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540B1 -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540B1
KR102125540B1 KR1020140059051A KR20140059051A KR102125540B1 KR 102125540 B1 KR102125540 B1 KR 102125540B1 KR 1020140059051 A KR1020140059051 A KR 1020140059051A KR 20140059051 A KR20140059051 A KR 20140059051A KR 102125540 B1 KR102125540 B1 KR 10212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sensor
uni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759A (ko
Inventor
이종환
이정환
엄주혁
주우진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수위센서 및 이을 포함하는 물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는 수위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조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WATER LEVEL SENSOR AND WATER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할 수 있는 수위의 변경이 가능한 수위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수위센서는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위센서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 등에 구비되어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는 물이 접촉하면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이용하는 전기 전도식이나, 수위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정전 용량식일 수 있다. 그러나, 수위센서는 전술한 전기 전도식이나 정전 용량식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수위센서는 물저장탱크의 만수위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만수위가 되면, 수위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물저장탱크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수위센서는 감지할 수 있는 수위를 변경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만수위센서로 수위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물이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물이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저장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 물때가 끼거나 세균이 증식하는 등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저하된다.
또한, 물저장탱크에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물을 가열하고 냉각하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수위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에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나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위센서는 수위를 측정하는 감지부; 감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연결되며 감지부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조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는 연결부가 회전되도록 하여 감지부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감지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제1연결부재에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에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유입된 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탱크본체; 및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전술한 수위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연결되며 감지부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수위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수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에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나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물저장탱크에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일 감지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물저장탱크에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다른 감지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물저장탱크에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또 다른 감지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7은 도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수위센서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물저장탱크에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일 감지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는 물저장탱크에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다른 감지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은 물저장탱크에 구비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또 다른 감지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7은 도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00), 연결부(300) 및, 조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200)는 물이 접촉하면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이용하는 전기 전도식이나, 수위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는 정전 용량식 등에 의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부(200)에서 수위를 측정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연결부(300)는 감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는 감지부(200)와 일체로 되어 감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300)가 감지부(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이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부(300)는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 및 제3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10)는 감지부(200)와 일체로 되어 감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재(310)가 감지부(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이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320)는 제1연결부재(310)에 소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320)는 제1연결부재(310)와 일체로 되어 제1연결부재(310)에 소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재(320)가 제1연결부재(3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이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재(320)가 제1연결부재(310)에 연결되는 각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재(320)가 제1연결부재(310)에 연결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조작부(400)에 의해서 감지부(200)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각도라면 어떠한 각도라도 가능하다.라도 가능하다.
제3연결부재(3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320)에 소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330)는 제2연결부재(320)와 일체로 되어 제2연결부재(320)에 소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3연결부재(330)가 제2연결부재(3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이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3연결부재(330)가 제2연결부재(320)에 연결되는 각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일 수 있다. 그러나, 제3연결부재(330)가 제2연결부재(320)에 연결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조작부(400)에 의해서 감지부(200)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각도라면 어떠한 각도라도 가능하다.
조작부(400)는 연결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전술한 연결부(300)의 제3연결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연결부(300), 즉 연결부(300)의 제3연결부(330)와 일체로 되어 연결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조작부(400)가 연결부(3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이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조작부(400)에 의해서 감지부(200)의 감지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조작부(400)는 연결부(300)가 회전되도록 하여 감지부(200)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감지부(200)의 감지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회전하여 감지부(200)가 조작부(400)로부터 연장된 가상선의 직하방에 위치하면, 감지부(200)가 최고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200)는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중 제일 낮은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회전하여 감지부(200)가 조작부(400)로부터 연장된 가상선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면, 감지부(200)는 조작부(400)와 같은 높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회전하여 감지부(200)가 조작부(400)로부터 연장된 가상선의 직상방에 위치하면, 감지부(200)는 최고 높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200)는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중 제일 높은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도2와 도3에 도시된 감지부(200)가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위와, 도6과 도7에 도시된 감지부(200)가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위 사이의 어느 수위라도, 감지부(200)에 의해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센서(100)가 감지할 수 있는 수위를 변경할 수 있다.
물저장탱크
이하,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500)는 탱크본체(600) 및, 전술한 수위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600)에는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본체(600)에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유입구(61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6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6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은 탱크본체(600)의 상부로부터 탱크본체(6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610)의 탱크본체(600)에서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위치라면 탱크본체(600)의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유입구(610)로부터 유입된 물은 탱크본체(6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본체(600)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입구(610)는 탱크본체(600)의 저장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탱크본체(600)에 저장된 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본체(600)에는 배출구(6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출구(620)는 탱크본체(600)의 저장공간에 연결되도록 탱크본체(6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600)에 저장된 물은 탱크본체(600)의 하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620)의 탱크본체(600)에서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탱크본체(60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탱크본체(600)의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한편, 탱크본체(600)에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도시되지 않음)나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 탱크본체(600)에는 물을 처리할 수 있는 다른 구성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600)의 상부는 개방되고 덮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덮여질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600)의 측부 또는 하부가 개방되어 덮개에 의해서 덮여질 수도 있으며, 탱크본체(600)의 2개 이상의 부분이 개방되어 2개의 이상의 덮개에 의해서 덮여질 수도 있다.
수위센서(100)는 탱크본체(600)에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100)의 조작부(400)는 탱크본체(600)의 외부에 위치하고 수위센서(100)의 감지부(200)와 연결부(300)는 탱크본체(600)의 내부, 즉 탱크본체(600)의 저장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위센서(100)의 조작부(400)를 조작,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전술하고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00)의 감지위치, 즉 감지부(200)가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수위센서(1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6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센서(100)는 만수위 센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수위센서(100)가 구비되는 탱크본체(6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탱크본체(60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1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만수위 센서로 작동하면, 원하는 양만큼의 물이 탱크본체(6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600)의 만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탱크본체(600)에 불필요하게 물이 저장되는 시간을 감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500)에 저장된 물에 물때가 끼거나 세균이 증식하지 않아서 물저장탱크(5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본체(600)에 가열부나 냉각부가 구비되어 탱크본체(60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경우에는, 수위센서(100)에 의해서 만수위를 변경하여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탱크본체(6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를 사용하면, 수위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수위를 변경할 수 있고, 물저장탱크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고, 물저장탱크에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나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위센서 200 : 감지부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부재
320 : 제2연결부재 330 : 제3연결부재
400 : 조작부 500 : 물저장탱크
600 : 탱크본체 610 : 유입구
620 : 배출구

Claims (4)

  1. 수위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수위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부가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감지부의 감지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수위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소정 각도로 연결되는 제3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수위센서.
  4. 유입된 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탱크본체에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위센서;
    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KR1020140059051A 2014-05-16 2014-05-16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KR10212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51A KR102125540B1 (ko) 2014-05-16 2014-05-16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51A KR102125540B1 (ko) 2014-05-16 2014-05-16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759A KR20150132759A (ko) 2015-11-26
KR102125540B1 true KR102125540B1 (ko) 2020-07-08

Family

ID=5484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51A KR102125540B1 (ko) 2014-05-16 2014-05-16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1983A (zh) 2014-01-29 2014-05-14 青岛澳邦量器有限责任公司 液体储罐液位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472A (ja) * 1995-12-18 1997-06-24 Kansai Ootomeishiyon Kk レベルセンサ
KR20000033816A (ko) * 1998-11-26 2000-06-15 구자홍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JP5275403B2 (ja) * 2011-04-20 2013-08-28 東京計装株式会社 トルクチューブ式液面計の温度補償機構及び温度補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1983A (zh) 2014-01-29 2014-05-14 青岛澳邦量器有限责任公司 液体储罐液位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759A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3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ptacle auto fill using inductive sensing
JP2010533588A (ja) 取り外し可能な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ろ過システム
ITTO20120418A1 (it) Dispositivo per misurare il livello del latte e relativo metodo di misura
US20150110479A1 (en) Wirelessly operated heating device of hot water dispenser
KR102125540B1 (ko)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JP4545803B2 (ja) 加熱調理器
JP2010025534A (ja) 冷蔵庫
KR20120053617A (ko) 보온병
WO2009112519A3 (en) Evaporator of condensed fluids
JP2018124002A (ja) レンジフード
JP5906465B2 (ja) 電気ケトル
KR101433206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JP4980447B2 (ja) 加熱調理器
JP5967184B2 (ja) 電気ポット
KR20150140952A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JP6741486B2 (ja) 水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16040009A (ja) 電気ポット
KR102213537B1 (ko) 가습기 겸용 전기포트
KR20160136724A (ko)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JP6041021B2 (ja) 電気ポット
JP6041019B2 (ja) 電気ポット
KR20140006252U (ko) 정수기용 히터모듈
JP4980449B2 (ja) 加熱調理器
JP2012239491A (ja) 電気ポット
JP4980448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