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09B1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609B1
KR102626609B1 KR1020210137992A KR20210137992A KR102626609B1 KR 102626609 B1 KR102626609 B1 KR 102626609B1 KR 1020210137992 A KR1020210137992 A KR 1020210137992A KR 20210137992 A KR20210137992 A KR 20210137992A KR 102626609 B1 KR102626609 B1 KR 10262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car
residents
vehicle
underground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408A (ko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이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욱 filed Critical 이영욱
Priority to KR102021013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6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주차장의 버려지는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입주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취급과 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주민인 차량소유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주거지역에서 편리하게 세차할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세차장비는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자동 또는 차량 소유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세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하여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세차장비의 사용이 온라인으로 관리되어 관리자가 불필요하여 세차서비스에 의한 입주민의 주거비용이 증가됨이 없이 입주자의 차량관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A car washing service system for residents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small space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of apartment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주차장의 버려지는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입주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취급과 관리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주민인 차량소유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주거지역에서 편리하게 세차할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세차장비는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자동 또는 차량 소유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세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하여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세차장비의 사용이 온라인으로 관리되어 관리자가 불필요하여 세차서비스에 의한 입주민의 주거비용이 증가됨이 없이 입주자의 차량관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을 세차장에서 세차하기 위하여 고객이 일회용 세차권을 구입한 후 해당 세차 번호를 입력하여 세차장 안으로 들어가는 자동 기계세차(Automatic Machine Car Wash) 방식과 고객이 세차장 안으로 들어간 후 직접 동전을 넣고 세차시설을 이용하는 손 세차(Manual Car Wash) 방식이 있다.
이러한 세차 방식들은 모두 고객이 직접 차를 운전해서 세차장으로 가야한다. 따라서 세차에 필요한 시간을 별도로 할애해야 하고, 긴 줄을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바쁜 현대인들, 특히 직장인들의 경우 이러한 세차시설을 이용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계식 세차의 경우 주로 주유소에서 주유 후 서비스로 이용되고 있는데, 세차에 필요한 충분한 량의 수분을 제공하지 않은체 회전솔로 세차하게 되므로 장시간 세차하게 되면 차량의 표면(도장) 광택이 사라지고 미세한 흠집발생과 그 흠집 사이로 물 때가 끼이게 되며, 또한 회전솔에 잔류하는 미세한 돌에 의해 전면유리에 흠집을 줄 수 있다. 상기 흠집으로 인해 야간 운행시 전방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전조등 빔이 난반사되어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세차는 차량 외부 세차에 국한되어 있어서, 실내 세차를 원할 경우에는 별도로 집에서 직접 세차를 하거나 전화나 인터넷으로 출장 세차 서비스를 주문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출장 세차의 경우에도 세차에 소요되는 비용이 자동식 기계세차에 비하여 고가이며, 출장세차 업자와 세차시간을 조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9592호(공개일: 2001년 07월 25일)통신망을 이용한 세차 대행방법 및 그 시스템은, 인터넷 또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상품을 주문하고 결재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세차를 원하는 이용자가 세차대행자에게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세차대행 사이트에 세차서비스를 의뢰하는 단계와, 이용자에게 출동할 기동팀(기동요원)의 사진 및 신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이용자의 세차 의뢰에 의해 세차대행자가 관리/조직화되어 세차기동팀(기동요원)으로 세차출동지령과 출동하는 단계와, 출동한 기동팀(기동요원)의 면식과 신분을 확인하는 단계와, 기동팀(기동요원)과 이용자가 차량을 검차하는 단계와, 검차차량을 인도받은 다음 세차대행관리망에 조직되어 있는 세차장/정비소로 이동하여 세차/정비하는 단계와, 세차/정비된 차량을 이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최종 인도하는 단계와, 세차/정비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세차를 대행하는 방법을 통하여는 세차시간을 효율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세차를 위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계속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9592호(공개일: 2001년 07월 25일) "통신망을 이용한 세차 대행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입주자가 관리사무소의 관리서버에 의하여 입주민들을 위하여 구성된 인터넷 인터페이스환경의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차량소유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공간에서 편리하게 세차할 수 있으며, 세차시스템의 관리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져 관리가 편리하고 관리자가 불필요하여 세차서비스에 의한 입주민의 주거비용이 증가됨이 없이 입주자의 차량관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세차시스템은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한 세차시스템이 자동 또는 차량 소유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세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하여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은, 입주자의 모바일폰이나 입주자의 거주지 실내에 설치된 인터폰과 같이 입주자가 조작하는 차주단말기와, 상기 차주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단지AI플랫폼과 연동되는 세차관리서버와, 상기 세차관리서버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세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주단말기는 입주민이 쉽게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입주민의 거주지 실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되며, 세차관리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차주단말기통신부와, 입주민의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 정비모드와, 입주민의 차량의 세차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 세차모드와, 상기 세차모드의 선택시 세차장치의 사용시간을 예약하는 시간예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세차괸리서버는 아파트 또는 대단지 빌라의 단지AI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되거나 또는 기존 설치된 단지AI플랫폼과 연동되며, 세차관리서버통신부를 통하여 차주단말기와 실시간 통신하고, 입주민의 이름과 동호수, 차량소유여부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등록정보부와, 입주민의 차량의 종류, 형태, 차량번호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등록정보부와, 입주민의 전입 또는 전출여부가 저장되는 전입전출정보부와, 세차장치의 사용가능여부, 세차장치 관리특이사항을 차주단말기에 공지하는 공지사항관리부 및 입주민의 세차장치 사용에 따라 부과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비용정산부을 포함하며,
상기 세차장치는 세차장치통신부을 통하여 세차관리서버통신부에 세차장치의 사용가능여부, 세차장치의 손상여부, 예약상태등의 정보를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형태를 갖으며, 세차장치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예약여부를 확인하는 카메라와, 차량이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정확한 주차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와, 세차장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광택제, 유리세정제, 브러쉬 등의 세차용품이 수용된 용품함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용품함 개폐부와, 세차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을 구동하는 스크린 구동부와, 세차시 발생되는 먼지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먼지흡입팬구동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되며 스팀보일러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분사부를 이용한 습식세차모드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되며 에어 컴프레셔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분사부를 이용한 건식세차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흡입팬구동부는 세차장치의 벽면과 바닥면에 여러 개의 흡입구가 설치되고 외부의 먼지흡입팬의 구동을 통하여 세차장치의 내부의 부유먼지와 바닥에 침전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되, 스크린구동부에 의하여 발생되는 세차공간의 음압환경에 의하여 침전먼지의 흡입효율이 향상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감지부가 세차대상의 차량이 정확한 주차위치에 주차됨을 세차장치 제어부에 전송하면 차량의 표면을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예비적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세차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비세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비세차수단은 세차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분사관이 수용되는 "ㅁ" 형태의 분사관 수용홈과, 상기 분사관 수용홈의 양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분사관 수용홈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분사노즐이 일정간격 형성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분사관으로 에어를 공급하며 일측에 구동모터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의 하부에 에어공급관과 연결되는 에어공급호스 및 상기 에어공급호스에 텐션을 제공하며 일측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에어공급호스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민이 차량을 먼거리로 이동시키기 않고도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동일공간에 형성된 세차시스템을 이용하여 세차를 할 수 있어, 세차를 위한 대기시간이 필요없고, 입주인에게 세차에 소요되는 별도의 시간 할애와 장소 이동 등의 불편함 없이 고품질의 무공해 세차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시하여 세차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고 입주자의 차량관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차시스템은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 표면의 먼지를 날려 제거하거나 또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불려 제거하는 방식으로 세차가 이루어짐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함으로서 세차시스템의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고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세차시스템의 운용에 따른 입주자의 관리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편리한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적이 드문 지하 주차공간의 이미지를 바꾸는데도 기여 할 수 있고, 이는 오직 주차만을 위해 존재하던 주차장 공간이 사람이 자주 드나들며 세차할 수 있는 친 인간적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지하주차장의 환경 정화 및 미화의 의미도 큰 장점이 있다.
더욱이, 모아진 입주자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각종 입주민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및 개발의 가능성도 지니고 있어서 입주자와 공동주택의 관리 주체 사이의 실시간 통신 도구로서의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이 지하주차장 협소공간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차주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차주단말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차주단말기의 세차시간예약 항목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관리서버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장치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장치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 활용을 위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이 지하주차장 협소공간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차주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차주단말기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차주단말기의 세차시간예약 항목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관리서버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중 세차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입주민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입주민을 위한 세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소유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주거지역에서 편리하게 세차할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세차장비는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자동 또는 차량 소유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세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하여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세차장비의 사용이 온라인으로 관리되어 관리자가 불필요하여 세차서비스에 의한 입주민의 주거비용이 증가됨이 없이 입주자의 차량관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이하, '입주민 세차시스템'이라 한다)(A)은 크게 입주자의 모바일폰이나 입주자의 거주지 실내에 설치된 인터폰과 같이 입주자가 조작하는 차주단말기(100)와, 상기 차주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단지AI플랫폼과 연동하여 구성되는 세차관리서버(200)와, 상기 세차관리서버(200)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세차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차주단말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주민이 쉽게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입주민의 거주지 실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주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차주단말기(100)는 세차관리서버(2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차주단말기통신부(120)와, 입주민의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 정비모드(130)와, 입주민의 차량의 세차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 세차모드(140)와, 상기 세차모드(140)의 선택시 세차장치의 사용시간을 예약하는 시간예약모드(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차시간예약모드(14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차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구분하여 입주민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세차시간을 부여하며, 상기 세차시간예약모드(141)는 입주민이 세차예약시간을 선택하면 일측의 선택부(142)가 색상이 변경되는 형태로 선택됨을 입주민이 선택한 예약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주단말기(100)는 정비모드(130)를 선택하는 경우 세차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정비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의 자가정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비모드(130)는 차 후 설명할 세차장치(300)의 세차장스크린(351)에 의하여 공간이 구획됨으로써 세차모드(140)의 진행시에도 차량의 정비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 세차괸리서버(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파트 또는 대단지 빌라의 경우 관리사무소의 단지AI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되거나 또는 기존 설치된 단지AI플랫폼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차관리서버(200)는 세차관리서버통신부(210)를 통하여 차주단말기(100)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세차관리서버(200)는 입주민의 이름과 동호수, 차량소유여부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등록정보부(220)와, 입주민의 차량의 종류, 형태, 차량번호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등록정보부(230)와, 입주민의 전입 또는 전출여부가 저장되는 전입전출정보부(240)와, 세차장치의 사용가능여부, 세차장치 관리특이사항을 차주단말기(100)에 공지하는 공지사항관리부(250) 및 입주민의 세차장치 사용에 따라 부과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비용정산부(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비용정산부(260)는 세차관리서버(200)가 세차장치의 실제 이용시간을 체크하고, 세차관리서버 또는 단지AI플랫폼에 입력된 입주민정보 또는 일반적인 실시간 결재서비스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관리사무소에서 발행하는 관리비 고지내역에 포함시켜 통합인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차장치(300)는 세차장치통신부(310)을 통하여 세차관리서버통신부(210)에 세차장치의 사용가능여부, 세차장치의 손상여부, 예약상태등의 정보를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세차장치(300)는 세차장치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이 예약된 차량인지의 예약여부를 확인하는 카메라(320)와, 차량이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정확한 주차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330)와, 세차장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광택제, 유리세정제, 브러쉬 등의 세차용품이 수용된 용품함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용품함 개폐부(340)와, 세차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을 구동하는 스크린 구동부(350)와, 세차시 발생되는 먼지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먼지흡입팬구동부(360)와, 세차장치에 주차된 차량의 외부먼지를 고압에어를 통하여 제거하는 예비세차모드(37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되며 스팀보일러(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을 이용한 습식세차모드(38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되며 에어 컴프레셔(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에어를 이용한 건식세차모드(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320)는 세차장치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세차장치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세차장치통신부(310)를 통하여 세차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예약차량여부를 확인하고, 미예약 차량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진입금지를 통지한다.
상기 주차감지부(330)는 진입하는 차량이 정확하게 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 및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방향과 위치를 유도하는 복수 개의 주차유도램프(331)와, 차량의 정확한 위치의 주차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센서(332)로 구성되며,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유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올바른 진입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상기 용품개폐부(340)는 주차감지부(330)가 차량이 정확한 주차위치에 주차됨을 확인하면 세차장치 제어부(300)가 용품개폐부(340)에 개방신호를 출력하여 용품함(341)이 개방되어 내부에 보관된 광택제, 유리세정제, 브러쉬 등의 세차용품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 구동부(350)는 주차감지부(330)가 차량이 정확한 주차위치에 주차됨을 확인하면 스크린 구동부(35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차장 스크린(351)을 동작시켜 세차장치의 세차구역을 밀폐함으로써 세차중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최소화하고 외부 주차공간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먼지흡입팬구동부(350)는 주차감지부(330)가 차량이 정확한 주차위치에 주차됨을 확인하면 세차장치 제어부(300)가 먼지흡입팬구동부(36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먼지흡입팬(361)을 구동시켜 세차구역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한다.
또한, 상기 먼지흡입팬(361)은 세차장치의 벽면과 바닥면에 여러 개의 흡입구가 설치되고 외부의 먼지흡입팬(361)이 구동하여 세차장치의 내부의 부유먼지와 침전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더욱이, 상기 흡입구가 바닥면에도 설치되어 있어 스크린에 의하여 밀폐된 세차공간에 음압을 발생시켜 먼지의 흡입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예비세차부(370)는 주차감지부(330)가 차량이 정확한 주차위치에 주차됨을 세차장치 제어부(300)에 전송하면 예비세차부(370)가 구동하여 주차된 차량의 외주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표면의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세차대상의 차량의 표면을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예비적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차 후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스팀을 이용한 습식세차 또는 에어를 이용한 건식세차로 구성된 본세차시 사용자의 세차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의 세차에 의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예비세차부(370)는 세차장치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분사관(371)이 상승하면서 세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고압의 에어로 날려 제거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예비세차부(37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차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분사관(371)이 수용되는 분사관 수용홈(372)과, 상기 분사관 수용홈(372)의 양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373)과, 상기 분사관 수용홈(372)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분사노즐(371a)이 일정간격 형성된 분사관(371)과, 상기 분사관(371)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분사관(371)으로 에어를 공급하며 일측에 구동모터(375)와 치합되는 랙기어(377a) 형성된 가이더(377)와, 상기 가이더(377)의 하부에 에어공급관(378)과 연결되는 에어공급호스(379) 및 상기 에어공급호스(379)에 텐션을 제공하며 일측이 고정부(374)에 고정되고, 타측이 에어공급호스(379)에 연결되는 스프링(3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관(371)은 대략 "ㅁ"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차량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차량방향으로 복수 개의 분사노즐(371a)이 형성되어 분사관(371)이 상하이동하며 차량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예비세차부(370)는 지면의 분사관 수용홈(372)에 분사관(371)이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분사관 수용홈(372)을 넘어 분사관(371)의 내부에 주차되면 한 쌍의 구동모터(375)가 구동하여 치합된 랙기어(377a)가 형성된 가이더(377)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더(377)의 상부에 형성된 분사관(371)이 상부로 이동한다.
또한, 분사관(371)이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에어공급관(378)을 통하여 고압의 에어가 유입되며, 고압의 에어는 에어공급호스(379)와 가이더(377)의 내부를 통하여 분사관(371)으로 유입되고, 분사관(371)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노즐(371a)을 통하여 차량측으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관(371)은 가이더(377)와 연결된 구동모터(375)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차량의 높이까지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여 분사관 수용홈(372)에 수용시 까지 계속됨으로서 차량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날려 제거하는 예비세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세차공간의 바닥에 매립되는 에어공급호스(379)는 일측이 고정부(374)에 고정되고 타측이 에어공급호스(379)에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376)에 의하여 신장과 수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에어공급호스(379)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꼬임에 의한 막힘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세차장치(300)는 스팀분사부(381)를 통하여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차량의 내외면을 세차하는 습식세차모드(380)와, 에어분사부(391)를 통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차량의 내외면을 세차하는 건식세차모드(390)중에서 선택하여 세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세차장치가 스팀을 이용한 습식세차 또는 고압의 에어를 이용한 건식세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세차모드로 세차가 이루어짐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함으로서 세차시스템의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일반 입주민이 별도의 장비사용의 교육 없이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입주민이 차량을 먼거리로 이동시키기 않고도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동일공간에 형성된 세차시스템을 이용하여 세차를 할 수 있어, 세차를 위한 대기시간이 필요없고, 입주인에게 세차에 소요되는 별도의 시간 할애와 장소 이동 등의 불편함 없이 고품질의 무공해 세차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시하여 세차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고 입주자의 차량관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세차시스템은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 표면의 먼지를 날려 제거하거나 또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불려 제거하는 방식으로 세차가 이루어짐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폐수처리시설과 같은 별도의 부대시설이 불필요함으로서 세차시스템의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고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세차시스템의 운용에 따른 입주자의 관리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단순히 편리한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적이 드문 지하 주차공간의 이미지를 바꾸는데도 기여 할 수 있고, 이는 오직 주차만을 위해 존재하던 주차장 공간이 사람이 자주 드나들며 세차할 수 있는 친 인간적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지하주차장의 환경 정화 및 미화의 의미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주단말기 110 : 어플리케이션
120 : 차주단말기 통신부 130 : 정비모드
140 : 세차모드 141 : 시세차시간예약모드
142 : 선택부
200 : 세차관리서버 210 : 세차관리서버 통신부
220 : 입주자등록정보부 230 : 차량등록정보부
240 : 전입전출정보부 250 : 공지사항관리부
260 : 비용정산부
300 : 세차장치 310 : 세차장치통신부
320 : 카메라 330 : 주차감지부
331 : 주차유도램프 332 : 주차감지센서
340 : 용품함 개폐부 341 : 용품함
350 : 스크린 구동부 351 : 세차장스크린
360 : 먼지흡입팬구동부 361 : 먼지흡입팬
370 : 예비세차부 380 : 습식세차모드
390 : 건식세차모드

Claims (4)

  1.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이용한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은,
    입주자의 모바일폰이나 입주자의 거주지 실내에 설치된 인터폰과 같이 입주자가 조작하는 차주단말기(100)와, 상기 차주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단지AI플랫폼과 연동되는 세차관리서버(200)와, 상기 세차관리서버(200)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세차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차주단말기(100)는 입주민이 쉽게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입주민의 거주지 실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되며, 세차관리서버(2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차주단말기통신부(120)와, 입주민의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 정비모드(130)와, 입주민의 차량의 세차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는 세차모드(140)와, 상기 세차모드(140)의 선택시 세차장치의 사용시간을 예약하는 시간예약모드(141)를 포함하고,
    상기 세차관리서버(200)는 아파트 또는 대단지 빌라의 단지AI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되거나 또는 기존 설치된 단지AI플랫폼과 연동되며, 세차관리서버통신부(210)를 통하여 차주단말기(100)와 실시간 통신하고, 입주민의 이름과 동호수, 차량소유여부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등록정보부(220)와, 입주민의 차량의 종류, 형태, 차량번호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등록정보부(230)와, 입주민의 전입 또는 전출여부가 저장되는 전입전출정보부(240)와, 세차장치의 사용가능여부, 세차장치 관리특이사항을 차주단말기(100)에 공지하는 공지사항관리부(250) 및 입주민의 세차장치 사용에 따라 부과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비용정산부(260)을 포함하며,
    상기 세차장치(300)는 세차장치통신부(310)을 통하여 세차관리서버통신부(210)에 세차장치의 사용가능여부, 세차장치의 손상여부, 예약상태등의 정보를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형태를 갖으며, 세차장치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예약여부를 확인하는 카메라(320)와, 차량이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정확한 주차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부(330)와, 세차장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광택제, 유리세정제, 브러쉬 등의 세차용품이 수용된 용품함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용품함 개폐부(340)와, 세차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을 구동하는 스크린 구동부(350)와, 세차시 발생되는 먼지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먼지흡입팬구동부(36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되며 스팀보일러(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분사부(381)를 이용한 습식세차모드(380)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되며 에어 컴프레셔(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분사부(391)를 이용한 건식세차모드(390)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감지부(330)가 세차대상의 차량이 정확한 주차위치에 주차됨을 세차장치 제어부(300)에 전송하면 차량의 표면을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예비적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세차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비세차수단(370)을 포함하되,
    상기 예비세차수단(370)은 세차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분사관(371)이 수용되는 "ㅁ" 형태의 분사관 수용홈(372)과, 상기 분사관 수용홈(372)의 양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373)과, 상기 분사관 수용홈(372)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분사노즐(371a)이 일정간격 형성된 분사관(371)과, 상기 분사관(371)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분사관(371)으로 에어를 공급하며 일측에 구동모터(375)와 치합되는 랙기어(377a)가 형성된 가이더(377)와, 상기 가이더(377)의 하부에 에어공급관(378)과 연결되는 에어공급호스(379) 및 상기 에어공급호스(379)에 텐션을 제공하며 일측이 고정부(374)에 고정되고, 타측이 에어공급호스(379)에 연결되는 스프링(3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팬구동부(360)는 세차장치의 벽면과 바닥면에 여러 개의 흡입구가 설치되고 외부의 먼지흡입팬(361)의 구동을 통하여 세차장치의 내부의 부유먼지와 바닥에 침전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되, 스크린구동부(350)에 의하여 발생되는 세차공간의 음압환경에 의하여 침전먼지의 흡입효율이 향상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37992A 2021-10-17 2021-10-17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KR10262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992A KR102626609B1 (ko) 2021-10-17 2021-10-17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992A KR102626609B1 (ko) 2021-10-17 2021-10-17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408A KR20230055408A (ko) 2023-04-26
KR102626609B1 true KR102626609B1 (ko) 2024-01-18

Family

ID=8609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992A KR102626609B1 (ko) 2021-10-17 2021-10-17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6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21B1 (ko) * 2016-03-17 2017-03-13 주식회사 유스랩 공동주택 주차장을 이용한 세차 관리 시스템
KR102148824B1 (ko) 2019-03-28 2020-09-08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스팀을 이용한 자동세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695A (ko) * 1996-04-29 1997-11-07 최중곤 건식 세차 방법과 이에 적합한 세차 장치
KR20010069592A (ko) 2001-04-19 2001-07-25 김진석 통신망을 이용한 세차 대행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7331B1 (ko) * 2011-06-07 2014-02-28 이재용 에어분사기능이 구비된 차량진출입구
KR102127202B1 (ko) * 2018-07-20 2020-06-29 김현모 이동식 스팀 세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21B1 (ko) * 2016-03-17 2017-03-13 주식회사 유스랩 공동주택 주차장을 이용한 세차 관리 시스템
KR102148824B1 (ko) 2019-03-28 2020-09-08 주식회사 하이원엔시 스팀을 이용한 자동세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408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3236A1 (en) Autonomous vehicle service s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6251687A (zh) 一种车库智能泊车管理系统
US9140028B2 (en) Automated parking system
US10807711B2 (en)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0259221B (zh) 一种具有智能管理系统的立体车库
CN206299174U (zh) 一种带有互联网智能管理系统的垂直循环式立体车库
CN106682749A (zh) 车辆停车场预约系统
CN108944818A (zh) 一种共享全自动无接触洗车装置及其洗车方法
KR102626609B1 (ko)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협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입주민용 세차 서비스 시스템
CN103738309A (zh) 智能洗车系统及智能洗车系统的控制方法
CN112767729A (zh) 智慧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CN114724405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停车引导方法及系统
JP2009167667A (ja) 排気回収装置及びユニット式車庫
CN113345261A (zh) 基于移动互联和物联网的智能车辆一站式管理与服务系统
CA2484219C (en) Modular carwash assembly
KR102515768B1 (ko) 가변형 전기 충전시스템
CN208774722U (zh) 一种共享全自动无接触洗车装置
US20220055578A1 (en) Integrated mobile vehicle washing and servicing facility
KR20230138119A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차 관리 시스템
KR102112188B1 (ko) 스마트폰 예약 어플 및 rf카드를 이용한 올인원 셀프 세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CN208650614U (zh) 一种带有立体洗车装置的车库
US6059183A (en) Vacuum coin collection apparatus with a remote vacuum
CN206812964U (zh) 一种电动四轮载人移动扫码支付洗车器
JPH07172271A (ja) 洗車場システム
CN111973095A (zh) 自动导航无人驾驶式洗地吸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