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068B1 -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 Google Patents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68B1
KR102121068B1 KR1020200037450A KR20200037450A KR102121068B1 KR 102121068 B1 KR102121068 B1 KR 102121068B1 KR 1020200037450 A KR1020200037450 A KR 1020200037450A KR 20200037450 A KR20200037450 A KR 20200037450A KR 102121068 B1 KR102121068 B1 KR 102121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asket
workpiece
installation
ji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현
Original Assignee
신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현 filed Critical 신창현
Priority to KR102020003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6Steadies;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6Bench 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회전동작하는 공구에 의하여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가공부; 및 상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되고, 상기 가공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APPARATUS OF MILLING INCLUDING JIG}
본 발명은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배치된 공구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밀링 가공을 위한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링장치는 수평 상의 테이블에 공작물이 고정장착된 상태에서 테이블이 X축방향(가로방향) 및 Y축방향(세로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회전동작되는 공구는 수직상으로 배열된 스핀들의 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Z축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테이블 및 스핀들의 이동은 NC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속으로 회전동작되는 공구가 공작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공작물에는 상당한 수준의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공작물은 처음의 장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공작물척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공작물의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종래의 밀링 머신에서는 바이스(vise) 또는 클램프(clamp) 등으로 불리우는 범용의 공작물척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의 일부 밀링 머신에서는 전자석의 힘으로 공작물을 잡는 마그네틱 척이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밀링 머신에 적용되는 마그네틱 척의 예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88048호 및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8128호 등에 게재된 장치들이 있다.
종래 범용의 공작물척 및 일부의 밀링 머신에 적용되었던 마그네틱 척의 경우에는 공작물을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척의 평면도를 맞추기가 어려웠을 뿐만아니라 테이블과의 조립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공작물의 교체 등의 과정에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마그네틱 척이 사용될 경우에는 자성체인 금속 공작물만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비자성체인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와 같은 공작물을 고정시킬 수 없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회전동작하는 공구에 의한 절삭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지그에 장착되기 전의 피가공물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바스켓에 남아있는 피가공물들을 한쪽으로 모을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을 기울일 수 있도록 구현한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는 회전동작하는 공구에 의하여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가공부; 및 상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되고, 상기 가공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테이블;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공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스핀들 머신; 및 상기 스핀들 머신에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 머신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판; 상측면에 상기 상판을 장착하고, 소정의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상기 공구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장착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그 블록; 상기 설치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지그 블록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그 블록과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제2 지그 블록; 상기 제1 지그 블록과 상기 제2 지그 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끼워져 고정되는 설치 공간; 상기 제2 지그 블록이 나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지그 블록을 전방 이동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지그 블록을 후방 이동시키는 회전봉; 및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그 블록의 일측에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설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위치 정렬 봉;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지그에 설치되기 전의 복수의 피가공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에 상기 지그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안착자리를 제공하는 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소정 깊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그 깊이는 상기 바스켓의 깊이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직경은 상기 바스켓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은,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바스켓의 저면을 지지하고, 제1 회전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1 회전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안착된 상기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모터의 전원이 오프 되는 경우, 자체 중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큰 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설치홈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상판에 수용되어 있거나 상기 상판으로부터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벽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에 수용된 상태로 마련되는 출몰부재; 상기 출몰부재의 하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상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회전 모터의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출몰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출몰부재를 승하강시키는 렉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절곡부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통전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부; 상기 절곡부 및 상기 접촉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출몰부재가 승하강하는 동안 상기 절곡부 및 상기 접촉부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승하강공간; 및 상기 승하강공간의 상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 및 상기 제1 회전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절곡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접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 및 상기 제1 회전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제1 회전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2 회전 모터의 의해 상기 출몰부재가 승강하여 상기 상판으로부터 출몰되어 상기 바스켓의 전방에서 벽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 모터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 모터에 의해 상기 출몰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상판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되고, 자체 중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공 시 보다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나아가, 피가공물 자동공급수단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그에 장착되기 전의 피가공물들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바스켓을 지그와 이웃하게 배치하여 가공 시 피가공물 교체 등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스켓을 기울일 수 있도록 형성하여, 바스켓에 피가공물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피가공물을 한쪽으로 몰아 작업자가 피가공물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공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그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바스켓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1000)는 가공부(100) 및 테이블(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부(100)는 회전동작하는 공구에 의하여 피가공물을 절삭할 수 있다. 여기서, 공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공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테이블(200)은 상부에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될 수 있으며, 가공부(100)의 직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200)은 기계적인 힘으로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1000)는 테이블(200)에 고정 장착되는 피가공물에 대하여 회전동작하는 공구에 의해 밀링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그를 포함함으로써, 가공 시 피가공물 교체 등에 따른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피가공물 자동공급수단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10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공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공부(100)는 테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핀들 머신(120) 및 공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 머신(120)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테이블(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테이블(200)에 설치될 수 있다.
공구(110)는 스핀들 머신(120)에 장착되어, 스핀들 머신(12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공구(110)는 스핀들 머신(1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공부(100)는 테이블(200)에 고정설치되는 피가공물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스핀들 머신(120)에 의한 공구(110)의 회전에 따라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블(200)은 상판(210), 베이스(220) 및 지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210)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공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220)는 상측면에 상판(210)을 장착할 수 있다. 베이스(220)는 소정의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판(210)은 베이스(220)의 상부면에 수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그(230)는 공구(11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판(210)에 설치될 수 있다.
지그(230)는 피가공물을 장착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피가공물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그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그(230)는 설치 프레임(231), 제1 지그 블록(232), 제2 지그 블록(233), 회전봉(234) 및 위치 정렬 봉(235)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프레임(231)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판(2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그 블록(232)은 설치 프레임(231)의 전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그 블록(233)은 설치 프레임(23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 프레임(2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그 블록(233)은 제1 지그 블록(232)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제1 지그 블록(232)과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그 블록(232) 및 제2 지그 블록(233)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피가공물(10)의 설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설치 공간에 피가공물(1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그 블록(232) 및 제2 지그 블록(233) 각각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단턱이 형성됨으로써, 피가공물(10)이 단턱에 안착되도록 한다.
회전봉(234)은 제2 지그 블록(233)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제2 지그 블록(233)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그 블록(233)은 회전봉(2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봉(23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방으로 이동하고, 회전봉(234)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봉(234)은 설치 공간을 가변할 수 있다.
위치 정렬 봉(235)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지그 블록(232)의 일측에 브라켓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정렬 봉(235)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지그 블록(232) 및 제2 지그 블록(233)이 형성하는 설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치 정렬 봉(235)은 설치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설치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피가공물(1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블(200)을 이용한 밀링 가공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작업자는 제1 지그 블록(232) 및 제2 지그 블록(233) 사이에 피가공물(10)을 설치하고, 베이스(220)를 이동시켜 피가공물(10)의 가공 부분이 공구(1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위치 정렬 봉(235)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0)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피가공물(10)의 가공 부분이 공구(110)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는 스핀들 머신(120)에 의해 회전하는 공구(1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가공물(10)의 가공 부위가 절삭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201)은 도 3에 도시된 테이블(200)과 비교하여 바스켓(240), 설치홈(250) 및 가이드벽(26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바스켓(240), 설치홈(250) 및 가이드벽(260)에 대하여 설명하고 나머지 테이블(200), 상판(210) 및 지그(23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바스켓(240)은 피가공물(10)을 보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 상판(2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바스켓(240)은 상판(210)에서 지그(230)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240)은 소정 깊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함몰된 부분에 피가공물(10)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설치홈(250)은 상판(210)에 형성되어, 바스켓(240)의 안착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설치홈(250)은 상판(210)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그 깊이는 바스켓(240)의 깊이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그 직경은 바스켓(24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치홈(250)에 바스켓(240)이 안착되는 경우, 바스켓(240)의 상부가 상판(210)의 상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됨으로써, 바스켓(240)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한다.
가이드벽(260)은 설치홈(250)의 전방에 마련되되, 상판(210)에 수용되어 있거나 상판(210)으로부터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201)은 피가공물(10)을 보관하기 위해 마련되는 바스켓(240)을 더 포함하여, 가공 작업 전의 피가공물(10)을 임시 보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피가공물(10)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설치홈(250)은 바스켓(240)이 기울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바스켓(240)에 피가공물(10)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피가공물(10)을 한쪽으로 몰아 작업자가 피가공물(10)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스켓(240)이 기울어지는 경우 가이드벽(260)이 상판(210)으로부터 출몰하여 그 기울임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바스켓(24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바스켓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설치홈(250)은 보조 프레임(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51)은 설치홈(25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설치홈(250)에 삽입되는 바스켓(2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51)은 회전축(251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설치홈(25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프레임(251)은 제1 회전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1 회전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251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51)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전방으로 기울어져 바스켓(24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피가공물(10)들이 일측에 모이게 되고, 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보조 프레임(251)은 회전축(251a)을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중량이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보조 프레임(251)은 제1 회전 모터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1 회전 모터의 전원이 오프 되더라도 자체 중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과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작업자는 바스켓(240)에 남아있는 피가공물(10)이 거의 없는 경우, 힌지 모터를 동작시켜 바스켓(240)이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바스켓(240)의 일부분에 피가공물(10)이 모아지게 할 수 있다.
가이드벽(260)은 출몰부재(261), 구동부(262), 접촉부(263), 승하강공간(264) 및 전원 단자(264a, 264b)를 포함할 수 있다.
출몰부재(261)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210)에 수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출몰부재(261)는 설치홈(25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몰부재(261)는 하측에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61a)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262)는 출몰부재(261)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62)는 상판(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262b) 및 출몰부재(261)에 설치되는 렉 기어(26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니언 기어(262b)는 제2 회전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2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렉 기어(262a)는 피니언 기어(262b)와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피니언 기어(262b)의 회전에 따라 출몰부재(26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접촉부(263)는 절곡부(261a)의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접촉부(263)는 통전 재질로, 예컨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공간(264)은 상판(210)에 마련될 수 있다.
승하강공간(264)에는 절곡부(261a) 및 접촉부(26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출몰부재(261)가 승하강하는 동안 절곡부(261a) 및 접촉부(263)의 이동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출몰부재(261)는 절곡부(261a)가 승하강공간(264)에 걸림에 따라 승하강공간(264)의 길이만큼 이동 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전원 단자(264a, 264b)는 승하강공간(264)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단자(264a, 264b)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양극 단자(264a) 및 음극 단자(26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극 단자(264a) 및 음극 단자(264b)는 각각 외부 전원 및 제1 회전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261a)가 승강함에 따라 접촉부(263)가 양극 단자(264a) 및 음극 단자(264b)에 접함으로써 양극 단자(264a) 및 음극 단자(264b)를 연결하는 경우, 제1 회전 모터로 전원이 인가되어 제1 회전 모터가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출몰부재(261)가 상판(210)으로부터 출몰되어 바스켓(240)에 대하여 벽을 형성하는 경우, 제1 회전 모터가 동작하여 보조 프레임(2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바스켓(24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출몰부재(261)에 의해 바스켓(240)이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은 방지될 것이다.
한편, 출몰부재(261)가 하강하는 경우, 제1 회전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될 수 있으며, 보조 프레임(251)은 자체 중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과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가공부
200: 테이블
1000: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Claims (2)

  1. 회전동작하는 공구에 의하여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가공부; 및
    상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장착되고, 상기 가공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스핀들 머신; 및
    상기 스핀들 머신에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 머신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하는 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판;
    상측면에 상기 상판을 장착하고, 소정의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상기 공구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설치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장착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그 블록;
    상기 설치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지그 블록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상기 제1 지그 블록과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제2 지그 블록;
    상기 제1 지그 블록과 상기 제2 지그 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물이 끼워져 고정되는 설치 공간;
    상기 제2 지그 블록이 나사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지그 블록을 전방 이동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지그 블록을 후방 이동시키는 회전봉; 및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그 블록의 일측에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설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위치 정렬 봉;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지그에 설치되기 전의 복수의 피가공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상판에 상기 지그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안착자리를 제공하는 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소정 깊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되, 그 깊이는 상기 바스켓의 깊이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직경은 상기 바스켓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은,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상기 바스켓의 저면을 지지하고, 제1 회전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1 회전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안착된 상기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모터의 전원이 오프 되는 경우, 자체 중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큰 중량으로 형성되는,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2. 삭제
KR1020200037450A 2020-03-27 2020-03-27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KR10212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50A KR102121068B1 (ko) 2020-03-27 2020-03-27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50A KR102121068B1 (ko) 2020-03-27 2020-03-27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068B1 true KR102121068B1 (ko) 2020-06-09

Family

ID=7108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50A KR102121068B1 (ko) 2020-03-27 2020-03-27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2490A (zh) * 2020-09-30 2021-01-15 重庆市源仁机械制造有限公司 多功能零件铣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138U (ko) * 1996-04-29 1997-11-10 드릴링 머신의 작업 테이블 자동 승강 장치
KR20090000058U (ko) * 2007-06-29 2009-01-07 주식회사 덕명하이텍 밀링머신의 모따기용 각도조절 지그
KR101989190B1 (ko) *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49532B1 (ko) * 2019-07-08 2019-11-27 박흥식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138U (ko) * 1996-04-29 1997-11-10 드릴링 머신의 작업 테이블 자동 승강 장치
KR20090000058U (ko) * 2007-06-29 2009-01-07 주식회사 덕명하이텍 밀링머신의 모따기용 각도조절 지그
KR101989190B1 (ko) * 2019-04-12 2019-06-13 김기순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49532B1 (ko) * 2019-07-08 2019-11-27 박흥식 피가공물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cnc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2490A (zh) * 2020-09-30 2021-01-15 重庆市源仁机械制造有限公司 多功能零件铣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252B1 (ko) 다면(多面) 가공장치
KR101358503B1 (ko) 공작 기계
JPWO2013038568A1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装置及び交換方法並びに工作機械
KR102121068B1 (ko) 지그를 포함하는 밀링장치
CN113412175B (zh) 机床的刀库
CN217452928U (zh) 一种卧式钻铣复合机床
KR20040023897A (ko) 기계 가공용 높이 조절장치
CN110216481B (zh) 数控立式机床及应用其加工阀体的方法
CN209793116U (zh) 一种带刀库的精雕机
JP5356879B2 (ja) 工作機械システムの機種切替方法及び装置
KR102215366B1 (ko) 금속 가공방법
CN219703807U (zh) 一种旋转送丝焊接设备
JP2012125884A (ja) 治具クランパの自動段取り替え装置
JP4678869B2 (ja) 工作機械システム
CN213052805U (zh) 一种钻床
CN210499774U (zh) 五轴联动刀具磨床
CN109605142B (zh) 一种鱼尾机
KR20210087020A (ko)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가공 장치
CN216706637U (zh) 一种微型多功能机床
CN216759098U (zh) Cnc机台
KR20190115228A (ko) 공작기계
CN217019577U (zh) 一种加工效率提高的数控加工中心
CN211438179U (zh) 立式钻孔机的主轴箱、立式钻孔机及立卧一体式钻孔机
CN213496529U (zh) 一种车床的辅助支撑架
CN213858078U (zh) 一种新型立卧复合加工中心用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