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337B1 -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337B1
KR102120337B1 KR1020140040111A KR20140040111A KR102120337B1 KR 102120337 B1 KR102120337 B1 KR 102120337B1 KR 1020140040111 A KR1020140040111 A KR 1020140040111A KR 20140040111 A KR20140040111 A KR 20140040111A KR 102120337 B1 KR102120337 B1 KR 10212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dsd
audio file
playing
d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308A (ko
Inventor
유승호
김건우
임재환
이필신
김성길
백창흠
Original Assignee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어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4004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3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 또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제1 재생 경로에 따라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 설정된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통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 외부 기기에 연결된 통신 포트, 상기 제1 프로세서, 상기 제2 프로세서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1 스위치; 전송 받은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DAC; 및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DAC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LAYING DSD AUDIO FILE WITH EXTERNAL DEVIC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DSD 오디오 파일 재생 방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연동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프로세서를 선택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SD(Direct Stream Digital)는 고음질의 디지털 오디오 기록 방식을 일컫는다. 본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 CD는 44.1kHz의 샘플링 레이트로 기록하는데 비해 DSD는 그의 64배인 2.8224MHz까지 나누어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DSD 파일을 오디오 기기에서 재생하는 경우, 오디오 기기는 DSD 오디오 파일을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파일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즉, 오디오 기기 내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PCM 오디오 파일을 I2S(Inter Interchip sound) 전송방식으로 DAC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되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DSD 오디오 파일을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이유는 CPU 에서 직접 DSD 오디오 파일을 DAC 으로 전송하기 위한 DSD 전송방식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 내 CPU에서 PCM 오디오 파일 뿐 아니라 DSD 오디오 파일을 PCM 오디오 파일로의 변환 없이 원본 그대로 재생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프로세서에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부여하여 그 제어 권한이 부여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 또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제1 재생 경로에 따라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 설정된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통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 외부 기기에 연결된 통신 포트, 상기 제1 프로세서, 상기 제2 프로세서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1 스위치; 전송 받은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DAC; 및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DAC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에 따라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기 설정된 UART 채널을 통해 MUTE를 설정하기 위한 MUTE ON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한 후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URAT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MUTE를 해제하기 위한 MUTE OFF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DOP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DOP 패킷을 USB(Universal Serial Bu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면서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외부 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생성된 DOP 패킷을 전송 받고,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부여 받아 부여 받은 상기 제어 권한에 따라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 또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따라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제2 프로세서가 설정된 상기 제1 재생 경로 또는 상기 제2 재생 경로에 따라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AC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AC가 전송 받은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외부 기기에 연결된 통신 포트, 상기 제1 프로세서, 상기 제2 프로세서 사이에서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DAC 사이에서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상기 제1 재생 경로 또는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에 따라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기 설정된 UART 채널을 통해 MUTE를 설정하기 위한 MUTE ON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한 후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URAT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MUTE를 해제하기 위한 MUTE OFF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DOP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DOP 패킷을 USB(Universal Serial Bu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면서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외부 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생성된 DOP 패킷을 전송 받고,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부여 받아 부여 받은 상기 제어 권한에 따라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프로세서에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부여하여 그 제어 권한이 부여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에서 native DSD 재생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서도 native DSD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음질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원하는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OP 패킷의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내 기기 간 상세한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프로세서에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부여하여 그 제어 권한이 부여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새로운 DSD 오디오 파일 재생 방안을 제안한다.
여기서, DSD(Direct Stream Digital)는 고음질 음원 앨범인 SACD(Super Audio Compact Disc) 등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오디오 기록 방식을 일컫는다. DSD의 양자화 1비트에서 표본화 주파수는 CD 표본화 주파수 44.1kHz의 64배인 2.8224MHz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1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제2 프로세서(140), 통신 포트(150), 제1 스위치(160), 제2 스위치(170), DAC(Digital Analog Converter)(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메뉴 또는 키 조작에 따라 오디오 파일 예컨대, PCM 오디오 파일, DSD 오디오 파일 등의 재생, 정지 등에 관련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거나 또는 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프로세서(120)는 PCM 오디오 파일을 DAC(180)을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1프로세서(120)의 기능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PCM 오디오 파일(wave, mp3, flac 등)재생 시: 사용자가 UI(User Interface)에서 PCM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을 수행하면, 선택된 파일을 저장 장치에서 메모리로 읽어와 PCM 포맷으로 디코딩한 후 I2S 전송방식으로 오디오 DAC으로 전송하게 된다.
2)DSD 오디오 파일 재생 시: 사용자가 UI 에서 DSD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파일을 저장장치에서 메모리로 읽어와 DOP 포맷으로 변환 후 USB 통신통로를 통해 제2프로세서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1 프로세서(120)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동작하는 프로세서로서, 사용자의 각종 이벤트 입력을 받아 미디어 플레이어로 이벤트를 전달하고, 저장장치에 있는 미디어 파일을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요청하면 해당 미디어 파일을 메모리로 읽어 들이거나 PC로부터 미디어 파일을 읽어 들인 후 그 읽어 들인 미디어 파일을 DAC으로 전송한다.
제2 프로세서(14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범용 AP(Application Processor)로서 오디오 기기의 대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프로세서(120)에서 직접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제1 프로세서에서 DSD 전송방식을 지원하지 않아 DSD 전송방식을 지원하는 DAC으로 직접 전송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DSD 전송방식을 지원하는 별도의 제2 프로세서(140)를 사용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DSD 전송방식을 지원하는 DAC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DSD 오디오 파일 재생 흐름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프로세서(120)에서 DSD 오디오 파일을 메모리로 적재한 후 DOP 포맷으로 변환한 후 USB 전송라인을 이용하여 제2 프로세서(140)로 전송하고 제2프로세서(140)가 DOP 포맷을 원래의 DSD 포맷으로 변환하여 DSD 전송방식으로 DAC로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제2 프로세서(140)는 제1 프로세서(120)에서 전송된 DOP 데이터를 원래 DSD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데이터를 DAC으로 전송하는 동작이 주 기능이다.
즉, 제2 프로세서(140)는 DSD 오디오 파일을 DAC(180)을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생 경로를 이용하여 PCM 오디오 파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게 되는데,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와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재생 경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서(120)는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 받으면,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게 되고,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라는 명령어를 입력 받으면,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재생 경로를 통해 해당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 권한을 갖고 있는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해야 하는 경우 그 제어 권한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기 설정된 제1 재생 경로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반면에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해야 하는 경우 그 제어 권한을 제2 프로세서(140)에 부여하여 제2 프로세서(140)가 부여 받은 제어 권한에 따라 DSD 오디오 파일을 기 설정된 제2 재생 경로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 권한을 갖게 되면, 제1 프로세서(120) 또는 제2 프로세서(140)는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 상에 위치하는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20)가 제어 권한을 갖게 되면, 제1 프로세서(120)만이 제1 재생 경로 상에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프로세서(140)는 제어할 수 없다.
반대로, 제2 프로세서(140)가 제어 권한을 갖게 되면, 제2 프로세서(140)만이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반면에 제1 프로세서(120)는 제어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제어 권한은 제1 프로세서(120)가 가지고 있고 필요에 따라 제2 프로세서(140)에 부여하게 되며, 제2 프로세서(140)는 동작 완료 후 제어 권한을 반환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 재생 장치에서 PCM 오디오 파일 또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재생 장치 내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요청 받으면, 제1 프로세서(120)는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20)는 제2 스위치(17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제2 스위치(170)를 통해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전송방식으로 DAC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I2S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I2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PCM 오디오 파일을 전송한다.
즉, 제1 프로세서(120)는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갖고, 이러한 제어 권한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제1 재생 경로를 기반으로 PCM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재생 장치 내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요청 받으면,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스위치(16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17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가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 후에 DSD 오디오 파일을 제2 프로세서(140)에 전송함으로써, 제2 프로세서(140)가 제2 재생 경로를 통해 DSD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즉,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제2 프로세서(140)에 부여하고, 제2 프로세서(140)가 그 부여 받은 제어 권한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재생 경로를 기반으로 DSD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1 프로세서와 제2 프로세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재생 파일 목록에서 DSD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 요청하면,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의 재생 및 전송을 위한 재생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설정한다.
제1 프로세서(120)는 제2 프로세서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오디오 기기류의 전원을 온/오프할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충격음인 팝 노이즈(pop noise) 처리를 위해 제1 프로세서는 미리 UART 채널을 이용하여 MUTE ON 메시지를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제2 프로세서는 전원이 인가되면, 부트롬(boot ROM)에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정상적으로 부팅을 하고 부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BOOTCOMPLETE 메시지를 UART 채널을 통해 제1 프로세서에 통지한다.
제1 프로세서는 제2 프로세서로부터 BOOTCOMPLETE 메시지를 통지 받으면, 제1 프로세서와 제2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로인 USB 채널을 연결한다.
제1 프로세서는 볼륨 크기 정보를 UART 채널을 통해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MUTE OFF 메시지를 UART 채널을 통해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MUTE를 해제한다.
제1 프로세서는 DSD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한 후 DOP 포맷으로 변환하여 USB 전송라인을 통해 제2 프로세서로 일정한 크기 단위로 전송한다.
제2 프로세서(140)는 주기적으로 전송 받은 DOP 데이터를 원래의 Native DSD 포맷으로 변환한 후 DSD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DAC으로 전송한다.
이때,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중 사용자가 볼륨 제어를 하면, 제1 프로세서는 볼륨 정보 메시지를 UART 채널을 통해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한다.
또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중 사용자가 다음 곡을 선택하게 되면, 곡 전환에 따른 팝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곡 전환 전에 제1 프로세서는 MUTE ON 메시지를 제2 프로세서에 보내고 곡 전환 후에 MUTE OFF 메시지를 제2 프로세서에 보낸다.
이러한 MUTE ON 메시지, MUTE OFF 메시지의 전송으로 팝 노이즈를 저감하게 된다.
즉, DSD 오디오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면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UI 이벤트를 처리하고, 재생 정보를 출력하며, 주기적으로 제2 프로세서로 DSD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는 제2 프로세서(140)로 재생 시작, 재생 정지 및 DAC의 음량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140)는 제1 프로세서(120)로부터 DOP 데이터를 전송 받아 DAC으로 전송하거나, 제1 프로세서(120)에서 전송 받은 명령을 처리하게 된다.
이처럼 DSD 오디오 파일을 DAC에서 재생하는 방법을 native DSD 재생이라고 한다.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그대로 제2 프로세서에 제공하지 않고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2 프로세서(14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DOP는 DSD 데이터를 24bit PCM 데이터에 패킹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즉, DOP는 PCM 기반 기기에서 DS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규격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OP 패킷의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OP 패킷의 24bit의 상위 8비트에는 DSD 마커(Maker)라고 불리는 특별한 구분자를 삽입하여 이 시그널이 DSD임을 구분하게 되고, 하위 16비트에 1채널 DSD 데이터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위 8비트의 마커는 DOP 규격의 버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 내에 저장된 PMC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요청 받으면, 제1 프로세서(120)는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스위치(16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외부 기기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17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제1 스위치(170)를 통해 I2S 전송방식으로 DAC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서(120)는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갖고, 기 설정된 제1 재생 경로를 기반으로 PCM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요청 받으면,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스위치(16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가 외부 기기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17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가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프로세서(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DSD 오디오 파일을 제공 받아 제공 받은 DSD 오디오 파일을 DAC에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즉,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제어 권한을 제2 프로세서(140)에 부여하고, 제2 프로세서(140)가 그 부여 받은 제어 권한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DSD 오디오 파일을 직접 제공 받아 제공 받은 DSD 오디오 파일을 기 설정된 제2 재생 경로를 기반으로 DSD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1 프로세서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USB 연결 모드를 PC-FI 모드로 설정하면, 제1 프로세서는 도 4b와 같이 제1 스위치(160), 제2 스위치(17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외부 기기와 제2 프로세서의 USB가 연결되고, PC-FI 모드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UI를 화면에 출력한다.
외부 기기가 제2 프로세서의 USB에 연결되어 제2 프로세서의 USB20.0 프로파일에 맞게 USB DAC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 프로세서의 역할은 외부 기기와 제2 프로세서의 USB 연결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가 볼륨 제어를 하면, 제1 프로세서는 볼륨 정보 메시지를 UART 채널을 통해 제2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볼륨을 제어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의 기기 간 상세한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L(Left) 신호와 R(Right)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각 구성 요소 간에는 2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특히, 재생 경로 상에서 제1 스위치(170)로 두 개의 스위치들(170a, 170b)을 사용하게 되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DAC 역시 두 개의 DAC들(180a, 180b)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와 제2 프로세서(140) 역시 2개의 채널을 사용하게 되는데, 하나의 채널은 제어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다른 하나의 채널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2 개의 채널 중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에서는 UART 전송방식을 적용하게 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에서는 USB 전송방식을 적용하게 된다.
이렇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에만 UART 전송방식을 적용하는 이유는 UART 전송방식이 데이터 전송 표준으로 많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전송 거리가 짧고 잡음에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고품질의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기기에서 이러한 UART 전송방식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에 USB 전송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USB 전송방식은 시리얼(직렬) 포트나 패러럴(병렬) 포트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를 지원하고 있어 용량이 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USB 전송 방식은 USB 케이블 내에 두 개의 데이터선과 두 개의 전원공급선이 있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므로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주변기기들은 따로 전력을 공급할 필요도 없다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USB 케이블을 상당한 길이까지 선을 확장할 수 있어 종래의 주변 기기들이 주변에 모여 있어야만 하는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은 양방향 채널로서, 제2 프로세서가 이벤트를 제1 프로세서에 전송하거나 제1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UART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은 양단 간에 미리 약속되어 있는 값으로 명령어 이름이거나 이벤트(event) 이름을 나타내는 key 필드, value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 키(key)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을 나타내는 value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프로세서와 제2 프로세서 간 UART 전송방식은 제2 프로세서의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동작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PCM 오디오 파일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에, 제1 프로세서(120)는 제2 스위치(171)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PCM 오디오 파일의 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라인을 DAC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치(172)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PCM 오디오 파일의 R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라인을 제1 DAC(181)에 연결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에, 제2 프로세서(140)는 제1 스위치(161)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의 DSD 오디오 파일의 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라인을 DAC에 연결하고, 제1 스위치(162)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의 DSD 오디오 파일의 R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라인을 제2 DAC(182)에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L 신호와 R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각 재생 경로 예컨대, 제1 재생 경로, 제2 재생 경로를 2 채널로 운영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프로세서(120)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 받았는지를 확인하고(S610), 그 확인한 결과로 명령어를 입력 받았으면, 메모리(130)로부터 해당 PCM 오디오 파일을 읽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620).
이때, 사용자가 UI 상에서 PCM 오디오 파일(wave, mp3, flac 등)을 선택하면 기기의 미디어 재생 프레임워크에서 각각의 여러 PCM 오디오 파일을 I2S 전송방식에 맞는 PCM 포맷으로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스위치(160)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630).
이때, 제1 프로세서(120)와 DAC(180) 사이에는 PCM 오디오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가 설정되는데, 설정된 경로를 통해 I2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I2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매번 설정하지 않도록 디폴트(default)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프로세서(140)가 부여 받은 제어 권한에 따라 DSD 파일을 재생한 후 그 부여 받은 제어 권한을 제1 프로세서(120)에 반환하면서 기 설정된 제2 재생 경로를 미리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재생 경로로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제1 재생 경로를 통해 I2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DAC(180)에 전송할 수 있다(S640).
다음으로, DAC(180)는 전송 받은 PCM 오디오 파일을 출력부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S650). 여기서, 출력장치는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이어폰, 헤드셋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 받았는지를 확인하고(S710), 그 확인한 결과로 명령어를 입력 받았으면, 메모리(130)로부터 해당 DSD 오디오 파일을 읽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720).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DOP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S730).
이때, 사용자가 UI 상에서 DSD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면 기기의 미디어 재생 프레임워크에서 DSD 오디오 파일을 읽어와 DOP 포맷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DO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170)을 스위치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1 스위치(16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가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740). 즉,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2 프로세서(140)가 DAC(180)에 직접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로세서(120)와 제2 프로세서(140) 사이에는 DSD 오디오 파일을 변환하여 생성된 DO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경로가 설정되는데, 설정된 경로를 통해 USB(Universal Serial Bu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제2 재생 경로를 통해 USB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DOP 패킷을 제2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S750).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이용하여 제2 프로세서(14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UART는 제1 프로세서에서 제2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채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프로세서(140)는 DOP 패킷을 전송 받으면, 전송 받은 DOP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DSD 오디오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DSD 오디오 파일을 DSD 전송방식으로 DAC(180)에 전송할 수 있다(S760).
다음으로, DAC(180)는 전송 받은 DSD 오디오 파일을 출력부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S77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12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 받았는지를 확인하고(S810), 그 확인한 결과로 명령어를 입력 받았으면, 제1 스위치(16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외부 기기에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17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DAC(180)에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820).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요청하고(S830), 이에 대한 응답으로 USB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해당 PCM 오디오 파일을 제공 받을 수 있다(S840).
이때, 제1 프로세서(120)와 외부 기기 간에는 USB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예컨대, PCM 오디오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설정된 제1 재생 경로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 받은 PCM 오디오 파일을 제2 스위치(160)를 통해 DAC(180)에 전송할 수 있다(S850).
다음으로, DAC(180)는 전송 받은 PCM 오디오 파일을 출력부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S86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12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 받았는지를 확인하고(S910), 그 확인한 결과로 명령어를 입력 받았으면, DSD 오디오 파일을 외부 기기에 요청할 수 있다(S920).
이때, 외부 기기는 제1 프로세서로부터 DSD 오디오 파일을 요청 받으면, 해당 DSD 오디오 파일을 DOP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DOP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스위치(16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140)에 외부 기기(200)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 스위치(170)을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제2 프로세서에 DAC(180)가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930).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프로세서(140)는 외부 기기로부터 USB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DOP 패킷을 전송 받을 수 있다(S940).
다음으로, 제2 프로세서(140)는 DOP 패킷을 전송 받으면, 전송 받은 DOP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DSD 오디오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DSD 오디오 파일을 USB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DAC(180)에 전송할 수 있다(S950).
다음으로, DAC(180)는 전송 받은 DSD 오디오 파일을 출력부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S960).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입력부
120: 제1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제2 프로세서
150: 통신 포트
160: 제1 스위치
170: 제2 스위치
180: DAC

Claims (20)

  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 또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제1 재생 경로에 따라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
    설정된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통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
    외부 기기에 연결된 통신 포트, 상기 제1 프로세서, 상기 제2 프로세서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1 스위치;
    전송 받은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DAC; 및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DAC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생성된 DOP 패킷을 전송 받고,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부여 받아 부여 받은 상기 제어 권한에 따라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에 따라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기 설정된 UART 채널을 통해 MUTE를 설정하기 위한 MUTE ON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한 후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UART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MUTE를 해제하기 위한 MUTE OFF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DOP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DOP 패킷을 USB(Universal Serial Bu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면서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외부 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10. 삭제
  11.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 또는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따라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1 프로세서와는 별도의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제1 재생 경로 또는 제2 재생 경로에 따라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AC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AC가 전송 받은 상기 PCM 오디오 파일 또는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외부 기기에 연결된 통신 포트, 상기 제1 프로세서, 상기 제2 프로세서 사이에서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 또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DAC 사이에서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상기 제1 재생 경로 또는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생성된 DOP 패킷을 전송 받고,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부여 받아 부여 받은 상기 제어 권한에 따라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에 따라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PCM 오디오 파일을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재생 경로 상의 상기 DA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PCM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DAC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기 설정된 UART 채널을 통해 MUTE를 설정하기 위한 MUTE ON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한 후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UART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MUTE를 해제하기 위한 MUTE OFF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재생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DOP(DSD Over PCM)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결과로 DOP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DOP 패킷을 USB(Universal Serial Bus)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DOP 패킷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전송하면서 상기 제2 재생 경로 상에서 상기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데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프로세서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명령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외부 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 스위칭한 결과로 상기 제2 프로세서에 상기 DAC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재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D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20. 삭제
KR1020140040111A 2014-04-03 2014-04-03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11A KR102120337B1 (ko) 2014-04-03 2014-04-03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11A KR102120337B1 (ko) 2014-04-03 2014-04-03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308A KR20150115308A (ko) 2015-10-14
KR102120337B1 true KR102120337B1 (ko) 2020-06-08

Family

ID=5435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111A KR102120337B1 (ko) 2014-04-03 2014-04-03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4311B2 (en) * 2017-01-30 2019-09-24 Cirrus Logic, Inc. Auto-mute audio processing
US10522155B2 (en) * 2017-02-21 2019-12-31 Cirrus Logic, Inc. Pulse code modulation (PCM) data-marking
KR20200055901A (ko) * 2018-11-14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액세서리 장치
KR102346697B1 (ko) 2020-11-03 2021-12-31 (주)드림어스컴퍼니 복수의 dac을 적용한 음원 출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3350A1 (en) 2003-04-24 2004-10-28 Frith Peter J. Interface format for PCM and DSD devices
KR100722930B1 (ko) * 2005-09-23 2007-05-30 엠텍비젼 주식회사 디엠에이를 이용한 오디오 혼합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7195079A (ja) * 2006-01-23 2007-08-02 Sony Corp 再生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3350A1 (en) 2003-04-24 2004-10-28 Frith Peter J. Interface format for PCM and DSD devices
KR100722930B1 (ko) * 2005-09-23 2007-05-30 엠텍비젼 주식회사 디엠에이를 이용한 오디오 혼합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7195079A (ja) * 2006-01-23 2007-08-02 Sony Corp 再生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308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249B2 (en) User-programmable, head-supportable listening device with WiFi media player
JP4561825B2 (ja) オーディオ信号受信装置、オーディオ信号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伝送システム
JP3890856B2 (ja) 無線オーディオ機器
KR102120337B1 (ko) 외부 기기에 연동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80908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V system and portable device
US20060085577A1 (en) Portabl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20150264513A1 (en) Usb audio and power transmission
JP2004038988A (ja) 外部記憶媒体を用いたホスト処理装置
JP4003788B2 (ja) 無線オーディオ機器
USRE49766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V system and portable device
KR102128907B1 (ko)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167738A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JP2012145643A (ja) 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利用システム
KR20180028851A (ko)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컨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4992726B2 (ja) 情報記録処理装置、情報記録処理方法
JP4935386B2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10768845B2 (en) Storage device and data output method for storage device
JP2011217366A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音声信号供給方法、音声信号供給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942409B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619879B1 (ko)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0910967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音響装置にオーディオ信号を供給する方法
JP2014082545A (ja) 録画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51652B2 (ja) 記憶装置、記憶装置におけるデータ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19878B1 (ko) I2s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dsd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TW578095B (en) The wireless broadca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