와 오일이 같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러한 동작이 하나의 조절레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하나의 조절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만을 분사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조절레버를 완전히 당기지 않고 정확하게 조절레버를 중간부분까지만 당겨야 함으로써, 조절레버의 동작을 미세하게 작동시켜 조절레버를 조절하는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고 작업능률성 또한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에어건과 에어건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되, 에어건의 몸체 내부에 에어유로부와 세척수유로부를 구획형성하고, 이들 에어유로부와 세척수유로부를 개폐하는 에어조절부와 세척수조절부를 각각 구성하고, 또한 에어조절부와 세척수조절부를 조절하는 에어레버와 세척수레버를 각각 구성하여, 압축공기만을 분사할 경우와 세척수가 같이 분사되도록 할 경우에 이들의 분사작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에어건을 이용하여 에어 또는 세척수를 선택하여 분사할 수 있어 비용절감효과는 물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역류밸브를 더 구성하여 동절기에 에어를 이용하여 세척수유로부측의 세척수를 밀어내어 완전히 빼줌으로써 세척수가 얼어 동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거치대에 엘이디광고부를 더 구성하여 광고효과도 겸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수용되고 세척수공급관이 내부에 연결되는 세척수수용부가 후방 내측에 구성되고 전방측에 이물질수용부가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수용부의 상단에 디딤판이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세척수공급관과 에어공급관의 내부측으로 배관되고 이들 세척수공급관과 에어공급관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연결부 및 세척수연결부가 하면에 구성되며 상면에 에어건거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상면에 입설되는 거치봉으로 구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거치봉 하면에 구성되는 에어연결부와 세척수연결부가 각각 연결되는 에어유로부와 세척수유로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의 상면에 구성된 에어건거치부에 거치되며 에어 또는 세척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에어건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건은, 상부에 제1힌지핀이 돌설된 손잡이와,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부와 손잡이 하부측에 구성되는 에어관연결니플 및 세척수관연결니플과, 상기 에어관연결니플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에어유로부와, 상기 세척수관연결니플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세척수유로부와, 상기 에어유로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세척수유로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부와 연결되는 배출관 및 이 배출관의 선단측에 연결되는 노즐과; 상기 몸체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스프링과, 이 제1스프링에 의해 압축신장되고 상기 에어유로부를 개방하는 에어토출부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토출부의 양측에 각각 제1패킹이 끼워지며 후면에 상기 손잡이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1푸쉬부가 돌설되는 에어조절부와; 상기 몸체의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스프링과, 이 제2스프링에 의해 압축 신장되고 상기 세척수유로부를 개방하는 세척수토출부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토출부의 양측에 각각 제2패킹이 끼워지며 전면측에 상기 손잡이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2푸쉬부가 돌설되는 세척수조절부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돌설된 제1힌지핀에 상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에어조절부의 제1푸쉬부를 밀어주는 에어레버와; 상기 손잡이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세척수조절부의 제2푸쉬부를 밀어주도록 상기 손잡이 전면 상측에 제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세척수레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에어건 몸체에 에어유로부와 세척수유로부가 각각 구획형성되고 이들을 개폐하는 에어조절부와 세척수조절부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에어조절부와 세척수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에어레버와 세척수레버가 각각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만을 분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에어레버만을 손잡이측으로 잡아 당기면 되고, 에어와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동시에 분사되도록 할 경우에는 세척수레버와 에어레버를 같이 잡아 당겨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에어의 분사와 유체의 분사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에어건을 통해 에어와 유체를 선택 또는 동시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절감은 물론 공간활용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압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기계부품의 세척작업이나 또는 고압분사되는 에어에 의한 먼지와 같은 이물질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대에 올라서서 먼지 제거 또는 세척작업을 함으로써 세척이나 먼지작업시에 발생되는 이물질이 거치대의 하부측 이물질수용부에 수용되어 이물질의 제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거치대에 구비된 엘이디광고부를 통해 세척작업시에 엘이디광고부에 의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역류밸브가 더 구성되어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세척수유로부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완전히 외부측으로 밀려나가기 때문에 동절기에 세척수가 얼어 동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와 세척수 흐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건의 에어흐름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건의 에어와 세척수의 흐름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에어건의 에어가 세척수유로부측으로 유로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지면에 입설 구성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에 거치되는 에어건(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00)는, 통상 학교나 군부대, 공장, 공원 등에 설치되어 학생이나 군인 또는 작업자 또는 자전거를 타는 일반 사람들이 본 발명인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먼지나 흙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수용되고 세척수공급관(111)이 내부에 연결되는 세척수수용부(112)가 후방 내측에 구성되고 전방측에 이물질수용부(113)가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수용부(113)의 상단에 디딤판(114)이 구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세척수공급(111)관과 에어공급관(121)의 내부측으로 배관되고 이들 세척수공급관(111)과 에어공급관(121)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연결부(122) 및 세척수연결부(123)가 하면에 구성되며 상면에 에어건거치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측 상면에 입설되는 거치봉(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봉(120)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관(111)과 에어공급관(121)이 길게 배설되고 이들의 세척수공급관(111)과 에어공급관(121)에 연결되는 상기 에어연결부(122) 및 세척수연결부(123)가 상기 거치봉(120)의 하면에 균등간격으로 배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에 구성되는 디딤판(114)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세척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디딤판(114)의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상기 이물질수용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대하여 인출입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건(200)은,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 하면에 구성되는 에어연결부(122)와 세척수연결부(123)가 각각 연결되는 에어유로부(216)와 세척수유로부(217)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20)의 상면에 구성된 에어건거치부(124)에 거치되며 에어 또는 세척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먼지만을 제거하거나 또는 자전거나 부품 또는 장비에 묻은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 각각 에어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어건(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노즐(220), 에어조절부(230), 세척수조절부(240), 에어레버(250), 세척수레버(26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210)는, 상부에 제1힌지핀(211)이 돌설된 손잡이(212)와,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부(213)와 손잡이(212) 하부측에 구성되는 에어관연결니플(215) 및 세척수관연결니플(215)과, 상기 에어관연결니플(215)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에어유로부(216)와, 상기 세척수관연결니플(215)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세척수유로부(217)와, 상기 에어유로부(216)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218)와, 상기 세척수유로부(217)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19)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관연결니플(215)에는 상기 거치봉(120)의 하면에 구성되고 상기 에어공급관(121)과 연결되는 에어연결부(122)가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관연결니플(215)에는 상기 거치봉(120)의 하면에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공급관(111)과 연결되는 세척수연결부(123)가 연결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유로부(216)를 통해 에어가 유로되어 분사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세척수유로부(217)를 통해 세척수가 유로되어 분사된다.
이 때, 상기 세척수는 상기 에어유로부(216)측으로 에어를 같이 유로되도록 하여 유로되는 에어압에 의해 상기 세척수유로부(217)를 통해 세척수가 유로되어 상기 노즐(120)측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노즐(220)은, 상기 에어레버(250) 또는 세척수레버(260)의 작동시에 에어 또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210)의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배출관(221) 및 이 배출관(221)의 선단측에 연결된다.
상기 에어조절부(230)는, 상기 몸체(210)의 제1수용부(218)에 수용되는 제1스프링(231)과, 이 제1스프링(231)에 의해 압축신장되고 상기 에어유로부(216)를 개방하는 에어토출부(232)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토출부(232)의 양측에 각각 제1패킹(233)이 끼워지며 후면에 상기 손잡이(212)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1푸쉬부(234)가 돌설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조절부(240)는, 몸체(210)의 제2수용부(219)에 수용되는 제2스프링(241)과, 이 제2스프링(241)에 의해 압축 신장되고 상기 세척수유로부(217)를 개방하는 세척수토출부(242)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토출부(242)의 양측에 각각 제2패킹(243)이 끼워지며 전면측에 상기 손잡이(212)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2푸쉬부(244)가 돌설된다.
상기 에어조절부(230)는 상기 에어레버(2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조절부(230)가 수용되는 몸체의 제1수용부(218)를 개폐하여 이 제1수용부(218)와 연통된 상기 에어유로부(216)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에어레버(250)는, 상기 손잡이(212)의 상부에 돌설된 제1힌지핀(211)에 상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12)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에어조절부(230)의 제1푸쉬부(234)를 밀어준다.
따라서, 에어레버(250)가 제1푸쉬부(234)를 밀어주어 제1푸쉬부(234)가 손잡이(21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제1푸쉬부(234)가 돌설된 상기 에어조절부(230)가 밀리게 되어 상기 에어조절부(230)의 에어토출부(232)가 에어유로부(216)측으로 위치되어 에어유로부(216)를 통해 유로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토출부(232)를 지나 상기 몸체(210)의 배출부(213)측으로 안내되어 노즐(220)을 통해 밖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레버(260)는, 상기 손잡이(212)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세척수조절부(240)의 제2푸쉬부(244)를 밀어주도록 상기 손잡이(212) 전면 상측에 제2힌지핀(26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세척수조절부(2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세척수레버(260)와 에어레버(250)를 동시에 작동시켜 에어조절부(230)의 제1푸쉬부(234)와 세척수조절부(240)의 제2푸쉬부(244)를 동시에 눌어주어야 에어의 분사압에 의해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레버(250)와 세척수레버(260)를 동시에 손잡이(212)의 내측으로 압입시키면, 제1푸쉬부(234)와 제2푸쉬부(244)가 동시에 눌러지게 되어 상기 에어조절부(230)와 세척수조절부(240)가 모두 내측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에어유로부(216)와 세척수유로부(217)가 동시에 개방되기 때문에,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압에 의해 세척수가 자연스럽게 같이 분사되어 노즐(220)측으로 에어가 포함된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 때 분사되는 세척수는 에어의 강한 분사력에 의해 강하게 밖으로 분사되어 자전거 또는 장비나 부품 등에 묻은 이물질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건(200)의 몸체(210) 내부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19) 하부측에는 상기 에어유로부(216)의 제1수용부(218)와 연통되고 선단 내측면에 나사체결홈(271)이 형성되는 에어인입로(27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인입로(272)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체결홈(271)에 나사체결되는 역류밸브(270)가 더 구성된다.
상기 역류밸브(270)는, 평소에는 상기 에어인입로(272)와 에어유로부(216)를 차단하여 에어유로부(216)를 통해 유로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인입로(272)를 통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동절기에 상기 세척수유로부(217)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완전하게 빼내어 동파를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역류밸브(270)를 풀어 세척수유로부(217)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완전히 빼내어 세척수가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역류밸브(270)를 풀어주면, 상기 역류밸브(270)에 의해 차단된 상기 에어인입로(272)와 에어유로부(216)가 개방되어 이 에어인입로(272)를 통해 상기 에어유로부(216)로부터 유로되는 에어가 인입되고 에어인입로(272)를 통해 인입된 에어는 상기 세척수유로부(217)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에어의 분사압에 의해 세척수유로부(217)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역방향으로 유로되어 세척수유로부(217)는 물론, 상기 세척수관연결니플(215)에 연결된 세척수공급관(111)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세척수도 같이 역방향으로 유로되어 하우징(110)의 세척수수용부(112)측으로 회수될 수 있어 동절기에 잔류하고 있는 세척수가 얼어 야기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 역류밸브(270)는, 상기 에어인입로(272)의 선단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체결홈(271)에 나사체결되어 있음으로써 풀고 조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에는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는 엘이디램프에 의해 광고문구가 표현되는 엘이디광고부(13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를 털거나 또는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작업을 하는 동안에 상기 엘이디광고부(130)에 의해 표현되는 광고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겸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의 후방 내측에 구성된 세척수수용부(112)의 일측에는 세척수수용부(112)측으로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수용부(14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세정제수용부(140)에 세정제를 수용하여 상기 세척수수용부(112)측으로 세정제를 공급하면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는,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용량을 감지하는 감지부구(151)와, 이 감지부구(151)와 연결되어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측으로 세척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차단밸브(150)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차단밸브(150)는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 물이 정량으로 수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세척수수용부(112)에 물을 보충시켜 줌으로써 사용성은 물론 관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는 세척수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1)와 이 온도센서(161)의 센서값을 조절하는 온도콘트롤러(162)가 더 구성되고, 상기 온도센서(161)의 감지값에 의해 세척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데워주는 전열히터(1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열히터(160)가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 더 구성되어 있으면, 계절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 세척수가 얼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콘트롤러(162)에 일정온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값을 상기 온도센서(161)가 감지하고 있다가, 온도값보다 세척수의 온도가 떨어지면 상기 전열히터(160)가 작동되어 세척수수용부(1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일정온도가 항상 유지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 일단에는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에어공급관(121)을 타고 공급되는 에어만을 분사하는 에어분사건(17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에어분사건(1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자전거 등의 타이어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용 에어분사건(170)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거치대 110 : 하우징
111 : 세척수공급관 112 : 세척수수용부
113 : 이물질수용부 114 : 디딤판
120 : 거치봉 121 : 에어공급관
122 : 에어연결부 123 : 세척수연결부
124 : 에어건거치부 130 : 엘이디광고부
140 : 세정제수용부 150 : 차단밸브
151 : 감지부구 160 : 전열히터
161 : 온도센서 162 : 온도콘크롤러
170 : 에어분사건
200 : 에어건 210 : 몸체
211 : 제1힌지핀 212 : 손잡이
213 : 배출부 214 : 에어관연결니플
215 : 세척수관연결니플 216 : 에어유로부
217 : 세척수유로부 218 : 제1수용부
219 : 제2수용부 220 : 노즐
221 : 배출관 230 : 에어조절부
231 : 제1스프링 232 : 에어토출부
233 : 제1패킹 234 : 제1푸쉬부
240 : 세척수조절부 241 : 제2스프링
242 : 세척수토출부 243 : 제2패킹
244 : 제2푸쉬부 250 : 에어레버
260 : 세척수레버 261 : 제2힌지핀
270 : 역류밸브 271 : 나사체결홈
272 : 에어인입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외부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수용되고 세척수공급관(111)이 내부에 연결되는 세척수수용부(112)가 후방 내측에 구성되고 전방측에 이물질수용부(113)가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수용부(113)의 상단에 디딤판(114)이 구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세척수공급(111)관과 에어공급관(121)의 내부측으로 배관되고 이들 세척수공급관(111)과 에어공급관(121)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연결부(122) 및 세척수연결부(123)가 하면에 구성되며 상면에 에어건거치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측 상면에 입설되는 거치봉(120)으로 구성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 하면에 구성되는 에어연결부(122)와 세척수연결부(123)가 각각 연결되는 에어유로부(216)와 세척수유로부(217)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20)의 상면에 구성된 에어건거치부(124)에 거치되며 에어 또는 세척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에어건(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건(200)은, 상부에 제1힌지핀(211)이 돌설된 손잡이(212)와,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부(213)와 손잡이(212) 하부측에 구성되는 에어관연결니플(214) 및 세척수관연결니플(215)과, 상기 에어관연결니플(214)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에어유로부(216)와, 상기 세척수관연결니플(215)과 연통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세척수유로부(217)와, 상기 에어유로부(216)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218)와, 상기 세척수유로부(217)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19)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배출부(213)와 연결되는 배출관(221) 및 이 배출관(221)의 선단측에 연결되는 노즐(220)과; 상기 몸체(210)의 제1수용부(218)에 수용되는 제1스프링(231)과, 이 제1스프링(231)에 의해 압축신장되고 상기 에어유로부(216)를 개방하는 에어토출부(232)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토출부(232)의 양측에 각각 제1패킹(233)이 끼워지며 후면에 상기 손잡이(212)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1푸쉬부(234)가 돌설되는 에어조절부(230)와; 상기 몸체(210)의 제2수용부(219)에 수용되는 제2스프링(241)과, 이 제2스프링(241)에 의해 압축 신장되고 상기 세척수유로부(217)를 개방하는 세척수토출부(242)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토출부(242)의 양측에 각각 제2패킹(243)이 끼워지며 전면측에 상기 손잡이(212)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제2푸쉬부(244)가 돌설되는 세척수조절부(240)와; 상기 손잡이(212)의 상부에 돌설된 제1힌지핀(211)에 상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12)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에어조절부(230)의 제1푸쉬부(234)를 밀어주는 에어레버(250)와; 상기 손잡이(212)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세척수조절부(240)의 제2푸쉬부(244)를 밀어주도록 상기 손잡이(212) 전면 상측에 제2힌지핀(26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세척수레버(260)로 구성되되,
    상기 에어건(200)의 몸체(210) 내부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219) 하부측에는 상기 에어유로부(216)의 제1수용부(218)와 연통되고 선단 내측면에 나사체결홈(271)이 형성되는 에어인입로(27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인입로(272)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체결홈(271)에 나사체결되는 역류밸브(27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의 거치봉(120)에는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는 엘이디램프에 의해 광고문구가 표현되는 엘이디광고부(13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37577A 2010-04-22 2010-04-22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KR10100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77A KR101000125B1 (ko) 2010-04-22 2010-04-22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77A KR101000125B1 (ko) 2010-04-22 2010-04-22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125B1 true KR101000125B1 (ko) 2010-12-09

Family

ID=4351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577A KR101000125B1 (ko) 2010-04-22 2010-04-22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1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64B1 (ko) * 2013-07-17 2015-04-08 주식회사 호진플라텍 무선기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17000072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에어건
KR20170000719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안전 에어건
CN110340064A (zh) * 2019-08-12 2019-10-18 广东爱尼智能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便携式清洗装置、该装置的控制方法以及清洗系统
KR102327798B1 (ko) * 2020-12-28 2021-11-18 주식회사 제일오토테크 에어샤워 구조물을 구비한 자동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0442A (ja) * 2000-04-27 2001-10-30 Parker Corp 洗浄兼エアブロー装置
KR100558072B1 (ko) * 2005-02-01 2006-03-10 이운희 습식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0442A (ja) * 2000-04-27 2001-10-30 Parker Corp 洗浄兼エアブロー装置
KR100558072B1 (ko) * 2005-02-01 2006-03-10 이운희 습식 세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64B1 (ko) * 2013-07-17 2015-04-08 주식회사 호진플라텍 무선기기용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17000072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에어건
KR20170000719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안전 에어건
CN110340064A (zh) * 2019-08-12 2019-10-18 广东爱尼智能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便携式清洗装置、该装置的控制方法以及清洗系统
CN110340064B (zh) * 2019-08-12 2024-04-30 广东爱尼智能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便携式清洗装置、该装置的控制方法以及清洗系统
KR102327798B1 (ko) * 2020-12-28 2021-11-18 주식회사 제일오토테크 에어샤워 구조물을 구비한 자동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125B1 (ko) 에어건을 이용한 세척장치
ES2914525T3 (es) Aparato de limpieza de superficies y bandeja
CN206434268U (zh) 表面清洁设备
WO2005032735A3 (en) Floor cleaning device
KR200419449Y1 (ko) 분무 및 진공흡입 기능을 갖는 피부관리장치
WO2006123127A3 (en) Cleaning storage and like tanks
CN201929904U (zh) 手动打水蒸汽拖把
CN103479306A (zh) 一种带污水循环利用的硬质表面清洁器
KR101634243B1 (ko) 약액 분사장치
KR101802172B1 (ko) 질소를 이용한 배관 세척 장치
KR101593205B1 (ko) 유리창 청소장치
KR100965746B1 (ko) 손 세정액 디스펜서
KR101470040B1 (ko)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188424B1 (ko) 유리창 청소 장치
KR20140142647A (ko) 무인 방제기
JP2001276173A (ja) 鼻洗浄器
CN203778252U (zh) 用于清洗喷枪的清洗装置
CA2501687A1 (en) Decontamination liquid spraying apparatus
KR20140103228A (ko) 다용도 분사장치
KR200478303Y1 (ko) 이동식 인삼포 방제기기
CN212709324U (zh) 一种便携的汽车擦洗一体工具
EP1736252B1 (en) Portable shower and washing apparatus
CN204429540U (zh) 一种多功能洗车水枪
KR101663242B1 (ko) 도장부스 내부의 이물질 제거용 스크레퍼
CN203576428U (zh) 一种带污水循环利用的硬质表面清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