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12B1 -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 Google Patents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12B1
KR102127112B1 KR1020180096164A KR20180096164A KR102127112B1 KR 102127112 B1 KR102127112 B1 KR 102127112B1 KR 1020180096164 A KR1020180096164 A KR 1020180096164A KR 20180096164 A KR20180096164 A KR 20180096164A KR 102127112 B1 KR102127112 B1 KR 10212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mer
nhch
catalyst
bro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441A (ko
Inventor
허정석
임영재
오문세
조선영
임성묵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17/34Oxygen atoms
    • C07D317/36Alkylene carbonates; Substituted alkylene carbonates
    • C07D317/38Ethylene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73Polyamines containing heterocyclic moieties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원료 물질로 사용하여 기존 촉매에 비해 높은 전환율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고수율로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process for preparing cyclic carbonate using hyper crosslinked polymers and hyper crosslinked polymers for selective formation of cyclic carbonates}
본 발명은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이용하여 알킬렌 옥사이드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고리형 카보네이트는 유기 용제, 합성 섬유 가공제, 의약품 원료, 화장품 첨가제, 리튬 전지용 전해액 용매로서, 나아가서는 알킬렌글리콜 및 디알킬카보네이트 합성의 중간체로서 넓은 용도에 사용되는 중요한 화합물의 하나이다.
종래, 이 고리형 카보네이트는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균일계 촉매의 존재하, 적당한 가압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합성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균일계 촉매로는, 알칼리 금속 등의 할로겐화물이나 제 4 급 암모늄염 등의 오늄염이 예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공업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중국특허 제101921257호에서는 상이한 할로겐이온을 갖는 강염기성 구형 스티렌 이온교환수지로 구성된 촉매를 이용하여 5-원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합성하였으며, 일본공개특허 소56-128778은 알칼리금속 화합물과 크라운 화합물로 이루어진 촉매계에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으며, 일본공개특허 소59-13776은 4급 암모늄과 알코올을 사용하였고, 일본공개특허 제2006-151891호에서는 Bu2SnI2 및 InCl3의 존재 하에서 에폭시 화합물과 CO2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고, WO 2005/003113은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할라이드(tetraalkyl phosphnium halide)를 사용하였고,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5694호는 금속염과 지방족고리 아민염으로 구성된 촉매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합성방법에 따르면 온화한 반응조건하에서는 반응 수율이 낮아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와 긴 반응시간이 필요하고, 원료인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사이드의 수분함량을 수백 ppm 이하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특허 제101921257호 일본공개특허 소56-128778 일본공개특허 소59-13776 일본공개특허 제2006-151891호 WO 2005/003113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56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이용하여 알킬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고효율 및 선택적으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규 구조의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CH2-R 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할로겐, 나이트로, -NR11R12, -N+R13R14R15X-,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3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4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5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6
이고,
R11은 수소 또는 -(CRaRb)m-Ar1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1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2는 수소, -(CRcRd)x-NH2, -(CRcRd)x-NH-(CReRf)y-NH2 또는 -(CRcRd)z-Ar2 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c 내지 Rg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2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3 내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7
[화학식 4]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8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W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09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0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1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2
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3
는 M에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Rg는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1 및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4
[화학식 2-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5
상기 화학식 1-1 및 2-1에서,
R1은 수소 또는 -CH2-R이고,
R은 -NR11R12, -N+R13R14R15X-,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6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7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8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19
이고,
R11은 수소 또는 -(CRaRb)m-Ar1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1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2는 수소, -(CRcRd)x-NH2, -(CRcRd)x-NH-(CReRf)y-NH2 또는 -(CRcRd)z-Ar2 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c 내지 Rg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2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3 내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0
[화학식 4]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1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W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2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3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4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5
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6
는 M에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Rg는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반응에 반응물과 생성물에 용해되지 않는 불균일계 촉매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은 보다 온화한 조건에서 높은 전환율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촉매는 불균일계이므로, 반응 후 생성물과 촉매를 단순 침전 및 여과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촉매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재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반응시, 상기 촉매의 재사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수한 전환율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 - 중합체 A의 IR 스펙트럼
도 2 - 중합체 B의 IR 스펙트럼
도 3 - 중합체 D의 IR 스펙트럼
도 4 - 중합체 E의 IR 스펙트럼
도 5 - 중합체 F의 IR 스펙트럼
도 6 - 중합체 H의 IR 스펙트럼
도 7 - 중합체 I의 IR 스펙트럼
도 8 - 중합체 Zn-H의 IR 스펙트럼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내 용어 “알킬”은 탄소 및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1가의 직쇄 또는 분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알킬 라디칼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 옥틸, 도데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 내 용어 “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페닐, 나프틸, 비페닐, 안트릴, 인데닐(indenyl), 플루오레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 내 용어 “알콕시”는 산소와 알킬이 결합된 1가의 원자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알킬’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알콕시 원자단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응물인 알킬렌 옥사이드는 화합물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에폭사이드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와 반응 시 모든 에폭사이드가 반응하여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7
[화학식 2]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8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CH2-R 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할로겐, 나이트로, -NR11R12, -N+R13R14R15X-,
Figure 112018081502896-pat00029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0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1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2
이고,
R11은 수소 또는 -(CRaRb)m-Ar1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1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2는 수소, -(CRcRd)x-NH2, -(CRcRd)x-NH-(CReRf)y-NH2 또는 -(CRcRd)z-Ar2 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c 내지 Rg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2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3 내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3
[화학식 4]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4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W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5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6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7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8
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39
는 M에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Rg는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 및 화학식 2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에서 R1은 -CH2-R 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의 정수이고, R은 할로겐, -NR11R12, -N+R13R14R15X-,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0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1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2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3
이고, R11은 수소 또는 -(CRaRb)m-Ar1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Ar1은 C6-C12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3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2는 수소, -(CRcRd)x-NH2, -(CRcRd)x-NH-(CReRf)y-NH2 또는 -(CRcRd)z-Ar2 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c 내지 Rg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Ar2은 C6-C12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3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3 내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알킬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할로메틸, -CH2NH2, -CH2NHCH2CH2NH2, -CH2-N+Me3X-, -CH2-N+Et3X-, -CH2NHCH2C(Me)2CH2NH2, -CH2NHCH2CH2NHCH2CH2NH2,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4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5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6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7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8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49
이고, M은 Mg2 +, Cr2 +, Fe2 +, Co2 +, Ni2 +, Cu2 + 또는 Zn2 +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3 및 화학식 4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에서 W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0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2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3
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4
는 M에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Rg는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5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6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7
이고, M은 Mg2 +, Cr2 +, Fe2 +, Co2 +, Ni2 +, Cu2 + 또는 Zn2 +이고, Rg는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8
[화학식 6]
Figure 112018081502896-pat00059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100 및 R10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알킬 또는 C6-C20아릴이거나, Ra와 Rb는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3-C7알킬렌으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알킬렌 옥사이드는 구체적으로 하기 구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0
(상기 R101는 C1-C7알킬 또는 C6-C12아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화학식 5의 알킬렌 옥사이드에 대해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한 반응속도와 선택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향상된 반응속도 및 고수율을 위해 암모늄계 또는 아민계 조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암모늄계 또는 아민계 조촉매는 상기 화학식 5의 알킬렌 옥사이드에 대해 0.01 내지 5.0 몰%, 좋게는 0.05 내지 1.0 몰%, 보다 좋게는 0.05 내지 0.5 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모늄계 조촉매로는 지방족 아민염, 방향족 아민염 또는 헤테로방향족 아민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NBu4Br),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NMe4Br),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NEt4BF4), 테트라프로필암모늄 브로마이드(NPr4Br), 테트라헥실암모늄 클로라이드(N[(CH2)5CH3]4Cl), 테트라펜틸암모늄 브로마이드(N[(CH2)4CH3]4Br), 테트라헵틸암모늄 브로마이드(N[(CH2)6CH3]4Br), 테트라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N[CH2)7CH3]4Br), 트리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CH3(CH2)11N(CH3)3Cl), 트리메틸테트라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CH3(CH2)13N(CH3)3Br), 트리메틸헥사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CH3(CH2)15N(CH3)3Cl), 메틸트리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CH3N[(CH2)7CH3]3Cl),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NBu4F),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NBu4Cl),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NBu4I),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bmim]Br),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bmim]Cl), 비스(트리페닐포스핀)이미늄 클로라이드([((C6H5)3P)2N]Cl, PPNC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아민계 조촉매는 구체적으로 트리에틸아민(Et3N),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운데-7-킨(DBU), 피리딘(C5H5N)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C7H10N2, DMA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조촉매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NBu4B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 온도는 40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반응온도가 너무 낮으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반응온도가 너무 높으면 원료인 알킬렌 옥사이드가 분해되어 최종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이산화탄소는 1 내지 10 bar의 압력으로 반응기에 공급된다. 반응 압력이 1 bar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고, 10bar 초과하면 반응속도의 증진 효과가 없으므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유기 용매 하에서 또는 니트(neat)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니트(neat)라 함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카보네이트를 반응시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급격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용매면 채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tert-메틸부틸에테르, 톨루엔, 이소프로필알코올, 다이옥산, 아세토나이트릴, 알킬렌 카보네이트 등의 유기 용매가 사용가능하나,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1 및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1
[화학식 2-1]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2
상기 화학식 1-1 및 2-1에서,
R1은 수소 또는 -CH2-R이고,
R은 -NR11R12, -N+R13R14R15X-,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3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4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5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6
이고,
R11은 수소 또는 -(CRaRb)m-Ar1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1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2는 수소, -(CRcRd)x-NH2, -(CRcRd)x-NH-(CReRf)y-NH2 또는 -(CRcRd)z-Ar2 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c 내지 Rg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Ar2은 C6-C20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10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3 내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1 및 화학식 2-1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에서 R1은 수소 또는 -CH2-R 이고, R은 할로겐, -NR11R12, -N+R13R14R15X-,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7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8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69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0
이고, R11은 수소 또는 -(CRaRb)m-Ar1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Ar1은 C6-C12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3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2는 수소, -(CRcRd)x-NH2, -(CRcRd)x-NH-(CReRf)y-NH2 또는 -(CRcRd)z-Ar2 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Rc 내지 Rg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Ar2은 C6-C12아릴이고, 상기 아릴은 하이드록시 및 C1-C3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13 내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3알킬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수소, 할로메틸, -CH2NH2, -CH2NHCH2CH2NH2, -CH2-N+Me3X-, -CH2-N+Et3X-, -CH2NHCH2C(Me)2CH2NH2, -CH2NHCH2CH2NHCH2CH2NH2,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1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2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3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4
,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5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6
이고, M은 Mg2 +, Cr2 +, Fe2 +, Co2 +, Ni2 +, Cu2 + 또는 Zn2+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7
[화학식 4]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8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W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79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0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1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2
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3
는 M에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Rg는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3 및 화학식 4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에서 W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4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5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6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7
이고,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8
는 M에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고, Rg는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89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0
또는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1
이고, M은 Mg2 +, Cr2 +, Fe2 +, Co2 +, Ni2 +, Cu2 + 또는 Zn2 +이고, Rg는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X-는 할로겐 음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바이페닐과 다이클로로메탄의 프리델-크래프츠(Friedel-Crafts) 반응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바이페닐의 벤젠 고리에 클로로메틸기를 도입한 후 다양한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아민화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2가 금속 착화합물과 반응시켜 착물화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페닐과 다이클로로메탄의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은 루이스 산 촉매 하에서 실시되며, 사용 가능한 루이스 산 촉매로는 염화제2철(FeCl3), 염화알루미늄(AlCl3), 염화제2주석(SnCl4), 삼불화붕소(BF3), 불화수소산(HF)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염화알루미늄, 염화제2주석 및 염화제2철이 반응성이 좋고 취급이 용이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서 다이클로로메탄은 바이페닐과 바이페닐을 메틸렌 브릿지로 가교시키는 가교제임과 동시에 반응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을 통해 제조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알킬할라이드 물질과 반응시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의 벤젠 고리에 할로알킬기를 도입시킬 수 있다.
일예로, 바이페닐 및 다이클로로메탄을 프리델-크래프츠 반응시켜 얻어지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파라포름알데히드-염산 또는 포르말린-염산과 같은 친핵성 클로로메틸화제와 인산, 황산 또는 염화알루미늄(AlCl3), 염화철(FeCl3), 염화아연(ZnCl2)와 같은 염화금속 촉매 존재하 아세트산, 다이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또는 클로로폼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써 원하는 함량의 클로로메틸기가 도입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얻어진 할로알킬기가 도입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아민화제, 즉 다양한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켜 아민화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아민화 반응을 통해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의 할로메틸기의 할로겐기는 아민기로 치환되거나 아민기와 약한 결합을 이루어 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아민화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 착화합물과 배위 결합하여 착물화된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약 및 이산화탄소(99.99 %)는 추가적인 정제 또는 건조 없이 사용하였다. 모든 반응은 150 ml 스테인리스 스틸 반응기(bomb reactor)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중합체 A의 수율(%)은 [중합체 A의 무게/단량체인 바이페닐의 무게]*100으로 계산하였다. 나머지 실시예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수율(%)은 [수득된 중합체의 무게/출발물질인 중합체의 무게]*100으로 계산하였다.
1H NMR은 베리안(Varian) 300 분광기를 사용하여 기록하였고, 모든 화학적 이동도는 내부 표준물질인 테트라메틸실란(tetramethyl silane)에 대해 ppm 단위로 기록하였다. IR 스펙트럼은 FT-IR (표면반사 적외선 분광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직접 측정하였다.
중합체 중의 금속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를 이용한 ICP 분석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Model : OPTIMA 7300 DV
- 제작회사 : Perkin-Elmer (USA)
- RF generator frequency : 40 MHz
- Optical system : Echelle polychromator
- Plasma viewing : Dual (Axial and Radial) viewing
- Wavelength range : 163 - 782 nm
- Detector system : 2 sets of SCD(Segmented-array Charge-coupled Device)
- Automatic On-line Hydride Generation System
[실시예 1] 중합체 B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2
중합체 A의 제조
중합체 A는 문헌 Sci. Adv. 2017;3: e1602610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00 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바이페닐 (0.77 g, 0.005 mol)과 알루미늄클로라이드 (AlCl3, 2.67 g, 0.02 mol)와 다이클로로메테인(DCM, 8 mL)을 넣고 질소 대기 하 0℃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고 30℃에서 8시간동안 교반한 후 40℃에서 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60℃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한 후 80℃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과 물을 2:1의 부피비로 섞어 만들어준 염산 수용액 (100 mL)을 가한 후 30분간 교반 시켜준 뒤 생성된 검은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과 메탄올로 씻어주었다. 얻어진 검은색 침전물을 메탄올 (200 mL) 중에서 다시 48시간동안 교반시킨 뒤 여과하고 60℃ 오븐에서 하룻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A를 흑갈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1.07 g, 수율 : 140 %).
FT-IR (ν max/cm-1): 2980 (C-H stretch), 1452(CH2 bending), 1600(phenyl C=C ring stretch)
중합체 B의 제조
중합체 A (400 mg),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FA, 2.0 g), 초산 (12 mL), 염산 (40 mL) 및 인산 (6.0 mL)을 100 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대기 하 90℃에서 3일동안 교반시켰다. 교반이 완료되면, 반응혼합물을 물과 메탄올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B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446 mg, 수율 : 107.8 %).
FT-IR (ν max/cm-1): 2934 (C-H stretch), 1452(CH2 bending), 1600(phenyl C=C ring stretch), 1230(CH2-Cl bending)
[실시예 2] 중합체 C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3
중합체 B (200 mg)와 암모니아수 (20 mL)를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90℃로 3일간 환류교반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생성물을 물과 메탄올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C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189 mg, 수율 : 94.5 %).
[실시예 3] 중합체 D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4
암모니아수 대신에 1,2-다이아미노에탄 (10 m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D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12 mg, 수율 : 106 %).
FT-IR (ν max/cm-1): 2956 (C-H stretch), 1452(CH2 bending), 1600(phenyl C=C ring stretch), 1620(N-H bending)
[실시예 4] 중합체 E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5
중합체 B (200 mg)와 피리딘 (1 mL)와 메탄올(10 mL)를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90℃로 3일간 환류교반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생성물을 물과 메탄올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E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2 mg, 수율 : 101 %).
FT-IR (ν max/cm-1): 2947 (C-H stretch), 1452(CH2 bending), 1600(phenyl C=C ring stretch)
[실시예 5] 중합체 F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6
피리딘 대신에 트리에틸아민 (1 m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F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9 mg, 수율 : 104.5 %).
FT-IR (ν max/cm-1): 2938 (C-H stretch), 1452(CH2 bending), 1610(phenyl C=C ring stretch), 1615(N-H bending)
[실시예 6] 중합체 G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7
암모니아수 대신에 2,2-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아민 (10 m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G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16 mg, 수율 : 108 %).
[실시예 7] 중합체 H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8
암모니아수 대신에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10 m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H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17 g, 수율 : 108.5 %).
FT-IR (ν max/cm-1): 2943 (C-H stretch), 1456(CH2 bending), 1596(phenyl C=C ring stretch), 1655(N-H bending)
[실시예 8] 중합체 I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099
화합물 J의 제조
오쏘-바닐린(ortho-Vanillin, 5 g)과 2,2-다이메틸-1,3-프로판다이아민 (1.67 g)을 넣고 상온에서 하루동안 교반시킨 뒤,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NaBH4) (3.5 당량)를 가하고 교반시킨 다음, 여과하여 화합물 J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298 K) - δ6.79 (dd, 2H, m-Ph), 6.74 (t, 2H, p-Ph), 6.66 (dd, 2H, m-Ph), 3.96 (s, 4H, NH- CH2-Ph), 3.86 (s, 6H, O-CH3), 2.56 (s, 4H, NH-CH2-C), 0.99 (s, 6H, C-(CH3)).
중합체 I의 제조
암모니아수 대신에 화합물 J (1 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I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7 mg, 수율 : 103.5 %).
FT-IR (ν max/cm-1): 2947 (C-H stretch), 2825 (OCH3 strech) 1475 (CH2 bending), 1569 (phenyl C=C ring stretch)
[실시예 9] 중합체 K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0
암모니아수 대신에 이미다졸(1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K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5 mg, 수율 : 102.5 %).
[실시예 10] 중합체 L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1
암모니아수 대신에 1-메틸이미다졸(10 m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중합체 L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8 g, 수율 : 104 %).
[실시예 11] 금속 착화합물 Zn-C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2
중합체 C (200 mg)와 초산아연 (50 mg)를 메탄올 (10 mL)에 넣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시켜준 후 생성물을 메탄올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여 표제화합물인 금속 착화합물 Zn-C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5 mg, 수율 : 102.5 %). 중합체 Zn-C의 ICP-MS(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ometry) 분석 결과, Zn 함량은 21849 ppm 이었다.
[실시예 12] 금속 착화합물 Zn-K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3
중합체 C 대신에 중합체 K (200 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금속 착화합물 Zn-K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5 g, 수율 : 102.5 %). 중합체 Zn-K의 ICP-MS(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ometry) 분석 결과, Zn 함량은 40397 ppm 이었다.
[실시예 13] 금속 착화합물 Zn-L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4
중합체 C 대신에 중합체 L (200 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금속 착화합물 Zn-L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5 g, 수율 : 102.5 %). 중합체 Zn-L의 ICP-MS(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ometry) 분석 결과, Zn 함량은 35198 ppm 이었다.
[실시예 14] 금속 착화합물 Zn-C-1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5
초산아연 대신에 브롬화아연(50 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금속 착화합물 Zn-C-1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1 mg, 수율 : 100.5 %). 중합체 Zn-C-1의 ICP-MS(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ometry) 분석 결과, Zn 함량은 18653 ppm 이었다.
[실시예 15] 금속 착화합물 Zn-D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6
중합체 C 대신에 중합체 D (200 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금속 착화합물 Zn-D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04 mg, 수율 : 102 %). 중합체 Zn-D의 ICP-MS(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ometry) 분석 결과, Zn 함량은 28624 ppm 이었다.
[실시예 16] 금속 착화합물 Zn-H의 제조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7
중합체 C 대신에 중합체 H (200 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인 금속 착화합물 Zn-H를 검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수득량 : 211 mg, 수율 : 105.5 %). 중합체 Zn-H의 ICP-MS(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ometry) 분석 결과, Zn 함량은 452487 ppm 이었다.
FT-IR (ν max/cm-1): 2943 (C-H stretch), 1456(CH2 bending), 1615(phenyl C=C ring stretch), 1646(N-H bending)
[실시예 17] 이산화탄소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
150 mL 테플론 용기에 촉매, 조촉매인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NBu4Br, TBAB)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10 mL)를 투입한 후, 상기 테플론 용기를 스테인리스 스틸 반응기(bomb reactor)에 넣어준다. 경우에 따라 초산아연을 추가한다. 상기 반응기에 2 bar의 CO2를 채우고 비워주는 과정을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10 bar의 CO2를 채워준다. 그 후 반응기를 잠근 후 60℃에서 교반하면서 24시간동안 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의 일부를 떠서 CDCl3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기 표 1에 사용한 촉매의 종류와 양, 조촉매의 양, 초산아연의 양,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양 및 생성물의 전환율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8
촉매 촉매 사용량 (mg) 조촉매 사용량 (mg) 초산아연의 양(mg)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양(mL) 전환율(%)
1 A 200 35 20 10 73.0
2 C 200 35 20 10 93.0
3 Zn-C 200 35 - 10 77.52
고리형 카보네이트 I의 1H NMR (300 MHz, CDCl3-d1) : δ1.51 (d, 3H), 4.05 (m, 1H), 4.60 (m, 1H), 4.90 (m, 1H)
[실시예 18] 이산화탄소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한 촉매의 재사용
150 mL 테플론 용기에 촉매, 조촉매인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NBu4Br, TBAB)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10 mL)를 투입한 후, 상기 테플론 용기를 스테인리스 스틸 반응기(bomb reactor)에 넣어준다. 상기 반응기에 2 bar의 CO2를 채우고 비워주는 과정을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10 bar의 CO2를 채워준다. 그 후 반응기를 잠근 후 60℃에서 교반하면서 24시간동안 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의 일부를 떠서 CDCl3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촉매를 분리회수하였으며, 분리회수된 촉매를 메탄올로 세척한 후 80℃ 오븐에서 10시간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촉매를 4회까지 반복 재사용하였다.
하기 표 2에 사용한 촉매의 종류와 양, 조촉매의 양,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양, 재사용 횟수 및 생성물의 전환율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81502896-pat00109
촉매 촉매 사용량 (mg) 조촉매 사용량 (mg)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양(mL) 재사용 횟수 전환율(%)
1 Zn-K 100 46 10 1 53
2 Zn-K 96 35 10 2 58
3 Zn-K 84 35 10 3 58
4 Zn-K 64 35 10 4 49
5 Zn-H 180 - 10 1 88.5
6 Zn-H 173 - 10 2 86.8
7 Zn-H 165 - 10 3 85
8 Zn-H 150 - 10 4 82.6
고리형 카보네이트 I의 1H NMR (300 MHz, CDCl3-d1) : δ1.51 (d, 3H), 4.05 (m, 1H), 4.60 (m, 1H), 4.90 (m, 1H)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산화탄소와 다양한 구조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시, 본 발명의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 50% 이상의 높은 전환율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는 촉매 활성을 잃지 않고 4회까지도 재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20051838977-pat00110

    [화학식 2]
    Figure 112020051838977-pat00111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CH2NH2, -CH2NHCH2CH2NH2, -CH2NHCH2C(Me)2CH2NH2, -CH2NHCH2CH2NHCH2CH2NH2,
    Figure 112020051838977-pat00159
    또는
    Figure 112020051838977-pat00160
    이고,
    a 및 b 중 하나는 1 또는 2의 정수이고, 나머지 하나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다.
  2.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촉매로 하여 이산화탄소와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고리형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20051838977-pat00116

    [화학식 4]
    Figure 112020051838977-pat00117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W는
    Figure 112020051838977-pat00173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Mg2+, Cr2+, Fe2+, Co2+, Ni2+, Cu2+ 또는 Zn2+인,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은 Mg2+, Cr2+, Fe2+, Co2+, Ni2+, Cu2+ 또는 Zn2+인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며, 상기 고리형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제조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20003912247-pat00132

    [화학식 6]
    Figure 112020003912247-pat00133

    (상기 화학식 5 및 6에서,
    R100 및 R10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알킬 또는 C6-C20아릴이거나, 상기 R100과 R101는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3-C7알킬렌으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암모늄계 조촉매 또는 아민계 조촉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계 조촉매 또는 아민계 조촉매는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에 대해 0.01 내지 5.0 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계 조촉매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NBu4Br),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NMe4Br),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NEt4BF4), 테트라프로필암모늄 브로마이드(NPr4Br), 테트라헥실암모늄 클로라이드(N[(CH2)5CH3]4Cl), 테트라펜틸암모늄 브로마이드(N[(CH2)4CH3]4Br), 테트라헵틸암모늄 브로마이드(N[(CH2)6CH3]4Br), 테트라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N[CH2)7CH3]4Br), 트리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CH3(CH2)11N(CH3)3Cl), 트리메틸테트라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CH3(CH2)13N(CH3)3Br), 트리메틸헥사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CH3(CH2)15N(CH3)3Cl), 메틸트리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CH3N[(CH2)7CH3]3Cl),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NBu4F),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NBu4Cl),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NBu4I),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bmim]Br),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bmim]Cl), 비스(트리페닐포스핀)이미늄 클로라이드([((C6H5)3P)2N]Cl, PPN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아민계 조촉매는 트리에틸아민(Et3N),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운데-7-킨(DBU), 피리딘(C5H5N)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C7H10N2, DMA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온도는 40 내지 100 ℃이고, 반응 압력은 1 내지 10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니트(neat) 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하기 화학식 1-1 및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화학식 1-1]
    Figure 112020051838977-pat00134

    [화학식 2-1]
    Figure 112020051838977-pat00135

    상기 화학식 1-1 및 2-1에서,
    R1은 수소 또는 -CH2-R이고,
    -CH2-R는 -CH2NH2, -CH2NHCH2CH2NH2, -CH2NHCH2C(Me)2CH2NH2, -CH2NHCH2CH2NHCH2CH2NH2,
    Figure 112020051838977-pat00168
    또는
    Figure 112020051838977-pat00169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다.
  13. 하기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동시에 포함하는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화학식 3]
    Figure 112020051838977-pat00140

    [화학식 4]
    Figure 112020051838977-pat00141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W는
    Figure 112020051838977-pat00174
    이고;
    M은 주기율표상 2족, 6족, 8족, 9족, 10족, 11족 또는 12족의 2가 금속이고,
    L은 아세톡시 또는 할로겐이다.
KR1020180096164A 2018-08-17 2018-08-17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KR10212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64A KR102127112B1 (ko) 2018-08-17 2018-08-17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64A KR102127112B1 (ko) 2018-08-17 2018-08-17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41A KR20200020441A (ko) 2020-02-26
KR102127112B1 true KR102127112B1 (ko) 2020-06-26

Family

ID=6963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64A KR102127112B1 (ko) 2018-08-17 2018-08-17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4245B (zh) * 2021-06-29 2022-09-13 福州大学 一种离子型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催化合成环碳酸酯的方法
CN115591580B (zh) * 2022-09-05 2023-09-12 华侨大学 一种二氧化碳环加成反应多位点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591586B (zh) * 2022-10-24 2024-03-15 西华师范大学 超交联聚合物负载金属催化剂用于合成环碳酸酯中的应用
CN115558086B (zh) * 2022-10-31 2024-05-14 华中科技大学 一种氟化超交联聚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6200B2 (ja) 2006-08-03 2013-10-02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ナル・リサーチ・マートスハツペイ・ベー・ヴエー 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US20180050328A1 (en) * 2015-04-15 2018-02-2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odified porous hypercrosslinked polymers for co2 capture and convers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778A (en) 1980-03-14 1981-10-08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Preparation of alkylene carbonate
JPS5913776A (ja) 1982-07-14 1984-01-24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アルキレンカ−ボネ−トの製造方法
EP1658279B1 (en) 2003-06-30 2007-11-1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opylene carbonate
KR100612957B1 (ko) 2004-06-04 2006-08-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염과 지방족환형 아민염으로 구성되어 있는 촉매계를이용한 알킬렌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JP2006151891A (ja) 2004-11-30 2006-06-15 Akio Baba 環状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KR101921257B1 (ko) 2018-06-27 2018-11-22 (주)백천정밀 파이프의 내압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6200B2 (ja) 2006-08-03 2013-10-02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ナル・リサーチ・マートスハツペイ・ベー・ヴエー 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US20180050328A1 (en) * 2015-04-15 2018-02-2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odified porous hypercrosslinked polymers for co2 capture and convers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Communications, Vol. 51, pp. 12076-12079(2015.06.16.)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Vol. 2, pp. 1286-1292(2009.09.11.)
Green Chemistry, Vol. 12, pp. 1514-1539(2010.08.06.)*
Organic Letters, Vol. 4(15), pp. 2561-2563(2002.06.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41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112B1 (ko)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초가교 바이페닐 중합체
EP2759546B1 (en) Metalloporphyrin complex,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nd its use as carbon dioxide fixation catalyst, as well as process for manufacturing cyclic carbonate
Yang et al. Facile synthesis of zinc halide-based ionic liquid for efficient conversion of carbon dioxide to cyclic carbonates
KR101821987B1 (ko) 고리형 카보네이트 제조용 금속 촉매, 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용도
KR101393945B1 (ko) 사이클릭 티오우레아의 사용에 의한 바이사이클릭 구아니딘의 제조방법
EP2818465A1 (en) 2-Oxo-1,3-dioxolane-4-acyl halide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5596258B2 (ja) カリックスアレーンダイマー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556481A (zh) 一种poss醇胺及其制备方法
JP2008308424A (ja) ポリグリセリルエーテル誘導体
CN115108912B (zh) 一种强碱性离子液体催化co2合成碳酸二甲酯的方法
CN114907197B (zh) 一种双吖丙啶基光交联探针中间体及衍生物的制备方法
KR102275319B1 (ko) 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도체의 제조 방법
JP6106103B2 (ja) 末端にアミノ基を有する狭分散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新規なアセタール基含有アルコール化合物及びそのアルカリ金属塩
EP2750798B1 (de) Katalysatoren für die herstellung von carbonaten aus epoxiden und co2
CN113072517A (zh) 一种五元含氧杂环化合物的合成方法
KR102100611B1 (ko) 고리형 카보네이트 제조용 금속 착화합물 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2275312B1 (ko) 말단에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 및 그의 원료가 되는 알코올 화합물
KR102166840B1 (ko) 다중 수소결합을 가지는 유기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고리형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1922520B1 (ko) 이산화탄소 포집용 신규 흡수제 및 이산화탄소 전환 촉매
Li et al. A novel approach to prepare fluorinated polyether glycol using phase-transfer catalysts
CN116768842A (zh) 一种合成环状碳酸酯的方法
CN117887062A (zh) 一种可控合成低分子量窄分布聚醚多元醇的方法
KR101839085B1 (ko) 신규 이산화탄소 전환 아민계 촉매
WO2022131098A1 (ja) マレイミド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EP4032872A1 (en) Method for producing fluorine-containing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