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957B1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3957B1 KR100883957B1 KR1020080085695A KR20080085695A KR100883957B1 KR 100883957 B1 KR100883957 B1 KR 100883957B1 KR 1020080085695 A KR1020080085695 A KR 1020080085695A KR 20080085695 A KR20080085695 A KR 20080085695A KR 100883957 B1 KR100883957 B1 KR 1008839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air conditioner
- outdoor unit
- bottom plate
- conditioner out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가동시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에어컨 실외기를 아파트 및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면서 설치공간의 환경에 적합하게 다양한 각도로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아파트 및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실외기가 설치 고정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있어서, 실외기가 놓여지며 양측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절곡홈부가 형성된 바닥판; 상기 절곡홈부의 내측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후단이 난간 하부에 결합된 하부길이 조절관; 후단이 난간 상부에 결합된 상부길이 조절관;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과 하부길이 조절관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이동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제공된다.
바닥판, 하부길이 조절관, 상부길이 조절관, 지지프레임, 수평지지프레임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가동시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에어컨 실외기를 아파트 및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면서 설치공간의 환경에 적합하게 다양한 각도로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액화시키고, 액화된 냉매를 팽창밸브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킨 뒤 증발기에서 기화시켜 이때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름철 무더운 날씨에 사무실, 방 또는 건물 내부와 같이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활동하기기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공기조화기이다.
냉각 사이클을 통해 냉풍을 공급하는 에어컨은 유니트의 구성에 따른 냉방의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 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에어컨과 실내측 공간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 공간에는 발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이때 분리형 에어컨은 증발기와 송풍팬을 내장한 실 내기 및 압축기와 응축기를 내장한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다.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는 기본적으로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따라서, 실외기는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다음 실내에 설치된 실내기와 연결 구성하게 된다. 이때,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 바닥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외기를 설치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시키지 못할 경우 실외기의 작동과정에서 실외기의 내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 특히, 압축기 및 팬 등의 구성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실외기의 진동이 실내기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실내에 소음 진동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 된다.
한편, 실외기를 발코니에 설치하는 경우 실외기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실내의 냉방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외기를 건물의 외부에 실외기 설치대를 설치 고정한 후 에어컨의 실외기를 실외기 설치대에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를 본 출원인이 공동출원(등록실용 20-0307395)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종래와 같은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는, 설치되는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대가 에어컨의 용량에 맞도록 규격화된 상태로 제작되어 설치됨에 따라, 추후 대용량의 에어컨으로 교체시에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를 에어컨의 용량에 상응하는 크기로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는, 상기 에어컨의 용량에 따라 에어컨의 실외기 또한 실외기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의 크기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에어컨의 용량이 커지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에어컨 실외기의 크기도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용량을 갖는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시 실외기의 크기에 따라 다방면으로 길이가 가변 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파트 및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실외기가 설치 고정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있어서, 실외기가 놓여지며 양측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절곡홈부가 형성된 바닥판; 상기 절곡홈부의 내측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후단이 난간 하부에 결합된 하부길이 조절관; 후단이 난간 상부에 결합된 상부길이 조절관;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상부길이조절관과 하부길이조절관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이동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체결공;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과 하부길이 조절관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상,하부 길이조절공;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의 길이조절공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과 지지프레임은 바닥판의 절곡홈부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공 및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하단에 형성된 상부지지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상단을 통해 상부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하부지지프레임으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상부지지프레임의 높이조절공과 하부프레임의 체결공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은 좌,우 바닥판으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좌,우 바닥판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가변 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수단은 좌,우 바닥판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좌,우 바닥판의 하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가진 지지판; 및 상기 좌,우 바닥판과 지지판을 상호연결시키도록 상기 장공과 결합공을 통해 체결되는 조임볼트와 조임너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바닥판은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된 요철부를 통해 매칭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결합 된 수평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은 상기 바닥판이 함께 가변 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좌,우 수평지지프레임으로 분리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는,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안착 고정되는 실외기의 크기에 맞도록 가변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는 에어컨 용량의 규격에 대한 제약을 받지않고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대용량의 에어컨 교체시 발생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교체에 대한 금전적인 손실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고정되는 베란다 난간의 높낮이에 따라 가변이 가능함에 따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이 단품화되어 유통시의 간소화와 함께 조립의 편리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결합된 상태로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바닥판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이고,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결합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결합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 성중 바닥판이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수평지지프레임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바닥판의 가변과 함께 수평지지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는 아파트 및 건물의 베란다 난간(1)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실외기가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실외기가 안착 되는 바닥판(100)과, 상기 베란다 난간(1) 상하부에 결합 되는 상,하부길이 조절관(240,220))과, 바닥판(100)과 결합 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상,하부길이 조절관(240,220))에 끼워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0)은 실외기가 안착되는 판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100)의 양측단에는 바닥판(100)의 폭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홈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부(111)는 바닥판(100)의 양측단이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된 상태로 내측으로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0)은 좌우방향으로 가변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100)은 좌바닥판(100)과 우바닥판(100)으로 상호 분리되어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맞대어진 상태이다. 상기 맞대어진 좌,우 바닥판(120,130)의 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요철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140)를 통해 좌,우 바닥판(120,130)의 단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바닥판(100)의 단부가 들뜨거나 포개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매칭된다.
또한,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가변 가능토록 체결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바닥판(100)에 형성된 장공(150)과, 상기 바닥판(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판(160)과, 조임볼트(180a)와 조임너트(180b)로 구성된다.
상기 장공(150)은 좌,우 바닥판(120,130) 단부의 전후로 절곡된 수직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바닥판(100) 단부가 요철부(140)를 통해 맞물릴 때 상기 수직테두리가 상호 교차되는 과정에서 바닥판(100)의 좌우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60)은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의 하부에 바닥판(100)과 중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지지판(160)의 전후에는 상기 장공(150)과 대응되는 위치 및 높이를 갖는 한 쌍의 결합공(17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볼트(180a)와 조임너트(180b)는 지지판(160)이 바닥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바닥판(100)과 지지판(160)을 상호연결시키고, 바닥판(100)이 좌우방향으로 가변가능토록 상기 바닥판(100)의 장공(150)과 지지판(160)의 결합공(170)을 통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바닥판(100)을 가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공(150)과 결합공(170)을 통해 결합된 조임볼트(180a)의 조임력을 해제한 상 태에서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을 원하는 길이만큼 가변시킨 후, 해제되었던 조임볼트(180a)를 조여 가변상태를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반대로 바닥판(100)의 가변길이를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임볼트(180a)의 조임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을 복귀시킨 후 조임볼트(180a)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100)은 조임볼트(180a)와 조임너트(180b)의 조임에 의해 가변된 상태가 고정되고, 반대로 풀림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변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160)은 좌,우 바닥판(120,130) 단부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좌,우 바닥판(120,130)의 가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고, 상기 바닥판(100)에 설치 고정되는 에어컨 실외기의 무게에 의해 바닥판(100)이 하방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0)의 양측단에 형성된 절곡홈부(111)의 내측으로는 하부길이 조절관(220)이 수용된다. 상기 하부길이 조절관(220)은 후단이 난간 하부에 체결부재(260)에 의해 고정되면서 절곡홈부(111)의 내측으로 중공의 형상을 갖는 상태로 절곡홈부(111)의 내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밀착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부길이 조절관(220)의 상측에는 상부길이 조절관(240)이 위치한다.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240)은 후단이 난간 상부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중공의 형상을 갖는 상태로 체결부재(26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240)과 하부길이 조절관(220)에는 한 쌍의 지지프레 임(300)이 각각 끼워진다.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베란다 난간(1) 측을 향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240)과 하부길이 조절관(22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이 상부길이 조절관(240)과 하부길이 조절관(22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300)의 이동이 전후방향으로의 단계적으로 수평이동 되도록 이동조절수단을 통해 조절된다.
상기 이동조절수단은 지지프레임(300)에 형성된 체결공(350)과, 상기 상,하부길이 조절관(240,220)에 형성된 복수의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볼트(40a)와 너트(40b)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공(350)은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의 후방 일단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관통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은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240)과 하부길이 조절관(220)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240)과 하부길이 조절관(220)에 끼워지는 지지프레임(300)의 상하단 일단에 형성된 체결공(35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복수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길이 조절관(220)에 형성된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지지프레임(300)의 상하단에 형성된 체결공(350)은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을 전후방향으로 가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부길이 조절관(220)에 형성된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지지프레임(300)의 상하단에 형성된 체결공(350)을 통해 체결된 볼트(40a)와 너트(40b)를 풀어 해제시킨 후, 상기 지지프레임(300)을 가변시키면서 상하부길이 조절관(220)의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지지프레임(300)의 상하단의 체결공(350)을 일치시킨다. 이후, 상기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체결공(350)을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반대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의 가변된 상태를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40a)와 너트(40b)를 풀어 해제시키고, 가변되었던 지지프레임(300)을 복귀시면서 상하부길이 조절관(220)의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지지프레임(300)의 상하단의 체결공(350)을 일치시킨다. 이후, 일치된 상,하부 길이조절공(240a,220a)과 체결공(350)을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300)의 상하단이 상하부길이 조절관(22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변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300)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부지지프레임(300)과 하부지지프레임(300)으로 분리구성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상부지지프레임(300)은 하단이 바닥판(100)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에는 절곡된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높이조절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은 상단이 상부지지프레임(300)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에는 상부지지프레임(300)의 하단을 통해 끼워지면서 상부지지프레임(300)의 높이조절공(310)에 대응되는 체결공(35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프레임(300)과 하부지지프레임(300)은 상부지지프레임(300)의 높이조절공(310)과 하부지지프레임(300)의 체결공(350)을 통해 볼트(40a)와 너트(40b)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프레임(300)을 상측으로 가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높이조절공(310)과 체결공(350)에 체결된 볼트(40a)와 너트(40b)를 풀어 해제시킨 다음, 상기 상부지지프레임(30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면서 높이조절공(310)과 체결공(350)을 일치시킨다. 이후, 일치된 높이조절공(310)과 체결공(350)을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반대로, 상부로 가변된 상부지지프레임(300)을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공(310)과 체결공(350)을 통해 체결된 볼트(40a)와 너트(40b)를 풀어 해제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부로 승강 되었던 상부지지프레임(300)을 하강시키면서 높이조절공(310)과 체결공(350)을 일치시킨다. 이후, 일치된 높이조절공(310)과 체결공(350)을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하부지지프레임(300)이 상부지지프레 임(300)에 끼워짐에 따라 상호 이탈이 방지되고, 아울러 지지프레임(300)의 높이를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높이가 가변됨에 따라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가 고정되는 베란다 난간(1)의 높낮이에 맞게 설치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 하단에는 바닥판(100)이 고정된다. 상기 바닥판(100)과 지지프레임(300)은 바닥판(100)의 양측단에 형성된 절곡홈부(111)와 난간 측을 향해 절곡된 지지프레임(300)의 하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공(111a,380b)을 통해 볼트(40a)와 너트(40b)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10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0)과 일체로 구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이 전후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수평이동될 때 상기 지지프레임(300)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 사이에는 수평지지프레임(3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지지프레임(300)은 좌수평지지프레임(300)과 우수평지지프레임(300)으로 분리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 된다.
상기 좌,우 수평지지프레임(300)은 양단이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 각각에 볼트(40a)와 너트(40b)를 통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고, 좌,우 수평지지프레임(300)의 선단이 상호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좌,우 수평지지프레임(300)은 상기 바닥판(100)이 가변 될 때, 상기 바닥판(100)이 가변되는 만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수평지지프레임(300)이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과 바닥판(100)이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좌,우 수평지지프레임(300)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300) 사이에 위치 고정됨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뒤틀림 및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견고성 및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에 안착 고정되는 실외기의 크기의 따라 가변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가 고정되는 베란다 난간(1)의 높낮이에 따라 가변이 가능함에 따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5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이 단품화되어 유통시의 간소화와 함께 조립의 편리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결합된 상태로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바닥판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결합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가 결합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바닥판이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수평지지프레임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구성중 바닥판의 가변과 함께 수평지지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베란다 난간 40a...볼트
40b...너트 100...바닥판
111...절곡홈부 111a,380b...고정공
120...좌바닥판 130...우바닥판
140...요철부 150...장공
160...지지판 170...결합공
180a...조임볼트 180b...조임너트
220...하부길이 조절관 220a...하부 길이조절공
240...상부길이 조절관 240a...상부 길이조절공
260...체결부재 300...지지프레임
310...높이조절공 340...상부지지프레임
350...체결공 380...하부지지프레임
400...수평지지프레임 420...좌수평지지프레임
440...우수평지지프레임 500...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Claims (8)
- 아파트 및 건물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어 에어컨의 실외기가 설치 고정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있어서,실외기가 놓여지며 양측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절곡홈부가 형성된 바닥판;상기 절곡홈부의 내측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후단이 난간 하부에 결합된 하부길이 조절관;후단이 난간 상부에 결합된 상부길이 조절관;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상부길이 조절관과 하부길이 조절관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이동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조절수단은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체결공;상기 상부길이 조절관과 하부길이 조절관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상,하부 길이조절공;상기 상부길이 조절관의 길이조절공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바닥판과 지지프레임은 바닥판의 절곡홈부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공 및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의 높이조절공이 하단에 형성된 상부지지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상단을 통해 상부지지프레임의 하단에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하부지지프레임으로 분리구성되고,상기 상부지지프레임의 높이조절공과 하부프레임의 체결공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바닥판은 좌,우 바닥판으로 분리 구성되고,상기 좌,우 바닥판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가변 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수단은좌,우 바닥판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좌,우 바닥판의 하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가진 지지판; 및상기 좌,우 바닥판과 지지판을 상호연결시키도록 상기 장공과 결합공을 통해 체결되는 조임볼트와 조임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좌,우 바닥판은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된 요철부를 통해 매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제 5항에 있어서,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결합된 수평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되고,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은 상기 바닥판이 함께 가변 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좌,우 수평지지프레임으로 분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695A KR100883957B1 (ko) | 2008-09-01 | 2008-09-01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695A KR100883957B1 (ko) | 2008-09-01 | 2008-09-01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3957B1 true KR100883957B1 (ko) | 2009-02-18 |
Family
ID=4068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5695A KR100883957B1 (ko) | 2008-09-01 | 2008-09-01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395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648Y1 (ko) * | 2008-09-17 | 2011-05-19 | 김성운 | 난간용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KR102072973B1 (ko) * | 2019-06-04 | 2020-02-04 |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1395A (ja) * | 1994-04-28 | 1995-11-14 | Katsuyoshi Kameoka | 空調機における室外機の仮載置具 |
KR200436177Y1 (ko) | 2007-04-06 | 2007-06-22 | 정현익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받침대 이동장치 |
KR200437003Y1 (ko) | 2007-08-13 | 2007-10-24 | 최재형 | 에어컨 실외기용 받침대 |
KR20080063737A (ko) * | 2008-06-17 | 2008-07-07 | 박정필 | 에어컨 실외기의 거치대 |
-
2008
- 2008-09-01 KR KR1020080085695A patent/KR1008839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1395A (ja) * | 1994-04-28 | 1995-11-14 | Katsuyoshi Kameoka | 空調機における室外機の仮載置具 |
KR200436177Y1 (ko) | 2007-04-06 | 2007-06-22 | 정현익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의 받침대 이동장치 |
KR200437003Y1 (ko) | 2007-08-13 | 2007-10-24 | 최재형 | 에어컨 실외기용 받침대 |
KR20080063737A (ko) * | 2008-06-17 | 2008-07-07 | 박정필 | 에어컨 실외기의 거치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648Y1 (ko) * | 2008-09-17 | 2011-05-19 | 김성운 | 난간용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KR102072973B1 (ko) * | 2019-06-04 | 2020-02-04 |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6680B1 (ko) |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 | |
CN211650498U (zh) | 连接件、安装架组件和窗式空调器组件 | |
KR100883957B1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
CN210050980U (zh) | 一种空调挂机立式电器架 | |
EP2578953B1 (en) | Outdoor unit bracket and outdoor unit comprising the same | |
TW201107685A (en) | Ventilation/air-conditioning device | |
CN106061328A (zh) | 冷藏柜 | |
KR100949387B1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
KR101986621B1 (ko) |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 |
KR102110761B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 | |
KR200353206Y1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
KR102048472B1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용 프레임 구조체 | |
KR200475053Y1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
CN212431135U (zh) | 一种带有减震器的空调外机 | |
KR102391851B1 (ko) | 나사로 고정가능한 홀을 포함하는 실외기용 받침대 | |
KR20200023867A (ko) | 에어컨 또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용 브래킷 | |
KR200245715Y1 (ko) | 에어컨디셔너의실외기설치구조 | |
CN218410271U (zh) | 空调风口安装架 | |
KR20110008914U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
KR102022397B1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및 그 제조방법 | |
CN216089856U (zh) | 一种便于调节的空调展示架 | |
CN218993520U (zh) | 无噪音卧式空调室内机及其安装结构 | |
JP3345376B2 (ja) | エアコン室外機の据付台 | |
KR200437515Y1 (ko) | 에어컨 실외기용 거치대 | |
KR20120002497U (ko) |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