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920B1 -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 Google Patents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920B1
KR102126920B1 KR1020200016618A KR20200016618A KR102126920B1 KR 102126920 B1 KR102126920 B1 KR 102126920B1 KR 1020200016618 A KR1020200016618 A KR 1020200016618A KR 20200016618 A KR20200016618 A KR 20200016618A KR 102126920 B1 KR102126920 B1 KR 10212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einforcing
strut
pos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욱
박원균
Original Assignee
(주)신화
주식회사 가나
(주)호남엠엔씨
(주)월드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 주식회사 가나, (주)호남엠엔씨, (주)월드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신화
Priority to KR102020001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용 난간 지주를 보강할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지주에 관한 것으로, 지주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영향을 받지않고, 별도의 설치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지주 내측면과 대응되어 지면과 지주가 맞닿는 부분의 지지력 및 결합력 또한 보강할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지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POST REINFORCED STRUCTURE AND POS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행자용 난간 지주를 보강할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지주에 관한 것으로, 지주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영향을 받지않고, 별도의 설치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지주 내측면과 대응되어 지면과 지주가 맞닿는 부분의 지지력 및 결합력 또한 보강할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에 저항할 수 있는 가드레일이나 방호울타리 등은 지주의 강성 등을 보강하기 위한 제품이나 시공방법 등이 다수 존재하나 인도용 울타리, 보행자 난간, 디자인된 휀스 등은 별도의 지주 보강을 위한 개발이 미진한 상태이다.
이는 보행자용 난간에는 특별히 강도에 따른 규정이 없어 단순 설치되었으나 최근에는 관련 기준이 강화되면서 보행자용 난간이 갖는 수평하중이 일정하중이상을 견디게 제조해야한다.
특히 기존에 설치된 제품들의 경우 원가를 낮추기 위해 최대한 얇은 두께로 제작되었으나 보강된 성능기준규정으로 인해 대부분의 제품이 설치되기 어려우며, 도 9와 같이 수평하중시험을 통해 테스트를 거치면서 지주의 강도가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보행자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 보강을 위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에 가드레일 지주에 보강하는 구조는 주로 지주 외측에 구비되어 지주 주변에 펼쳐져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많이 차지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거나 지면의 급경사가 시작되는 곳 등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난간의 경우 설치면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상술된 가드레일용 보강 구조체 등은 설치되기 부적절한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보강구조체와 같이 지주 외측에 구비될 경우 설치면적의 증가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발 등에 걸릴 수 있고, 외부 날씨 등에 의해 쉽게 변성되거나 녹슬 우려 또한 존재한다.
한편, 선행문헌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8366호에는 "강도 보강형 난간 지주(이하, 선행기술)"가 기재되어 있다(도 10 참조).
상술된 선행기술의 경우 난간 지주(20) 내부에 구비되는 보강프레임(30) 또한 지면으로 내삽되어야 하는데 이때 타공되기 어려운 지면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지면의 경우 보강프레임(30) 삽입을 위해 별도의 타공작업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지표면에 균열이 생길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지주(20) 높이 전반에 걸쳐 보강프레임(30)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조단가, 관리비용 등이 함께 증가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8366호 (2012.08.29.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주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별도의 설치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보행자용 난간 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고, 각 구성간의 결합시 별도의 결합부재가 불필요하며, 지주 하단 내측에 구비되어 지주를 보강하기 때문에 생산단가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의 힘이 주로 가해지는 부분에 대응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지주의 휘어짐 등을 방지하고, 지주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주 내측에는 지주 보강 구조체와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지주 보강 구조체와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자의 의도에 따라 필요한 보강구조를 채택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결합할 수 있는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주 내부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주 보강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상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설치브라켓 상면 중앙에 수직돌출하여 구비되는 보강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는 상기 보강구조체와 결합시 상기 보강브라켓이 내측으로 내삽되고, 상기 지주의 하면은 상기 설치브라켓 상면에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주가 휘어지면 상기 지주 내측면이 상기 보강브라켓과 맞닿아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브라켓의 상면은 일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보강브라켓의 일단에는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보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설치브라켓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형성 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브라켓의 너비와 대응되게 서로 이격된 고정레일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고정레일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보강브라켓의 일측 하단에는 수직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브라켓의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고정레일의 측면 하단은 수직함몰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브라켓이 상기 고정레일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홈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내삽된다.
또한, 보강구조체는 상기 지주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고정브라켓이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외측고정브라켓은 지면으로 내삽되는 내삽구 및 상기 내삽구 상단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 외측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구로 구성된다.
이때, 밀착구와 상기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부분에는 체결부재가 상기 밀착구와 상기 설치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지주는 상술된 지주 보강 구조체가 하단 내측으로 내삽되어 구비되며,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다.
이때, 지주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브라켓의 말단측으로 수직돌출되며, 상기 보강브라켓의 너비에 대응되게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 보강 구조체가 상기 지주로 내삽시 상기 보강브라켓이 상기 결합돌기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움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는 지주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별도의 설치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며, 보행자용 난간 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고, 각 구성간의 결합시 별도의 결합부재가 불필요하며, 지주 하단 내측에 구비되어 지주를 보강하기 때문에 생산단가 또한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외부의 힘이 주로 가해지는 부분에 대응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지주의 휘어짐 등을 방지하고, 지주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지주 내측에 다수개의 결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보강브라켓과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강구조체와 지주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 및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일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작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가 구비된 지주에 외측 지지구조체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기존의 보행자용 난간에 수평하중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종래의 선행문헌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인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일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작용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보강 구조체가 구비된 지주에 외측 지지구조체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체(1)는 보행자용 난간에 사용되는 지주(2)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주(2)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강구조체(1)는 지면에 직접 설치되는 설치브라켓(10)과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지주(2) 내측으로 삽입되는 보강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설치브라켓(10)은 지주(2)의 하면에 구비되어 지면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브라켓(10)은 지주(2)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되, 외경이 지주(2) 하면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고(도 1 참조), 지주(2) 하면 외경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설치브라켓(1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상면에 직교하는 형태로 보강브라켓(20)이 구비된다.
보강브라켓(20)은 지주(2)의 높이방향과 동일하게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져 지주(2)가 일측으로 휘어질 경우 보강브라켓(20)이 내측에 걸림으로써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강브라켓(20)은 측면이 긴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데 정면과 배면이 지주(2) 내측에 근접하거나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브라켓(20)의 정면 또는 배면은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보강브라켓(20) 및 설치브라켓(10)을 회전시켜 지주(2)와 결합시키도록 한다.
특히, 주로 힘이 가해지는 인도 또는 차도측 방향과 대응되도록 보강브라켓(20)이 구비되어 지주(2) 내측에서 밀어주는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1a와 같이 상면이 경사를 갖는 경사면(20a)이 형성되고, 경사 상측이 주로 힘이 가해지는 방향측을 향하도록 하여 보강브라켓(20)의 미는 힘이 외력에 대향하도록 하고, 지주(2) 상측으로도 보강브라켓(20)의 미는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주(2)가 외력에 의해 휘어질 경우 오히려 내장된 보강프레임(20)의 형상에 걸려 과도하게 휘어질 우려가 존재하므로 도 1a와 같이 타공홀(20b)이 보강프레임(20)의 측면방향으로 다수개 관통형성됨으로써 지주(2)로 힘이 가해지면 보강프레임(20)의 타공홀(20b)로 힘을 흡수하여 지주(2)가 과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강브라켓(20)은 도 2의 (A)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2의 (B)와 같이 상면이 물결형상을 가지는 육면체로도 보강프레임(20')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강브라켓(20)의 다른 실시예로 도 2의 (C)와 같이 보강브라켓(20)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보강돌기(21)가 형성된다.
보강돌기(21)는 지주(2)에 외력이 가해질 때 지주(2) 내측면과 밀착되는 면적을 넓혀 보강브라켓(20)의 미는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지주(2)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보강돌기(21)는 도 2의 (C)와 같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보강브라켓(20)의 상면이 'T' 형상을 가지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4와 같이 일측면으로 보강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상면이 'ㄱ' 형상을 가지는 기둥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돌기(21)를 통해 지주(2)가 보강브라켓(20)에 걸려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주(2)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는, 보다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2의 (D)와 같이 상면이 'ㄷ' 형상을 가지는 기둥형태의 보강프레임(20'')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설치브라켓(10) 및 보강브라켓(20)으로 이루어진 보강구조체(1)는 일체형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이나 보관 등의 편의를 위해 서로 분리되어 제작 및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브라켓(20)이 설치브라켓(10)에 수직하도록 구비될 경우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보강구조체(1) 설치가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3 및 3a와 같이 설치브라켓(10)의 상면에는 보강브라켓(20)이 상기 설치브라켓(10)에 쉽게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30)이 형성된다.
고정레일(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설치브라켓(10) 상면에 보강브라켓(20)이 구비될 위치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레일(30)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보강브라켓(20)이 고정레일(3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설치브라켓(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브라켓(20)에 보강돌기(21)가 형성되는 경우 도 4의 (A)와 같이 보강돌기(21)와 고정레일(30)이 맞닿아 외력에 대응되는 힘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보강돌기(21)가 위치한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단순히 보강브라켓(20)만의 미는힘이 아닌 고정레일(30) 또한 보강돌기(21)를 포함한 보강브라켓(20)을 지지함으로써 지주(2) 자체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도 5 참조).
도 4의 (B)와 같이 보강돌기(21)가 형성된 보강브라켓(20) 또한 고정레일(3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설치브라켓(10)에 결합고정될 수 있되, 고정레일(30)의 연장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보강브라켓(20)의 일면이 지주(2) 내측에 밀착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고정레일(30)은 설치브라켓(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레일(30)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보강브라켓(20)을 단순히 끼워 슬라이드이동시킴으로써 설치브라켓(10)에 결합시킬 수는 있으나 다소 결합력이 약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보강돌기(21)가 형성된 정면 또는 배면이 아닌 측면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보강브라켓(20)이 고정레일(30)을 이탈할 경우 오히려 보강브라켓(20)의 무게에 의해 지주(2)가 쓰러질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체(1)의 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이 걸림돌기(22)가 형성된 보강브라켓(20) 및 걸림홈(31)이 형성된 고정레일(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홈(31)이 형성된 고정레일(30)을 제1 고정레일(30a)로, 걸림홈(31)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레일(30)을 제2 고정레일(30b)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보강브라켓(20)의 일측 하단, 즉 고정레일(30) 중 제1 고정레일(30a)과 대응되는 측면 하단에는 보강브라켓(20)의 측면에 수직돌출된 걸림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2)와 대응되는 제1 고정레일(30a)의 측면 하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측면이 함몰된 걸림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레일(30)에 보강브라켓(20)을 구비시 걸림돌기(22)가 걸림홈(31) 내측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보강브라켓(20)이 고정레일(30)에 단순히 끼워지는 것이 아닌 걸림홈(31)에 걸림돌기(22)가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강브라켓(20)의 측면 중 어느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보강브라켓(20)은 걸림돌기(22)가 걸림홈(31)에 걸린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고정레일(30) 및 설치브라켓(10)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체(1)는 지주(2) 외측에 구비될 수 있는 외측고정브라켓(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외측고정브라켓(40)은 도 7과 같이 지면에 묻혀 고정되는 내삽구(41)와, 상기 지주(2) 외측면의 굴곡된 부분과 대응되며 지주(2)에 밀착된 상태로 직접 결합되는 밀착구(42)로 나뉘어진다.
내삽구(41)는 지면에 용이하게 묻힐 수 있도록 하단이 뾰족한 경사를 가지며, 지면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타공작업이 이루어져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내삽구(41)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밀착구(42)가 구비되고, 밀착구(42)는 지주(2)의 하단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밀착구(42)와 설치브라켓(10)이 맞닿는 부분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B)를 통해 결합고정될 수 있고, 설치브라켓(10)과 외측고정브라켓(40)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측고정브라켓(4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지주(2)의 내측과 외측 모두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의 지지력 및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어 지주(2)의 지지력을 보다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된 내용은 보강구조체(1)에 관한 것으로 설치브라켓(10)의 상측에 지주(2)가 구비되어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그러나 보강구조체(1)가 단순히 지주(2)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 만으로는 보강구조체(1)와 지주(2)간의 결합력은 다소 약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보강구조체(1)와 지주(2)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보강브라켓(20)의 다양한 두께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주(2) 내측에는 결합돌기(2a)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지주(2) 내측 중 양측에는 중앙방향으로 수직돌출된 결합돌기(2a)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돌기(2a)는 단일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8과 같이 결합돌기(2a)간의 이격거리를 갖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a',2a'',2a''')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A)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보강브라켓(20)은 대응되는 결합돌기(2a)간의 이격거리가 가장 적은 한 쌍의 결합돌기(2a')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도 8의 (A)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도 8의 (B)와 같은 보강브라켓(20)과 결합될 경우 상기 보강브라켓(20)과 대응되는 이격거리를 갖는 한 쌍의 결합돌기(2a'') 내측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강돌기(21)가 형성된 보강브라켓(20)의 경우 일측 말단이 아닌 중앙측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2a)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도 8의 (C) 참조).
따라서, 상술된 결합돌기(2a)가 형성된 지주(2)를 통해 보강구조체(1)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보강브라켓(20)의 다양한 두께에도 지주(2)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된 도 2의 (D)와 같이 상하면이 'ㄷ' 형상의 기둥형태를 갖는 보강프레임(20'')의 경우 지주(2)와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돌기(2a)는 보강프레임(20'')의 말단측, 즉 지주(2) 내부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보강프레임(20'')의 말단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보강구조체 10: 설치브라켓
20: 보강브라켓 20a: 경사면
21: 보강돌기 22: 걸림돌기
30: 고정레일 30a: 제1 고정레일
30b: 제2 고정레일 31: 걸림홈
40: 외측고정브라켓 41: 내삽구
42: 밀착구 2: 지주
2a: 결합돌기
B: 체결부재

Claims (9)

  1. 지주 내부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주 보강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상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설치브라켓 상면 중앙에 수직돌출하여 구비되는 보강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는 상기 보강구조체와 결합시 상기 보강브라켓이 내측으로 내삽되고, 상기 지주의 하면은 상기 설치브라켓 상면에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주가 휘어지면 상기 지주 내측면이 상기 보강브라켓과 맞닿아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고,
    상기 설치브라켓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형성 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브라켓의 너비와 대응되게 서로 이격된 고정레일;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고정레일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의 상면은 일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의 일단에는 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보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의 일측 하단에는 수직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브라켓의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고정레일의 측면 하단은 수직함몰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브라켓이 상기 고정레일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홈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체는 상기 지주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고정브라켓;이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외측고정브라켓은 지면으로 내삽되는 내삽구; 및 상기 내삽구 상단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 외측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와 상기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부분에는 체결부재;가 상기 밀착구와 상기 설치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보강 구조체.
  8. 제1항에 기재된 지주 보강 구조체가 하단 내측으로 내삽되어 구비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지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브라켓의 말단측으로 수직돌출되며, 상기 보강브라켓의 너비에 대응되게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 보강 구조체가 상기 지주로 내삽시 상기 보강브라켓이 상기 결합돌기간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KR1020200016618A 2020-02-11 2020-02-11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KR10212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18A KR102126920B1 (ko) 2020-02-11 2020-02-11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18A KR102126920B1 (ko) 2020-02-11 2020-02-11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920B1 true KR102126920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18A KR102126920B1 (ko) 2020-02-11 2020-02-11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727A (ko) * 2009-05-07 2010-11-17 (주) 금성산업 보강 지주조립체
KR101178366B1 (ko) 2012-03-06 2012-08-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강도 보강형 난간 지주
KR2013001330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성원안전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방법
KR101235188B1 (ko) * 2011-05-18 2013-03-05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727A (ko) * 2009-05-07 2010-11-17 (주) 금성산업 보강 지주조립체
KR101235188B1 (ko) * 2011-05-18 2013-03-05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2013001330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성원안전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방법
KR101178366B1 (ko) 2012-03-06 2012-08-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강도 보강형 난간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2044345B1 (ko) 하중분산형 방음벽 및 이의 방음패널 교체방법
KR101415947B1 (ko)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2126920B1 (ko) 지주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지주
KR101208327B1 (ko) 보강 및 지지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KR200421527Y1 (ko)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US20080145145A1 (en) Guidepost for a Road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20000535U (ko) 조립성과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중앙분리대용 지주
KR200390596Y1 (ko)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KR200416629Y1 (ko) 에이치빔 지주 지지 조립체
JP4397254B2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防音壁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KR101701782B1 (ko) 지주의 지지력 보강 기능을 갖는 가드레일
KR100589648B1 (ko) 조립식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429832Y1 (ko) 조립식 벽
KR102476066B1 (ko) 무단횡단 방지 난간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KR20110057410A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75551Y1 (ko) 맨홀 커버
JP6934803B2 (ja) フェンス
KR101060165B1 (ko) 교량난간용 지주앙카박스
KR102209744B1 (ko) 리모델링 방음벽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