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172B1 - 디스포저 - Google Patents

디스포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172B1
KR101805172B1 KR1020160087747A KR20160087747A KR101805172B1 KR 101805172 B1 KR101805172 B1 KR 101805172B1 KR 1020160087747 A KR1020160087747 A KR 1020160087747A KR 20160087747 A KR20160087747 A KR 20160087747A KR 101805172 B1 KR101805172 B1 KR 10180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aft
stator
control unit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알
Priority to KR102016008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2018/188Stationary counter-knives; Mounting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처리하는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와 제어부를 분리하되 제어부를 외장형으로 별도 구성하여 구동부와 전기케이블로 간단히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구동부는 누수시 오수가 유도되어 배수되는 배수라인을 구성하여 누수로 인한 고장을 줄이고, 제어부의 이상시 제어회로기판의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구동부와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는 구성에 의해 디스포저의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됨과 아울러 안전성 및 성능이 극대화된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포저 {Disposer}
본 발명은 주방싱크대에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처리하는 디스포저의 구동부 및 제어부의 조립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하고 제품의 크기를 컴팩트화한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포저는 주방싱크대 하부에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처리하기 위한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10-2011-0029859호(2011.03.23.)의 다단 분쇄 돌기가 구비된 디스포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10-2011-0029860호(2011.03.23.)의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68687호(2013.08.29.)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디스포저(Disposer)들의 경우 대부분 분쇄드럼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분쇄원판의 구성을 개량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분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다.
한편 종래 디스포저들의 경우 상기한 선행기술들에 상세히 표현되고 있지는 않지만 모터가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것들이고, 또 제어회로기판과 모터의 조립성을 고려하여 모터와 결합된 상태로 디스포저 본체에 결합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모터의 소모성 부품인 브러쉬 등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누수에 의한 습기나 단순한 고장에도 제어회로기판을 분리하기 위해 디스포저 전체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한 점과, 모터 조립과정에서 제어회로기판의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포저의 하부 통체 속에 밀폐된 상태로 내장된 모터는 고속 회전에 따라 상당한 발열현상이 발생하는데, 종래의 디스포저에 사용되는 모터는 회전축만 고속회전하는 일반적인 모터이므로 모터케이스가 밀폐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인해 모터의 발열시 냉각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모터의 수명 유지 및 보장에 상당한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제어회로기판 및 모터에 관련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고, 싱크대의 개수대 하부에 설치되는 특성상 설치공간에 제한받지 않고 설치시공이 보다 간편한 컴팩트한 크기의 신규한 구성을 갖는 디스포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1020110029859 A 2011.03.23. KR 1020110029860 A 2011.03.23. KR 200468687 Y1 2013.08.29.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구동부와 제어부를 분리 구성하되, 제어부를 외장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오수침투에 의한 고장률을 줄이고, 제어부의 이상시 제어회로기판의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며, 구동부와 제어부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도록 구성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키고, 안전성 및 성능이 우수한 디스포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포저의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화 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원가 절감 및 품질이 극대화된 디스포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단이 호퍼와 체결되고, 내측 분쇄실에 분쇄드럼 및 회전커터가 설치되는 분쇄실을 갖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분쇄물이 수납되는 수납실과 분쇄물을 배출하도록 외주연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저면에 축관부가 하향 돌출된 배출부로 이루어진 본체; 본체의 하부에 축관부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회전커터를 구동시키도록 BLDC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 본체와 분리되어 별도의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본체의 외부 상하부에 구동부 및 제어부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본체의 배출부 내부에 구비되는 리테이너와, 축관부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자와, 축관부 내측으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리테이너를 관통하도록 축설되며 상단이 회전커터와 고정 결합되는 스핀들축과, 스핀들축의 하단에 원통 형상으로 고정자의 외주면 감싸도록 일체 결합되며 스핀들축에 의한 회전커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자의 기능을 하도록 내주면에 자석이 형성된 회전통과, 배출부의 저면에 회전통의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방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며 타측 외부면에 다수의 방열핀이 돌출 형성된 방열케이싱과, 방열케이싱의 내측에 내장되어 구동부와 연결되어 제어토록 하는 제어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제어부가 본체와 분리된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크기가 컴팩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고정자 및 회전통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고정자가 축관부의 단턱에 의해 일정깊이까지만 제한 결합되고 고정자 및 회전통와 본체 사이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스포저의 제어회로기판을 외장형으로 별도 구성함으로써 누수현상에 따른 제어회로기판의 고장을 방지하게 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제어회로기판의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본체 하부에 구동부만 구성됨에 따라 디스포저의 크기를 컴팩트한 크기로 현저히 줄여 설치시공시 공간의 제약이 없이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포저의 가동시 스핀들축과 리테이너의 오랜 마찰에 따른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오수가 배출되도록 유도되는 배수라인을 형성하여 누수에 의한 구동부의 고장을 완전히 차단하여 모터의 사용수명을 높히고 디스포저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밀폐식으로 구성된 모터에 비해 마찰열에 의한 발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키도록 하여 모터 자체의 발열에 의한 고장발생을 줄여 사용수명을 극대화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시공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는 구동부와 제어부를 분리 형성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구동부나 제어부에 이상 발생시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공간에 제약없이 설치시공이 편리하도록 컴팩트한 크기로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디스포저(1)는 본체(2), 구동부(3), 제어부(4), 보호커버(5)를 포함한다.
본체(2)는 씽크대의 개수대 저면에 설치되는 호퍼(11)와 결합되는 분쇄부(10)와, 분쇄부(10)의 하부에 조립되어 음식물을 분쇄하여 배출하는 배출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분쇄부(10)는 음식물이 관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 개수대 저면에 설치되는 호퍼의 하단과 체결되는 투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2)의 하부에 하단이 배출부(20)와 결합되는 분쇄구(1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2)의 상단 내주연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어 호퍼(11)의 하단에 나사조립으로 간단히 결합하게 되며, 분쇄구(13)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분쇄구(13)는 투입구(12)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내부에 음식물 분쇄를 위한 분쇄드럼(14) 및 회전커터(15)가 내장되는 분쇄실(16)이 형성되며, 분쇄실(16)의 하단 외주연에 배출부(20)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방사상으로 돌출된 결합안치판(17)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0)는 상부가 개구되며 분쇄구(13)로부터 분쇄물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수납실(21)이 형성되고, 수납실(21)의 외주연 하단에 배출구(22)가 관통 형성되며, 수납실(21)의 저면 중앙에 회전커터(15)의 회전구동을 위해 축설되는 스핀들축이 관통되어 지지하도록 외주연에 단턱(23a)을 갖는 축관부(23)가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21) 내측 축관부(23)의 반대측에는 리테이너가 수용되는 삽입구(2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0)의 상단 외주연에는 결합플랜지(25)가 형성되어 분쇄구(13)의 결합안치판(17)을 결합하여 볼트로 조립하게 된다.
상기 결합안치판(17)과 결합플랜지(25)는 볼트 조립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17a,25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음식물 분쇄를 위한 분쇄드럼(14) 및 회전커터(15)에 대한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3)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마모성 부품이 없고 내구성이 높아 고장염려가 없는 BLDC 모터가 적용된다.
상기 구동부(3)는 본체(2)의 삽입구(24)에 리테이너(31)가 삽입되고, 축관부(23)의 외주연에 고정자(32)가 끼움 결합되며, 축관부(23) 내측에 베어링(33)에 의해 지지되도록 스핀들축(34)이 리테이너(31)를 관통하도록 축설되며, 상기 스핀들축(31)의 상단은 회전커터(15)와 고정결합되고, 스핀들축(34)의 하단에 내주면에 자석(35a)이 형성된 회전통(35)이 결합고정되어 회전통(35)이 모터의 회전자로서 역할수행시 스핀들축(34)에 의해 회전커터(15)가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배출부(20)의 저면에 회전통(35)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3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자(32)는 축관부(23)에 끼움결합시 일정깊이까지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자(32)의 상단부가 축관부(23)의 단턱(23a)에 걸림되어 끼움되는 정도가 제한되게 도며, 그에 따른 고정자(32) 및 회전통(35)으로 형성된 모터와 본체(2) 사이로 이격공간부(W)가 형성되므로 모터 가동에 의한 마찰열이 이격공간부(W)를 통해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핀들축(34)은 축관부(23)의 내측에서 베어링(33) 및 리테이너(3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안정적인 회전지지를 위해 하나 이상의 베어링(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통(35)의 바닥부에는 스핀들축(34)의 회전에 의해 스핀들축(34)과 리테이너(31)와 사이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틈이 발생됨에 따라 누수가 발생시 오수가 축관부(23)의 내측을 따라 흘러내려 회전통(35) 내부로 낙하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35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스핀들축(34)과 리테이너(31) 사이 발생되는 틈으로 누수의 발생시 오수가 보다 원활히 하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입홈(34a,23b)을 스핀들축(34)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축관부(23) 내측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제어부(4)는 외부에서 구동부(3)와 컨넥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동부(3)를 컨트롤하도록 별도 외장형으로 구성되며, 개수대 하부측 씽크대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방열케이싱(40)이 구비되고, 상기 방열케이싱(40)의 내부에 구동부(3)의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IPU프로세서(51)가 설치된 제어회로기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열케이싱(40)은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구비되며 제어회기판(50)의 IPU프로세서(51)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하여 냉각시키도록 알루미늄 소재의 방열효과를 발휘하도록 형성되며, 타측 외부면에 다수의 방열핀(41)이 돌출 형성되며, 벽체에 고정설치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마다 다수의 나사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회로기판(50)은 구동부(3)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 및 전선케이블(52)과 컨넥터단자가 구비되어 디스포저(1)의 외부에서 구동부(3)와 전선케이블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보호커버(5)는 본체(2)를 기준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60)와, 하부에 구동부(3)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커버(70)로 분할 구성된다.
사기 상부커버(60)는 상단 중앙에 본체(2)의 투입구(12)가 관통되도록 관통되고, 하부는 개구되어 하단테두리에 하부커버(70)와 조립을 위한 끼움홈(6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70)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단테두리에 상부커버(60)의 끼움홈(61)에 조립을 위한 돌출테(71)가 형성되고, 하부에 모터가 삽입되는 수납통(72)과, 다수의 지지대(7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통(72)의 저면에는 오수의 배수와 모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발열이 원활히 배출토록 하는 다수의 통공(74)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시공상태를 보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포저(1)는 내부에 분쇄드럼(14)과 회전커터(15)가 수용되는 분쇄부(10)와 배출부(20)를 결합하여 본체(2)를 구성하며, 상기 본체(2)의 하부에 하향 돌출된 축관부(23)를 중심으로 구동부(3)가 조립되고, 상기 구동부(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는 본체(2)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3)는 축관부(23)에 고정자(32)가 끼움 결합되고, 축관부(23)의 내부에 스핀들축(34)이 본체(2)의 수납실(21) 중앙에 설치되는 리테이너(31)와 베어링(33)에 의해 지지되도록 축설되며, 상기 스핀들축(34)의 상단은 회전커터(15)가 축설되고, 하단은 고정자(32)의 외주연에서 회전자 역할을 하는 회전통(35)이 축설치되어 스핀들축(34)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구동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어부(4)는 제어회로기판(50)이 내장된 방열케이싱(40)의 개수대 하부 씽크대 벽체에 외장형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 외장형 제어부(4)는 전기케이블에 의해 구동부(3)와 상호 연결하게 되며, 상기 본체(2)의 상하부에 상부커버(60)와 하부커버(70)로 된 보호커버(5)를 본체(2)의 상하 외부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포저(1)는 싱크대의 개수대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11)의 하단에 설치되며, 호퍼(11)의 하단부에 본체(2)의 투입구(12)를 나사조립으로 체결하여 간단히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이 투입이 되면, 제어부(4)에 의해 구동부(3)를 작동하여 분쇄실(16)의 분쇄드럼(14) 및 회전커터(15)를 스핀들축(34)이 고속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쇄하게 되며, 분쇄물은 수납실(21)로 낙하됨에 동시에 배출구(20)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처리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쇄작업과정에서 스핀들축(34)의 회전부위에 누수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물기는 격리 밀폐된 축관부(23) 내부를 따라 회전통(35)의 바닥부로 하강 배출되도록 유도되고, 회전통(35)의 바닥 배수공(35b)으로 원활히 배출되므로 구동부(3)에 일체 물기가 스며들 수 없는 구조이므로 전기적인 안전성이 보장되고, 모터의 사용수명은 더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체(2)의 배출부(20) 하부 축관부(23)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구동부(3)의 모터와 본체(2) 사이로 이격공간부(W)가 형성되어 있어 모터 가동시 발생되는 마찰열이 보다 원활히 배출됨으로써 모터과열 현상이 방지됨에 따른 디스포저의 내구성이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기판(50)을 기존에 모터의 상하부에 인접되도록 구성되던 것을 개선하여 외장형으로 제어부(4)를 본체(2)와 별도로 구성되므로 제어회로기판(50)의 유지보수가 아주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누수에 의한 고장이 전혀 없고, 제어부(4)가 따로 분리됨에 따른 구동부(3)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개수대 하부에 설치시 공간의 제약 없이 설시시공이 편리한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디스포저
2:본체
10:분쇄부 11:호퍼 12:투입구 12a:나사산
13:분쇄구 14:분쇄드럼
15:회전커터 16:분쇄실 17:결합안치판 17a:체결공
20:배출부 21:수납실 22:배출구 23:축관부
23a:단턱 23b:유입홈
24:삽입구 25:결합플랜지 25a:체결공
3:구동부
31:리테이너 32:고정자 33:베어링 34:스핀들축
34a:유입홈 35:회전통 35a:자석 35b:배수공
36:센서
4:제어부
40:방열케이싱 41:방열핀 42:나사공 50:제어회로기판
51:IPU프로세서 52:전선케이블
5:보호커버
60:상부커버 61:끼움홈 70:하부커버 71:돌출테
72:수납통 73:지지대 74:통공

Claims (2)

  1. 상단이 호퍼(11)와 체결되고, 내측 분쇄실(16)에 분쇄드럼(14) 및 회전커터(15)가 설치되는 분쇄실(16)을 갖는 분쇄부(10)와, 상기 분쇄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분쇄물이 수납되는 수납실(21)과 분쇄물을 배출하도록 외주연에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저면에 축관부(23)가 하향 돌출된 배출부(20)로 이루어진 본체(2);
    본체(2)의 하부에 축관부(23)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회전커터(15)를 구동시키도록 BLDC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3);
    본체(2)와 분리되어 별도의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구동부(3)를 제어하는 제어부(4);
    본체(10)의 외부 상하부에 구동부(3) 및 제어부(4)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보호커버(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3)는 본체(2)의 배출부(20) 내부에 구비되는 리테이너(31)와, 축관부(23)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자(32)와, 축관부(23) 내측으로 베어링(33)에 의해 지지되고 리테이너(31)를 관통하도록 축설되며 상단이 회전커터(15)와 고정 결합되는 스핀들축(34)과, 스핀들축(34)의 하단에 원통 형상으로 고정자(32)의 외주면 감싸도록 일체 결합되며 스핀들축(34)에 의한 회전커터(15)를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자의 기능을 하도록 내주면에 자석(35a)이 형성된 회전통(35)과, 배출부(20)의 저면에 회전통(35)의 자석(35a)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36)와, 회전통(35)의 바닥부에는 스핀들축(34)의 회전에 의해 스핀들축(34)과 리테이너(31)와 사이 발생 되는 마찰로 인해 틈이 발생됨에 따라 누수가 발생시 오수가 축관부(23)의 내측을 따라 흘러내려 회전통(35) 내부로 낙하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35b)이 형성되고, 구동부(3)는 고정자(32) 및 회전통(35)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고정자(32)가 축관부(23)의 단턱(23a)에 의해 일정깊이까지만 제한 결합되고 고정자(32) 및 회전통(35)와 본체(2) 사이에 이격공간부(W)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방열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며 타측 외부면에 다수의 방열핀(41)이 돌출 형성된 방열케이싱(40)과, 방열케이싱(40)의 내측에 내장되어 구동부와 연결되어 제어토록 하는 제어회로기판(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커버(5)는 상단 중앙에 본체(2)의 투입구(12)가 관통되도록 관통되고, 하부는 개구되어 하단테두리에 하부커버(70)와 조립을 위한 끼움홈(61)이 형성된 상부커버(60)와, 상부가 개구되어 상단테두리에 상부커버(60)의 끼움홈(61)에 조립을 위한 돌출테(71)가 형성되고, 하부에 모터가 삽입되는 수납통(72)과, 다수의 지지대(7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통(72)의 저면에는 오수의 배수와 모터의 회전시 발생되는 발열이 원활히 배출토록 하는 다수의 통공(74)이 형성된 상기 하부커버(70)로 구성되며,
    제어부(4)가 본체(2)와 분리된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크기가 컴팩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포저.
  2. 삭제
KR1020160087747A 2016-07-11 2016-07-11 디스포저 KR10180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747A KR101805172B1 (ko) 2016-07-11 2016-07-11 디스포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747A KR101805172B1 (ko) 2016-07-11 2016-07-11 디스포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172B1 true KR101805172B1 (ko) 2017-12-06

Family

ID=6092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747A KR101805172B1 (ko) 2016-07-11 2016-07-11 디스포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8843A (ja) * 2007-06-08 2010-08-26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皿洗い機入口を有する食品廃棄物ディスポーザおよび同ディスポーザの製作方法
KR101444621B1 (ko) * 2013-12-13 2014-09-26 노정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0533B1 (ko) * 2013-11-05 2014-11-17 김영록 싱크대음식물쓰레기종량처리기
KR101608158B1 (ko) * 2014-12-12 2016-03-31 효성전기주식회사 Pcb보드 고정구조를 개선한 bldc타입 블로어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8843A (ja) * 2007-06-08 2010-08-26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皿洗い機入口を有する食品廃棄物ディスポーザおよび同ディスポーザの製作方法
KR101460533B1 (ko) * 2013-11-05 2014-11-17 김영록 싱크대음식물쓰레기종량처리기
KR101444621B1 (ko) * 2013-12-13 2014-09-26 노정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08158B1 (ko) * 2014-12-12 2016-03-31 효성전기주식회사 Pcb보드 고정구조를 개선한 bldc타입 블로어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653B1 (ko) 디스포저
US7977832B2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 and associated electronics
JP5155113B2 (ja) 水中ポンプ
KR100707487B1 (ko) 저소음 오일 공급장치
KR100918876B1 (ko) 수중 분쇄 펌프
US20120062052A1 (en) Rotor for an electric external rotor motor and external rotor motor
WO2021196516A1 (zh) 一种外转子电机
KR102085145B1 (ko)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KR2012008819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디스포저
KR100968384B1 (ko) 수중모터펌프
US20130048768A1 (en) Battery powered food waste disposer
KR101805172B1 (ko) 디스포저
JP6157302B2 (ja) 竪型電動ポンプのモータ冷却装置
KR101301569B1 (ko)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KR102156525B1 (ko) 스마트 디스포저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US2707080A (en) Comminuting units
US10947979B2 (en) Shredding assembly for a grinder pump and centrifugal grinder pump
US3436027A (en) Waste disposer
KR10212221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683234B1 (ko) 디스포저용 모터의 냉각구조
US20150122922A1 (en) Food waste disposer
CN206409393U (zh) 潜水排污泵
KR101765143B1 (ko) 수중펌프
US3335970A (en) Food waste dispo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