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937B1 -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937B1
KR102123937B1 KR1020180079766A KR20180079766A KR102123937B1 KR 102123937 B1 KR102123937 B1 KR 102123937B1 KR 1020180079766 A KR1020180079766 A KR 1020180079766A KR 20180079766 A KR20180079766 A KR 20180079766A KR 102123937 B1 KR102123937 B1 KR 10212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fitting groove
outdoor unit
conditioner outdo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260A (ko
Inventor
설진영
Original Assignee
설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진영 filed Critical 설진영
Priority to KR102018007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9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테이블 형태를 갖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각 모서리 부분에 특정 구조를 갖는 연결구를 적용시켜 받침대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부재를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를 제공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횡부재와 종부재 및 받침부재가 테이블 형태로 조립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 적용되되; 상판과 후판 및 측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면과 전면 및 일측면이 제거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갖으며; 상기 상판 및 측판으로 형성된 몸체 전면에는 상기 종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종부재 끼움홈이 해당 종부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후판으로 형성된 몸체 일측면에는 상기 횡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횡부재 끼움홈이 해당 횡부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판 및 측판으로 형성된 몸체 하면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받침다리 끼움홈이 해당 받침다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CONNECTOR FOR ASSEMBLING SUPPORTER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실외기가 안착 설치되는 테이블형 받침대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제공되어 다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에어컨실외기용 받침대를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사이클을 이용하는 에어컨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외기와의 열교환으로 액화시킨 후, 팽창밸브를 매개로 증발기에서 내기와의 열교환으로 기화시켜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방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이에, 상기 에어컨은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액화시킴으로서 실내를 냉방하는 실내기로 분리 구성된다.
한편,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고층 건물에서는 통상적으로 각 세대의 베란다 측에 에어컨실외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건물 미관을 해침과 동시에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 등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베란다 난간이나 건물 외벽에 에어컨실외기를 설치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경우, 상기 에어컨실외기는 통상적으로 각 세대의 베란다 내부 공간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컨실외기의 높이를 베란다의 창문 높이에 맞추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에어컨실외기 받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횡부재(1) 및 종부재(2)가 대략 직사각틀 형태로 결합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받침다리(3)가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테이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그 상부에 에어컨실외기가 안착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는 복수 개의 횡부재(1) 및 종부재(2), 받침다리(3) 등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부재가 볼트 및 너트(4)의 체결을 통해 테이블 형태로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각 연결부분 마다 볼트 및 너트(4)를 체결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해당 받침대에 에어컨실외기를 설치한 후 장치의 장시간 사용 시에는 진동 등의 영향에 따라 볼트 및 너트 상호 간의 체결력이 약화되면서 임의적인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 종래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는 횡부재 및 종부재, 받침다리가 모두 한 개의 부재로 가조립되어 제공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함과 아울러, 물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6515호 국내 등록디자인 제30-08490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테이블 형태를 갖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각 모서리 부분에 특정 구조를 갖는 연결구를 적용시켜 받침대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부재를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횡부재와 종부재 및 받침부재가 테이블 형태로 조립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 적용되되; 상판과 후판 및 측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면과 전면 및 일측면이 제거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갖으며; 상기 상판 및 측판으로 형성된 몸체 전면에는 상기 종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종부재 끼움홈이 해당 종부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후판으로 형성된 몸체 일측면에는 상기 횡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횡부재 끼움홈이 해당 횡부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판 및 측판으로 형성된 몸체 하면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받침다리 끼움홈이 해당 받침다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부재 끼움홈과 횡부재 끼움홈 및 받침다리 끼움홈은 각각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단면형상을 갖는 상기 종부재와 횡부재 및 받침다리에 맞춰 각각 "┓"형상이나 "┏━" 형상, 또는 "┛"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부재 끼움홈 및 횡부재 끼움홈의 일측에는 각각 종부재 또는 횡부재의 용이한 삽입을 위한 확장홈이 연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의 천정 일측에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원통부재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매개로 보조 끼움홈이 형성되어, 봉형상의 받침다리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 끼움홈은 그 내부에 상기 횡부재 및 종부재의 절곡된 하측부분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종부재 끼움홈 및 횡부재 끼움홈의 하측부분에 비해 넓은 치수의 폭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컨실외기가 안착 설치되는 테이블 형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서, 다수 개의 횡부재와 종부재 및 받침다리를 특정 구조를 갖는 네 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함에 따라, 테이블 형태를 갖는 에어컨실외기용 받침대를 현장에서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횡부재와 종부재 및 받침부재가 네 개의 연결구를 매개로 매우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로 해당 에어컨실외기를 지지함에 따라, 장치의 장시간 사용 시에도 임의적인 유동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가 적용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는 바(bar) 형상을 갖는 8개의 부재 및 4개의 연결구만으로 해당 제품이 구성됨에 따라,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분리 상태에서 매우 작은 부피로 포장이 가능하여, 이에 제품의 운반 및 보관 등이 매우 간편한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저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를 이용한 각 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봉형 받침다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봉형 받침다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봉형 받침다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저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를 이용한 각 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봉형 받침다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봉형 받침다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봉형 받침다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는, 에어컨의 실외기를 건물 베란다 등에 설치하도록 제공되는 테이블 형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서, 특정 구조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바(bar)형 부재로 이루어진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를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에어컨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액화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하는 에어컨실내기로 분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실외기가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내부에 설치되는데 있어서는 해당 베란다의 창문 높이와 에어컨실외기 팬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에어컨 실외기용 받침대가 적용되어, 상기 에어컨실외기가 베란다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에는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에어컨실외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이블 형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테이블 형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씩의 횡부재(1) 및 종부재(2)가 대략 사각틀 형태로 조립되고, 사각틀 형태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수직을 이루도록 네 개의 받침다리(4)가 각각 결합되어 테이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에 따라, 상기 한 쌍씩의 횡부재(1) 및 종부재(2)와, 네 개의 받침다리(3)는 사각틀 형태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네 개의 연결구 몸체(10)를 매개로 일체로 조립되어 테이블 형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각틀 형태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네 개의 연결구는 상호 대각선에 위치된 연결구끼리 동일한 형태를 갖으며, 인접한 지점에 위치된 연결구와는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중 어느 한 개의 연결구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횡부재(1)는 일정 폭 및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그 상면에 에어컨실외기가 안착 설치되는 수평부(1a) 및 상기 수평부(1a)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된 수직부(1b)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부재(2)는 상기 횡부재(1)에 비해 그 길이가 짧은 치수를 갖는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수평부(2a)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부(2b)가 절곡 형성되어, 그 단면이 대략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받침다리(3)는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는, 상판(12)과 후판(14) 및 측판(16)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면과 전면 및 일측면이 제거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2) 및 측판(16)으로 형성된 몸체(10) 전면에는 상기 종부재(2)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종부재 끼움홈(30)이 요입 형성되되, 상기 종부재 끼움홈(30)은 상기 종부재(2)의 단면형상에 맞춰 대략 "┓"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판(12) 및 후판(14)으로 형성된 몸체(10) 일측면에는 상기 횡부재(1)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횡부재 끼움홈(20)이 요입 형성되되, 상기 횡부재 끼움홈(20)은 상기 횡부재(1)의 단면형상에 맞춰 대략 "┏━"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판(14) 및 측판(16)으로 형성된 몸체(10) 하면에는 상기 받침다리(3)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받침다리 끼움홈(40)이 요입 형성되되, 상기 받침다리 끼움홈(40)은 상기 받침다리(3)의 단면형상에 맞춰 대략 "┛"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부재 끼움홈(30) 및 상기 횡부재 끼움홈(20)의 수직부분 일측에는 상기 종부재(2) 또는 횡부재(1)의 조립 시 보다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그 단면이 사각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의 확장홈(22,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종부재 끼움홈(30) 및 상기 횡부재 끼움홈(20), 상기 받침다리 끼움홈(40)은 상기 연결구 몸체(10) 내부에서 모두 연통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종부재(2) 및 횡부재(1)가 각각의 끼움홈(20,3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종부재(2)의 수직부(2b) 및 횡부재(1)의 수직부(1b)와 겹쳐진 상태로 상기 받침다리(3)의 상단 부분이 상기 받침다리 끼움홈(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다리 끼움홈(40)의 폭(d1)은 상기 종부재 끼움홈(30) 및 횡부재 끼움홈(20)의 수직부분 폭(d2)에 비해 대략 2배 정도 넓은 치수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 몸체(10)의 상판(12) 천정 부분에는 다수 개의 나사체결홀(60)이 천공되어, 해당 끼움홈(20,30)에 상기 횡부재(1) 및 종부재(2)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횡부재(1) 및 종부재(2)의 견고한 고정을 위한 나사(62)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몸체(10) 상판(12)의 천정 일측에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 일정 길이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봉형 받침부재(5)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보조 끼움홈(50)이 추가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 끼움홈(50)은 상이한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원통부재가 동심축을 갖도록 겹쳐져 그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봉형 받침다리(5)의 상단부분이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연결구 몸체(1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상판(12) 및 측판(16)에 걸쳐 형성되는 리브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2는 상기 보조 끼움홈(50)의 강도 보강을 위해 형성된 "+"형 리브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의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를 매개로 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조립과정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에어컨실외기용 받침대를 조립하는데 있어서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씩의 횡부재(1) 및 종부재(2)를 대략 직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연결구 몸체(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 연결구 몸체(10)의 횡부재 끼움홈(20) 및 종부재 끼움홈(30)에는 한 쌍씩 구비된 상기 횡부재(1) 및 종부재(2)의 단부를 삽입 결합시켜 대략 직사각틀 형상을 갖는 에어컨실외기의 안착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다수 개의 연결구 몸체(10)에 각각 구비된 횡부재 끼움홈(20) 및 종부재 끼움홈(30)에 각각 횡부재(1) 및 종부재(2)를 삽입 결합한 후, 연결구 몸체(10)의 천정 측에 구비된 다수 개의 나사체결홀(60)에 나사(62)를 체결함에 따라, 각 나사(62)의 단부가 횡부재(1) 또는 종부재(2)의 하면에 외력을 인가하면서 상기 횡부재(1) 및 종부재(2)는 임의적인 이탈이나 유동이 방지되면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연결구 몸체(10) 하부에 구비된 받침다리 끼움홈(40)에 네 개의 받침다리(3) 상단을 삽입 결합시킴에 따라, 대략 테이블 형태를 갖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 봉형 받침다리(5)를 적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끼움홀(50)에 봉형 받침다리(5) 상단부분을 삽입 결합시켜 에어컨실외기용 받침대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는 다수 개의 횡부재(1)와 종부재(2) 및 받침다리(3)가 네 개의 연결구 몸체(10)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됨에 따라,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편한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나사체결홀(60)에 다수 개의 나사(62)를 추가로 체결함에 따라, 매우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를 베란다 등에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에어컨실외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구조의 연결구가 적용된 에어컨실외기 받침대는 에어컨실외기의 동작에 따른 진동발생 시에도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면서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네 개의 연결구 몸체(10)로부터 간편하게 횡부재(1) 및 종부재(2), 받침다리(3) 등을 분리시킬 수가 있음은 물론, 이때 분리된 각 부재는 그 부피가 최소화 되게 되므로 간편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 횡부재, 2: 종부재,
3: 받침다리, 5: 봉형 받침다리,
10: 연결구 몸체, 12: 상판,
14: 후판, 16: 측판,
18: 리브, 20: 횡부재 끼움홈,
22,32: 확장홈, 30: 종부재 끼움홈,
40: 받침다리 끼움홈, 50: 보조 끼움홈,
52: "+"형 리브, 60: 나사체결홀,
62: 나사.

Claims (5)

  1.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횡부재와 종부재 및 받침부재가 테이블 형태로 조립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에 적용되되;
    상판과 후판 및 측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하면과 전면 및 일측면이 제거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갖으며;
    상기 상판 및 측판으로 형성된 몸체 전면에는 상기 종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종부재 끼움홈이 해당 종부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후판으로 형성된 몸체 일측면에는 상기 횡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횡부재 끼움홈이 해당 횡부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판 및 측판으로 형성된 몸체 하면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받침다리 끼움홈이 해당 받침다리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종부재 끼움홈 및 횡부재 끼움홈의 일측에는 각각 종부재 또는 횡부재의 용이한 삽입을 위한 확장홈이 연통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 끼움홈과 횡부재 끼움홈 및 받침다리 끼움홈은 각각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단면형상을 갖는 상기 종부재와 횡부재 및 받침다리에 맞춰 각각 "┓"형상이나 "┏━" 형상, 또는 "┛"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천정 일측에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원통부재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매개로 보조 끼움홈이 형성되어, 봉형상의 받침다리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 끼움홈은 그 내부에 상기 횡부재 및 종부재의 절곡된 하측부분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다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종부재 끼움홈 및 횡부재 끼움홈의 하측부분에 비해 넓은 치수의 폭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KR1020180079766A 2018-07-10 2018-07-10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KR10212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66A KR102123937B1 (ko) 2018-07-10 2018-07-10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66A KR102123937B1 (ko) 2018-07-10 2018-07-10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60A KR20200006260A (ko) 2020-01-20
KR102123937B1 true KR102123937B1 (ko) 2020-06-17

Family

ID=6936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766A KR102123937B1 (ko) 2018-07-10 2018-07-10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9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997A (ja) * 2002-11-27 2004-06-24 Mikasa Kinzoku Kk 段状設置具及び室外機の設置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25B1 (ko) 2008-09-30 2011-01-27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실외기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997A (ja) * 2002-11-27 2004-06-24 Mikasa Kinzoku Kk 段状設置具及び室外機の設置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60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680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KR102123937B1 (ko) 에어컨실외기 받침대 조립용 연결구
KR101986621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EP3418460B1 (en) Prefabricated unit
KR102174049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AU2017251065B2 (en) Panel with integrated air conditioner for prefabricated houses
KR10202239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475053Y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102048472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용 프레임 구조체
JP200730378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室外機の取付け脚の製造方法
JP2014147663A (ja)
US20150157143A1 (en) Integrated Center Frame for a Refrigerated Display Case
KR100876057B1 (ko) 원통형 항온항습기
KR101997612B1 (ko) 에어컨 실외기용 공기 배출커버
KR102391851B1 (ko) 나사로 고정가능한 홀을 포함하는 실외기용 받침대
KR10088395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102341199B1 (ko) 에어콘 실외기 받침대
JP3345376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据付台
KR200167713Y1 (ko) 에어컨의 실외기 지지브래킷
CN215631430U (zh) 一种用于机电安装的快速组合式脚手架
KR200245715Y1 (ko) 에어컨디셔너의실외기설치구조
JP2016083097A (ja) 棚の補強機構
KR200353206Y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