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76B1 -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76B1
KR102124876B1 KR1020180058156A KR20180058156A KR102124876B1 KR 102124876 B1 KR102124876 B1 KR 102124876B1 KR 1020180058156 A KR1020180058156 A KR 1020180058156A KR 20180058156 A KR20180058156 A KR 20180058156A KR 102124876 B1 KR102124876 B1 KR 10212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module
ray
coupled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354A (ko
Inventor
김형철
류덕현
노택중
황인학
김승환
엄기열
Original Assignee
(주)자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비스 filed Critical (주)자비스
Priority to KR102018005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1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bes,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구조에 결합 가능한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영역(14)이 형성되면서 검사 대상의 이송이 가능한 유동 경로가 형성된 이송 도관(21); 이송 도관(21)의 한쪽 끝에 결합되면서 시편 투입구(132)가 형성된 투입 유닛(13); 이송 도관(21)의 다른 끝에 결합되면서 배출 경로를 변경시키는 리젝터(153)를 가진 배출 유닛(15); 및 검사 영역(14)의 위쪽에 배치된 검사 모듈(12)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영역(14)은 이송 도관(21)의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A Tube Transferring Type of a X-ray Investig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구조에 결합 가능한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검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각각의 적용 분야에서 제품 유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검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의 결함 검사, 전자기기의 결함 검사, 식품 용기의 결함 검사 또는 음식물 속 이물질 검출을 위하여 엑스레이 검사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육류와 같은 고기에서 특정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정상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의 검사를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엑스레이 검사 장치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2006/001465는 파이프 내로 반송되는 피검사물에 소정의 검출 위치에서 X선을 조사하고, 피검사물을 투과한 X선의 투과 양에 기초하여 이물질의 혼합 여부를 검출하는 X선 이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의 근방에 피검사물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속도로 위치 검출 위치를 통과할 수 있는 테스트 피스 유닛을 설치하여 그 위에 테스트 피스가 배치되는 X선 이물질 검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US 2014/0170947 A1은 공급 수단, 방사 검사 장비, 절단 장비 및 배출 장비를 포함하고, 방사 검사 장비는 엑스레이 기술과 같은 수단이 되는 육류 검사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US 6,600,805는 고-에너지 대역과 저-에너지 대역의 엑스레이를 육류에 조사하여 지방의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육류는 지방의 함량에 따라 등급이 결정될 수 있고,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포장되는 육류에 포함된 지방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선행기술은 엑스레이에 의한 이물질의 검출 방법 또는 지방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지방 함량의 분석이 어렵거나,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에 의하여 함량을 분석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 또는 작동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분석의 정확성이 감소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함량 분석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 이송 관로가 적용될 필요가 있다. 육류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의 검사를 위하여 이송 관로가 사용되는 경우 이송 관로를 제외한 작동 부분은 일반적인 엑스레이 장치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송 관로가 컨베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이송 구조를 가지는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WO 2006/001465(안리츠 산키 시스템 카부시키가이샤, 2006년01월05일 공개) X선 이물질 검출 장치 선행기술 2: US 2014/0170947 A1(Marel Iceland EHF, 2014년06월19일 공개) Meat Inspection System 선행기술 3: US 6,600,805 B1(Foss Electric A/S, Hillerod, 2003년06월29일 공개)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Properties of Food or Reed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와 같은 제품을 이송 관로를 통하여 이송시키면서 정확한 함량 측정이 가능하면서 이와 동시에 이송 관로가 컨베이어 구조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영역이 형성되면서 검사 대상의 이송이 가능한 유동 경로가 형성된 이송 도관; 이송 도관의 한쪽 끝에 결합되면서 시편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유닛; 이송 도관의 다른 끝에 결합되면서 배출 경로를 변경시키는 리젝터를 가진 배출 유닛; 및 검사 영역의 위쪽에 배치된 검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영역은 이송 도관의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송 모듈은 분리 가능하도록 검사 모듈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송 모듈은 검사 영역의 양쪽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모듈에 의하여 검사 모듈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결합 모듈은 고정 브래킷; 고정 브래킷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 및 이동 부재를 고정 브래킷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사 영역은 유도 관 및 유도 관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관은 유리 소재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 소재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조 변형 영역은 사각형 단면, 역-사다리꼴 단면 또는 타원 단면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송 도관이 제거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유닛에 의하여 검사 대상의 검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이송 관로를 통하여 검사 제품을 이송시키는 것에 의하여 육류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이 검사 과정에서 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위치에서 이송 관로의 구조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검사의 정밀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검사 시편이 검사 과정에서 투입되는 것에 의하여 검사 과정의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이속 관로가 분리 가능하도록 검사 장치에 결합되는 구조로 인하여 다양한 엑스레이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검사 장치의 설계, 제조 및 운용 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분리 가능한 이송 관로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 이송 관로의 결합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에 적용되는 이송 관로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작동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영역(14)이 형성되면서 검사 대상의 이송이 가능한 유동 경로가 형성된 이송 도관(21); 이송 도관(21)의 한쪽 끝에 결합되면서 시편 투입구(132)가 형성된 투입 유닛(13); 이송 도관(21)의 다른 끝에 결합되면서 배출 경로를 변경시키는 리젝터(153)를 가진 배출 유닛(15); 및 검사 영역(14)의 위쪽에 배치된 검사 모듈(12)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영역(14)은 이송 도관(21)의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 검사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식음료, 용기 음료, 포장 식품, 포장을 위하여 이송되는 식품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제품의 성분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검사 장치는 검사 대상으로부터 특정 성분의 함량을 검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사 대상이 육류가 되고, 육류에 함유된 지방의 양을 탐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검사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식음료 검사에 적용될 수 있으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물질 탐지, 특정 성분의 검출 또는 특정 성분의 함량 측정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이송 도관을 통하여 검사 대상이 이송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구조로 만들어지거나, 예를 들어 컨베이어 또는 다른 이송 수단에 의하여 검사 대상이 이송되는 구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이송 도관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검사 대상의 이송 수단을 가질 수 있고, 이송 도관(21)과 컨베이어 유닛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이송 수단은 어느 하나가 설치되거나, 두 개가 모두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각각의 이송 수단이 검사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이송 수단을 가지는 검사 장치에 이송 도관(21)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에 적합한 검사 대상의 검사에 적용될 수 있다.
이송 모듈(20)은 검사 대상이 투입되는 투입 유닛(13), 검사 대상이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에 의하여 검사되는 검사 영역(14),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이 배출되는 배출 유닛(15) 및 투입 유닛(13)을 통하여 이송된 검사 대상을 배출 유닛(15)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도관(21)을 포함한다.
이송 도관(21)은 전체적으로 선형 튜브 형상이 되면서 내부에 검사 대상의 이송을 위한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이송 경로는 제품의 이송에 적합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이들의 복합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송 도관(21)은 검사 프레임(1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검사 프레임(11)의 내부를 경유하여 검사 프레임(11)의 다른 부분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검사 프레임(11)은 검사 모듈(12)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동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프레임(11)의 위쪽에 검사 모듈(12)이 배치될 수 있다.
검사 모듈(12)은 엑스레이 튜브가 배치된 밀폐 공간 및 밀폐 공간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디텍터(17)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17)는 평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엑스레이 튜브와 디텍터 사이에 이송 도관(21)이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검사 장치가 검사 대상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유닛(16)을 가지는 경우 이송 도관(21)은 컨베이어 유닛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컨베이어 유닛을 가지는 엑스레이 검사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징치로 간단하게 전환될 수 있다.
이송 도관(21)에 형성되는 검사 영역(14)은 이송 도관(21)의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사 대상이 하나씩 차례대로 검사 영역(14)을 통과하면서 이와 함께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육류와 같은 검사 대상이 서로 겹치지 않은 상태로 검사 영역(14)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검사 영역(14)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을 따른 단면적은 직사각형, 역-사다리꼴 또는 타원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는 위쪽 면과 바닥 면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검사 영역(14)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에 따른 단면적의 크기는 다른 부분과 동일할 수 있다. 이송 도관(21)의 내부에서 검사 대상은 이송 도관(21)의 내부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검사 영역(14)에서 단면적이 다른 부분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이송 도관(21)의 내부 압력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의 수직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검사 영역(14)의 연장 길이 및 폭이 결정될 수 있다. 검사 영역(14)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17)가 배치되어 검사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가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검사 대상의 서로 다른 부위에 대한 엑스레이 투과 수준이 탐지되고, 이에 따라 검사 대상의 불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검사 영역(14)이 형성된 부분은 검사 대상에 대한 검사 위치(DA)가 될 수 있고, 검사 위치(DA)로 엑스레이가 조사될 수 있다.
이송 도관(21)의 한쪽 끝은 검사 프레임(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돌출된 한쪽 끝에 투입 유닛(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 도관(21)의 한쪽 끝은 위쪽으로 꺾인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투입 유닛(13)은 이송 도관(2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도관(21)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압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검사 대상의 이송 제어가 용이해진다. 다만 검사 대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송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투입 유닛(13)은 T형 커넥터 구조가 될 수 있고, 검사 대상이 공급되는 입구(131)가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시편의 투입을 위한 시편 투입구(132)가 위쪽에 형성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이송 도관(21)이 연결될 수 있다. 입구(131)는 검사 대상의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고, 시편 투입구(132)를 통하여 검사 시편이 투입될 수 있다. 검사 시편의 투입은 검사 대상의 이송 속력의 탐지 또는 엑스레이 튜브의 초점 위치의 확인을 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 시편은 검사 대상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의 시각에 시편 투입구(132)를 통하여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시편이 검사 영역(14)에 도달하는 시간 및 배출되는 시간이 측정되고 이에 의하여 검사 대상의 이송 속력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검사 영역(14)에서 획득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검사 모듈(12) 위치의 적합성이 탐지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에 대한 이송 압력이 조절될 수 있고, 검사 영역(14)의 위치 또는 엑스레이 튜브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검사 영역(14)에서 검사가 이루어진 검사 대상에 대한 정상 여부가 검사 모듈(12)에 표시될 수 있고,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이 배출 유닛(15)으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 유닛(15)은 T자 커넥터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커넥터가 될 수 있고 한쪽 부분이 이송 도관(2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152)는 수평 연장 부분이 될 수 있고, 아래쪽 연결 부분은 불량 배출 통로(151)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불량 배출 통로(151)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리젝터(153)가 불량 배출 통로(151)의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52)와 불량 배출 통로(151)의 교차 부분에 회전 가능한 경사로 형성될 수 있고, 리젝터(153)의 작동에 의하여 경사로가 회전되면서 불량 배출 통로(151)가 이송 도관(21)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유닛(15)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검사 대상에 따라 리젝터(153)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송 모듈(20)은 검사 영역(14)의 양쪽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모듈(30a, 30b)에 의하여 검사 프레임(11) 또는 검사 모듈(12)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16)은 검사 프레임(1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송 모듈(20)은 컨베이어 유닛(16)이 결합된 상태에서 또는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 프레임(11) 또는 검사 모듈(12)에 결합될 수 있다. 검사 영역(14)의 양쪽에 결합 모듈(30a, 30b)이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모듈(30a, 30b)은 검사 모듈(12)과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모듈(30a, 30b)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하여 이송 모듈(20)이 검사 프레임(11) 또는 검사 모듈(12)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송 모듈(20)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 프레임(11) 또는 검사 모듈(12)에 결합 또는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분리 가능한 이송 관로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송 모듈(20)의 결합을 위하여 개폐 도어(24)가 열리고 이에 의하여 검사 모듈(12)의 아래쪽에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 모듈(20)은 검사 모듈(12)의 앞쪽에서 검사 모듈(12)의 아래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검사 영역(14)의 양쪽에 결합 모듈(30a, 30b)이 배치되고, 결합 모듈(30a, 30b)의 양쪽에 각각 1, 2 고정 날개(23a, 23b)가 형성될 수 있다. 검사 모듈(12)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 모듈(30a, 30b)의 결합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1, 2 고정 날개(23a, 23b)는 각각 사각 판 형상의 한 쌍의 날개 편을 가질 수 있고, 검사 프레임(11) 또는 검사 모듈(12)에 1, 2 고정 날개(23a, 23b)가 유도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모듈(30a, 30b)에 의하여 유도되고, 1, 2 고정 날개(23a, 23b)에 의하여 이송 모듈(20)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면, 개폐 도어(24)가 닫히면서 잠금 탭(26)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밀폐 상태가 될 수 있다.
컨베이어 유닛(16)은 작동 유닛(162a, 162b)에 의하여 작동되는 컨베이어(161)를 포함할 수 있고, 위쪽 부분은 평면이 되면서 앞쪽과 뒤쪽 부분은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은 평면 결합 면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평면 결합 면은 위쪽 평면과 평행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디텍터(17)는 컨베이어 유닛(16)의 아래쪽에 배치되면서 엑스레이 튜브(27)는 검사 모듈(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모듈(20)과 컨베이어 유닛(16)이 배치된 영역은 검사 모듈(12)의 앞쪽 및 뒤쪽에 형성되는 차폐 유닛(22a, 22b)에 의하여 차폐가 될 수 있고, 차폐 유닛(22a, 22b)은 커튼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 이송 관로의 결합 모듈(30a)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 모듈(30a)은 고정 브래킷(31); 고정 브래킷(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32); 및 이동 부재(32)를 고정 브래킷(31)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33)을 포함한다.
고정 브래킷(31)은 위쪽 부분이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검사 모듈의 아래쪽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31)의 아래쪽 부분에 고정 브래킷(31)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몸체(311)가 형성될 수 있고, 유도 몸체(311)를 따라 위쪽 부분이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아래쪽 부분이 사각형 단면 형상의 터널이 되는 가이드 레일(312)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형상 부분에 원형 막대 형상의 이동 부재(32)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동 부재(32)에 커플러(34)가 고정 수단(3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34)는 중앙에 결합 홀이 형성된 위쪽 부분이 원판 형상이 되면서 원판 아래쪽에 균형 블록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수단(33)은 원통 형상의 조절 몸체 및 조절 몸체의 위쪽 중심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선형 스크루(3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형 스크루(331)가 커플러(34) 및 이동 부재(32)를 관통하여 결합 부위(321)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커플러(34) 및 고정 수단(33)이 이동 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부재(32)의 아래쪽에 이송 모듈이 결합될 수 있고, 이동 부재(32)는 가이드 레일(3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32)의 끝 부분에 신축 접촉 부분(323)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브래킷(31)의 끝 부분에 마감 판(313)이 결합될 수 있다. 이송 모듈은 고정 수단(33)이 결합된 앞쪽 부분에 결합될 수 있고, 이동 부재(32)가 가이드 레일(312)을 따라 이동되면 이에 따라 이송 모듈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모듈이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면 고정 수단(33)이 커플러(34)에 견고하게 결합이 되면서 이동 부재(32)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형상의 조절 몸체는 이송 모듈의 앞쪽 부분과 접촉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조절 몸체의 이송 모듈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송 도관에 한 쌍의 결합 모듈(30a)이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모듈(30a)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결합 모듈(30a)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에 적용되는 이송 관로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관로 모듈은 검사 영역을 포함하고, 검사 영역은 검사 영역(14)은 유도 관(42) 및 유도 관(42)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 플랜지(44a, 4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 관(42)은 유리, 강화 유리, 합성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실린더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유도 관(42)의 양쪽에 제1, 2 연결 부위(41a, 41b)가 형성되어 검사 대상의 이송을 위한 다양한 구조의 도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관(42)의 양쪽을 고정시키는 결합 플랜지(44a, 44b)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43)에 의하여 안정적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 영역이 유도 관 모듈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검사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 또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유도 관(42)은 신축성을 가진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형상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처럼, 엑스레이 튜브(27)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XR)가 검사 영역(14) 및 검사 대상(IO)을 투과하고, 투과 이미지에 의하여 불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검사 영역(14)에서 수직 방향으로 투과되는 두께가 작아지는 것이 불량 여부의 판단에 유리하다. 그러므로 적어도 검사 영역(14)에서 수직 방향으로 단면적은 상하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예를 들어 역-사다리꼴 형상 또는 작은 양쪽 측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원형에 비하여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검사 영역(14) 또는 유도 관(42)은 이와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유도 관(42)이 신축성을 가진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검사 대상(IO)에 따른 적합한 타원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검사 영역(14)은 다양한 구조 또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작동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사 장치의 전체 작동이 제어 모듈(5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시편이 위에서 설명된 투입 유닛을 통하여 투입되면 시편 탐지 유닛(52)에 의하여 시편의 이동 속력 또는 투과 이미지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시편 탐지 유닛(52)의 탐지 결과에 따라 주입 조절 유닛(53)에 의하여 검사 대상의 이동 속력 또는 이동을 위한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 모듈(51)에 의하여 엑스레이 튜브와 디텍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검사 유닛(54)에 의하여 검사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이 배출 유닛에 도달하면 검사 유닛(54)에서 전송된 검사 결과 정보에 따라 배출 조절 유닛(56)이 작동될 수 있다. 만약 검사 대상이 불량이라면 배출 조절 유닛(56)에 의하여 리젝터(55)가 작동되어 검사 대상의 배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검사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검사 프레임 12: 검사 모듈
13: 투입 유닛 14: 검사 영역
15: 배출 유닛 16: 컨베이어 유닛
17: 디텍터 20: 이송 모듈
21: 이송 도관 22a, 22b: 차폐 유닛
23a, 23b: 1, 2 고정 날개 24: 개폐 도어
26: 잠금 탭 27: 엑스레이 튜브
30a, 30b: 결합 모듈 31: 고정 브래킷
32: 이동 부재 33: 고정 수단
34: 커플러 41a, 41b: 제1, 2 연결 부위
42: 유도 관 43: 고정 부재
44a, 44b: 결합 플랜지 51: 제어 모듈
52: 시편 탐지 유닛 53: 주입 조절 유닛
54: 검사 유닛 55: 리젝터
56: 배출 조절 유닛 131: 입구
132: 시편 투입구 151: 불량 배출 통로
152: 배출구 153: 리젝터
161: 컨베이어 162a, 162b: 작동 유닛
311: 유도 몸체 312: 가이드 레일
313: 마감 판 321: 결합 부위
323: 신축 접촉 부분 331: 선형 스크루
DA: 검사 위치 IO: 검사 대상
XR: 엑스레이

Claims (8)

  1. 검사 영역(14)이 형성되면서 검사 대상의 이송이 가능한 유동 경로가 형성된 이송 도관(21);
    이송 도관(21)의 한쪽 끝에 결합되면서 시편 투입구(132)가 형성된 투입 유닛(13); 및
    이송 도관(21)의 다른 끝에 결합되면서 배출 경로를 변경시키는 리젝터(153)를 가진 배출 유닛(15)을 포함하는 이송 모듈(20);
    검사 프레임(1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컨베이어 유닛(16); 및
    검사 영역(14)의 위쪽에 배치된 검사 모듈(12)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영역(14)은 이송 도관(21)의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송 모듈(2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16)의 위쪽에서 검사 영역(14)의 양쪽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모듈(30a, 30b)에 의하여 검사 모듈(12)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모듈(30a, 30b)은 위쪽 부분이 사각 판 형상이 되고 검사 모듈의 아래쪽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31); 고정 브래킷(31)의 아래쪽 부분에 고정 브래킷(31)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몸체(311); 유도 몸체(311)를 따라 위쪽 부분이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아래쪽 부분이 사각형 단면 형상의 터널이 되는 가이드 레일(312); 가이드 레일(312)의 실린더 형상 부분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 부재(32); 및 이동 부재(32)를 고정 브래킷(31)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사 영역(14)은 유도 관(42) 및 유도 관(42)의 양쪽에 형성된 결합 플랜지(44a, 44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유도 관(42)은 유리 소재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 소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조 변형 영역은 사각형 단면, 역-사다리꼴 단면 또는 타원 단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도관(21)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에 의하여 검사 대상의 검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20180058156A 2018-05-23 2018-05-23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212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56A KR102124876B1 (ko) 2018-05-23 2018-05-23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56A KR102124876B1 (ko) 2018-05-23 2018-05-23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54A KR20190133354A (ko) 2019-12-03
KR102124876B1 true KR102124876B1 (ko) 2020-06-19

Family

ID=6883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156A KR102124876B1 (ko) 2018-05-23 2018-05-23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68B1 (ko) * 2004-06-24 2008-01-04 안리츠 산키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X선 이물질 검출 장치
KR101751402B1 (ko) 2015-11-20 2017-07-11 (주)자비스 조립 및 구조 특성이 향상된 엑스레이 장치
KR101776052B1 (ko) * 2016-04-26 2017-09-19 (주)자비스 관로 이송 구조의 식음료의 이물질 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465A1 (ja) 2004-06-24 2006-01-05 Anritsu Industrial Solutions Co., Ltd. X線異物検出装置
KR102000944B1 (ko) * 2016-01-29 2019-07-17 (주)자비스 교체 방식 모듈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68B1 (ko) * 2004-06-24 2008-01-04 안리츠 산키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X선 이물질 검출 장치
KR101751402B1 (ko) 2015-11-20 2017-07-11 (주)자비스 조립 및 구조 특성이 향상된 엑스레이 장치
KR101776052B1 (ko) * 2016-04-26 2017-09-19 (주)자비스 관로 이송 구조의 식음료의 이물질 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54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220B1 (ko)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배터리 검사 방법
US7561663B2 (en) X-ray detection device for foreign matter
KR101975562B1 (ko) 내부 결함 및 접합 부위의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US20060123911A1 (en) Real-time system for detecting foreign bodies in food containers using ultrasound
KR101215049B1 (ko) 차폐수단을 구비하고, 엑스레이 조사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엑스레이 검사장치
KR101654818B1 (ko) 엑스레이 검사 트레이 모듈 및 이에 의한 경사 방향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H0949883A (ja) 異物検査装置
JP2021170036A (ja) 物質特性検査装置
KR102124876B1 (ko) 관로 이송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ITMI20120108A1 (it) Gruppo di misura in linea della quantita' di anidride carbonica disciolta in un liquido contenuto in un contenitore chiuso e linea di riempimento automatico di contenitori comprendente lo stesso
KR102000944B1 (ko) 교체 방식 모듈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2290888B1 (ko) 방사능 및 금속이물 검출 장치
KR101776052B1 (ko) 관로 이송 구조의 식음료의 이물질 탐지 장치
KR102348378B1 (ko) 전장부품 선별장치
KR100792068B1 (ko) X선 이물질 검출 장치
KR20220053148A (ko) 레이저 검사장치
JP2012198074A (ja) X線異物検査装置
JP5388807B2 (ja) X線遮蔽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x線異物検出システム
JP5525300B2 (ja) X線異物検出装置
KR20150082808A (ko) 교체 방식 모듈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1947373B1 (ko) 엑스레이 흡수 특성에 의한 성분 분석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성분 분석 방법
KR102289479B1 (ko) 과일 표면에 대한 광조사 장치
JP5825944B2 (ja) 脱脂綿における異物混入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4560012B2 (ja) 成分分析装置
KR20230020833A (ko)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