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576Y1 -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576Y1
KR200181576Y1 KR2019990025836U KR19990025836U KR200181576Y1 KR 200181576 Y1 KR200181576 Y1 KR 200181576Y1 KR 2019990025836 U KR2019990025836 U KR 2019990025836U KR 19990025836 U KR19990025836 U KR 19990025836U KR 200181576 Y1 KR200181576 Y1 KR 200181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sink
food waste
rotating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권
Original Assignee
진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권 filed Critical 진성권
Priority to KR2019990025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 주방에 설치된 싱크대의 배수구의 하부 측에 탈수실을 형성하고 탈수실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음식물 찌꺼기를 원심분리로 탈수시켜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싱크대의 음식물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의 주방에 설치된 싱크대의 하부 측에 탈수실을 형성하고 탈수실에 소형의 탈수용 망통을 모터로 구동할 수 있게 설치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발생할 경우에 음식물쓰레기 탈수기로 탈수하여 건조상태로 보관하거나 퇴비화하여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청결한 실내공간을 유지하고,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상당량 줄일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기등을 세척하도록 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하측 수납통내에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축 연결되어 회전되는 탈수용 회전축과, 중심부에 상기탈수용 회전축이 관통되며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용 망통과, 상기 탈수용 망통의 하측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수용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커플링부재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등에 있는 물기등을 원심력으로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후 탈수용 망통내의 커플링과 회전축과 분리시켜 상기 탈수용 망통내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후 다시 상기 탈수용 망통내의 커플링을 회전축에 결합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The waste food dehydrator of a sink}
본 고안은 가정 주방에 설치된 싱크대의 배수구의 하부 측에 탈수실을 형성하고 탈수실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음식물 찌꺼기를 원심분리로 탈수시켜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싱크대의 음식물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산업폐기물, 가정용쓰레기 등을 포함한 폐기물의 처리문제이다.
종래에는 주방에서 나온 음식물 쓰레기를 물기가 많은 상태로 쓰레기통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수거처리하거나, 싱크대에 오물분쇄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음식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그대로 하수구를 통하여 방류하여 왔다.
이로인해,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는 음식물쓰레기등이 부패하면서 심한 악취를 발생시킬 뿐 만아니라 그 수거물의 부피가 커지며, 또한 쓰레기의 수거대행업체가 물기 많은 부패성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를 거부하며 쓰레기 매립지도 부족하여 음식물 쓰레기는 다른 쓰레기와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대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오염물질이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됨으로서 자연을 훼손(오염)시키는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의 주방에 설치된 싱크대의 하부 측에 탈수실을 형성하고 탈수실에 소형의 탈수용 망통을 모터로 구동할 수 있게 설치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발생할 경우에 음식물쓰레기 탈수기로 탈수하여 건조상태로 보관하거나 퇴비화하여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청결한 실내공간을 유지하고,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상당량 줄일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기등을 세척하도록 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하측 수납통내에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축 연결되어 회전되는 탈수용 회전축과, 중심부에 상기탈수용 회전축이 관통되며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용 망통과, 상기 탈수용 망통의 하측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수용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커플링부재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등에 있는 물기등을 원심력으로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종래의 싱크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수용 망통과 모터의 회전축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수용 망통의 내부를 도시하는 절개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탈수용 망통 70:모터
80: 탈수공 90:회전날개
100:회전축 110: 커플링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탈수용 망통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탈수용 망통과 모터의회전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식기세척용 싱크대 사각통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힌지 회동되는 다수의 도어(20)가 설치된다.
본체의 상면은 제공되는 급수를 통해 식기류등을 세척할수 있도록 함몰형성된 개수대(30)와, 상기 개수대의 일측에 마련되어 식기등을 보관할수 있는 선반(40)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수대의 중앙부위에는 물이 배수 될 수 있도록 배출구(40)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 내에는 설거지등에 의해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등이 임시로 보관될수 있도록 구비된 탈수용망통(50)이 내삽되며, 인접된 개수대의 설거지 물이 유입되도록 상호 연결관(60)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수용 망통(50) 내부에는 모터(70)의 회전력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기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탈수공(80) 구비되며, 또한 상기 탈수용 망통(5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탈수용 망통이 회전됨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소정각 및 소정 곡률로 하여 형성된 회전날개(90)와, 암나사 형태로 구성되어 모터와 축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00)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커플링(11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수용망통(50)의 하측에는 상기 커플링(100)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00)이 모터(70)와 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이 개수대(30)와 관통되는 부분에는 탈수된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바킹부재가 삽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수용 망통(50)은 음식물 쓰레기등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탈수용 망통(50)은 모터(7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기 위해 별도의 모터 속도 조절용 스위치가 싱크대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 속도조절용 스위치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키도록 다수개의 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기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 공급전압을 모터(70)에 인가한다.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속도 조절용 스위치를 선택한다.
모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와 축 결합된 회전축(10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이와 결합된 커플링(110)이 동일 속도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커플링(110)은 탈수용 망통(5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탈수용 망통도 회전되게 되고 이에따라 음식물쓰레기에 남아있는 물기등이 원심력을 받아 탈수공(8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탈수용 망통(50)의 내벽에는 회전날개(90)가 다수개 형성되어 탈수용 망통이 회전됨에 따라 상/하측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공기의 흐름을 상부에서 탈수용 망토의 하부측으로 발생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탈수용 망통 내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및 물기등이 상측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수용 망통의 상측부에는 탈수용 망통을 덮기 위한 뚜껑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뚜껑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탈수용 망통이 회전됨에 따라 부압이 발생되는 상기 탈수용 망통(50)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즉, 탈수용 망통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날개(90)의 형상구조로 인해 탈수용 망통의 내부에는 부압이 발생되게 되고 이에따라 외부의 공기 흡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을 상기 뚜껑에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모터(70)의 회전축(100)이 관통되는 개수대 부분에는 탈수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부재가 상기 회전축과 개수대사이에 설치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공지의 싱크대의 배수구 측에 탈수실을 형성하여 탈수 망통을 모터에 의하여 고속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다음 설거지 할 때마다 나오는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하여 건조상태의 적은 부피 및 무게로 줄이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후 탈수용 망통내의 커플링과 회전축과 분리시켜 상기 탈수용 망통내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후 다시 상기 탈수용 망통내의 커플링을 회전축에 결합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시가정에서 쓰레기를 수거하기까지 보다 위생적으로 음식물 찌꺼기를 보관할 수 있고 부피가 보다 작게 되어 운반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중 고장의 우려가 거의 없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즉시 청결하게 치울 수 있어, 쓰레기 환경문제가 심각한 현대에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4)

  1. 식기등을 세척하도록 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하측 수납통내에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모터와 축 연결되어 회전되는 탈수용 회전축과, 중심부에 상기 탈수용 회전축이 관통되며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용 망통과, 상기 탈수용 망통의 하측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수용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커플링부재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등에 있는 물기등을 원심력으로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용 망통의 상측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내벽에 다수의 회전날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용 회전축이 관통되는 개수대 부분에 탈수용 망통등에서 탈수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탈수용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속도를 가변하기 위한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탈수장치.
KR2019990025836U 1999-11-17 1999-11-17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181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36U KR200181576Y1 (ko) 1999-11-17 1999-11-17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36U KR200181576Y1 (ko) 1999-11-17 1999-11-17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576Y1 true KR200181576Y1 (ko) 2000-05-15

Family

ID=1959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836U KR200181576Y1 (ko) 1999-11-17 1999-11-17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5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325A (ko) * 2013-02-26 2014-09-03 (주)코스모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726976B1 (ko) 2016-04-01 2017-04-13 조승현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325A (ko) * 2013-02-26 2014-09-03 (주)코스모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2122214B1 (ko) * 2013-02-26 2020-06-12 (주)코스모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726976B1 (ko) 2016-04-01 2017-04-13 조승현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0181576Y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086922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CN214701490U (zh) 一种垃圾处理器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KR200700268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28171U (ko) 싱크대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222231Y1 (ko) 수동식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101009374B1 (ko) 음식물쓰레기 옥외 배출 및 수거 장치
CN2385798Y (zh) 家庭生活垃圾卫生处理机
JP3064869U (ja) 流し台取付型生ごみ脱水機用生ごみ収集桶
KR20021301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1985307U (zh) 一种水槽洗碗机的排风排水垃圾处理器
KR100580154B1 (ko) 수압을 이용한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리 배출기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0127260Y1 (ko) 씽크 배수구에 조립 사용하는 탈수기
KR200321935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19980027748U (ko) 씽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탈수기
KR200152483Y1 (ko) 씽크보울의 배수구에 부설된 음식찌꺼기 탈수장치
KR200345054Y1 (ko) 수압을 이용한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리 배출기
KR19980025987U (ko) 주방 싱크대의 탈수 장치
KR19980027835U (ko) 싱크대
KR200200727Y1 (ko) 수분 자동 제거기
KR200222006Y1 (ko) 싱크대 배수구망 탈수기.
KR101579216B1 (ko)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