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085B1 -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85B1
KR102121085B1 KR1020157005093A KR20157005093A KR102121085B1 KR 102121085 B1 KR102121085 B1 KR 102121085B1 KR 1020157005093 A KR1020157005093 A KR 1020157005093A KR 20157005093 A KR20157005093 A KR 20157005093A KR 102121085 B1 KR102121085 B1 KR 10212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composition
substrate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038A (ko
Inventor
엘예스 옌도비
마르커스 하우프
빌프리트 칼
Original Assignee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filed Critical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5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2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51/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 -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 -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 - 적어도 1종의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ADHESION PROMOTER COMPOSITION FOR POLYOLEFINIC MEMBRANES}
본 발명은, 표면을 점착 촉진제 조성물(adhesion promoter composition)로 전처리하고 이어서 점착제의 도포를 행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기재(polyolefinic substrate)를 내구성 있게 구조적으로 접착(bond)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점착 촉진제 조성물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많은 응용 분야에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막 형태의 폴리올레핀계 기재(substrate)를 다른 기재에 내구성 있게 접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건물 방수에서 평지붕, 경사 지붕 방수용으로 또는 터널 방수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방수막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기재,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EPDM은, 그들의 표면이 점착(adhesion)에 친화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료는 이들에 특별한 전처리 방법이 시행될 때에만 내구성 있게 구조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들은 통상 물리적 전처리이며, 이때 표면이 예를 들어 산화되므로 점착제가 도포 후 물리적으로 혹은 화학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막을 다른 기재에 접착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접착은 열풍 용착(hot air welding)에 의해 일어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원칙적으로 전력에 대한 접속이 요구되고, 용착 대상 기재가 작은 치밀한 기하 형태를 지닌다면 사용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이 방법을 이용해서 비융착성 재료를 접착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게다가, 이 방법은 서로에 대해 융착될 재료들이 양립 가능(compatible)하지 않다면 성공할 수 없다. 사실상 PVC 기재를 PVC 기재에 또는 TPO(열가소성 올레핀: thermoplastic olefin) 기재를 TPO 기재에 융착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TPO 기재를 PVC 기재에 융착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들 두 중합체가 융착 공정에서 양립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다른 기재에 구조적 및 영구적 접착시키기 위한 추가의 가능성은,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에칭 혹은 유사한 방법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의 물리적 전처리이며, 여기서, 이 물리적 전처리 후에, 다른 기재에 대한 접착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전처리 방법은 정교하고 비용 집약적이다. 또한, 전처리는 현장에서 수행될 수 없고; 대신에 미리 제조 시 통합되어야만 한다. 전처리의 효과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약화되므로, 이와 같이 전처리된 기재에 대한 보존 시간은 제한적이어서, 기재의 접착 후 접착 강도(bond strength)의 재현성의 결여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적절한 용매 중에서 클로로프렌 고무 혹은 염소화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폴리올레핀 프라이머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을 이러한 프라이머로 전처리함으로써, 새로운 상태에서 그리고 온풍에서 양생 후 양호한 접착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온도(예를 들어, 60℃)에서 습윤 조건(온수 혹은 100% 공기 습도) 하에서의 보존의 경우, 부착력은 최단 시간 내에 급속하게 감소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다른 기재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보레인-개시 점착제(borane-initiated adhesive)를 사용하는 것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점착제의 단점은 그들의 높은 가격과 23℃에서의 낮은 보존 안정성이다. 게다가, 이들 점착제는 오픈 시간(open time)이 비교적 짧은 반면 경화 시간은 매우 길다고 하는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다른 기재에 내구성 있게 구조적인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과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다른 기재에 내구성 있게 구조적인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이 이 과제를 해소하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게다가,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또한 해소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들에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이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
-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
-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
- 적어도 1종의 용매.
위에 기술된 용매-함유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기재가 후속적으로 점착제, 특히 아크릴레이트 점착제를 이용해서 다른 기재에 내구성 있게 그리고 구조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해당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브러시 도포 혹은 분사에 의해 처리 대상 표면에 도포되는 저점도 용매-함유 액체이다. 건조 후, 조성물은 표면 상에 필름을 형성하며, 이 필름은 재료들 간에 "극성 매개자"로서 역할하고 기재의 폴리올레핀뿐만 아니라 점착제의 성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점착제의 경화에 관여하므로 표면의 영구적인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반응성 물질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과 같이 "폴리"로 시작하는 물질명들은 분자 당 그들의 이름에 나타나는 작용기의 둘 이상을 정식으로 함유하는 기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합체"란 용어는, 한편으로는, 중합도, 분자량 및 사슬 길이에 관해서는 상이하지만 다중반응(polyreaction)(중합, 중첨가(polyaddition), 중축합)에 의해 제조되는 화학적으로 균질한 거대분자의 집단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용어는 또한, 예를 들어 주어진 거대분자 상의 작용기의 부가 혹은 치환 등과 같은 반응에 의해 얻어지고 화학적으로 균질할 수 있거나 화학적으로 균질하지 않을 수도 있는 화합물인, 다중반응으로부터의 이러한 거대분자의 집단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 용어는 더욱이 작용기가 거대분자의 구조에 관여하는 반응성 올리고머 예비부가물(preadduct)인 소위 프레폴리머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자량"이란 용어는 항상 수평균 분자량 Mn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전형적인 응용 분야는 지붕의 맥락에서 방수부의 접착뿐만 아니라 평지붕, 경사 지붕, 건물 방수용 그리고 터널 방수용의 방수막의 접착을 위한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전처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기 중합체,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단량체 및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촉매가 용매 중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단량체 및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촉매를 용매 중에 교반 하에, 바람직하게는 대략 80℃에서 대략 3시간 동안 환류 하에 용해시킴으로써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FPO 또는 TPO(가요성 폴리올레핀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라고 불리는 폴리올레핀계 막의 점착제를 이용한 영구적인 접착에 특히 적합하며, 이때 아크릴레이트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조성물에 의한 전처리에 의해, FPO 막은 다른 FPO 막에 또는 다른 기재에도 접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제가 양호하면서도 지속적인 접착을 제공한다. 비-FPO 기재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특히 PVC막 및 강성 기재(플라스틱, 콘크리트 및/또는 금속)를 포함한다.
영구적인 접착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천연 혹은 인조 양생 후 또한 높은 접착 강도를 지니는 접착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현저하게 높은 양생 능력을 지니는 다른 기재에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접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전처리 후의 기재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접착시키기 위한 점착제로서, 2-성분 아크릴레이트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한데, 여기서 퍼옥사이드 개시부(peroxide initiation)를 지니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시스템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 및 막 형성에 따른 건조 후, 예를 들어, 이러한 2-성분 아크릴레이트 점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양생 후에도 예상치 못한 높은 점착력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접착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가 경질 또는 연질 폴리프로필렌에 기반하면서 20 내지 30%의 염소화도를 지니는 적어도 1종의 염소화 폴리올레핀, 및/또는 적어도 1종의 무수 말레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양호한 결과는,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가 이하로부터의 적어도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면 달성된다:
염소화도 20 내지 30% 및 분자량 150,000 g/㏖을 지니는 경질 폴리올레핀 (폴리1).
염소화도 20 내지 30% 및 분자량 100,000 g/㏖을 지니는 연질 폴리올레핀(폴리2).
염소화도 20 내지 30%, 무수 말레산 함량 1 내지 2% 및 분자량 60,000 g/㏖을 지니는 경질 폴리올레핀(폴리3).
염소화도 20 내지 30%, 무수 말레산 함량 1 내지 2% 및 분자량 65,000 g/㏖을 지니는 연질 폴리올레핀(폴리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단량체 모두가 적절하지만,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가,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의 1종 이상의 형태의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를 포함한다면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제시하였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를 포함한다. 방향족 3차 아민은 특히 적절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적절한 3차 방향족 아민의 예는, 특히, N,N-다이메틸아닐린, N,N-다이에틸아닐린, N,N-비스(하이드록시알킬)아닐린, 예컨대,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닐린, N,N-알킬하이드록시알킬아닐린, 예컨대, N-에틸-N-하이드록시에틸아닐린, N,N-다이메틸-p-톨루이딘, N,N-다이에틸-p-톨루이딘, N-메틸-N-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뿐만 아니라 알콕실화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에톡실화 p-톨루이딘,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자일리딘, N-알킬몰폴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3차 방향족 아민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가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파라-톨루이딘(비소머(Bisomer) PTE)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용매는 유기 용매이며, 여기서 방향족 용매, 특히 알킬 방향족 화합물의 군으로부터의 용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일렌이 용매로서 이용된다면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든 성분이 용매 중에 용해되도록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양호한 결과는, 점착 촉진제 조성물이 이하를 포함하도록 하는 중량비로 개별의 성분이 되게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설계된다면 달성된다:
- 대략 1 내지 10 중량부, 특히 대략 4 내지 7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
- 대략 3 내지 20, 특히 대략 10 내지 15 중량부의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
- 대략 3 내지 16, 특히 대략 5 내지 10 중량부의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
- 대략 54 내지 93 중량부, 특히 대략 68 내지 87 중량부의 적어도 1종의 용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무극성 표면 상에 도포 및 건조 후, 놀랍게도 점착제로서 작용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다른 성분들, 즉, 용매 및 촉매와 협력하여, 점착제로서 놀랍게도 양호한 작용을 초래하는 것이 정확히 (반응성) 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의 단량체와 (비반응성) 중합체의 조합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이 원리는 도 1에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대상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상에 솔질하거나 해당 표면을 분무함으로써 도포하고 나서 처리된 부위를 건조시킴으로써 일어나는 이 처리의 결과로서, 처리 대상 기재의 표면은, 후속 단계에서,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점착제의 사용에 의해, 이와 같이 처리된 표면을 다른 기재에 영구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에 도포되고 나서 건조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포된 조성물의 건조 후에, 점착제는 이와 같이 전처리된 부위에 도포되고, 이어서 폴리올레핀계 기재가 다른 기재에 접착된다. 전처리된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접착을 위하여, 아크릴 점착제를, 특히 2-성분 아크릴레이트 점착제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퍼옥사이드 개시부를 지니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기재는, 특히 평지붕 방수, 경사 지붕 방수, 건물 방수 및/또는 터널 방수 분야로부터의 방수막이며, 여기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올레핀막에 대한, PVC막에 대한, 금속 기재에 대한 또는 콘크리트 기재에 대한 접착이 일어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시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조성물의 중합체 함량의 함수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전처리에서의 박리력의 측정.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전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들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중합체 혼합물 폴리1, 폴리2, 폴리3 및 폴리4(제7페이지 참조)
단량체 성분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촉매 비소머 PTE
용매 자일렌
위에 언급된 성분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이하의 정량적 비율이 이용되었다:
중합체 성분 0, 1, 2, 3, 4, 5, 6, 7, 8, 9 및 10중량%
단량체 성분 10중량%
촉매 6중량%
용매 84, 83, 82, 81, 80, 79, 78, 77, 76, 75 및 74중량%
중합체 성분의 중량 퍼센트를 0중량%에서 10중량%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중합체 함량의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기재인 사나필 FPO 지붕막(Sarnafil FPO Roofing Membrane)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전처리하고, 30분 동안 건조 후, 점착제인 시카패스트(SikaFast)(등록상표)-5221을 이용해서 기재인 사나필 FPO 지붕막에 접착시켰다.
점착제 조성물을 23℃에서 4시간 동안 경화 후, 점착제 접착의 박리력을 상이한 중합체 함량을 지니는 조성물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상이한 중합체 함량에 대한 결과가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112015019321837-pct00001
표 1에 표시된 결과는 도 2에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2
조성물의 단량체 함량의 함수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전처리에서의 박리력의 측정.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전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들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중합체 혼합물 폴리1, 폴리2, 폴리3 및 폴리4(제7페이지 참조)
단량체 성분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촉매 비소머 PTE
용매 자일렌
위에 언급된 성분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이하의 정량적 비율이 이용되었다:
중합체 성분 6중량%(각 중합체 당 1.5중량%)
단량체 성분 0, 3, 6, 12, 20중량%
촉매 6중량%
용매 88, 85, 82, 76 및 68중량%
단량체 성분의 중량 퍼센트를 0중량%에서 20중량%까지 변화시킴으로써, 단량체 함량의 최적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기재인 사나필 FPO 지붕막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전처리하고, 30분 동안 건조 후, 점착제인 시카패스트(등록상표)-5221을 이용해서 기재인 사나필 FPO 지붕막에 접착시켰다.
점착제 조성물을 23℃에서 4시간 동안 경화 후, 상이한 단량체 함량을 지니는 조성물에 대한 점착제 접착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상이한 단량체 함량에 대한 결과가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112015019321837-pct00002
표 2에 표시된 결과는 도 3에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3
조성물의 촉매 함량의 함수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전처리에서의 박리력의 측정.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전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들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중합체 혼합물 폴리1, 폴리2, 폴리3 및 폴리4(제7페이지 참조)
단량체 성분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촉매 비소머 PTE
용매 자일렌
위에 언급된 성분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이하의 정량적 비율이 이용되었다:
중합체 성분 6중량%(각 중합체 당 1.5중량%)
단량체 성분 10중량%
촉매 0, 3, 6, 12중량%
용매 84, 81, 78 및 72중량%
촉매 성분의 중량 퍼센트를 0중량%에서 12중량%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촉매 함량의 최적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기재인 사나필 FPO 지붕막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전처리하고, 30분 동안 건조 후, 점착제인 시카패스트(등록상표)-5221을 이용해서 기재인 사나필 FPO 지붕막에 접착시켰다.
점착제 접착을 23℃에서 4시간 동안 경화 후, 상이한 중합체 함량을 지니는 조성물에 대한 점착제 접착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상이한 촉매 함량에 대한 결과가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112015019321837-pct00003
표 3에 표시된 결과는 도 4에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종래 기술로부터의 조성물과의 비교
비교 시험을 위하여, 이하의 성분을 이하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중합체 성분 6중량%(각 중합체 당 1.5중량%)
단량체 성분 10중량%
촉매 6중량%
용매 78중량%
비교 시험을 위하여, TPO 기재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전처리하고, 30분 동안 건조 후, 점착제인 시카패스트(등록상표)-5221을 이용해서 TPO 기재에 접착시켰다.
점착제 접착을 23℃에서 4시간 동안 경화 후, 점착제 접착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70℃에서 28일 동안 수중 양생 후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을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전처리 조성물을 이용해서 또한 수행하였다. 이 결과는 표 4에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5019321837-pct00004
추가의 비교예를 위하여, TPO 기재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전처리하고, 30분 동안 건조 후, 점착제인 시카패스트(등록상표)-5221을 이용해서 PVC 기재에 접착시켰다.
점착제 접착을 23℃에서 4시간 동안 경화 후, 점착제 접착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70℃에서 28일 동안 수중 양생 후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을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전처리 조성물을 이용해서 또한 수행하였다. 이 결과는 표 5에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5019321837-pct00005

Claims (12)

  1. 폴리올리핀계 기재의 다른 기재에 대한 접착성(bond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 염소화도 20 내지 30%를 지니는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또는
    염소화도 20 내지 30% 및 무수 말레산 1 내지 2%를 지니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
    -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
    -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 및
    - 적어도 1종의 용매;
    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는, 경질 또는 연질 폴리프로필렌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는 하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염소화도 20 내지 30% 및 분자량 150,000 g/㏖을 지니는 경질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염소화도 20 내지 30% 및 분자량 100,000 g/㏖을 지니는 연질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염소화도 20 내지 30%, 무수 말레산 함량 1 내지 2% 및 분자량 60,000 g/㏖을 지니는 경질 폴리올레핀;
    염소화도 20 내지 30%, 무수 말레산 함량 1 내지 2% 및 분자량 65,000 g/㏖을 지니는 연질 폴리올레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의 1종 이상의 형태의 아크릴레이트 에스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는 아닐린 유도체 톨루이딘 유도체 또는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파라-톨루이딘(비소머(Bisomer) P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용매는 알킬 방향족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또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 적어도 1종의 유기 중합체를 1 내지 10 중량부;
    - 아크릴레이트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를 3 내지 20 중량부;
    - 3차 유기 아민류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촉매를 3 내지 16 중량부; 및
    - 적어도 1종의 용매를 54 내지 93 중량부;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9.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도포된 상기 조성물의 건조 후, 점착제(adhesive)를 도포하고, 이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를 다른 기재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퍼옥사이드 혹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개시부(peroxide or hydroperoxide initiation)를 지니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시스템의 형태의 2-성분 아크릴레이트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는 평지붕 방수, 경사 지붕 방수, 건물 방수 또는 터널 방수 분야로부터의 방수막이며, 열가소성 올레핀 막, PVC막, 금속 기재, 콘크리트 기재 또는 댐핑 및 단열용 기재에 대한 접착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
KR1020157005093A 2012-09-05 2013-09-04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 KR102121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83170.5A EP2706093A1 (de) 2012-09-05 2012-09-05 Haftvermittlerzusammensetzung für polyolefinische Membranen
EP12183170.5 2012-09-05
PCT/EP2013/068294 WO2014037407A1 (de) 2012-09-05 2013-09-04 Haftvermittlerzusammensetzung für polyolefinische membra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038A KR20150052038A (ko) 2015-05-13
KR102121085B1 true KR102121085B1 (ko) 2020-06-10

Family

ID=4682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093A KR102121085B1 (ko) 2012-09-05 2013-09-04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32250B2 (ko)
EP (2) EP2706093A1 (ko)
KR (1) KR102121085B1 (ko)
CN (1) CN104603199B (ko)
WO (1) WO2014037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7330B3 (de) 2018-09-15 2019-08-22 Institut für Kunststofftechnologie und -recycling e.V. Halogenfreier Haftvermittler zur Beschichtung von Polyolefine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FR3098818B1 (fr) 2019-07-18 2021-06-25 Bostik Sa Composition adhésive bi-composante comprenant un complexe organoborane-am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3411B2 (ja) 2017-09-06 2022-03-1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成形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及び蓄電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407A (en) * 1972-07-20 1975-06-17 Du Pont Novel adhesive compositions
JPS5975958A (ja) * 1982-10-26 1984-04-28 Sanyo Kokusaku Pulp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用塗料組成物
DE3534858A1 (de) * 1985-09-30 1987-04-02 Basf Lacke & Farben Loesliches carboxylgruppenhaltiges acrylatcopolymeris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ueberzugsmittel auf der basis des acrylatcopolymerisats
DE3829461A1 (de) * 1988-08-31 1990-04-26 Henkel Kgaa Neue radikalisch polymerisierbare mehrstoffgemische und ihre verwendung (ii)
GB9112141D0 (en) * 1991-06-05 1991-07-24 Ici Resins Bv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EP0822967B1 (en) * 1995-04-24 1999-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polyolefin surfaces
US6989416B2 (en) * 2002-05-07 2006-01-24 Sika Technology Ag Methacrylate structural adhesive
US20040176541A1 (en) * 2003-02-21 2004-09-09 Jackson Michael L. Chlorine free and reduced chlorine content polymer and resin compositons for adhesion to plastics
JP2008184542A (ja) * 2007-01-30 2008-08-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プライマ組成物及び接着性基材
FR2928931B1 (fr) * 2008-03-21 2011-03-25 Jacret Composition pour adhesif structur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3411B2 (ja) 2017-09-06 2022-03-1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成形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ケース及び蓄電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6093A1 (de) 2014-03-12
CN104603199B (zh) 2017-11-14
WO2014037407A1 (de) 2014-03-13
US9732250B2 (en) 2017-08-15
KR20150052038A (ko) 2015-05-13
EP2892955A1 (de) 2015-07-15
US20150232686A1 (en) 2015-08-20
CN104603199A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876B2 (ja) ブロックコポリマーとアクリル接着剤とのブレンド
TWI648367B (zh) 薄膜形式之反應性二組分黏著系統及其製造方法
US6402875B1 (en) Repeated use of an adhesive-film laminate
JP6807309B2 (ja) ゴム系感圧接着剤
DK2536797T3 (en) FUNCTIONAL MATERIALS WITH REVERSIBLE CIRCUIT
TWI544044B (zh) 丙烯酸系黏著劑組合物及丙烯酸系黏著帶
TWI692513B (zh) 多基材適應性拉除型黏合劑產物、黏合劑組成物、以及總成
TWI635148B (z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KR102236284B1 (ko) 반응성 2-성분 접착제 시스템
TW201141975A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17508021A (ja) 後硬化性感圧接着剤
WO2015137437A1 (ja)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KR102121085B1 (ko) 폴리올레핀계 막용의 점착 촉진제 조성물
JP2009074083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6475771B2 (ja) 感圧接着剤
KR2012011252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6321623B2 (ja) 軟質pvc接合用のフリーラジカル硬化性組成物
US10557064B2 (en) Electron beam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crylic polymer with bound vinyl group
JP2004010835A (ja)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
Czech et al. UV-crosslinkable photorea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ynthesized from butyl acrylate and 4-acryloyloxy benzophenone
US3563824A (en) Method of joining glassplate members with polyphenylene oxides
JPH01278590A (ja) 接着性組成物
JPH044276A (ja) 床用、壁用、天井用材料及び該材料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