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44B1 -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44B1
KR102126844B1 KR1020170161791A KR20170161791A KR102126844B1 KR 102126844 B1 KR102126844 B1 KR 102126844B1 KR 1020170161791 A KR1020170161791 A KR 1020170161791A KR 20170161791 A KR20170161791 A KR 20170161791A KR 102126844 B1 KR102126844 B1 KR 10212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ailing
width
wind
wind d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031A (ko
Inventor
우종화
Original Assignee
우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화 filed Critical 우종화
Priority to KR102017016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에 구비되는 난간에 설치되어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기술로서, 상기 난간을 감싸게 되고, 하단측에 고정을 위한 볼팅용 플랜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단으로부터 폭이 증가되는 제1구간과 폭이 감소되는 제2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지편; 상기 제1구간에 부착되는 판상의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Wind deflector for a railing}
본 발명은 교량 등에 구비되는 난간에 설치되어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기술이다.
태풍이나 국지적인 기압 변화로 인해 돌풍과 같은 강풍이 불게 되면 각종 시설물의 피해뿐 아니라 인명피해가 발생되기도 한다.
강풍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관련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219호의 "맞바람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맞바람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맞바람 차단장치는 갑판의 현측에서 갑판 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갑판의 현측에 탑재되는 현장유닛 및 상기 현장유닛의 상단부에 상방을 향한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현장유닛을 딸 유동되는 바람이 통과하도록 에어홀을 갖는 차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선체의 현측 외부에서 갑판 내측으로 불어오는 바람이 현장유닛(110)의 외벽부를 따라 차단유닛(12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데, 에어홀(122) 측으로 바람이 유도되면 에어홀이 배치된 영역에서 압력 차이에 의해 에어홀(122)을 통과하게 되고 차단유닛(120)의 상부로 바람이 분사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커튼은 차단유닛의 상단부를 넘어 오려는 바람을 막아 조타실 측으로 맞바람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차단유닛이 볼록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차단유닛의 정점부에 좁은 에어홀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현장유닛(110)을 향해 몰아치는 바람의 일부만이 에어홀을 통해 상승 유동되고, 상당량의 바람은 에어홀을 통과하지 못하고 되돌아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난류를 형성하면서 되돌아 나오는 바람은 오히려 차단유닛(120)으로 바람이 진입되는 것을 막게 되는 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교량이나 방파제와 같은 건축물에는 안전을 위한 난간이 설치되며, 난간은 보통 길다란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 지지대를 갖춘 형태를 이루고 있고, 바람이 측면으로 통과되도록 하기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사람이나 시설물에 위험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219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난간에 설치하여 바람의 이동경로를 상방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이나 방파제를 따라 기 설치된 난간에 방풍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상기 난간을 감싸게 되고, 하단측에 고정을 위한 볼팅용 플랜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단으로부터 폭이 증가되는 제1구간과 폭이 감소되는 제2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지편; 상기 제1구간에 부착되는 판상의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천공된 조망창이 형성되며, 상기 조망창에는 투명한 조망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지지편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는 폭이 일정한 등폭구간과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경사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절곡되어 상기 등폭구간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경사구간에 결합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상기 지지편과 상기 유도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에 하나 풍력모듈이 장착되어 전기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안전을 위해 교량이나 방파제 등에 설치되는 난간에 부설됨으로써 바람의 경로를 상승되게 하여 사람이나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의 이동경로 상에 풍력모듈을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맞바람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A섹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B섹션 단면도.
도 6은 지지편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섹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B섹션 단면도이며, 도 6은 지지편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난간의 시공시나 기 설치된 난간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대표적으로 교량이나 방파제를 따라 설치되는 난간에 적용될 수 있다. 안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난간은 이외에도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되므로 특별히 교량이나 방파제용 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그 구성요소로 바디부(100), 지지편(200) 및 유도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100)는 난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고정을 위해 하단측에 볼팅용 플랜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단으로부터 폭이 증가되는 제1구간(210)과 폭이 감소되는 제2구간(220)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지편(200)이 마련된다.
제1구간(210)에 판상의 유도플레이트(300)가 결합되며, 지지편(200)과 유도플레이트(300)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이 유로를 통해 공기의 흐름은 상향으로 유도된다.
<제1실시예>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방조제에 설치된 난간(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보여주는 것이다.
바다를 향한 방조제 끝부분을 따라 안전을 위해 연속적인 난간(10)이 설치되며, 바닥에 앵커볼트를 박아 난간을 고정 설치하게 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하여 난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난간으로는 사람이 추락하거나 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지만, 바람을 막아주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사람에게 위험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방풍시설이 요구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난간(10)의 양측면과 상부를 감싸는 형태의 바디부(100)를 마련하도록 하며, 난간(10) 위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ㄷ 자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100)를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부(100)는 지면에 고정시켜야 하는 바, 바디부(100)의 하단측에 고정을 위한 볼팅용 플랜지(110)를 두도록 한다. 볼팅용 플랜지(110)에 앵커볼트(20)를 박아 바디부(100)를 지면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편(200)이 연결되며, 지지편(200)은 소정두께를 갖는 판상체이되, 직립되게 세워져 지지편(200)의 일단이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지지편(200)은 상하 방향으로 그 폭이 변하게 되는데, 크게 제1구간(210)과 제2구간(220)으로 구분된다.
바디부(100)에 결합되는 지지편(200)의 일단은 수직한 일직선을 이루지만, 지지편(200)의 타단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제1구간(210)이 형성되는데, 제1구간(210)은 폭이 증가되는 양상을 이루며, 제1구간(210)에 연이어 형성되는 제2구간(220)은 폭이 감소되는 양상을 이루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구간(210)의 경우 도 4와 같이 지지편(200)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는 폭이 일정한 등폭구간(210a)이 형성되며, 등폭구간(210a)에 연이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경사구간(210b)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구간(220)은 폭이 감소되는 제1슬로프(221), 폭이 일정한 등폭구간(222) 및 폭이 감소되는 제2슬로프(2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편(200)의 제1구간(210)에 부착되는 판상의 유도플레이트(300)가 마련되며, 유도플레이트(300)는 제1구간(210)의 형상에 맞게 절곡되게 형성되어 지지편(200)의 제1구간(210)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유도플레이트(300)는 수직부(310)와 경사부(320)가 일체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며, 수직부(310)는 제1구간(210)의 등폭구간(210a)에 대응하여 결합되며, 경사부(320)는 제1구간(210)의 경사구간(210b)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복수의 지지편(200)의 제1구간(210)에 유도플레이트(300)가 결합되면, 이웃하는 지지편(200) 사이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부가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로 작용하게 된다. 즉, 바람이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경우 바람은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부딪히게 되고 바디부(100)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지편(200)과 유도플레이트(300)의 형상에 의해 상승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소정의 길이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난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나의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에는 3개의 지지편(200)이 등간격으로 결합되게 한다.
한편, 바디부(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천공된 조망창(1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조망창(120)에는 투명한 조망패널(130)을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조망패널(130)은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100)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조망창(120)을 두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시야를 지나치게 가리지 않도록 하고, 경량화 및 소재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지지편(200)과 유도플레이트(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에 하나 이상의 풍력모듈(400)이 설치되어 바람을 이용한 전기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풍력모듈(400)은 공기유로를 따라 상승 이동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팬을 구비하는 것이며, 팬의 회전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어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되게 하거나 전기를 필요한 소요처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풍력모듈(400)은 공기의 흐름, 즉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풍력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는 ESS에 저장되거나 인근의 가로등을 비롯한 각종 조명 등의 전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형태가 상이한 난간에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기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난간을 감싸는 바디부(100)가 마련되며, 바디부(100)의 하단측에 고정을 위한 볼팅용 플랜지(110)가 형성된다.
제1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바디부(100)는 내측면은 수직한 일직선 형태이나, 외측면은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상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바디부(100)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천공된 조망창(120)이 형성되고, 조망창(120)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조망패널(130)이 결합된다.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복수의 지지편(200)이 결합되고, 지지편(200)에 유도플레이트(300)가 결합됨으로써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기 설치된 난간이나 새롭게 난간을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난간의 형상에 따라 바디부의 형상은 조금씩 변화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난간의 상부,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의 바디부를 가지게 됨으로써 난간을 감싸도록 바디부를 설치하고, 바디부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러한 바디부의 외측면에 불어오는 바람을 상승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편과 유도플레이트를 갖추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난간에 부설하여 바람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안전을 확보하면서 공기가 상승되는 유로에 풍력모듈을 장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각종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어 방풍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기술이다.
100 : 바디부
110 : 볼팅용 플랜지 120 : 조망창
130 : 조망패널
200 : 지지편
210 : 제1구간 210a: 등폭구간
210b: 경사구간 220 : 제2구간
221 : 제1슬로프 222 : 등폭구간
223 : 제2슬로프
300 : 유도플레이트
310 : 수직부 320 : 경사부
400 : 풍력모듈
10 : 난간
20 : 앵커볼트

Claims (4)

  1. 난간에 설치되는 윈드 디플렉터로서,
    상기 난간을 감싸게 되고, 하단측에 고정을 위한 볼팅용 플랜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단으로부터 폭이 증가되는 제1구간과 폭이 감소되는 제2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지지편;
    상기 제1구간에 부착되는 판상의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지지편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되는 폭이 일정한 등폭구간과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경사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절곡되어 상기 등폭구간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경사구간에 결합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구간은, 폭이 감소되는 제1슬로프와, 폭이 일정한 등폭구간, 폭이 감소되는 제2슬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천공된 조망창이 형성되며, 상기 조망창에는 투명한 조망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는,
    상기 지지편과 상기 유도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에 하나 풍력모듈이 장착되어 전기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KR1020170161791A 2017-11-29 2017-11-29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KR102126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91A KR102126844B1 (ko) 2017-11-29 2017-11-29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91A KR102126844B1 (ko) 2017-11-29 2017-11-29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31A KR20190063031A (ko) 2019-06-07
KR102126844B1 true KR102126844B1 (ko) 2020-06-25

Family

ID=6685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791A KR102126844B1 (ko) 2017-11-29 2017-11-29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5883B (zh) * 2020-04-21 2022-01-11 兰州理工大学 一种x型挡风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41B1 (ko) * 2008-01-14 2008-05-22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교량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방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852A (ja) * 1994-11-09 1996-05-28 R Kogyo Mitsuwa Kk 遮蔽板付き柵
KR20000072478A (ko) * 2000-09-06 2000-12-05 강자승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KR20130085878A (ko) * 2012-01-20 2013-07-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바람제어기
KR20150001219U (ko) 2013-09-13 2015-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맞바람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41B1 (ko) * 2008-01-14 2008-05-22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교량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방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31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172B1 (ko) 부체식 플랩 게이트
ES2912955T3 (es) Módulo de valla/barandilla/puerta
JP2006090116A (ja) 目隠しパネル及び防風パネル
EP3272940B1 (en) Wind shield wall and structure comprising such wall
KR102126844B1 (ko)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KR101923675B1 (ko) 전동식 진입차단바를 이용한 빗물펌프장 예경보시스템
KR101423496B1 (ko) 비구방지용 안전망 휀스
KR102104814B1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KR100582445B1 (ko) 도로나 철도부근 하천수의 월류방지 구조
US20110113546A1 (en) Swimming Pool and Spa Co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2587301B (zh) 双层柔性防风网
CN109469013B (zh) 生态化河道挡墙
KR102125681B1 (ko) 조류충돌방지기능을 갖는 유지,보수형 투명방음패널
KR200361536Y1 (ko) 조립식 가이드 펜스
KR102222363B1 (ko) 펜스 기둥구조물
KR101880475B1 (ko) 윈드 디플렉터
CN211949893U (zh) 一种新型热镀锌铁路防护网
KR101925221B1 (ko) 조류 충돌방지 기능이 구비된 투명 홍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03898A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어셈블리
JP2014043685A (ja) 目隠し防風パネル
EP3992398A1 (en) Surf pool and component set for constructing a surf pool
JP2004278062A (ja) 防風雪柵
KR102526154B1 (ko) 디스플레이 난간장치
JP6803119B2 (ja) 屋外地表面の風呼び込み方法及び構造
CN210316828U (zh) 一种钢结构的围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