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835U -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835U
KR19980027835U KR2019960040799U KR19960040799U KR19980027835U KR 19980027835 U KR19980027835 U KR 19980027835U KR 2019960040799 U KR2019960040799 U KR 2019960040799U KR 19960040799 U KR19960040799 U KR 19960040799U KR 19980027835 U KR19980027835 U KR 199800278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sink
water
lower bod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이세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엽 filed Critical 이세엽
Priority to KR2019960040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835U/ko
Publication of KR19980027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835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후 발생된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버릴 수 있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싱크대는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어지고, 그 바닥 중앙부에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12)와; 상기 세척조(12)의 하부에 밀폐된 구조로 연이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스핀들(22)을 회전지지하는 허브(24)가 형성되며, 바닥 일측에 워터트랩(20)이 연결된 하부몸체(14)와; 상기 스핀들(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핀들(22)과 함께 하부몸체(14)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미세공(28a)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원심탈수통(28)과; 상기 하부몸체(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스핀들(2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스핀들(2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후 발생된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기가 충분히 제거됨으로써 쓰레기 수거시 또는 매립시 주위환경이 개선되고 침출수 및 악취가 제거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
본 고안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후 발생된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기를 제거하여 버릴 수 있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싱크대는 세척조의 바닥 중앙부에 배수구가 구비되고, 이 배수구에는 그물망을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물망은 세척수만 통과하도록 된 것으로,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음식물 찌꺼기는 모두 그물망에 남게 된다. 따라서, 그물망을 통해 세척수만 빠져나가게 되므로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물망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는 통상 비닐재질의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는 물기를 흡수하고 있는 것이므로 쓰레기봉투에 넣어 버릴때에도 쓰레기봉투를 확실하게 밀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를 쓰레기봉투에 넣은 상태로 장시간 두게 되면, 음식물 찌꺼기의 물기가 모두 쓰레기봉투의 하부로 흘러내려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오수는 쓰레기봉투 하부의 이음부를 통해 밖으로 새어 나오게 되어 미관을 해치고 악취를 풍기게 됨으로써 파리가 모이는등 주위환경을 불결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는 수거시에도 불결하고 악취를 풍기는 것이므로 미화원들의 수거작업을 힘들게 하고, 특히 미화원들이 쓰레기봉투를 거칠게 다루는 과정에서 쓰레기봉투가 찢어지게 되면, 불결함과 악취는 더욱 가중되어 미화원들이 수거를 기피하거나 수거작업을 더욱 어렵게 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매립장에 매립한 후에도 주위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침출수 및 악취를 발생하여 인근주민의 민원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음식물 찌거기를 버릴때에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말린상태에서 쓰레기봉투에 넣고 확실하게 밀봉시키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이 번거롭고 쉽지 않기 때문에 잘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쓰레기 매립장에서는 물기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반입을 전면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기 세척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식기 세척후 자동적으로 탈수시켜 물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를 쓰레기봉투에 넣어 버릴 때, 또는 음식물 찌꺼기를 쓰레기 매립장에 매립할 때에 주위환경을 깨끗하게 하고 침출수 및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에서 세척조의 덮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에서 원심탈수통을 나타낸 일부 절결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세척조14: 하부몸체
16: 외측덮개16a: 배수구
18: 내측덮개20: 워터트랩
22: 스핀들24: 허브
28: 원심탈수통28a: 미세공
30: 내측원통32: 외측원통
34: 키36: 손잡이
38: 구동모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어지고, 그 바닥 중앙부에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밀폐된 구조로 연이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스핀들을 회전지지하는 허브가 형성되며, 바닥 일측에 워터트랩이 연결된 하부몸체와; 상기 스핀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몸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미세공이 형성된 원심탈수통과; 상기 하부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스핀들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스핀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싱크대(10)는 세척조(12)와, 이 세척조(12)의 하부에 연이어 형성된 하부몸체(14)를 구비한다. 세척조(12)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바닥에는 선택적으로 하부몸체(14)와 통하게 하는 면적이 큰 외측덮개(16)와 면적이 작은 내측덮개(18)가 하부몸체(14)와의 사이에서 수밀(水密)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측덮개(16)는 세척조(12) 바닥의 대부분을 이루며, 바닥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수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덮개(18)는 상기 배수구(16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구(16a)를 개폐하게 되고, 상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몸체(14)는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고, 바닥 일측에 물이 배출되는 워터트랩(20)이 연결되며, 하부몸체(14)내의 물이 워터트랩(20)으로 유도되도록 바닥이 경사져 있다. 또한 하부몸체(14)의 바닥 중앙에는 스핀들(22)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고, 이 스핀들(22)은 바닥에 일체로 형성된 허브(2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허브(24)는 스핀들(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고, 허브(24)와 스핀들(22) 사이에는 베어링(26)이 개재되어 스핀들(22)의 회전이 원할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4)를 관통하여 내부에 위치한 스핀들(22)의 상단부에는 원심탈수통(28)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몸체(14)내에서 스핀들(22)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원심탈수통(28)은 내측원통(30)과 외측원통(32)으로 형성되어 외측원통(32)의 측벽과 바닥에 다수개의 미세공(28a)이 형성되고, 내측원통(30)내에는 스핀들(22)이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설치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원통(30)의 내주연과 이에 대응하는 스핀들(22)에 수직방향으로 키홈(22a)(30a)을 각각 형성하고, 양측의 키홈(22a)(30a)에 키(Key)(34)를 삽입하여 스핀들(22)의 회전력이 원심탈수통(28)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핀들(22)의 키홈(22a)과 키(34)는 압입시켜 고정하고, 내측원통(30)의 키홈(30a)과 키(34) 사이는 미세한 유격을 두어 스핀들(22)로부터 원심탈수통(28)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외측원통(32)의 직경은 원심탈수통(28)의 분리시 외측덮개(16)을 열어 형성된 바닥의 개구를 통해 꺼낼 수 있도록 바닥의 개구보다 작게 형성하고, 그 상단부는 탈수시 음식물 찌꺼기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안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며, 내측원통(30)의 상면에는 원심탈수통(28)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6)를 형성한다.
또한, 스핀들(22)을 회전지지하는 허브(24)의 상단은 적어도 원심탈수통(28)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하여 내측원통(30)내에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워터트랩(20)을 통해 미쳐 빠져나가지 못한 세척수에 의해 하부몸체(14)내의 수위가 허브(24)의 상단보다 높아지는 경우 원심탈수통(28)의 내측원통(30)내에는 공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므로 수위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내측원통(30)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압력에 의해 내측원통(30)내의 수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허브(24)와 스핀들(22)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4)의 하부에는 스핀들(22) 및 원심탈수통(28)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8)가 설치되고, 이 구동모터(38)와 스핀들(22)의 하단부는 한 쌍의 풀리(40)(42) 및 이에 연결된 벨트(44)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38)의 회전력이 스핀들(22)로 전달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싱크대(10)의 상부에는 콘트롤부가 구비된 것으로, 콘트롤부에는 전원스위치(46), 스타트버튼(48) 및 스톱버튼(50), 타이머(52)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8)를 제어하게 되고, 타이머(52)는 음식물 찌꺼기의 탈수량에 따라 충분히 탈수시킬 수 있도록 탈수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는, 세척조(12)의 바닥을 외측덮개(16) 및 내측덮개(18)로 막아 수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량의 물을 채워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식기세척후 내측덮개(18)를 열어 세척조(12)내의 세척수가 배수구(16a)를 통해 배출되면, 세척수와 음식물 찌꺼기가 하부몸체(14)내의 원심탈수통(28)내부로 유입되는 것이고, 원심탈수통(28)의 바닥과 외측원통(32)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미세공(28a)이 형성된 것이므로 세척수는 미세공(28a)을 통해 빠져나가 워터트랩(20)으로 배출되고, 미세공(28a)을 통과하지 못한 음식물 찌꺼기는 원심탈수통(28)내에 남게 된다.
따라서, 내측덮개(18)를 다시 닫아 배수구(16a)를 막은 다음 콘트롤부의 전원스위치(46)를 켜고 스타트버튼(48)을 조작하게 되면, 구동모터(38)가 구동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38)의 회전력은 한 쌍의 풀리(40)(42) 및 벨트(44)를 통해 스핀들(22)로 전달되는 것이며, 스핀들(22)과 원심탈수통(28)은 키(34)로 연결된 것이므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심탈수통(28)이 회전되면, 음식물 찌꺼기에 흡수되어 있는 물기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결국 원심탈수통(28)의 미세공(28a)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원심탈수통(28)내에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만 남게된다.
이러한 탈수동작은 콘트롤부의 스톱버튼(50)을 조작하여 적절한 시간에 직접 중지시킬 수 있고, 또한 원심탈수통(28)내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의 양 및 종류에 따라 타이머(52)를 조절하여 탈수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설정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동작이 중지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를 원심탈수통(28)으로부터 제거하고자할 때에는 먼저 세척조(12) 바닥으로부터 외측덮개(16)를 분리하게 되면, 세척조(12) 바닥에 원심탈수통(28)의 외측직경보다 큰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통해 원심탈수통(28)의 손잡이(36)가 노출되므로 이 손잡이(36)를 잡고 원심탈수통(28)을 들어올림으로써 간단하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심탈수통(28)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원심탈수통(28)을 세척조(12) 바닥의 개구를 통해 삽입시키되, 스핀들(22)의 키(34)에 원심탈수통(28)의 키홈(30a)을 일치시켜 삽입시키게 되면 원심탈수통(28)은 다시 스핀들(22)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에 의하면, 식기 세척후 발생된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의 배출을 위한 원심탈수통의 착탈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기가 충분히 제거됨으로써 쓰레기 수거시 및 매립시 주위환경이 개선되고 침출수 및 악취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어지고, 그 바닥 중앙부에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12)와;
    상기 세척조(12)의 하부에 밀폐된 구조로 연이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스핀들(22)을 회전지지하는 허브(24)가 형성되며, 바닥 일측에 워터트랩(20)이 연결된 하부몸체(14)와;
    상기 스핀들(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핀들(22)과 함께 하부몸체(14)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미세공(28a)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원심탈수통(28)과;
    상기 하부몸체(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스핀들(2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스핀들(2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12)의 바닥에는, 바닥의 대부분을 이루며 바닥으로부터 착탈가능하고 중앙에 배구수(16a)가 형성된 외측덮개(16)와, 상기 외측덮개(16)의 배수구(16a)를 개폐하고 상면에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8a)가 형성된 내측덮개(1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탈수통(28)은, 스핀들(22)이 삽입되어 키(34)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측원통(30)과, 상단부를 탈수시 음식물 찌꺼기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안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한 외측원통(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원통(32)과 바닥면에 다수개의 미세공(28a)을 형성하며, 내측원통(30)의 상면에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22)을 회전지지하는 허브(24)의 상단은 적어도 원심탈수통(28)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하여 원심탈수통(28)의 내측원통(30)내에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능을 갖는 싱크대.
KR2019960040799U 1996-11-19 1996-11-19 싱크대 KR199800278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99U KR19980027835U (ko) 1996-11-19 1996-11-19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99U KR19980027835U (ko) 1996-11-19 1996-11-19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35U true KR19980027835U (ko) 1998-08-05

Family

ID=5398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799U KR19980027835U (ko) 1996-11-19 1996-11-19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83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559B1 (ko) * 2005-05-24 2007-04-11 전재원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100850222B1 (ko) * 2004-11-05 2008-08-04 타케시 아베 배수 겸 건조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를 구비한 싱크대개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222B1 (ko) * 2004-11-05 2008-08-04 타케시 아베 배수 겸 건조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를 구비한 싱크대개수대
KR100704559B1 (ko) * 2005-05-24 2007-04-11 전재원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720B1 (ko) 음식물 찌꺼기의 탈취/탈수기
KR100541056B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6368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9980027835U (ko) 싱크대
KR200161811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를 부설한 싱크대용 배수전
KR100948962B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KR100225389B1 (ko)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222009Y1 (ko) 음식물 찌꺼기의 탈취/탈수기
KR200222231Y1 (ko) 수동식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181576Y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308941Y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538471A (ja) 流し台のゴミ受け装置
KR102655017B1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압착 및 탈수장치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KR200379976Y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JPS5921875Y2 (ja) 厨芥処理機
KR20090097286A (ko) 진공 흡입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50325A (ko) 쓰레기용 탈수장치
KR200158934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1579216B1 (ko)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2483Y1 (ko) 씽크보울의 배수구에 부설된 음식찌꺼기 탈수장치
KR19980025987U (ko) 주방 싱크대의 탈수 장치
KR19980028171U (ko) 싱크대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273242Y1 (ko) 싱크대의 배수물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