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695B1 -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695B1
KR102124695B1 KR1020180088991A KR20180088991A KR102124695B1 KR 102124695 B1 KR102124695 B1 KR 102124695B1 KR 1020180088991 A KR1020180088991 A KR 1020180088991A KR 20180088991 A KR20180088991 A KR 20180088991A KR 102124695 B1 KR102124695 B1 KR 10212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hose
flooring
flooring materia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859A (ko
Inventor
백승한
Original Assignee
백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한 filed Critical 백승한
Priority to KR102018008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heating or cooling through the walls or internal parts of the container, e.g. circulation of fluid inside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바닥에 대한 마감 작업으로 에폭시나 몰탈 등을 균일하게 바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주요한 구성요소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동휠;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구; 상기 바디의 좌우 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게 되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 쌍의 각도조정 암; 상기 각도조정 암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익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닥재를 평탄화시키는 평탄 스크래퍼; 상기 바디의 상면에 마련되어 바닥재 이송기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바닥재를 상기 호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의 일단을 고정되게 하는 호스지지대; 및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floor material auto lev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바닥에 대한 마감 작업으로 에폭시나 몰탈 등을 균일하게 바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건축물의 실내 바닥에 대한 마감 작업으로 목재를 이용하거나 타일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목재는 목재 나름대로의 장점과 인테리어 효과가 크기 때문에 여전히 많이 선호되고 있지만, 보통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주택이나 아파트의 거실 등에 많이 활용된다.
한편, 타일과 같은 재료는 사무실이나 욕실 등과 같은 공간에 대한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타일의 경우 바닥에 접착력을 갖는 몰탈을 바른 후 개개의 타일을 인접하게 놓아서 배치하여 결합이 되게 한다. 따라서 타일 작업의 경우 많은 인원과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일정한 높이로 시공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타일을 대체하여 실내 바닥을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바닥 마감을 하는 경우가 많다.
바닥 시공재로서의 에폭시는 젤 상태와 같은데, 바닥에 적정량의 에폭시를 부은 후 작업자들이 롤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눈대중으로 고르게 펴서 시공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에폭시 시공의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품질이 제각각이며, 특히 높낮이가 일정치 않아 하자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44450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와 같은 바닥 시공용 재료를 보다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바를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동휠;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구; 상기 바디의 좌우 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게 되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 쌍의 각도조정 암; 상기 각도조정 암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익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닥재를 평탄화시키는 평탄 스크래퍼; 상기 바디의 상면에 마련되어 바닥재 이송기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바닥재를 상기 호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의 일단을 고정되게 하는 호스지지대; 및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휠의 외면에는 돌출된 다수의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외면에는 제1거리감지센서가 마련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끝단까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조정 암의 각도는 상기 바디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평탄 스크래퍼의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에는 일정온도 유지를 위한 히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정면과 후면에는 물체감지센서와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에 안테나가 마련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는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바닥에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시공하고자 할 때 최소한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눈대중에 의한 시공이 아니기 때문에 시공 후 하자 발생 가능성이 지극히 낮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임은 물론이고 시공자의 입장에서도 비용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작업공간에 대해 고르게 에폭시와 같은 바닥재를 깔끔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바디(100), 구동휠(200), 호퍼(300), 배출구(400), 각도조정 암(500), 평탄 스크래퍼(600), 호스지지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게 된다.
바디(100)는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바디(100)의 하부면에 복수의 구동휠(200)들이 결합된다. 바디(100) 내부에 구동휠(2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210)가 구비되고, 충전식 배터리(10)가 마련된다.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은 구동휠(200)로 전달되며, 동력 전달은 공지의 샤프트, 기어 혹은 벨트 등을 이용하여 동력전달 메카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디(100)의 일측면에는 바디(100)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1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110)를 마련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충전단자(110)에는 배터리 잔여량을 알려줄 수 있는 배터리인디게이터(120)를 구비하여 작업 전에 미리 충분한 배터리 충전을 해둘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구동휠(200)은 스파이크(220)를 갖는 것으로 한다. 즉, 구동휠(200)의 최외면에는 뾰족한 형태로 돌출되는 스파이크(220)가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지면에 대한 구동휠(200)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게 한다. 즉, 에폭시와 같은 바닥재를 시공할 때 구동휠이 에폭시를 밟아 누르게 되는데, 일반 휠을 사용하게 되면 과도하게 큰 압력으로 에폭시를 누르게 되고, 구동휠에 에폭시가 들러붙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바, 본 발명에서는 구동휠의 외면에 다수의 스파이크가 돌출되게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기본적으로 구동휠(200)은 바디(100)의 하부면 네 모서리 부근에 하나씩 설치되어 총 4개의 구동휠(200)이 마련될 수 있는데, 각 구동휠(200) 각각은 개별적으로 방향제어가 가능한 전방향 구동휠이 적용되도록 하여 간편하게 이동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바디(100) 하부에는 유압의 힘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복수의 유압푸셔(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압푸셔(130)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도록 하면 구동휠(200)이 지면과 이격되므로 구동휠에 대한 수리 내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디(100) 내부에 호퍼(300)가 마련되며, 호퍼(300)로 바닥 시공재료인 에폭시가 투입되고, 호퍼(300) 하부를 통해 에폭시가 적정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호퍼(300)의 상단에 호퍼입구(310)가 형성되어 반죽화된 에폭시가 호스를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호퍼(300)의 하단에는 복수의 분기관(320)이 형성되게 하여 동시에 다수의 분기관(320)을 통해 배출되게 하고, 분기관(320) 단부에 배출구(400)가 결합되게 하여 동시에 다수의 배출구(400)를 통해 에폭시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보다 고르게 에폭시가 바닥면에 공급되게 한다.
바디(100)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호퍼(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400)의 갯수는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2행 3열 형태로 6개의 배출구를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배출구(400)는 개별적 개폐 제어가 가능하게 하여 상황에 따라 전체 배출구 혹은 일부 배출구만을 개방하여 에폭시가 선택된 배출구로만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각 배출구(400)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선택적인 개폐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 배출구(400) 외면에는 제1거리감지센서(S1)가 마련되게 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배출구(400) 끝단까지의 높이를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거리감지센서(S1)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배출구 끝단까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호퍼(300) 내부에는 가압펌프(330)가 구비되어 배출구(400)를 통한 에폭시의 배출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위시간당 배출구(400)를 통한 에폭시의 배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바디(100)의 좌우 측면에 각도조정 암(500)의 일단이 연결되어 타단은 후방을 향하게 되며, 각도조정 암(500)은 좌우 한 쌍을 이루어 동시에 회동 동작되면서 각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각도조정 암(500)의 회동 동작을 위한 회동모터(510)가 바디(100) 내부에 구비되어 회동모터(510)의 정역회전 동작을 통해 각도조정 암(500)의 회동 방향 및 회동 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을 이루는 각도조정 암(500)의 타단에 평탄 스크래퍼(600)가 연결되며, 평탄 스크래퍼(600)는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된 바닥재 재료인 에폭시를 고르게 펼쳐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각도조정 암(500)에 연결되는 평탄 스크래퍼(600)는 각도조정 암(500)의 회동 각도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결정되며, 이를 통해 에폭시의 시공 두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각도조정 암(500)의 각도 제어를 통한 평탄 스크래퍼(600)의 지면으로부터의 고정 높이를 계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바디(100)의 하면에 제2거리감지센서(S2)를 두도록 하며, 제2거리감지센서(S2)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값을 기초로 하여 수학적 계산을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평탄 스크래퍼(600)의 이격거리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바디(100)의 상면에는 호스지지대(700)가 돌출되게 마련되는데, 대략 삼각대 형상과 같이 설치되어 바닥재 이송기와 연결된 호스(20)를 호스지지대(700)에 거치하여 호퍼(300)로 반죽된 에폭시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100) 내부에는 제어부(800)가 마련되어 본 발명의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의 동작을 자동 혹은 반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호퍼(300)에는 히팅수단(340)이 구비되어 에폭시와 같은 바닥재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겨울철 같이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시기에는 히팅수단(340)을 작동시켜서 배출구(400)를 통해 배출되는 에폭시의 온도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반죽 상태인 에폭시는 온도에 따라 점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겨울철과 같이 기온 자체가 낮을 때에는 에폭시의 점도가 높아져 제대로 펼쳐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원하는 두께로 고르게 바닥을 시공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는 바, 히팅수단을 통해 작업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에폭시를 적정 온도로 가열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100)의 정면과 후면에는 물체감지센서(S3)를 설치할 수 있으며, 물체감지센서(S3)를 둠으로써 주행할 때 뜻하지 않게 사람이 진입하거나 미쳐 치우지 못한 물건이 있는 경우 주행이 정지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100)에 카메라(C)를 설치하여서 작업 과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디(100)의 상면에는 안테나(A)를 설치하여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리모컨으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의 운전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C)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보면서 원격지에서도 운전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바닥재 시공작업시 사람을 대체하여 사용됨으로써 보다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시공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는 에폭시와 같은 바닥재를 시공할 때 사용될 수 있다.
100 : 바디 110 : 충전단자
120 : 배터리인디게이터 130 : 유압푸셔
200 : 구동휠
210 : 구동모터 220 : 스파이크
300 : 호퍼 310 : 호퍼입구
320 : 분기관 330 : 가압펌프
340 : 히팅수단 400 : 배출구
500 : 각도조정 암 510 : 회동모터
600 : 평탄 스크래퍼 700 : 호스지지대
800 : 제어부
10 : 배터리 20 : 호스
S1 : 제1거리감지센서 S2 : 제2거리감지센서
S3 : 물체감지센서 C : 카메라
A : 안테나

Claims (4)

  1.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동휠;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구;
    상기 바디의 좌우 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게 되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 쌍의 각도조정 암;
    상기 각도조정 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닥재를 평탄화시키는 평탄 스크래퍼;
    상기 바디의 상면에 마련되어 바닥재 이송기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바닥재를 상기 호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호스의 일단을 고정되게 하는 호스지지대; 및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휠의 외면에는 돌출된 다수의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외면에는 제1거리감지센서가 마련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끝단까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 암의 각도는 상기 바디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평탄 스크래퍼의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는 일정온도 유지를 위한 히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정면과 후면에는 물체감지센서와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에 안테나가 마련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KR1020180088991A 2018-07-31 2018-07-31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KR10212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91A KR102124695B1 (ko) 2018-07-31 2018-07-31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91A KR102124695B1 (ko) 2018-07-31 2018-07-31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59A KR20200013859A (ko) 2020-02-10
KR102124695B1 true KR102124695B1 (ko) 2020-06-18

Family

ID=6962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91A KR102124695B1 (ko) 2018-07-31 2018-07-31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726B1 (ko) * 1990-11-14 1999-07-01 와시오히데오 포장 기계에 있어서의 포장 두께 제어방법 및 자동 제어의 조건 설정방법
JP4505104B2 (ja) * 1999-09-08 2010-07-21 株式会社ダイフレックス 防水塗膜形成用ロボット
KR101573489B1 (ko) * 2015-01-28 2015-12-02 주식회사 태강이앤아이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856406B1 (ko) * 2017-01-06 2018-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포장치
JP7091900B2 (ja) 2018-07-17 2022-06-28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06A (ko) * 2015-10-05 2017-04-13 조봉현 도로의 노면 표시 장치
KR101744450B1 (ko) 2016-08-25 2017-06-20 오세열 친환경 에폭시 조성물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726B1 (ko) * 1990-11-14 1999-07-01 와시오히데오 포장 기계에 있어서의 포장 두께 제어방법 및 자동 제어의 조건 설정방법
JP4505104B2 (ja) * 1999-09-08 2010-07-21 株式会社ダイフレックス 防水塗膜形成用ロボット
KR101573489B1 (ko) * 2015-01-28 2015-12-02 주식회사 태강이앤아이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856406B1 (ko) * 2017-01-06 2018-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포장치
JP7091900B2 (ja) 2018-07-17 2022-06-28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59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381B1 (en) Tile laying machine and a method of use
US9358688B2 (en) Machine for aligning items in a pattern and a method of use
KR102088600B1 (ko)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US20140366481A1 (en) Automated construction machinery and method
US20170036351A1 (en) Method for marking, robot unit for painting stripes, and use hereof
CN103938841A (zh) 高效瓷砖自动抹浆机
KR20200013853A (ko) 바닥 도장재료 자동분사장치
KR102124695B1 (ko) 바닥재 자동 레벨링 장치
KR101651936B1 (ko) 아스콘 포장도로 보수용 차량
US20220220751A1 (en) Jet adapter for plastering machines
JP2009078210A (ja) 自走型洗浄・塗装方法及び自走型の洗浄・塗装機
CN107700805A (zh) 一种智能刷墙机
DE102015101169A1 (de) Schleifstaub-Absaugvorrichtung
US98276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O2016120714A1 (de) Fahrbare bodenschleifmaschine und nachrüstsatz für einen flügelglätter
US10443250B2 (en) Method for continuously extruding and depositing an unbroken layer of mortar on a work surface or substrate
CN111997323A (zh) 一种建筑用墙砖的粘贴装置
CN104330047B (zh) 一种沥青混合料表面构造深度测试仪及其测试方法
US4253813A (en) Apparatus for applying a flowable coating material to the interior of a stack
RU2679171C2 (ru) Стан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равнив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и укладки напольной плитки, стан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равнив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и стан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кладки напольной плитки
US8622649B1 (en) Screen limestone leveling and smoothing tool
CN211007694U (zh) 建筑导轨混凝土收面及覆膜装置
CN211541712U (zh) 一种建筑施工现场混凝土试块标准养护室
KR20140117222A (ko) 핸드 휘니샤
AU2021107506A4 (en) Smart concrete trowel, curing and polish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