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833A -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833A
KR20230020833A KR1020210102712A KR20210102712A KR20230020833A KR 20230020833 A KR20230020833 A KR 20230020833A KR 1020210102712 A KR1020210102712 A KR 1020210102712A KR 20210102712 A KR20210102712 A KR 20210102712A KR 20230020833 A KR20230020833 A KR 2023002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eat
bone
fish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민병석
갈명준
류덕현
황인학
김승환
노윤규
노은식
이태용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주)자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비스 filed Critical (주)자비스
Priority to KR102021010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833A/ko
Publication of KR2023002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833A/ko
Priority to KR1020230096067A priority patent/KR20230113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a flowing fluid or a flowing granular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source and detector fixed; object m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1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2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impurities, foreign matter, trace amou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는 가공을 위한 또는 가공 과정에 있는 생선 또는 육류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 모듈(11); 이송 모듈(11)에 연결되면서 생선 또는 육류를 검사 위치로 투입시키는 투입 모듈(12); 각각의 생선 또는 육류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엑스레이 검사 모듈(13); 획득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뼈 또는 패각을 검출하는 뼈/패각 검출 모듈(14);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선 또는 육류가 분리되어야 하는 이송 위치를 표시하는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 및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성 또는 육류를 배출을 위한 배출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제거/리턴 모듈(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An X-ray Apparatus for Detecting a Bone}
본 발명은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육류 또는 생선으로부터 뼈를 탐지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검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각각의 적용 분야에서 제품 유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검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의 결함 검사, 전자기기의 결함 검사, 식품 용기의 결함 검사 또는 음식물 속 이물질 검출을 위하여 엑스레이 검사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육류와 같은 고기에서 특정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정상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의 검사를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엑스레이 검사 장치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2006/001465는 파이프 내로 반송되는 피검사물에 소정의 검출 위치에서 X선을 조사하고, 피검사물을 투과한 X선의 투과 양에 기초하여 이물질의 혼합 여부를 검출하는 X선 이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의 근방에 피검사물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속도로 위치 검출 위치를 통과할 수 있는 테스트 피스 유닛을 설치하여 그 위에 테스트 피스가 배치되는 X선 이물질 검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US 2014/0170947 A1은 공급 수단, 방사 검사 장비, 절단 장비 및 배출 장비를 포함하고, 방사 검사 장비는 엑스레이 기술과 같은 수단이 되는 육류 검사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US 6,600,805는 고-에너지 대역과 저-에너지 대역의 엑스레이를 육류에 조사하여 지방의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생선 또는 육류는 다양한 형태의 뼈를 포함할 수 있고, 뼈를 포함하는 육류는 섭취 과정에서 인체에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미리 제거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생선 또는 뼈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WO 2006/001465(안리츠 산키 시스템 카부시키가이샤, 2006년01월05일 공개) X선 이물질 검출 장치 선행기술 2: US 2014/0170947 A1(Marel Iceland EHF, 2014년06월19일 공개) Meat Inspection System 선행기술 3: US 6,600,805 B1(Foss Electric A/S, Hillerod, 2003년06월29일 공개)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Properties of Food or Reed
본 발명의 목적은 인-라인 방식으로 생선 또는 육류에 포함된 뼈 또는 패각과 같은 이물질을 엑스레이 이미지에 의하여 탐지하여 이송 경로에서 분리시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는 가공을 위한 또는 가공 과정에 있는 생선 또는 육류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 모듈; 이송 모듈에 연결되면서 생선 또는 육류를 검사 위치로 투입시키는 투입 모듈; 각각의 생선 또는 육류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엑스레이 검사 모듈; 획득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뼈 또는 패각을 검출하는 뼈/패각 검출 모듈;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선 또는 육류가 분리되어야 하는 이송 위치를 표시하는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 및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성 또는 육류를 배출을 위한 배출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제거/리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모듈은 이송 모듈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거/리턴 모듈은 배출 경로에 형성된 분리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뼈/패각 검출 모듈은 뼈의 탐지를 위한 탐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투입 위치 또는 배출 입구에 배치되는 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는 생선 또는 육류의 가공 과정에서 인-라인 방식으로 생선 또는 육류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뼈를 포함하는 것으로 탐지된 생선 또는 육류는 이송 경로에서 분리되어 제거되거나, 뼈가 제거되어 다시 검사 경로에 투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생선 또는 육류에 포함된 뼈 또는 패각과 같은 이물질을 탐지하기 위한 탐지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아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분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서 뼈 또는 패각을 포함하는 생선 또는 육류가 분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는 가공을 위한 또는 가공 과정에 있는 생선 또는 육류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 모듈(11); 이송 모듈(11)에 연결되면서 생선 또는 육류를 검사 위치로 투입시키는 투입 모듈(12); 각각의 생선 또는 육류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엑스레이 검사 모듈(13); 획득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뼈 또는 패각을 검출하는 뼈/패각 검출 모듈(14);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선 또는 육류가 분리되어야 하는 이송 위치를 표시하는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 및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성 또는 육류를 배출을 위한 배출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제거/리턴 모듈(16)을 포함한다.
이송 모듈(11)은 생선 또는 육류의 가공 공정에 적용되는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생선 또는 육류의 가공을 위한 가공 설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생선 또는 육류는 가공을 위하여 섭취 부위가 분리된 형태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공을 위하여 비늘, 가시, 뼈 또는 패각과 같은 섭취될 수 없는 부위가 일차적으로 제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선 또는 육류는 미리 결정된 크기로 절단된 형태가 될 수 있고, 날고기 상태이거나, 미리 가공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생선 또는 육류와 같은 탐지 대상은 이송 모듈(11)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탐지 대상이 서로 분리되어 투입 모듈(12)로 이송될 수 있다. 투입 모듈(12)은 이송 모듈(11)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송된 탐지 대상을 밀폐 구조를 가지는 엑스레이 검사 모듈(13)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투입 모듈(12)은 각각의 탐지 대상을 탐지하여 제어 모듈(16)로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탐지 대상의 이송 상태를 제어 모듈(16)로 전송할 수 있다. 투입 모듈(12)을 통하여 각각의 탐지 대상이 엑스레이 검사 모듈(13)로 투입될 수 있다. 투입 모듈(12)은 탐지 대상의 이송을 위한 유도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유도 경로는 투입 모듈(12)로부터 엑스레이 검사 모듈(13)을 경유하여 제거/리턴 모듈(16)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엑스레이 검사 모듈(13)은 엑스레이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탐지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가 엑스레이 검사 모듈(13)에 의하여 획득되어 뼈/패각 검출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뼈/패각 검출 모듈(14)은 각각의 탐지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뼈 또는 이와 유사한 이물질을 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물질의 검출은 육안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검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또한 예를 들어 RNN(Recurrent Neutral Networks) 또는 LSTM(Long Term Memory Model)과 같은 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뼈/패각 검출 모듈(14)은 다양한 방법으로 생선 또는 육류로부터 뼈, 가시 또는 이와 유사한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결과를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로 전송할 수 있다.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탐지 대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사 위치로부터 제거/리턴 모듈(16) 사이의 이송 거리에 기초하여 탐지 대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에 의한 표시 정보가 제어 모듈(16) 및 제거/리턴 모듈(16)로 전송될 수 있다. 제거 리턴 모듈(16)은 유도 경로의 이송 속도를 탐지할 수 있고,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생선 또는 육류의 이송 위치를 탐지하여 이송 경로로부터 제거하거나, 이물질 제거 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거/리턴 모듈(16)은 유도 경로에 형성될 수 있고, 뼈, 패각 또는 가시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탐지 대상이 유도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제거/리턴 모듈(16)에 도달하면 제거/리턴 모듈(16)이 작동되어 이물질 포함 탐지 대상을 유도 경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탐지 대상은 유도 경로를 따라 이동된 이후 배출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차후 공정에 투입될 수 있다. 제거/리턴 모듈(16)에 의하여 분리된 탐지 대상에 대한 이물질 제거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이물질이 제거된 후 다시 투입 모듈(13)로 투입될 수 있다. 제거/리턴 모듈(16)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 포함 탐지 대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 모듈은 탐지 대상의 이송이 가능한 컨베이어 모듈(21)을 포함할 수 있고, 컨베이어 모듈(21)은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 분리 블록(212)에 의하여 분리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경로(211a, 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경로(211a, 211b)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제한 벽(213a, 213b)이 형성될 수 있고, 컨베이어 모듈(21)은 연결 모듈(22)에 의하여 엑스레이 검사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모듈(22)은 엑스레이 검사 장치가 인-라인(in-line) 구조로 가공 설비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연결 모듈(22)은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가 배치된 검사실(24)과 컨베이어 모듈(21)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모듈(22)은 컨베이어 모듈(21)과 입구(222)를 연결시키면서 탐지 대상의 유도를 위하여 한 쌍의 컨베이어 경로(211a, 211b)와 연결되는 유도 경로가 형성된 연결 블록(22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블록(221)의 검사실(24)의 앞쪽에 형성된 입구(222)와 연결되고, 검사실(24)의 앞쪽 및 뒤쪽에 엑스레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모듈(223a, 223b)이 배치될 수 있다. 검사실(24)은 전체적으로 밀폐 구조가 될 수 있고, 내부에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가 배치될 수 있고, 검사실(24)의 아래쪽에 작동 박스(25)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텍터는 체결 유닛(261)에 의하여 검사실(24)의 아래쪽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검사실(24)의 위쪽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작동 패널(23)이 결합될 수 있고, 작동 패널(23)을 통하여 엑스레이 장치의 작동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작동 패널(23)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각각의 탐지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탐지 대상의 정상 여부 또는 이물질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검사실(24)의 내부에 형성된 검사 위치에서 검사 모듈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탐지 대상이 검사실(24)의 외부로 이송될 수 있고, 검사실(24)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에 제거/리턴 모듈(16)이 배치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된 탐지 대상은 제거/리턴 모듈(16)에 의하여 뼈 또는 가시와 같은 생선의 제거를 위한 공정에 투입되거나, 육류 또는 생선의 차후 가공을 위한 공정에 투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분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거/리턴 모듈(16)은 배출 경로(32)에 형성된 분리 패널(33)을 포함한다. 검사실(24)의 내부에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탐지 대상의 이송을 위한 유도 경로(31)가 형성될 수 있고, 유도 경로(31)는 검사실(24)의 외부에 형성된 배출 경로(32)와 연결될 수 있다. 검사실(24)의 내부에서 검사가 완료된 탐지 대상은 유도 경로(31)를 따라 검사실(24)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유도 경로(31)는 배출 경로(32)와 연결될 수 있고, 배출 경로(32)가 유도 경로(31)와 연결되는 부분에 분리 패널(33)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 패널(33)은 배출 경로(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작동 수단(36)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수단(36)은 모터 또는 이와 유사한 구동 수단이 될 수 있고, 작동 수단(36)은 줄 또는 스트링과 같은 작동 유도 수단(34)에 의하여 분리 패널(33)의 한쪽 끝과 연결될 수 있고, 작동 수단(36)과 분리 패널(33) 사이에 유도 롤러(35)가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수단(36)의 작동에 의하여 분리 패널(33)이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탐지 대상이 분리될 수 있고, 분리 패널(33)은 탄성 수단이 배치된 복원 유닛(331)에 의하여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이물질을 포함하는 탐지 대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에서 뼈를 포함하는 생선 또는 육류가 분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엑스레이 장치는 투입 위치 또는 배출 입구에 배치되는 탐지 센서(43a, 42b)를 포함한다. 뼈 또는 가시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탐지 대상은 제거/리턴 모듈(16)로 회수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탐지 대상의 이동 위치가 탐지될 필요가 있다. 탐지 대상의 위치 탐지를 위하여 탐지 대상의 초기 위치를 탐지하는 투입 감지 센서(43a) 또는 작동이 이루어진 탐지 대상의 배출을 탐지하는 배출 감지 센서(43b)가 설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육류 또는 생선과 같은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컨베이어 모듈(21)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차례대로 이송될 수 있고, 각각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은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21)을 따라 이송되는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은 차례대로 밀폐 구조를 가지는 검사실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21)의 이동은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45)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수단(45)은 컨베이어 모듈(21)을 이동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구동 수단(45)의 작동 상태가 엔코더(44)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코더(44)는 모터의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고, 엔코더(44)에서 발생된 펄스 신호가 저장되어 검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47)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47)은 엔코더(44)로부터 전송되는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컨베이어 모듈(21)의 이동 속도를 탐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21)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검사실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투입 감지 센서(43a)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투입 감지 센서(43a)에 의하여 탐지된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의 탐지 정보가 제어 모듈(47)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47)은 엔코더(44)로부터 전송된 구동 정보와 투입 감지 센서(43a)로부터 전송된 물품 탐지 정보를 대비하여 이송 오차의 발생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각각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검사 위치로 이동되어 엑스레이 튜브(41) 및 디텍터(42)에 의하여 검사가 될 수 있고, 엑스레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각각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검사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검사실의 배출 부위에 배출 감시 센서(43b)가 설치될 수 있고, 배출 감지 센서(43b)에 의하여 검사가 완료된 각각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감지 센서(43b)로부터 탐지된 탐지 정보가 제어 모듈(47)로 전송될 수 있다. 투입 감지 센서(43a)와 배출 탐지 센서(43b)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어 모듈(47)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 모듈(47)은 배출 감지 센서(43b)로부터 전송된 탐지 정보와 엔코더(44)로부터 전송된 구동 정보를 대비하여 각각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컨베이어 모듈(21)을 따라 예를 들어 배출 경로가 선택되도록 하는 경로 선택 수단(45)에 도달하는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시각이 경로 선택 수단(45)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전송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선택 수단(45)이 작동될 수 있다. 만약 탐지 대상(F_F)이 이물질을 포함하면, 위에서 설명된 분리 패널에 해당하는 경로 선택 수단(45)이 작동되어 탐지 대상(F_F)이 제거/리턴 모듈(16)로 분리될 수 있다.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44)은 예를 들어 기어 또는 롤러와 같은 동력 전달 모듈(46)을 통하여 컨베이어 모듈(21)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동 수단(45)의 작동에 따른 컨베이어 모듈(21)의 이동 거리는 구동 수단(45)에 설치된 엔코더(44)에서 발생되는 구동 정보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감지 센서(43a)로부터 엑스레이 튜브(42) 사이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의 이송 시간, 엑스레이 튜브(41)로부터 배출 감시 센서(43b) 사이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 또는 배출 감시 센서(43b)로부터 경로 선택 수단 사이의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이 구동 정보 및 위치 정보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어 모듈(47)은 각각의 시각 정보를 작동 모듈로 전송하여 탐지 대상(F_1 내지 F_N)에 대하여 필요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컨베이어 모듈(21)의 이동 속도는 적재된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의 수, 컨베이어 유닛(21)의 장력, 구동 수단(45)에 인가되는 부하 또는 동력 전달 모듈(46)의 공차에 따라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 모듈(47)은 서로 다른 두 지점을 통과하는 컨베이어 모듈(21)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의 탐지 대상(예를 들어 F_1)이 투입 감지 센서(43a), 검사 위치 또는 배출 감지 센서(43b)를 통과하는 구동 정보를 대비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탐지 대상(F_1 내지 F_N)의 이송 오차가 탐지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탐지 대상(예를 들어 F_1)이 두 개의 지점을 통과하는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구동 수단(45) 또는 컨베이어 모듈(21)에 의하여 탐지 대상의 이송 오차가 탐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탐지 대상(F_1 내지 F_N)에 대한 작동 오차가 방지되도록 한다. 다양한 탐지 수단 또는 구동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47)은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이송 모듈 12: 투입 모듈
13: 엑스레이 검사 모듈 14: 뼈/패각 검출 모듈
15: 위치 표시 모듈 16: 제거/리턴 모듈
32: 배출 경로 33: 분리 패널
43a, 43b: 탐지 센서 47: 엔코더

Claims (5)

  1. 가공을 위한 또는 가공 과정에 있는 생선 또는 육류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이송 모듈(11);
    이송 모듈(11)에 연결되면서 생선 또는 육류를 검사 위치로 투입시키는 투입 모듈(12);
    각각의 생선 또는 육류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엑스레이 검사 모듈(13);
    획득된 엑스레이 이미지로부터 뼈 또는 패각을 검출하는 뼈/패각 검출 모듈(14);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선 또는 육류가 분리되어야 하는 이송 위치를 표시하는 제거/리턴 위치 표시 모듈(15); 및
    뼈 또는 패각이 검출된 생성 또는 육류를 배출을 위한 배출 경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제거/리턴 모듈(16)을 포함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 모듈(12)은 이송 모듈(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거/리턴 모듈(16)은 배출 경로(32)에 형성된 분리 패널(33)을 포함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뼈/패각 검출 모듈(14)은 뼈의 탐지를 위한 탐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 위치 또는 배출 입구에 배치되는 탐지 센서(43a, 43b)를 더 포함하는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KR1020210102712A 2021-08-04 2021-08-0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KR20230020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12A KR20230020833A (ko) 2021-08-04 2021-08-0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KR1020230096067A KR20230113513A (ko) 2021-08-04 2023-07-2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12A KR20230020833A (ko) 2021-08-04 2021-08-0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067A Division KR20230113513A (ko) 2021-08-04 2023-07-2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833A true KR20230020833A (ko) 2023-02-13

Family

ID=852027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12A KR20230020833A (ko) 2021-08-04 2021-08-0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KR1020230096067A KR20230113513A (ko) 2021-08-04 2023-07-2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067A KR20230113513A (ko) 2021-08-04 2023-07-24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208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465A1 (ja) 2004-06-24 2006-01-05 Anritsu Industrial Solutions Co., Ltd. X線異物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465A1 (ja) 2004-06-24 2006-01-05 Anritsu Industrial Solutions Co., Ltd. X線異物検出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 2: US 2014/0170947 A1(Marel Iceland EHF, 2014년06월19일 공개) Meat Inspection System
선행기술 3: US 6,600,805 B1(Foss Electric A/S, Hillerod, 2003년06월29일 공개)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Properties of Food or R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513A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504B2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US20160223473A1 (en) X-ray product quality online inspection device
KR20200097344A (ko) 검사 장치
KR20160065645A (ko) 엑스레이 검사 트레이 모듈 및 이에 의한 경사 방향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3715524B2 (ja) X線異物検出装置
KR100451537B1 (ko) 방사선 검사장치 및 방사선 검사방법
JP7219504B2 (ja) 擬似不良品を用いて動作確認される検査装置
WO2023033196A1 (ko)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KR20230020833A (ko) 뼈 또는 패각 검사용 엑스레이 장치
DK2018007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prone / supine position of fish conveyed by means of a conveying device
JP2002168805A (ja) X線異物検出装置
JP2005091015A (ja) X線検査装置
JP4737427B2 (ja) インラインx線透視装置
JP2002310944A (ja) 放射線検査装置
JP4902170B2 (ja) 検査システム
JP2011085518A (ja) X線検査装置
JP2009080030A (ja) X線検査装置
JP2007168949A (ja) 物品検査装置
JP2002131247A (ja) X線異物検出装置
JP4170366B2 (ja) X線検査装置
JP6385058B2 (ja) 脂肪量検査装置
JP6941851B2 (ja) 質量推定装置
JP3955559B2 (ja) X線検査装置
JP2003232752A (ja) X線異物検査装置の感度校正方法及び感度校正用異物試料体
KR101947373B1 (ko) 엑스레이 흡수 특성에 의한 성분 분석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성분 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