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214B1 -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214B1
KR102122214B1 KR1020130020740A KR20130020740A KR102122214B1 KR 102122214 B1 KR102122214 B1 KR 102122214B1 KR 1020130020740 A KR1020130020740 A KR 1020130020740A KR 20130020740 A KR20130020740 A KR 20130020740A KR 102122214 B1 KR102122214 B1 KR 10212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rain
coupled
food was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325A (ko
Inventor
장두현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7548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222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 filed Critical (주)코스모
Priority to KR102013002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1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는, 싱크대에 설치되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용공간과 연결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처리유닛;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걸름망유닛; 및 배수처리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되, 걸름망유닛에 직결되어 걸름망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걸름망유닛은,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각진 형상의 내벽부를 갖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회전축은, 동력 전달부의 내벽부에 대응되도록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WASTE FOOD SPIN-DRY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배수구에는 배수 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름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걸름망은,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 내어 수분을 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일정 부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분쇄 및 탈수할 수 있거나 탈수만 수행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주로 전동모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 또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을 분리할 수 있는 탈수통과 같은 처리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기 또는 탈수통과 같은 처리기와 전동모터의 회전축의 결합구조가 복잡하고나 견고하지 못하여, 회전축과 처리기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하고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회전축과 처리기를 연결할 때 느슨하게 연결되어 처리기가 회전축으로부터 이탈되기 쉬웠으며, 장시간 사용으로 회전축에 대한 처리기의 연결부위가 마모되어 처리기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64769 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전축과 처리기의 결합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며, 회전축의 작동에 의해서 처리기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싱크대에 설치되되, 상기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처리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걸름망유닛; 및 상기 배수처리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걸름망유닛에 직결되어 상기 걸름망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걸름망유닛은,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각진 형상의 내벽부를 갖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동력 전달부의 내벽부에 대응되도록 각진 형상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수처리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싱크대에 결합가능하도록 나선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를 제공하도록 배수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수 케이스; 및 상기 싱크대의 바닥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배수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는 환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걸름망유닛의 하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걸름망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돌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의 바닥부에는, 상기 배수구로 연결되되, 상기 배수구 측으로 점차 단면이 넓어지도록 배수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는, 상기 돌출 지지부보다 낮게 형성되되, 상기 걸름망유닛의 하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확장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되되, 상기 환형 플랜지는, 환형의 지지턱부; 상기 환형의 지지턱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 케이스의 상부에 인서트 몰딩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형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플랜지는 철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걸름망유닛은, 상기 배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원통부재; 상기 원통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케이스의 내벽부에 대한 상기 원통부재의 이격을 유지시키는 환형의 유격 플랜지; 및 상기 원통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동력전달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사각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돌출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원추 형상의 원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가 안치되되, 상기 배수 케이스에 결합되는 구동 케이스; 상기 구동 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전원을 변환시켜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할 수 있는 구동회로기판; 상기 구동 케이스에 마련되되,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안치되는 구동회로 수용부; 및 상기 구동회로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구동회로 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배수 케이스에 결합용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홀을 제공하는 복수의 결합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배수 케이스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저면부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용 볼트에 대응하는 나사홀을 제공하는 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상기 암 너트가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저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연질의 부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너트 및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벽부에는, 상기 배수 케이스에 대한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는 세레이션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수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결합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케이스의 외벽부에는, 상기 구동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전선이 배치가능한 배선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선홈부에는, 배선덮개가 결합되되, 상기 배선덮개에는, 상기 결합나사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나사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상부는 사각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과 처리기의 결합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며, 회전축의 작동에 의해서 처리기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수처리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걸름망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구동유닛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는, 싱크대(미도시)에 설치되되 싱크대(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6)이 마련되며 수용공간(116)과 연결되도록 배수구(111)가 형성되는 배수처리유닛(110)과, 수용공간(1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는 걸름망유닛(140)과, 배수처리유닛(110)의 하부에 설치되되 걸름망유닛(140)에 직결되어 걸름망유닛(14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162)을 구비한 구동모터(161)를 포함하는 구동유닛(1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 걸름망유닛(140)은 회전축(162)이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각진 형상의 내벽부(146)를 갖는 동력 전달부(145)를 포함하며, 회전축(162)은 동력 전달부(145)의 내벽부(146)에 대응되도록 각진 형상의 상단 축부(163)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걸름망유닛(140)은, 동력 전달부(145)의 각진 형상의 내벽부(146)에 각진 형상의 회전축(162)의 상단 축부(163)가 삽입됨으로써, 구동모터(161)와 간단하게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탈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162)의 각진 형상의 상단 축부(163)는, 사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름망유닛(14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내벽부(146)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배수처리유닛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배수처리유닛(110)은, 수용공간(116)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싱크대(미도시)에 결합가능하도록 나선부(119)가 상부에 형성되며 배수구(111)를 제공하도록 배수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수 케이스(115)와, 싱크대(미도시)의 바닥부에 지지되도록 배수 케이스(115)의 상부에 마련되는 환형 플랜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케이스(115)는, 나선부(119)가 싱크대(미도시)에 결합되고 환형 플랜지(118)가 싱크대(미도시)에 지지됨으로써 싱크대(미도시)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름망유닛(140)은 회전축(162)에 삽입되어 배수 케이스(115)의 원통형의 수용공간(116)에 수용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걸름망유닛(140)으로 수용된 후, 구멍(141)을 통해 수분이 분리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61)에 의해 원통형의 수용공간(116)에서 원활하게 회전되어 수분이 원심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케이스(115)는, 회전축(16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되, 걸름망유닛(140)의 하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걸름망유닛(140)이 회전가능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돌출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지지부(120)는, 걸름망유닛(140)이 회전될 때, 걸름망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걸름망유닛(14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게 배치될 때, 편중에 의한 진동이 방지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진동에 의한 소음과 회전축(162)으로 이어진 구동모터(16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케이스(115)는, 돌출 지지부(120)보다 낮게 형성되되, 걸름망유닛(140)의 하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확장 지지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지지부(121)는 1차적인 돌출 지지부(120)와 달리 더욱 큰 반경에서 걸름망유닛(140)을 2차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걸름망유닛(14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케이스(115)의 바닥부에는, 배수구(111)로 연결되되, 배수구(111) 측으로 점차 단면이 넓어지도록 배수홈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홈부(125)는, 배수 케이스(115)의 바닥부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배수구(111) 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배수구(111) 측으로 점차 단면이 넓어지게 구성됨으로써 수분이 배출 유로를 충분히 제공하며, 배수 케이스(115)의 바닥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걸름망유닛(140)에 대한 배수 케이스(115)의 바닥부의 지지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케이스(115)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환형 플랜지(118)는, 환형의 지지턱부(126)와, 환형의 지지턱부(126)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수 케이스(115)의 상부에 인서트 몰딩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형 삽입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배수 케이스(115)에 인서트되는 환형 플랜지(118)는 철재로 제작될 수 있다. 환형 플랜지(118)의 외주부는 플라스틱 사출이 이루어 질 때, 배수 케이스(115)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배수 케이스(11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케이스(115)는, 배수 케이스(115)의 저면부에 결합되되, 결합용 볼트(129)에 대응하는 나사홀(181)을 제공하는 암 너트(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케이스(115)의 저면부에는, 암 너트(131)가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용 볼트(129)는 구동모터(161)를 배수 케이스(115)의 암 너트(131)에 결합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때 결합용 볼트(129)와 암 너트(131)는 배수 케이스(115)의 저면 외주부에 동일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 케이스(115)는, 배수 케이스(115)의 저면부에 설치되되, 회전축(162)이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베어링부재(135)와, 베어링부재(135)의 상부에 설치되되 회전축(162)이 삽입되는 연질의 부싱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재(135)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걸름망유닛(140)에 의한 탈수 시에 회전축(162)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부싱부재(136)는 연질로 이루어져 회전축(162)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걸름망유닛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구동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걸름망유닛(140)은, 배수 케이스(115)의 수용공간(116)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원통부재(148)와, 원통부재(148)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수 케이스(115)의 내벽부(146)에 대한 원통부재(148)의 이격을 유지시키며, 배수 케이스(115)의 하부로 음식물 쓰레기의 낙하를 차단하는 환형의 유격 플랜지(149)와, 원통부재(148)의 하부에 결합되되 회전축(162)이 삽입되는 동력 전달부(145)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베이스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모터(161)의 회전력에 의해 원통부재(148)가 회전될 때, 원통부재(148)의 형성되어 있는 구멍(141)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분리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통부재(148)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부식이 방지되며, 원통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50)에도 구멍(141)이 형성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원통부재(148)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분이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145)는, 상부에 회전축(162)의 상단 축부(163)가 삽입되는 사각통로(151)가 형성되며, 하부에 돌출 지지부(120)가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의 원추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62)의 상단 축부(163)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각으로 형성되어 동력 전달부(145)의 상부에 형성된 사각통로(151)에 삽입됨으로써 동력 전달부(145)에 구동모터(161)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원추홈(152)에 베이스 부재(150)의 돌출 지지부(120)가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걸름망유닛(14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유닛(160)은, 구동모터(161)가 안치되되 배수 케이스(115)에 결합되는 구동 케이스(165)와, 구동 케이스(165)에 설치되되 구동모터(16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전원을 변환시켜 구동모터(161)에 공급할 수 있는 구동회로기판(167)과, 구동 케이스(165)에 마련되되 구동회로기판(167)이 안치되는 구동회로 수용부(168)와, 구동회로 수용부(168)를 개폐하도록 구동회로 수용부(168)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덮개(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61)는, 구동회로기판(167)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어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이 제어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기판(167)은 구동회로 수용부(168)에 수용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 수용부(168)가 보호덮개(169)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회로기판(167)의 인출이 용이하므로, 구동회로기판(167)의 교체나 수리가 수월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모터(161)는, 배수 케이스(115)에 전술한 결합용 볼트(129)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홀(172)을 제공하는 복수의 결합 브라켓(17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브라켓(171)은 모터 하우징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171)은 모터 하우징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케이스(165)의 상부에는, 배수 케이스(115)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175)가 마련되며, 배수 케이스(115)의 하부에는, 배수 케이스(115)의 하부를 관통하여 삽입부(175)에 결합되는 결합나사(17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 케이스(165)가 배수 케이스(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개소의 결합나사(177)가 배수 케이스(115)를 관통하여 구동 케이스(165)에 결합됨으로써 구동 케이스(165)는 배수 케이스(115)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케이스(115)의 외벽부에는, 구동회로기판(167) 에 연결되는 전선이 배치가능한 배선홈부(179)가 마련되며, 배선홈부(179)에는, 배선덮개(180)가 결합되되, 배선덮개(180)에는, 결합나사(177)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나사홀(18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결합나사(177) 중 하나가 배선홈부(179)에 결합되는 배선덮개(180)의 나사홀(181)을 관통하여 구동 케이스(165)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나사(177)는 배선덮개(180)를 배수 케이스(115)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 케이스(115)에 구동 케이스(16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결합나사(177)는 배선덮개(180)에 결합된 결합나사(177)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배수처리유닛
111: 배수구 115: 배수 케이스
116: 수용공간 118: 환형 플랜지
119: 나선부 120: 돌출 지지부
121: 확장 지지부 125: 배수홈부
126: 지지턱부 127: 원형 삽입부
129: 결합용 볼트 131: 암 너트
132: 결합돌기 135: 베어링부재
136: 부싱부재 140: 걸름망유닛
141: 구멍 145: 동력 전달부
146: 내벽부 148: 원통부재
149: 유격 플랜지 150: 베이스부재
151: 사각통로 152: 원추홈
160: 구동유닛 161: 구동모터
162: 회전축 165: 구동 케이스
167: 구동회로기판 168: 구동회로 수용부
169: 보호덮개 171: 결합 브라켓
172: 홀 175: 삽입부
177: 결합나사 179: 배선홈부
180: 배선덮개 181: 나사홀

Claims (16)

  1. 싱크대에 설치되되, 상기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처리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걸름망유닛; 및
    상기 배수처리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걸름망유닛에 직결되어 상기 걸름망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수처리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싱크대에 결합가능하도록 나선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를 제공하도록 배수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수 케이스;
    상기 싱크대의 바닥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배수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는 환형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걸름망유닛의 하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걸름망유닛이 회전가능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돌출 지지부;
    상기 돌출 지지부보다 낮게 형성되되, 걸름망유닛의 하부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확장 지지부;
    상기 배수 케이스의 저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연질의 부싱부재를 더 포함하고, 바닥부에는, 상기 배수구 측으로 점차 단면이 넓어지도록 배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유닛은,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사각 형상의 내벽부를 갖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동력 전달부의 내벽부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사각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돌출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원추 형상의 원추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가 안치되되, 상기 배수 케이스에 결합되는 구동 케이스;
    상기 구동 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전원을 변환시켜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할 수 있는 구동회로기판;
    상기 구동 케이스에 마련되되,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안치되는 구동회로 수용부; 및 상기 구동회로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구동회로 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수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결합나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케이스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되되,
    상기 환형 플랜지는,
    환형의 지지턱부;
    상기 환형의 지지턱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 케이스의 상부에 인서트 몰딩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형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 플랜지는 철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유닛은,
    상기 배수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원통부재;
    상기 원통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 케이스의 내벽부에 대한 상기 원통부재의 이격을 유지시키는 환형의 유격 플랜지; 및
    상기 원통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동력전달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배수 케이스에 결합용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홀을 제공하는 복수의 결합 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배수 케이스는, 상기 배수 케이스의 저면부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용 볼트에 대응하는 나사홀을 제공하는 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상기 암 너트가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케이스의 외벽부에는, 상기 구동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전선이 배치가능한 배선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선홈부에는, 배선덮개가 결합되되,
    상기 배선덮개에는, 상기 결합나사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나사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16. 삭제
KR1020130020740A 2013-02-26 2013-02-26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212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40A KR102122214B1 (ko) 2013-02-26 2013-02-26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40A KR102122214B1 (ko) 2013-02-26 2013-02-26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25A KR20140106325A (ko) 2014-09-03
KR102122214B1 true KR102122214B1 (ko) 2020-06-12

Family

ID=5175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740A KR102122214B1 (ko) 2013-02-26 2013-02-26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201B1 (ko) * 2019-01-14 2020-06-04 (주)코스모 코팅층이 형성된 싱크대용 자동 탈수 배수구
KR102119200B1 (ko) * 2019-01-14 2020-06-04 (주)코스모 코팅층이 형성된 싱크대용 배수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76Y1 (ko) * 1999-11-17 2000-05-15 진성권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12U (ko) * 1997-07-02 1999-02-05 신용균 씽크대 부착용 탈수장치
KR200161811Y1 (ko) * 1997-08-16 1999-12-01 김수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부설한 싱크대용 배수전
JP2003062548A (ja) * 2001-08-27 2003-03-04 Toshiba Corp 生ごみ処理機
KR100638372B1 (ko) * 2005-02-01 2006-10-25 김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64769A (ko) 2008-12-05 2010-06-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76Y1 (ko) * 1999-11-17 2000-05-15 진성권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325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45855A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ATE481174T1 (de) Lebensmittelabfallentsorger
US8087600B2 (en) Food waste disposal unit
KR10150915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쇄장치
KR2012005261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2221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36296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KR101301569B1 (ko)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KR101709764B1 (ko) 싱크대 디스포저용 모터결합구조
KR20140044843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배출 설비
US20150122922A1 (en) Food waste disposer
KR10037863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101302348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7479101B1 (ja)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KR101805172B1 (ko) 디스포저
KR200385114Y1 (ko)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618017B1 (ko) 자동세척장치
KR1003974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9479Y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102220325B1 (ko) 싱크대용 수동 디스포저
JP2006082065A (ja) 生ごみの切断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41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810

Effective date: 2021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