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78B1 - 전장부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전장부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78B1
KR102348378B1 KR1020210073878A KR20210073878A KR102348378B1 KR 102348378 B1 KR102348378 B1 KR 102348378B1 KR 1020210073878 A KR1020210073878 A KR 1020210073878A KR 20210073878 A KR20210073878 A KR 20210073878A KR 102348378 B1 KR102348378 B1 KR 10234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ed
inspection
target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신
심수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스스톤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스스톤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스스톤홀딩스
Priority to KR102021007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78B1/ko
Priority to PCT/KR2022/006319 priority patent/WO20222602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대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하는 투입부, 투입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피검대상의 위치를 정렬하는 얼라인부,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피검대상을 향해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송신부, 피검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초음파 송신부로부터 방출된 초음파의 주파수와 초음파 수신부가 검출한 초음파의 주파수를 상호 비교하여 피검대상의 하자여부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는 제1검사부 및 제1검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검사가 종료된 피검대상을 불량여부 기준으로 선별하여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장부품 선별장치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장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대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하는 투입부, 투입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피검대상의 위치를 정렬하는 얼라인부,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피검대상을 향해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송신부, 피검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초음파 송신부로부터 방출된 초음파의 주파수와 초음파 수신부가 검출한 초음파의 주파수를 상호 비교하여 피검대상의 하자여부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는 제1검사부 및 제1검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검사가 종료된 피검대상을 불량여부 기준으로 선별하여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피검대상의 사출 과정에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공극이 형성되는 경우 사출물의 강성이 감소하여 사출물의 품질이 저하되며, 완제품의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물의 불량 여부를 선별하는 방법이 수행되어 왔다.
종래의 사출물의 불량 검사방법은 임의의 사출물을 선택하여 임계치에 해당하는 하중을 가할 때까지 사출물이 견딜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파괴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허나, 파괴방식은 전수검사가 불가하고 피검대상이 파괴되는 등 신뢰도가 낮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피검대상의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고, 원형과 기능을 전혀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안전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파괴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초음파탐상검사 (UT: ultrasonictesting) 방법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테이블에 직접 놓여진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피검대상에 이물질이 묻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에 의한 노이즈 생성 등으로 결과 판독에 영향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영향에 대한 고려 정도가 검사자의 경험에 의존하게 되면서 검사자가 오판할 소지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검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검사의 신뢰도가 향상된 검사장치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검사장치의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신뢰도 향상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검사장치과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선별단계 내지 제3선별단계로 진행되는 비파괴 검사로서, 모든 피검대상에 대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피검대상의 형상 및 기능을 온전히 보존한 채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플라스틱 사출물 단부의 게이트 또는 웰드를 선별하고, 각 단부가 가지는 강성을 측정하여 피검대상의 불량여부를 선별할 수 있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대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하는 투입부, 투입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피검대상의 위치를 정렬하는 얼라인부,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피검대상을 향해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송신부, 피검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초음파 송신부로부터 방출된 초음파의 주파수와 초음파 수신부가 검출한 초음파의 주파수를 상호 비교하여 피검대상의 하자여부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는 제1검사부 및 제1검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검사가 종료된 피검대상을 불량여부 기준으로 선별하여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제1검사부는 그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중공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초음파 검사의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 액체가 적재되어 피검대상의 피검영역이 액체에 잠기고, 하우징 내 적재된 액체를 초음파의 매질로 이용하여 제1검사부에 의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부력에 의해 피검대상이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검대상의 변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수신부는 이송부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채 배치되고, 초음파 송신부는 이송부를 기준축으로 하여 상기 초음파 수신부가 가지는 소정의 기울기와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진 채 대향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송신부는 방출하는 초음파의 주파수가 50kHz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별부는 초음파 송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가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피검대상의 양 단부에 대한 Diff 값을 산정한 후, 양 단부의 Diff 값을 상호 비교하여 높은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웰드로, 낮은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게이트로 정의하는 제1선별단계, 양 단부의 Diff 값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Diff 값을 가지는 경우,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불량으로 판별하는 제2선별단계, 양 단부의 Diff 값이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나, 양 단부의 Diff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2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선별단계에 의해 웰드부로 정의되는 단부를 불량으로 판별하는 제3선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거부는 제1선별단계에 의해 분류된 웰드 또는 게이트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지를 표시하는 마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거부는 제2선별단계 또는 제3선별단계에 의해 불량으로 선별된 피검대상과 양품의 피검대상을 분류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피검대상의 정렬 여부를 확인하고, 육안으로 불량 피검대상을 선별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제2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선별단계 내지 제3선별단계로 진행되는 비파괴 검사로서, 모든 피검대상에 대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피검대상의 형상 및 기능을 온전히 보존한 채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둘째, 플라스틱 사출물 단부의 게이트 또는 웰드를 선별하고, 각 단부가 가지는 강성을 측정하여 피검대상의 불량여부를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1검사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선별부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1검사부(100)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는 투입부(20), 얼라인부(30), 제1검사부(100) 및 수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20)는 피검대상을 적재할 수 있으며, 초음파 검사 전 피검대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투입부(20)는 Hopper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공지의 다른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얼라인부(30)는 투입부(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입부(20)로부터 배출되는 피검대상의 위치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는 피검대상의 양 단부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검대상의 양 단부에 초음파를 방출하므로 피검대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될 필요가 있다. 피검대상의 정렬은 인부에 의해 수작업으로 수행되거나, 로봇에 의해 자동화될 수 있다.
제1검사부(100)는 이송부, 초음파 송신부(120), 초음파 수신부(130) 및 선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부(50)는 제1검사부(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검사가 종료된 피검대상을 불량여부 기준으로 선별하여 수거할 수 있다.
이송부는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것으로서, 피검대상은 컨베이어 등에 의해 수송될 수 있다.
초음파 송신부(120)는 피검대상을 향해 초음파를 방출할 수 있으며, 초음파 수신부(130)는 피검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선별부는 초음파 송신부(120)에서 방출되는 초음파의 파형과, 초음파 수신부(130)에서 검출되는 초음파의 파형을 상호 비교하여 피검대상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대상의 사출 과정에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공극이 형성되는 경우 사출물의 강성이 감소하여 사출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결과로 귀결될 수 있다. 저품질의 사출물은 완제품의 불량으로 귀결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물의 불량 여부를 선별하는 방법이 수행되어 왔다. 종래의 검사방법은 임의의 사출물을 선택하여 임계치에 해당하는 하중을 가할 때까지 사출물이 견딜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파괴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파괴방식의 경우 전수검사가 불가하고 피검대상이 파괴되는 등 신뢰도가 낮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는 피검대상의 반사 직전 및 반사 직후 초음파의 파형을 상호 비교하여 진행되는 비파괴 방식의 선별장치로서 피검대상의 성형 과정에서 피검대상 내부로 이물질 또는 유체의 유입이 없는 경우, 피검대상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아 초음파의 반사 직전 및 직후 초음파의 굴절도에 큰 차이가 없으며 이는 피검대상의 목표하고자 하는 강성이 충족된 것을 의미한다.
피검대상의 성형 과정에서 피검대상 내부로 이물질 또는 유체 유입이 발생한 경우, 초음파의 반사 직전 및 직후 굴절도가 증가하여 초음파 파형이 크게 변형되며, 이는 목표하고자 하는 강성이 충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제1검사부(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중공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초음파 검사의 정밀도 향상되고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 액체가 적재되어 피검대상의 피검영역이 액체에 잠기고, 하우징(110) 내 적재된 액체를 초음파의 매질로 이용하여 제1검사부(100)에 의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적재되는 액체는 물이 선택될 수 있으며, 초음파의 굴절도가 증가됨으로써 초음파 파형의 미세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피검대상의 성분에 따라 높은 굴절도를 가지는 다른 액체가 선택될 수 있다.
제1검사부(100)의 전 과정이 액체 내부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은 제1검사부(100)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검사부(2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검사부(100)는 부력에 의해 피검대상이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검대상의 변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수신부(130)는 이송부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채 배치되고, 초음파 송신부(120)는 이송부를 기준축으로 하여 상기 초음파 수신부(130)가 가지는 소정의 기울기와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진 채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송신부(120)는 방출하는 초음파의 주파수가 50kHz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검대상의 성형부분에는 인서트(금속으로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 등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인서트의 강성은 피검대상의 성능과 연관도가 낮다. 초음파가 인서트에서 반사되는 경우, 피검대상의 성능과 연관도가 낮은 인서트의 강성에 의해 diff값의 결정되므로 검사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장부품은 검사장치는 피검대상의 플라스틱 성형 부분에 정확히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도록 변위 컨트롤러 및 얼라인 포인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컨트롤러는 초음파 송신부(120) 및 초음파 수신부(130) 변위를 1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얼라인 포인터는 피검대상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사된 광의 위치를 확인하고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대상의 위치에 따라 변위 컨트롤러를 통해 초음파 송신부(120) 및 초음파 수신부(130) 변위를 2차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플라스틱 사출 영역에 초음파를 정확히 조사할 수 있도록 변위 컨트롤러 및 얼라인 포인터에 의해 초음파 송신부(120) 및 초음파 수신부(130)의 변위를 제어하여 검사장치의 검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수거부(50)는 제1선별단계(S141)에 의해 분류된 웰드 또는 게이트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표지하는 마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부(5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선별단계(S142) 또는 제3선별단계(S143)에 의해 불량으로 선별된 피검대상과 양품의 피검대상을 분류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2-way로 피검대상을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전장부품 선별장치는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피검대상의 정렬 여부를 확인하고, 육안으로 불량 피검대상을 선별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제2검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선별부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별부는 제1선별단계(S141), 제2선별단계(S142) 및 제3선별단계(S143)를 포함할 수 있다.
diff값은 초음파 송신부(120)에서 방출된 초음파의 주파수와 초음파 수신부(130)에서 검출된 초음파의 주파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제1값(도 4에서 a와 b를 의미함.)은 단부의 diff 값이 가질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의미한다.
제2값(도 4에서 c를 의미함.)은 양 단부의 diff 값의 차이의 허용치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전장부품 검사장치는 단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기술하고 있으나, 피검대상의 단부 이외의 검사하고자 하는 영역에 따라 피검대상의 다른 부위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나아가, 제1값과 제2값은 피검대상에게 요구되는 강성, 피검대상의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두께, 높이 등 검사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선별단계(S141)는 초음파 송신부(120) 및 초음파 수신부(130)가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피검대상의 양 단부에 대한 Diff 값을 산정할 수 있다.
양 단부의 Diff 값을 상호 비교하여 높은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웰드로, 낮은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게이트로 정의할 수 있다.
마킹부는 제1선별단계(S141)에 의해 분류된 웰드 또는 게이트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을 표지할 수 있다. 마킹부는 단부의 일측에 직접 표지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피검대상의 단부 이외의 영역에 표지하여 웰드 또는 게이트임을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피검대상의 웰드와 게이트를 구별하여 전장부품을 완제품에 조립할 수 있다.
제2선별단계(S142)는 양 단부의 Diff 값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Diff 값을 가지는 경우,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제3선별단계(S143)는 제2선별단계(S142)에 의해 양 단부의 Diff 값이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양품으로 판정되더라도, 양 단부의 Diff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2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선별단계(S141)에 의해 웰드부로 정의되는 단부를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부의 각 diff 값에 의해 불량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양 단부의 각 diff 값의 차이에 의해 불량여부를 2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어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투입부
30 - 얼라인부
50 - 수거부
100 - 제1검사부
110 - 하우징
120 - 초음파 송신부
130 - 초음파 수신부
S141 - 제1선별단계
S142 - 제2선별단계
S143 - 제3선별단계
200 - 제2검사부

Claims (11)

  1. 피검대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피검대상의 위치를 정렬하는 얼라인부;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피검대상을 향해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송신부; 피검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송신부로부터 방출된 초음파의 주파수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가 검출한 초음파의 주파수를 상호 비교하여 피검대상의 하자여부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는 제1검사부; 및
    상기 제1검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검사가 종료된 피검대상을 불량여부 기준으로 선별하여 수거하는 수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는
    상기 초음파 송신부 및 상기 초음파 수신부가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피검대상의 양 단부에 대한 Diff 값을 산정한 후, 양 단부의 Diff 값을 상호 비교하여 높은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웰드로, 낮은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게이트로 정의하는 제1선별단계;
    양 단부의 Diff 값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제1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Diff 값을 가지는 경우, 기 설정된 상기 제1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Diff 값을 가지는 단부를 불량으로 판별하는 제2선별단계; 및
    양 단부의 Diff 값이 기 설정된 상기 제1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나, 양 단부의 Diff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2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선별단계에 의해 웰드부로 정의되는 단부를 불량으로 판별하는 제3선별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부는
    상기 제1선별단계에 의해 분류된 웰드 또는 게이트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표지하는 마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검사부는,
    그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중공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초음파 검사의 정밀도 향상되고 피검대상의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 액체가 적재되어 피검대상의 피검영역이 액체에 잠기고, 상기 하우징 내 적재된 액체를 초음파의 매질로 이용하여 상기 제1검사부에 의한 검사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부력에 의해 피검대상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검대상의 변위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이송부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채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상기 이송부를 기준축으로 하여 상기 초음파 수신부가 가지는 소정의 기울기와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진 채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방출하는 초음파가 50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
    상기 제2선별단계 또는 제3선별단계에 의해 불량으로 선별된 피검대상과 양품의 피검대상을 분류하는 디스펜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피검대상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피검대상의 정렬 여부를 확인하고, 육안으로 불량 피검대상을 선별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제2검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선별장치.


KR1020210073878A 2021-06-08 2021-06-08 전장부품 선별장치 KR10234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878A KR102348378B1 (ko) 2021-06-08 2021-06-08 전장부품 선별장치
PCT/KR2022/006319 WO2022260284A1 (ko) 2021-06-08 2022-05-03 전장부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878A KR102348378B1 (ko) 2021-06-08 2021-06-08 전장부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78B1 true KR102348378B1 (ko) 2022-01-11

Family

ID=7935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878A KR102348378B1 (ko) 2021-06-08 2021-06-08 전장부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8378B1 (ko)
WO (1) WO20222602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84A1 (ko)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베이스스톤홀딩스 전장부품 선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834A (ko)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Led 비젼 검사 시스템
KR101287182B1 (ko) * 2013-04-10 2013-07-17 나우 주식회사 자동 초음파 탐상검사장치
KR20140129881A (ko) * 2013-04-30 2014-11-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탐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378B1 (ko) * 2021-06-08 2022-01-11 주식회사 베이스스톤홀딩스 전장부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834A (ko)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Led 비젼 검사 시스템
KR101287182B1 (ko) * 2013-04-10 2013-07-17 나우 주식회사 자동 초음파 탐상검사장치
KR20140129881A (ko) * 2013-04-30 2014-11-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탐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84A1 (ko) *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베이스스톤홀딩스 전장부품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284A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465B1 (ko) 곡배관 용접부 초음파검사방법
KR102348378B1 (ko) 전장부품 선별장치
KR102294189B1 (ko) 원통형 배터리의 전극 용접 검사장치
CN109085245B (zh) 确定待测客体中缺陷的方法和超声波探伤仪
CN102575929B (zh) 用于对热塑成型的纤维强化的塑料构件质检的方法和装置
US8350581B1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to quantify degradation of cylindrical objects made of polymer materials
CN106841399A (zh) 一种棒材超声自动检测用平底孔对比试块及制备方法
KR20130089353A (ko) 스폿용접부의 신뢰성 검사가 가능한 스폿용접기
Dymkin et al. Main provisions of GOST (Intergovernmental Standard) 33514–2015 “Railway-purpose production. Verification of nondestructive testing procedures”
CN110618201B (zh) 探伤设备的性能评价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H0850900A (ja) 診断機能付電池製造装置
De Moura et al. Welding defect pattern recognition in TOFD signals Part 1. Linear classifiers
CN113899785A (zh) 一种基于超声和红外探伤对锂电池的检测方法
JP3557553B2 (ja) 溶接継手の超音波探傷試験方法
JP2002195988A (ja) 超音波探傷装置及び超音波探傷方法
KR101549129B1 (ko) 비파괴 검사용 확장튜브 및 그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RU2191376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размеров дефектов при ультразвуковом контроле изделий
KR100497501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용 피스톤 갤러리의 결함탐지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함탐지 장치
JP2007271375A (ja) 超音波探傷を用いた被探傷材の合否判定システムおよび合否判定方法
Ginzel et al. CIVA Modelling Module for Zonal Discrimination Method Part 1-Calibration Block
CN118130617B (zh) 一种管件焊缝内表面质量智能移动检测方法
US11885767B2 (en) Automated scan data quality assessment in ultrasonic testing
KR20020021295A (ko) 유리 검사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51393B1 (ko) 특수강 초음파 탐상 방법
Piazza et al. Integration of Data From Multiple In-Line Inspection Systems to Improve Crack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