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33B1 -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733B1
KR102121733B1 KR1020160140161A KR20160140161A KR102121733B1 KR 102121733 B1 KR102121733 B1 KR 102121733B1 KR 1020160140161 A KR1020160140161 A KR 1020160140161A KR 20160140161 A KR20160140161 A KR 20160140161A KR 102121733 B1 KR102121733 B1 KR 10212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qos control
contro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611A (ko
Inventor
정상수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733B1/ko
Priority to ES17865778T priority patent/ES2905858T3/es
Priority to EP17865778.9A priority patent/EP3474591B1/en
Priority to US16/238,238 priority patent/US10827379B2/en
Priority to PCT/KR2017/002185 priority patent/WO2018079948A2/ko
Priority to CN201780042160.4A priority patent/CN109417722B/zh
Priority to JP2019528005A priority patent/JP6698224B2/ja
Publication of KR2018004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92Management thereof based on the type of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42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하며, 서비스 요청에 따라 발생되는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개선하는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Qo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하며, 서비스 요청에 따라 발생되는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장치(사용자)가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미디어 유형에 따라 QoS(Quality of Service) 레벨을 달리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패킷 전송 시 미디어 유형에 맞는 QoS 레벨을 보장하여 전송하는 QoS 제어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LTE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QoS 제어 방식은, EPS Bearer(이하, 베어러) 단위의 QoS 제어 방식이다.
LTE 네트워크에서는, 단말장치(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EPS Bearer 즉 베어러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베어러는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무선구간, 기지국장치 및 S-GW 및 P-GW 사이를 연결하는 유선구간을 거쳐 단말장치 및 P-GW 간에 생성되는 터널이라고 할 수 있다.
단말장치의 데이터는 이 터널 즉 베어러를 통해 IP기반 패킷 형태로 전송되며, 패킷 전송에 따른 트래픽 흐름을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라고 한다.
기존에는 단말장치에게 제공되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종류가 비교적 한정적이었으므로, 몇 개 종류의 서비스를 묶어 "베어러" 라는 논리적 단위로 QoS를 적용하는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은, 베어러 별로 QoS 레벨(QoS 파마리터)을 정의하여 베어러 단위로 QoS를 보장(적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베어러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플로우라면 모두 동일한 QoS(베어러의 QoS 레벨)가 적용 및 전송된다.
결국,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은, QoS 제어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하나의 베어러에 속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해서 차등적인 QoS를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이 갖는 한계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종류가 비교적 한정적이었던 상황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빠르게 개발/등장하고 있는 현재 또는 앞으로의 상황(예: 5G)에서는 반드시 개선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보다 차등적인 QoS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하며, 특히 서비스 요청에 대한 우선순위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패킷이 발생한 경우,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 속한 업링크 패킷에 대해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를 적용하는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을 통해 QoS 제어에 따른 시그널링을 최소화한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위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을 실현함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서비스를 요청한 후 다운링크 패킷이 발생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장치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보내는 첫 번째 업링크 패킷에 대해서도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패킷에 적용할 수 있는 QoS 제어정보의 부재로 인해 다른 패킷들에 비해 낮은 우선순위로 업링크 패킷 전송이 처리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서비스 품질이 저하를 해결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세션 설정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QoS(Quality of Service)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QoS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상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정의된 식별정보(APP ID)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으로 치환한 치환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하여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되도록 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단말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세션 설정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QoS(Quality of Service) 제어정보를 획득부; 및 상기 단말장치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여, 상기 제1QoS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정의된 식별정보(APP ID)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으로 치환한 치환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상기 제2QoS 제어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 시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oS 제어 방법은, 단말장치가, 코어 네트워크와의 세션 설정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QoS(Quality of Service)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QoS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QoS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상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정의된 식별정보(APP ID)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으로 치환한 치환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하여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되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oS 제어 방법은, 기지국장치가, 단말장치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세션 설정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QoS(Quality of Service) 제어정보를 획득단계;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여, 상기 제1QoS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정의된 식별정보(APP ID)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으로 치환한 치환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패킷을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상기 제2QoS 제어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 시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함으로써, 서비스 별로 보다 차등적인 QoS 즉 서비스 품질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되며, 또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발생되는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체감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에 대한 QoS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식별코드를 활용한 QoS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QoS 제어 방식에서는, QoS를 제어하는 단위를 기존의 베어러 대신 서비스 플로우 단위로 나누어 서로 다른 서비스 요구사항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서로 다른 QoS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함에 있어서 다운링크에 적용되는 QoS 파라미터를 업링크에 그대로 적용하는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 위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에서 있어서 QoS 제어가 불가하였던 초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업링크에 대한 QoS 제어를 실현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초기 서비스 요청의 QoS 제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짧은 길이(작은 크기)의 식별코드로 치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자원 활용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QoS 제어 정책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주목되는 효과로서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 방식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며, 그 과정에서 달성되는 전술의 효과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4G(LTE/EPC) 시스템 또는 5G(Next Generation) 시스템을 그 대상으로 할 것이나,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특정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사한 구성을 갖는 여느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서로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는 생략되어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을 통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 실현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는 단계 'S10'에 따라 신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서버(50)로 서비스 요청을 전달한다.
이때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발생하여 사용자 영역(User Plane)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일반적으로 HTTP, SIP 프로토콜이 이용되며, 예컨대, GET/POST/INVITE 등의 메소드(Method)를 통해 서비스가 요청될 수 있다.
이어서, 서비스서버(50)는 단계 'S20'에 따라 단말(1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에 대한 정책(Policy) 설정을 위한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30)로 전달한다.
이때의 메시지에는 예컨대, 서비스의 이름(PDU name), 세션 연속성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Continuity flag), 및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된 정보(Flow descriptor, 예: IP 주소, 포트, QoS 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코어 네트워크(30)는 서비스서버(5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단계 'S30'에 따라 단말장치(10)와의 새로운 세션(PDU session)의 설정(생성)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새로운 세션의 생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40'에 따라 단말장치(10)과의 세션 설정을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코어 네트워크(30)는 세션의 연속성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20)치는, 세션의 연속성 지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세션의 연속성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 및 기지국장치(20)는 세션이 수립(Established)되어 서비스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이동 등으로 인해 접속하는 셀(Cell)이 변경될 경우를 대비한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에는 단말장치(10)가 주변의 셀들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측정 설정 및 보고(Measurement) 과정이 포함된다.
반대로, 세션 연속성이 필요한 경우,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는 셀 변경 시 핸드오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계 'S40'에서의 세션 설정 과정에 따라 단말장치(10), 기지국장치(20), 및 코어 네트워크(30)는 단계 'S50'에 따라 세션 설정을 위한 나머지 과정을 처리하고, 코어 네트워크(30)는 세션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단계 'S60'에 따라 세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서비스서버(50)에 알리게 된다.
이에, 서비스서버(50)는 단계 'S70'에 따라 서비스 트래픽 즉, 다운링크 패킷을 코어 네트워크(30)로 전송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30)는 단계 'S80'에 따라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QoS 제어정보를 포함시켜(마킹)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로 전달한다.
이때, 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QoS 파라미터는 패킷 서비스 플로우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값이며, 기지국장치는 이러한 QoS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다운링크 패킷에 대한 스케쥴링 및 자원할당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는 단계 'S90' 및 'S100'에 따라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QoS 제어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에 대해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동일 우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처리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에 따르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함과 동시에 다운링크에 적용되는 QoS 파라미터를 업링크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QoS 제어에 따른 시그널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헌데,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에 따르면, 단계 'S10'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QoS 제어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처럼 서비스 요청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QoS 제어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초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업링크 패킷에 대한 QoS 제어가 불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Reflective QoS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패킷이 발생한 경우,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 속한 업링크 패킷에 대해 QoS를 적용하는 방식인데, 단말장치가 서비스를 요청한 후 다운링크 패킷이 발생하는 서비스(일반적으로 UE-initiated Service 또는 Mobile Originating Service)의 경우, 단말장치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보내는 첫 번째 업링크 패킷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QoS 정보가 부재하게 된다.
만약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에 적용할 수 있는 QoS 정보가 없어 다른 패킷들에 비해 낮은 우선순위로 업링크 패킷 전송이 처리될 경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오랜 기간 동안 전송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이 저하된다.
위 상황을 일반적인 웹브라우징 서비스로 예를 들면,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특정 주소(URL)에 대한 첫 번째 페이지를 화면에 띄우기 위한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메시지에 해당된다 .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 방식에서는 단말장치(10)에서 서비스 요청을 위해 신규로 발생하는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서도 QoS 제어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 방식에서는 단말(10)과 코어 네트워크(30) 간의 세션 설정 과정에서 코어 네트워크(30)가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무조건 적용할 수 있는 QoS 제어정보를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까지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에서는 신규 서비스 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QoS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서비스 플로우 발생에 따라 단말장치(10)로부터 요청되는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한다.
여기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한다는 것은 기지국장치(20)가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이 요청되는 업링크 패킷에 대해 스케줄링 및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처럼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QoS 제어정보를 무조건 적용하는 경우, 업링크 패킷에 대한 QoS 제어는 가능한 반면, 서비스 플로우 간에 차등적인 QoS 제어가 불가능해 진다는 한계점을 예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규 서비스 플로우라 하더라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는 서비스 요청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가입 정보에 따라 등급이 높거나, 아니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중요도가 높거나(예: 응급/재난안전 상황), 내지는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10)에서 발생되는 서비스 요청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추가 제안한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에 대한 QoS 제어 방식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10)은 단계 'S110'및 'S120'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30)와의 세션 설정 과정에서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QoS 제어정보를 획득한다.
이때의 QoS 제어정보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APP ID)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APP ID)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는, OS 또는 플랫폼에서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값이며, 애플리케이션 등급은 애플리케이션 별 서비스 요청의 우선순위와 관련된다.
나아가, 단말장치(10)는 단계 'S130'에 따라 수신된 QoS 제어정보를 저장하며, 이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단계 'S140'에 따라 저장된 QoS 제어정보를 적용하여 기지국장치(30)에 업링크 그랜트를 요청한다.
이때, 단말장치(10)는 서비스 플로우가 발생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식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기지국장치(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을 직접 기지국장치(20)로 전달함으로써 업링크 그랜트를 요청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장치(10)는 서비스 플로우가 발생된 애플리케이션이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로 기지국장치(20)에 대해 업링크 그랜트를 요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 기지국장치(20)는 단계 'S150'및 'S160'에 따라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거나, 또는 단말장치(10)로부터 직접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한다.
여기서, 기지국장치(20)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기 위해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APP ID)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APP ID)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을 포함한 QoS 제어정보가 기지국장치(20)에 기 저장되어 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에 대한 QoS 제어 방식에 따르면, 신규 서비스 플로우라 하더라도 QoS 제어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애플리케이션 별 우선순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됨에 따라 서비스 플로우 간에 차등적인 QoS 제어가 가능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한 앞선 설명에서, 단말장치(10)는 단계 'S140'를 통한 업링크 그랜트 요청 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을 기지국장치(20)로 전달하게 됨을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이처럼 업링크 그랜트 요청 시마다, 길이가 긴(크기가 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자체를 기지국장치(20)로 그대로 전달하기에는 제어 낭비가 심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이 단말장치(10)까지 직접 전달되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더욱이 단말장치(10)가 해킹/변조되는 경우에는 실제로 낮은 등급의 애플리케이션이 높은 등급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변조되어 업링크 그랜트가 요청될 수 있다는 한계점 또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아래 [표 1]에서와 같은 매핑 테이블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짧은 길이)으로 치환한 치화코드인 애플리케이션 식별코드를 활용하는 방식을 추가 제안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식별코드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식별코드는 1:1 관계 또는, N:1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두 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하나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며, 이 때 두 애플리케이션은 동등한 업링크 등급을 갖는 경우이다.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APP ID) 식별코드
APP ID #1 Code #1
APP ID #2 Code #2
... ...
한편,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식별코드의 관계는 상기 매핑 테이블처럼 명시적인 매핑 정보로 구성되거나 또는 해시(Hash)함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해시 함수를 F(x)라 정의하고, x를 입력값(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라 하면, 출력값(식별코드) Y=F(x)의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식별코드를 활용한 QoS 제어 방식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장치(10)는 단계 'S210'및 'S220'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30)와의 세션 설정 과정에서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QoS 제어정보를 획득한다.
이처럼, 단말장치(10)에서 획득되는 QoS 제어정보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APP ID)를 식별코드로 치환할 수 있는 매핑 테이블 또는 해시 함수가 포함된다.
이때, 기지국장치(20) 역시 단계 'S230'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신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QoS 제어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처럼 기지국장치(20)가 획득하는 QoS 제어정보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와 각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10)는 단계 'S240'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서비스 플로우가 발생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매핑 테이블 또는 해시 함수를 참조하여 식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치환한 식별코드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는 단계 'S250'에 따라 확인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기지국장치(20)로 송신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기지국장치(20)는 단계 'S260' 및 'S270'에 따라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을 확인하고, 확인된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활용한 QoS 제어 방식에 따르면, QoS 제어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애플리케이션 별 우선순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됨에 따라 서비스 플로우 간에 차등적인 QoS 제어가 가능해짐을 지원함과 동시에, 초기 서비스 요청의 QoS 제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짧은 길이(작은 크기)의 식별코드로 치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자원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등급이 단말장치(10)로까지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QoS 제어 정책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실현하는 장치 즉 단말장치(10)와 기지국장치(2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oS 제어정보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발생되는 신규 서비스 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한 QoS 제어정보와, Reflective QoS 제어 방식에 따라 다운링크 헤더에 포함(마킹)되는 QoS 제어정보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신규 서비스 플로우를 처리하기 위한 QoS 제어정보)를 '제1QoS 제어정보'로 명명하며, 후자(다운링크 헤더에 포함(마킹)되는 QoS 제어정보)를 '제2QoS 제어정보'로 명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제1 QoS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11), 제1QoS 제어정보로부터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확인부(12), 및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1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제2 QoS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1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부(11), 확인부(12), 전송부(13) 및 처리부(14)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단말장치(10) 내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단말장치(1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위 구성들을 통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부(11)는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11)는 코어 네트워크(30)와의 세션 설정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획득되는 제1QoS 제어정보에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식별코드로 치환할 수 있는 매핑 테이블 또는 해시 함수가 포함된다.
이때, 기지국장치(20) 역시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신규 서비스 플로우의 QoS 제어를 위한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처럼 기지국장치(20)가 획득하는 QoS 제어정보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와 각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이 포함될 수 있다.
확인부(12)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2)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서비스 플로우를 발생시킨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제1QoS 내 매핑 테이블 또는 해시 함수를 참조하여 식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치환한 식별코드를 확인하게 된다.
전송부(13)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13)는 서비스 플로우를 신규로 발생시킨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가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기지국장치(20)로 전송하여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및 자원할당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대해 기지국장치(20)에서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을 확인하고, 확인된 등급에 따른 운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게 된다.
처리부(14)는 제2 QoS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4)는 업링크 그랜트 처리에 따른 업링크 패킷 전송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 기지국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함으로써, 이후 이어지는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되도록 하게 된다.
즉, 처리부(14)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2QoS 제어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에 대해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동일 우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획득부(11)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를 회득하는 것을 지원하게 되며, 확인부(12) 역시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다운링크 패킷에 적용된 특정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것을 지원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신규로 발생되는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별 우선순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되도록 하고,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에 대해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동일 우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가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초기 서비스 요청의 QoS 제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짧은 길이(작은 크기)의 식별코드로 치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자원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애플리케이션 등급이 단말장치(10)로까지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QoS 제어 정책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는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21), 및 단말장치(10)로부터의 업링크 그랜트 요청과 제2QoS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부(21), 및 처리부(22)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2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기지국장치(20) 내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기지국장치(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기지국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부(21)는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21)는 단말장치(10)에서의 단말장치(10)와 코어 네트워크(30) 간의 세션 설정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획득되는 제1QoS 제어정보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로부터 치환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와 각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등급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 역시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신규 서비스 플로우의 QoS 제어를 위한 제1QoS 제어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장치(10)가 획득하는 QoS 제어정보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짧은 길이(작은 크기)의 애플케이션 식별코드로 치환할 수 있는 매핑 테이블 또는 해시 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처리부(22)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2)는 단말장치(10)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여, 제1QoS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이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를 처리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서비스 플로우를 발생시킨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제1QoS 내 매핑 테이블 또는 해시 함수를 참조하여 식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치환한 식별코드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 요청을 기지국장치(20)로 전송함으로써,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및 자원할당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처리부(22)는 제2QoS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2)는 업링크 그랜트 처리에 따른 업링크 패킷 전송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 코어 네트워크(3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함으로써, 다운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처리부(22)는 단말장치(10)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제2QoS 제어정보를 포함시켜, 이를 수신한 단말장치(10)가 동일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 시 제2QoS 제어정보로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라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로 업링크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즉, 처리부(22)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2QoS 제어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에 대해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동일 우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는 신규로 발생되는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별 우선순위에 따라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되도록 하고, 이후 동일한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에 대해 다운링크 패킷과 동일한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동일 우선순위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가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초기 서비스 요청의 QoS 제어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짧은 길이(작은 크기)의 식별코드로 치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자원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애플리케이션 등급이 단말장치(10)로까지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QoS 제어 정책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QoS 제어 방식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 QoS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가 높아지는 일 없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QoS 제어를 실현함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우선순위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단말장치
11: 획득부 12: 확인부
13: 전송부 14: 처리부
20: 기지국장치
21: 획득부 22: 처리부
30: 코어 네트워크
40: 서비스서버

Claims (14)

  1. 코어 네트워크와의 세션 설정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QoS(Quality of Service)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QoS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정의된 식별정보(APP ID)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으로 치환한 치환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하여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되도록 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QoS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가, 코어 네트워크와의 세션 설정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QoS(Quality of Service)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서비스 플로우가 신규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QoS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QoS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 요청을 기지국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QoS 제어정보 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로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기초로 업링크 그랜트가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코드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 정의된 식별정보(APP ID)를 임계 크기 이내의 코드 값으로 치환한 치환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관련하여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2QoS 제어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QoS 제어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QoS 파라미터를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서의 업링크 패킷이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에 따른 QoS로 전송되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oS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40161A 2016-10-26 2016-10-26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KR10212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61A KR102121733B1 (ko) 2016-10-26 2016-10-26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ES17865778T ES2905858T3 (es) 2016-10-26 2017-02-28 Dispositivo terminal, dispositivo de estación base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calidad de servicio
EP17865778.9A EP3474591B1 (en) 2016-10-26 2017-02-28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qos
US16/238,238 US10827379B2 (en) 2016-10-26 2017-02-28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QoS
PCT/KR2017/002185 WO2018079948A2 (ko) 2016-10-26 2017-02-28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CN201780042160.4A CN109417722B (zh) 2016-10-26 2017-02-28 终端设备、基站设备和用于控制qos的方法
JP2019528005A JP6698224B2 (ja) 2016-10-26 2017-02-28 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と、QoS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61A KR102121733B1 (ko) 2016-10-26 2016-10-26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742A Division KR102121730B1 (ko) 2018-07-02 2018-07-02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11A KR20180045611A (ko) 2018-05-04
KR102121733B1 true KR102121733B1 (ko) 2020-06-11

Family

ID=6202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61A KR102121733B1 (ko) 2016-10-26 2016-10-26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7379B2 (ko)
EP (1) EP3474591B1 (ko)
JP (1) JP6698224B2 (ko)
KR (1) KR102121733B1 (ko)
CN (1) CN109417722B (ko)
ES (1) ES2905858T3 (ko)
WO (1) WO20180799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8209A1 (zh) * 2016-10-11 2018-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其装置
US11121940B2 (en) * 2017-03-27 2021-09-1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meet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a fabric point to point connection
US11140574B1 (en) * 2020-03-18 2021-10-05 Sprint Spectrum L.P. Dynamic PDCP duplication with bearer modification, to help overcome reduced wireless quality
US11617187B2 (en) * 2020-10-28 2023-03-28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bi-directional traffic flows
US11229063B1 (en) * 2020-12-04 2022-01-18 Ultralogic 5G, Llc Early disclosure of destination address for fast information transfer in 5G
US20220417942A1 (en) * 2021-06-25 2022-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uplink or downlink flows in multi-processo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1298A1 (en) * 2014-12-10 2016-06-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pdating flow-specific qos policies based on information reported from base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695B2 (ja) * 2000-07-12 2007-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アプリケーション対応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基地局及び移動局
ATE391376T1 (de) * 2004-10-01 2008-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enstgüte-bewusste ablaufsteuerung für aufwärtsübertragungen über zugeordneten kanälen
US7599321B2 (en) * 2006-03-01 2009-10-0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ioritization of connection identifiers for an uplink schedul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2276191B1 (en) 2006-09-26 2021-09-22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Communication Scheme for Channel Quality Information
US8165074B2 (en) 2007-12-03 2012-04-24 Motorola Mobility, Inc. Techniques for handling service flow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90190471A1 (en) * 2008-01-10 2009-07-30 Mahendran Arungundram 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Session Setup with Network-Initiated QoS Policy Control
JP5345704B2 (ja) * 2009-01-04 2013-11-20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リソースを要求する方法、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270559B2 (en) * 2009-01-28 2016-02-23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for an end-user device having a control application or a proxy agent for routing an application traffic flow
KR101652442B1 (ko) 2009-05-05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담당하는 서버 및 커넥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KR101224291B1 (ko) * 2010-09-11 2013-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harq 채널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JP5841269B2 (ja) * 2012-01-20 2016-01-13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サービス品質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US10080181B2 (en) * 2014-06-30 2018-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barring network access for each application, and user equipment
US10080126B2 (en) * 2014-09-16 2018-09-18 Htc Corporation Device of handling open direct discove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3198961B1 (en) * 2014-09-24 2019-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bs for scheduling ue and method and ue for transmitting harq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1298A1 (en) * 2014-12-10 2016-06-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pdating flow-specific qos policies based on information reported from base st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40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4591B1 (en) 2021-12-15
JP2019525687A (ja) 2019-09-05
JP6698224B2 (ja) 2020-05-27
US20190268798A1 (en) 2019-08-29
ES2905858T3 (es) 2022-04-12
US10827379B2 (en) 2020-11-03
WO2018079948A3 (ko) 2018-08-02
EP3474591A4 (en) 2020-01-22
EP3474591A2 (en) 2019-04-24
WO2018079948A2 (ko) 2018-05-03
CN109417722B (zh) 2022-06-21
CN109417722A (zh) 2019-03-01
KR20180045611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733B1 (ko) 단말장치 및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CN106060900B (zh) 网络切片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终端化小区和sdn控制器
CN111052818B (zh) 网络实体、用户设备和网络切片的控制和使用方法
US10425955B2 (en) Bearer setup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32505A (ko) 페이징 방법 및 페이징 디바이스
EP368725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1919600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carrying out small data fast path communication
JP7192896B2 (ja) 通信システム
EP3709686B1 (en)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product
CN107277882B (zh) 一种数据路由方法、装置和基站
WO2018018469A1 (zh) 用户设备上下文管理方法、装置和设备
KR102121730B1 (ko) 기지국장치와 QoS 제어방법
JP5472657B2 (ja) 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及び方法
CN110710167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09587756B (zh) 用于网络接入的方法和设备
EP3451785A1 (en) Resource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519840B (zh) 会话处理方法及装置、网元及存储介质
EP3162149B1 (en) Volume-deadline scheduling
KR10176352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스케줄링 설정 방법
JP2019134195A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