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724A -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724A
KR20160136724A KR1020150070645A KR20150070645A KR20160136724A KR 20160136724 A KR20160136724 A KR 20160136724A KR 1020150070645 A KR1020150070645 A KR 1020150070645A KR 20150070645 A KR20150070645 A KR 20150070645A KR 20160136724 A KR20160136724 A KR 20160136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induction heating
heating unit
wat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석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5007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724A/ko
Publication of KR2016013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05B1/0283For heating of fluids, e.g. wate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일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는 포트 및 정수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 본체는 유도가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유닛의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정수기 본체와 방수구조로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물세척에 의한 포트의 청결유지가 가능하고, 정수기 본체로부터 포트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단자를 삭제하여 포트와 정수기 본체의 접점불량 및 물의 유입에 의한 합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POT-TYPE WATER PURIFIER WITH INDUCTION HEATING UNIT}
본 발명은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세척에 의한 포트의 청결유지가 가능하고, 정수기 본체로부터 포트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단자를 삭제하여 포트와 정수기 본체의 접점불량 및 물의 유입에 의한 합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얼음을 제공하는 정수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정수기는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안착되는 부분이 마련되고 그 안착되는 부분에 정수기로부터 전기포트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가 마련됨으로써, 전기포트 내의 물을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수기는 기존 온수의 출수가 가능한 정수기와는 별도로 끓인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정수기의 경우, 전기포트에 전기배선이 포함되므로, 물세척 등에 의한 전기포트의 청결유지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정수기의 경우, 정수기로부터 전기포트로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전기포트가 안착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불가피한데, 이러한 전원단자에 정수 등이 유입됨으로써 합선 등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으며, 전기포트를 그 안착되는 부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기포트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정수기의 경우에는 정수기의 출수부가 전원단자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원단자에 물이 유입됨으로 인한 합선 등의 문제는 더욱 심각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정수기의 경우, 전원단자와 전기포트가 도체 등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원단자와 전기포트 간의 접점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세척에 의한 포트의 청결유지가 가능하고, 정수기 본체로부터 포트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단자를 삭제하여 포트와 정수기 본체의 접점불량 및 물의 유입에 의한 합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는 내부에 정수를 저장하는 포트; 및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 및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 하부에 유도가열유닛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가열유닛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상기 포트를 가열하며, 세라믹 재질의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정수기 본체와 방수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의 바닥면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 상부에 출수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부는 상기 포트로 정수를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는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트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의 상면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에 의하면, 물세척에 의한 포트의 청결유지가 가능하고, 정수기 본체로부터 포트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단자를 삭제하여 포트와 정수기 본체의 접점불량 및 물의 유입에 의한 합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1 의 선 C-C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 의 선 B-B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트가 정수기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1 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1)는 포트(200), 정수기 본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포트(200)는 내부에 정수를 저장한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는 상기 포트(200)의 수납공간(120)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120)에는 상기 포트(200)가 수납된다.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포트(200)의 수납공간(120) 하부에 유도가열유닛(150)을 가진다.
상기 유도가열유닛(150)의 상부에는 세라믹 재질의 상부 플레이트(160)가 형성된다.
상기 포트(200)가 상기 수납공간(120)에 수납되고, 상기 유도가열유닛(150)의 상부 플레이트(160)에 안착된 경우, 상기 유도가열유닛(150)는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상기 포트(200)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가열에 의하여 상기 포트(200)에 저장된 정수가 가열된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는 상기 수납공간(120) 상부에 출수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1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포트(100)에 정수를 공급한다.
상기 포트(200)는 정수가 저장되는 포트 본체(210), 상기 포트(20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00), 상기 포트(200) 내부에 먼지 등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230), 상기 뚜껑(230)을 여닫기 위한 뚜껑개폐수단(231), 및 상기 포트(2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컵 등에 따르기 위한 꼭지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개폐수단(231)은 뚜껑(2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개폐수단(231)을 하측으로 누르는 경우 상기 뚜껑(230)이 열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상기 방식 외에, 상기 뚜껑개폐수단(231)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뚜껑(230)의 상부에 돌출된 손잡이의 형태 등일 수 있다.
상기 뚜껑(230)과 상기 꼭지부(224) 사이에는 상기 포트(200)의 내외부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225)는 상기 포트(200)에 저장된 물을 컵 등에 따르기 위하여 상기 포트(20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흘러 나갈 수 있는 통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부(225)는 상기 출수구(11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가 상기 포트(200)로 유입되어 저장되기 위한 정수의 유입통로일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연통부(225)를 보다 넓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230)과 상기 연통부(225)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뚜껑(230)은 U자형 등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통부(225)가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출수구(110)로부터 상기 포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상기 포트(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포트(200)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110)으로부터 상기 포트(200)로 정수를 유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통부(225)가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포트(200) 내부로의 정수 유입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연통부(225)는 상기 포트(200)의 상면에서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4 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포트(20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는 통로 수단, 상기 정수의 유입통로, 및 상기 수증기의 배출구는, 하나의 연통부(225)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개로 상기 포트(200)의 상면 또는 상기 포트(200)의 뚜껑(230)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는 사용자에게 정수 등을 제공하는 정수 제공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200)를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하여 정수를 가열 등을 하는 경우와 동시에, 상기 출수구(110)을 통하여 사용자가 정수를 이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 본체(100)가 상기 출수구(110)와는 별도로 정수 제공부(125)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제공부(125)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수는 온수, 냉수, 얼음 또는 상온과 동일한 온도인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는 상기 출수구(110)의 하부에 맞춤홈(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200)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되는 경우에, 상기 맞춤홈(112)은 상기 포트(200)의 꼭지부(224)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맞춤홈(112)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출수구(110)의 하부에 상기 포트(200)의 연통부(225)를 보다 용이하게 맞추어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출수구(110)로부터 상기 포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상기 포트(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은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1)의 동작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입력부 및 현재 동작 상태를 알리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130)의 외부 입력부를 통하여 정수, 온수, 냉수 또는 얼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포트(200)로 정수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상기 포트(200)의 가열 동작을 ON/OFF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정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1 의 선 C-C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유도가열유닛(150)은 코일부(170) 및 상기 코일부(17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60)에 상기 포트(200)이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17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유도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유도자기장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포트(200)가 줄열에 의하여 가열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에 의하여 상기 포트(200) 내부의 정수가 가열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60)는 정수기 본체(100)와 방수구조로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 플레이트(160)와 상기 정수기 본체(100)가 접하는 부분에는 밀봉부(180)가 형성되어 정수 등이 상기 정수기 본체(100) 내지 상기 유도가열유닛(1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밀봉부(180)는 실리콘, 고무 재질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상기 밀봉부(180)에 의하여 정수 등이 상기 정수기 본체(100) 내지 상기 유도가열유닛(150) 내부로 유입되어 합선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1)는 정수기 본체(100)로부터 포트(200)로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정수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20) 하부 등에 형성되는 전원단자를 삭제할 수 있고, 상기 전원단자는 전류가 통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불가피한데, 상기 전원단자의 삭제에 의하여 상기 전원단자에 정수 등이 상기 정수기 본체(100) 내지 상기 유도가열유닛(150) 내부로 유입되어 합선 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에 의하여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포트가 도체 등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발생하기 쉬운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포트 간의 접점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1)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포트(20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삭제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이 정수기 본체(100) 내부에서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됨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1)에 의하는 경우 상기 전원단자에 의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트(200)의 전기장치를 모두 삭제할 수 있으므로, 물세척 등에 의한 포트(200)의 청결유지가 가능하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 의 선 B-B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200)의 바닥면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자성 금속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유닛(150)에 의하여 유도된 유도자기장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에 대하여만 줄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포트(200)의 포트 본체(210) 자체가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포트 본체(210)를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포트의 경량화 및 질감 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비자성체인 알루미늄이나 스텐인레스 스틸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이 별로의 자성 금속부(2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트가 정수기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1 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트(200)가 정수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20)에 수납되는 경우에, 맞춤홈(112)에는 상기 포트(200)의 꼭지부(224)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출수구(110)의 하부에 상기 포트(200)의 연통부(225)를 보다 용이하게 맞추어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출수구(110)로부터 상기 포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중수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상기 포트(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본체(100)는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11)는 가열에 의하여 상기 포트(2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온도는 별도의 가열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며, 상기 가열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유도가열유닛(150)의 작동 정지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유도가열유닛(1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 유도가열유닛(150)의 작동이 중단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포트(100)의 상면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는 연통부(225)일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포트(200) 내부의 끓는 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배출된 수증기가 즉각 상기 온도센서(111)와 접하여 상기 온도센서(111)가 수증기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배출구는 상기 온도센서(111)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도센서는 정수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20)의 하부, 즉 상부 플레이트(160) 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부 플레이트(160)의 하측에 형성하는 경우 온도센서(111)가 상부 플레이트(160) 상측의 상기 포트(200)와 직접 맞닿을 수 없어 온도감지가 부정확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60)에 온도센서의 장착을 위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온도센서로 매우는 방식으로 상기 온도센서를 배치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홀을 통하여 정수 등이 정수기 본체(100) 내지 유도가열유닛(150) 내부로 유입되어 합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홀 사이를 방수처리한다 하더라도 상기 방수처리되는 부분은 상부의 포트(200)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열을 받는 부분이므로 방수처리된 부분이 손상되어 정수 등이 유도가열유닛(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온도센서(111)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기 수납공간(12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100 : 정수 본체
150 : 유도가열유닛
200 : 포트

Claims (6)

  1. 내부에 정수를 저장하는 포트; 및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 및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 하부에 유도가열유닛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가열유닛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상기 포트를 가열하며, 세라믹 재질의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정수기 본체와 방수구조로 연결되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바닥면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금속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 상부에 출수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부는 상기 포트로 정수를 공급하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포트의 수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트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유닛을 포함하는 포트형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상면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KR1020150070645A 2015-05-20 2015-05-20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KR20160136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645A KR20160136724A (ko) 2015-05-20 2015-05-20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645A KR20160136724A (ko) 2015-05-20 2015-05-20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724A true KR20160136724A (ko) 2016-11-30

Family

ID=5770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645A KR20160136724A (ko) 2015-05-20 2015-05-20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965A (zh)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壶盖能自动关闭的电热水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965A (zh) * 2016-12-23 2017-06-13 宁波江北臻和设计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壶盖能自动关闭的电热水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2164B (fi) Laite kuumien juomien valmistamiseksi
US103686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in a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drinks
US9494311B2 (en) Flow heaters
CN107928417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即时加热饮水机
CN108158399B (zh) 一种饮水即时加热方法
CN107981726B (zh) 一种即时加热饮水机
US9869475B2 (en) Heat pump water heat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110479A1 (en) Wirelessly operated heating device of hot water dispenser
JP2012170707A (ja) 電気ケトル
KR20160136724A (ko) 유도가열유닛을 구비한 포트형 정수기
US20070228032A1 (en) Thick-Film Fluid Heater and Continuous Heating Device
CN109422312B (zh) 净水器
KR101433206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RU95237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чайник с подводкой воды
RU116757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термос с подводкой воды
JP2016216953A (ja) 衛生洗浄装置
US20050067399A1 (en) Safety device of a coffee pot
JP2000060728A (ja) 瞬間電気給湯機
US11047597B2 (en) Electric hot water heater having a separated temperature sensor and heating element
JP2011254938A (ja) 電気湯沸かし器
JP4023498B2 (ja) 給湯装置
CN108514331A (zh) 一种用于教室的抽水式烧水饮水机
JP3960296B2 (ja) 給湯装置
JP2003343917A (ja) 電気温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