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884B1 -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 Google Patents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884B1
KR102119884B1 KR1020180150277A KR20180150277A KR102119884B1 KR 102119884 B1 KR102119884 B1 KR 102119884B1 KR 1020180150277 A KR1020180150277 A KR 1020180150277A KR 20180150277 A KR20180150277 A KR 20180150277A KR 102119884 B1 KR102119884 B1 KR 102119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finger
grip support
glov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두호
Original Assignee
(주) 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온 filed Critical (주) 레온
Priority to KR102018015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884B1/ko
Priority to PCT/KR2019/012445 priority patent/WO202011148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채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잘못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골프장갑은, 상기 손바닥부에는 제1 회피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회피 개구의 길이방향은 검지에서 소지측으로 갈수록 손목에 가까워지도록 손바닥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GOLF GLOVE AND GOLF GLOVE SET}
본 발명은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채를 용이하게 파지하고 악성구질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장갑은, 골프채의 손잡이를 쥘 때 마찰력을 발생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마찰력에 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골프 장갑은 큰 마찰력을 발생하고 잘 손상되지 않는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구현된다.
그런데,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된 골프장갑의 경우, 통기성이 좋지 못하여 착용시 손에 땀이 차고, 땀 때문에 장갑 내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진다. 이에 따라 손잡이를 잡을 때 정확한 그립감으로 잡기가 어려워 스윙이 부자연스럽고, 골프공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날려 보내기가 어려웠다.
특히 골프채를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손바닥으로 느끼지 못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골프채를 정확하게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슬라이스가 발생하거나 땅을 타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골프채가 손바닥 깊숙이 파지되는 경우에는 백스윙 탑에서 손목이 흔들리고 소지손가락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골프장갑은 양손 모두에 착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클럽을 직접 잡아 쥐는 손인 왼손에만 골프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퍼팅 시에 거리 감각을 높이고, 손으로 골프채를 직접 느껴서 보다 정확하게 파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한 손에만 골프장갑을 착용하면 양손 불균형이 발생하고 손을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골프채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고 잘못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골프장갑은, 상기 손바닥부에는 제1 회피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회피 개구의 길이방향은 검지에서 소지측으로 갈수록 손목에 가까워지도록 손바닥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피 개구는 길이와 폭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되, 제2 중수골의 전방에서 제4 중수골의 후방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부는 엄지를 삽입하는 엄지부, 검지를 삽입하는 검지부, 중지를 삽입하는 중지부, 약지를 삽입하는 약지부, 소지를 삽입하는 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지부와 상기 약지부와 상기 소지부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에서 소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고락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약지의 기절골과 제4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에서 소지의 기절골과 제5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을 지나도록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왼손 장갑과 오른손 장갑을 포함하는 골프 장갑 세트는, 상기 왼손 장갑에서 손 바닥을 감싸는 부분에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회피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른손 장갑에서 손 바닥을 감싸는 부분에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회피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피 개구는 상기 제1 회피 개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피 개구는 왼손의 제2 중수골의 전방, 제3 중수골, 제4 중수골의 후방이 위치하는 손바닥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회피 개구는 오른손의 제2 중수골, 제3 중수골, 제4 중수골, 및 제5 중수골이 위치하는 손바닥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왼손 장갑과 상기 오른손 장갑은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는 엄지를 삽입하는 엄지부, 검지를 삽입하는 검지부, 중지를 삽입하는 중지부, 약지를 삽입하는 약지부, 소지를 삽입하는 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손 장갑에서, 상기 중지부와 상기 약지부와 상기 소지부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에서 소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가락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약지의 기절골과 제4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에서 소지의 기절골과 제5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을 지나도록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오른손 장갑에서, 상기 중지부와 상기 약지부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에서 소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의 기절골과 제3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에서 소지의 기절골과 제5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골프 장갑에 의하면, 제1 회피 개구에 골프채가 닿으면 사용자가 골프채와의 접촉을 인지하여 잘못된 그립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그립 지지부와 하부 그립 지지부가 형성되어 그립 지지부 사이에 골프채를 위치시켜서 골프채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손등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왼손 장갑을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왼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바닥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장갑을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그립 지지부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을 손등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왼손 장갑을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왼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바닥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장갑 세트(10)는 왼손에 장착되는 왼손 장갑(100)과 오른손에 장착되는 오른손 장갑(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오른손 장갑(200)과 왼손 장갑(100)을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왼손잡이의 경우에는 반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골프 장갑을 이루는 원단은 마찰원단이나 메쉬원단으로 이루질 수 있다. 마찰원단은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코팅을 할 수도 있다. 메쉬원단은 질기고 가공성이 우수한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며 그물망처럼 구멍이 뚫려 있는 원단으로서, 일예로 폴리에틸렌 섬유로 된 메쉬원단에 논슬립(non-slip) 실리콘 코팅(바이오 실리콘 코팅 등)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메쉬원단에 라텍스 고무나 합성고무로 코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원단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원단일 수도 있다.
왼손 장갑(100)은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110),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150),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120),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등부(110)는 손가락부(120)와 손목부(130)를 이어주며 손등피부를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손등부(110)에는 고정을 위한 손목 밴드(1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손목 밴드(115)는 벨크로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목부(130)에서 손등부(110)까지 절개부(112)가 이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밴드(115)는 절개된 부분을 당겨서 손등에 고정되도록 한다. 손등부(110)는 부분적으로 메쉬 소재로 이루어져서 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목부(130)는 손등부(110)와 손바닥부(150)에 연결 형성되어 손목을 감싼다. 손목 밴드(115)는 손등부(110)에서 손목부(130)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목부(130)에는 탄성을 갖는 실로 박음질된 탄성 띠(131)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가락부(120)는 엄지(321)를 삽입하는 엄지부(121), 검지(322)를 삽입하는 검지부(122), 중지(323)를 삽입하는 중지부(123), 약지(324)를 삽입하는 약지부(124), 소지(325)를 삽입하는 소지부(125)를 포함한다.
본 기재에서 손가락이라 함은 기절골(331), 중절골(332), 말절골(333)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손바닥을 기준으로 손바닥에서 돌출되어 서로 분리된 부분을 의미한다.
손가락부(120)는 엄지부(121)를 제외하고 단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손가락의 끝 부분과 손톱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중지부(123), 약지부(124), 소지부(125)에서 손등부(110)와 이어진 면은 메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지부(123), 약지부(124), 소지부(125)에서 손바닥부(150)와 이어진 면은 가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지부(123), 약지부(124), 소지부(125)에서 손등부(110)와 이어진 면에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커버(22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커버(227)는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 커버(227)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땀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소지부(125)의 손등 측에는 소지부(125)와 약지부(124)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 고정 밴드(161)가 설치될 수 있다. 손가락 고정 밴드(161)는 벨크로 구조로 약지부(12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손가락 고정 밴드(161)에는 후크부가 설치될 수 있고, 약지부(124)에는 루프부가 설치되어 손가락 고정 밴드(161)와 약지부(124)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지(325)와 약지(324)가 이격되어 그립이 잘못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검지부(122)는 손등과 이어진 부분과 손바닥과 이어진 부분 모두 가죽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골프채 파지 시에 검지부(122)가 많이 사용되므로 골프채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하고,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중지부(123), 약지부(124), 소지부(125)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126)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손바닥부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126)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127)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그립 지지부(126)와 하부 그립 지지부(127)는 일방향으로 이어진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그립 지지부(126)와 하부 그립 지지부(127)의 내부에는 두께를 갖는 쿠션재(430)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쿠션재(430)는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직포 또는 발포 형성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쿠션재(430)는 외피(410)와 내피(420) 사이에 삽입되며 박음질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그립 지지부(126)의 길이방향은 중지(323)에서 소지(3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그립 지지부(126)는 중절골(332)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중절골(332)의 길이방향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그립 지지부(127)는 약지(324)의 기절골(331)과 제4 중수골(314)이 연결된 부분에서 소지(325)의 기절골(331)과 제5 중수골(315)이 연결된 부분을 지나도록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그립 지지부(127)도 손바닥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손바닥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가지며, 손바닥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손바닥과 손목이 연결된 부분에서 손바닥과 손가락이 연결된 부분으로 이어진 방향을 의미하며, 손바닥의 폭방향이라 함은 검지(322)에서 소지(325)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손바닥의 길이방향은 전방으로 곧게 펴진 중지(323)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그립 지지부(126)와 하부 그립 지지부(127)가 형성되면 골프채가 상부 그립 지지부(126)와 하부 그립 지지부(127) 사이에 위치하며 다른 부분과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착용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정확한 그립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손바닥부(150)는 손등부(110)의 폭방향 양쪽 단부와 연결되어 손바닥을 감싸는 부분으로서, 손바닥부(150)에는 제1 회피 개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피 개구(152)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제1 회피 개구(152)의 길이방향은 검지(322)에서 소지(325)측으로 갈수록 손목에 가까워지도록 손바닥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손바닥의 금성구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1 회피 개구(152)는 손바닥 전체 넓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피 개구(152)의 상단은 검지(32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회피 개구(152)는 길이와 폭을 갖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제1 회피 개구(152)의 길이 방향은 손가락에서 손목을 향하는 손바닥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회피 개구(152)의 폭방향은 검지(322)에서 소지(325)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어진다. 제1 회피 개구(152)의 길이는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길이는 폭의 2.5배 내지 6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길이는 4cm~8c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폭은 1.5cm~3c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피 개구(152)는 제2 중수골(312)의 전방에서 제4 중수골(314)의 후방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손가락과 가까운 부분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손목과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즉, 제2 중수골(312)의 전방이라 함은 제2 중수골(312)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보다 손가락과 가까운 부분을 의미하며, 제4 중수골(314)의 후방이라 함은 제4 중수골(314)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보다 손목과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제1 회피 개구(152)는 제1 중수골(311) 및 제5 중수골(315)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제3 중수골(313)이 위치하는 부분과 가장 많이 겹쳐진다.
손바닥부(150)에는 골프채와 맞닿는 접촉 영역과 골프채와 맞닿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 영역은 잘못된 그립 형성 시에 골프채가 맞닿는 영역으로서 비접촉 영역에 골프채가 맞닿으면 부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진다.
제1 회피 개구(152)는 손바닥에서 골프채와 맞닿으면 안되는 부분인 비접촉 영역에 형성된다. 즉, 제1 회피 개구(152)가 형성된 부분의 손바닥이 골프채와 맞닿으면 손으로 쥐는 힘이 너무 크게 작용하여 백스윙 시에 탑 위치에서 손목이 흔들리고 소지 손가락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왼손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골프채를 정확하게 파지하였는지 인지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본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회피 개구(152)가 형성되면, 사용자가 골프채를 잘못 파지하여 골프채가 제1 회피 개구(152)에 위치하는 경우, 손바닥이 골프채와 맞닿아 골프채를 쉽게 인지하므로 제1 회피 개구(152)에 골프채가 위치하지 않도록 회피하여 손쉽게 파지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장갑을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른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바닥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른손 장갑(200)은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210),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250),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220),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등부(210)는 손가락부(220)와 손목부(230)를 이어주며 손등피부를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손등부(210)에는 고정을 위한 손목 밴드(2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손목 밴드(215)는 벨크로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목부(230)에서 손등부(210)까지 절개부(212)가 이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손목 밴드(215)는 절개된 부분을 당겨서 손등부(2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손등부(210)는 부분적으로 메쉬 소재로 이루어져서 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목부(230)는 손등부(210)와 손바닥부(250)에 연결 형성되어 손목을 감싼다. 손목 밴드(215)는 손등부(210)에서 손목부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목부(230)에는 탄성을 갖는 실로 박음질된 탄성 띠(231)가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부(220)는 엄지(321)를 삽입하는 엄지부(221), 검지(322)를 삽입하는 검지부(222), 중지(323)를 삽입하는 중지부(223), 약지(324)를 삽입하는 약지부(224), 소지(325)를 삽입하는 소지부(225)를 포함한다.
손가락부(220)는 엄지부(221)를 제외하고 단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손가락의 끝 부분과 손톱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소지부(225)는 다른 부분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데, 소지부(225)는 검지부(222), 중지부(223), 약지부(224) 보다 손가락을 더 큰 비율로 노출시킨다.
소지부(225)는 오른손의 중절골(332)과 말절골(333)이 위치하는 부분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검지부(222), 중지부(223), 약지부(224)는 말절골(333)이 위치하는 부분의 일부만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른손 소지부(225)는 왼손 소지부(125)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오른손 소지(325)를 더 큰 비율로 노출시킨다.
오른손 소지부(225)는 오버래핑 그립, 인터로킹 그립 시에 왼손과 겹치게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주어지는 반면 그립 시에 정확한 위치에 놓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오른손 소지부(225)가 다른 손가락보다 큰 비율로 노출되면 손가락의 촉각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그립을 형성할 수 있다.
중지부(223), 약지부(224), 소지부(225)에서 손등과 이어진 면은 메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지부(223), 약지부(224), 소지부(225)에서 손바닥과 이어진 면은 가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지부(223), 약지부(224), 소지부(225)에서 손등과 이어진 면에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커버(22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커버(227)는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 커버(227)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땀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검지부(222)는 손등과 이어진 부분과 손바닥과 이어진 부분 모두 가죽으로 이루어진다.
중지부(223), 약지부(224)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226)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손바닥부(250)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226)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227)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그립 지지부(226)와 하부 그립 지지부(227)는 띠 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하나의 하부 그립 지지부(227)는 하나의 상부 그립 지지부(226)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부 그립 지지부(226)는 복수로 형성된다.
상부 그립 지지부(226)와 하부 그립 지지부(227)의 내부에는 두께를 갖는 쿠션재(430)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 그립 지지부(226)의 길이 방향은 중지(323)에서 소지(3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가락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그립 지지부(226) 는 오른손 장갑(200)에서 중지부(223)와 약지부(224)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그립 지지부(226)는 중절골(332)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중절골(332)의 길이방향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부 그립 지지부(227)는 중지(323)의 기절골(331)과 제3 중수골(313)이 연결된 부분에서 소지(325)의 기절골(331)과 제5 중수골(315)이 연결된 부분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그립 지지부(227)는 제2 회피 개구(252)와 손가락의 뿌리 사이에 위치한다.
오른손 장갑(200)의 하부 그립 지지부(227)는 왼손 장갑(100)의 하부 그립 지지부(127)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왼손 장갑(100)의 하부 그립 지지부(127)는 오른손 장갑(200)의 하부 그립 지지부(227)보다 소지부(225)측으로 더 치우쳐 배치된다.
한편, 손바닥부(250)는 손등부의 폭방향 양쪽 단부와 연결되어 손바닥을 감싸는 부분으로서, 손바닥부(250)에는 제2 회피 개구(2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피 개구(252)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제2 회피 개구(252)는 엄지(321)의 하부를 제외한 손바닥이 전체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손바닥의 2/3 이상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피 개구(252)는 오른손의 제2 중수골(312), 제3 중수골(313), 제4 중수골(314), 및 제5 중수골(315)이 위치하는 손바닥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피 개구(252)는 제1 중수골(311)이 위치하는 부분은 노출하지 않으며, 소지와 연결된 손바닥이 측면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피 개구(252)는 제1 회피 개구(152)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2 회피 개구(252)의 크기는 제1 회피 개구(152)의 크기의 2배 내지 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피 개구(252)는 손바닥에서 골프채와 맞닿으면 안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제2 회피 개구(252)가 형성된 부분의 손바닥이 골프채와 맞닿으면 오른손으로 골프채를 엎어 내리치게 되어 악성 후크 또는 땅을 타격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회피 개구(252)가 형성되면 잘못된 그립을 형성한 경우,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아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그립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피 개구(252)가 넓게 형성되면 퍼팅 시에 장갑을 벗지 않고도 거리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골프 채를 파지할 때, 왼손에는 장갑을 착용하고 오른손에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제2 회피 개구(252)를 형성하면 오른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바닥의 촉각을 잘 느낄 수 있다. 특히 오른손의 경우에는 왼손의 엄지 부분을 덮도록 파지하므로 왼손과 겹쳐지는 부분이 많은데, 제2 회피 개구(252)가 제1 회피 개구(152)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손바닥의 감각을 느끼면서 올바른 그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갑 세트(10)는 초보자부터 숙력된 사람까지 올바른 골프 그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스윙 중에도 그립이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골프 장갑 세트
100: 왼손 장갑
110, 210: 손등부
115, 215: 밴드
120, 220: 손가락부
121, 221: 엄지부
122, 222: 검지부
123, 223: 중지부
124, 224: 약지부
125, 225: 소지부
126, 226: 상부 그립 지지부
127, 227: 하부 그립 지지부
128, 228: 보강 패드
130, 230: 손목부
150, 250: 손바닥부
152: 제1 회피 개구
200: 오른손 장갑
252: 제2 회피 개구
321: 엄지
322: 검지
323: 중지
324: 약지
325: 소지
331: 기절골
332: 중절골
333: 말절골
311: 제1 중수골
312: 제2 중수골
313: 제3 중수골
314: 제4 중수골
315: 제5 중수골

Claims (7)

  1.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는 골프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부에는 제1 회피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회피 개구의 길이방향은 검지에서 소지측으로 갈수록 손목에 가까워지도록 손바닥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부는 엄지를 삽입하는 엄지부, 검지를 삽입하는 검지부, 중지를 삽입하는 중지부, 약지를 삽입하는 약지부, 소지를 삽입하는 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지부와 상기 약지부와 상기 소지부에만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그립 지지부는 상기 중지와 상기 약지와 상기 소지의 중절골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상기 약지의 기절골과 제4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에서 시작되어 상기 소지의 기절골과 제5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을 지나도록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제1 회피 개구는 상기 손바닥에서 상기 검지부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상기 손바닥에서 상기 약지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피 개구는 길이와 폭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되, 제2 중수골의 전방에서 제4 중수골의 후방까지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3. 삭제
  4. 삭제
  5. 왼손 장갑과 오른손 장갑을 포함하는 골프 장갑 세트에 있어서,
    상기 왼손 장갑에서 손 바닥을 감싸는 부분에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회피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른손 장갑에서 손 바닥을 감싸는 부분에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회피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피 개구는 상기 제1 회피 개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왼손 장갑과 상기 오른손 장갑은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는 엄지를 삽입하는 엄지부, 검지를 삽입하는 검지부, 중지를 삽입하는 중지부, 약지를 삽입하는 약지부, 소지를 삽입하는 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손 장갑의 소지부는 상기 왼손 장갑의 소지부보다 더 짧게 형성되되,
    상기 오른손 장갑과 상기 왼손 장갑의 손가락부에는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오른손 장갑과 상기 왼손 장갑의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른손 장갑의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부와 소지부에만 형성되며, 상기 왼손 장갑의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부와 소지부와 약지부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세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피 개구는 왼손의 제2 중수골의 전방, 제3 중수골, 제4 중수골의 후방이 위치하는 손바닥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회피 개구는 오른손의 제2 중수골, 제3 중수골, 제4 중수골, 및 제5 중수골이 위치하는 손바닥을 노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세트.
  7. 왼손 장갑과 오른손 장갑을 포함하는 골프 장갑 세트에 있어서,
    상기 왼손 장갑에서 손 바닥을 감싸는 부분에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회피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른손 장갑에서 손 바닥을 감싸는 부분에는 손바닥과 골프채가 맞닿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회피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피 개구는 상기 제1 회피 개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왼손 장갑과 상기 오른손 장갑은 손등을 감싸는 손등부와 손바닥을 감싸는 손바닥부,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부는 엄지를 삽입하는 엄지부, 검지를 삽입하는 검지부, 중지를 삽입하는 중지부, 약지를 삽입하는 약지부, 소지를 삽입하는 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손 장갑에서,
    상기 중지부와 상기 약지부와 상기 소지부에만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에서 소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가락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약지의 기절골과 제4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에서 시작되어 소지의 기절골과 제5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을 지나도록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오른손 장갑에서,
    상기 중지부와 상기 약지부에만 상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바닥부에는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에서 이격된 하부 그립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에서 소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손바닥과 가까워지도록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그립 지지부는 중지의 기절골과 제3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에서 시작되어 소지의 기절골과 제5 중수골이 연결된 부분까지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오른손 장갑의 하부 그립 지지부는 상기 왼손 장갑의 하부 그립 지지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왼손 장갑의 하부 그립 지지부는 상기 오른손 장갑의 하부 그립 지지부보다 소지부측으로 더 치우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장갑 세트.
KR1020180150277A 2018-11-29 2018-11-29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KR10211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77A KR102119884B1 (ko) 2018-11-29 2018-11-29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PCT/KR2019/012445 WO2020111480A1 (ko) 2018-11-29 2019-09-25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77A KR102119884B1 (ko) 2018-11-29 2018-11-29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884B1 true KR102119884B1 (ko) 2020-06-05

Family

ID=7085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277A KR102119884B1 (ko) 2018-11-29 2018-11-29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9884B1 (ko)
WO (1) WO20201114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585A (ko) 2022-08-08 2024-02-15 임창선 마감 처리 구조의 오른손 골프 장갑
KR20240020571A (ko) 2022-08-08 2024-02-15 임창선 오른 손등 보호용 골프 장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073A (ja) * 1992-07-22 1994-02-15 Kazutomi Unno 利き腕用ゴルフ手袋
JP3060202U (ja) * 1998-10-30 1999-08-17 湘榛 李 ゴルフグラブ
JP2015164479A (ja) * 2014-03-03 2015-09-17 信一 小屋野 スポーツ用手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828A (en) * 1998-07-02 2000-04-25 Bali Leathers, Inc. Quiet adjustable closure for golf gloves, other sport gloves, garments and containers
KR20070054074A (ko) * 2006-04-10 2007-05-28 정영훈 골프용 장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073A (ja) * 1992-07-22 1994-02-15 Kazutomi Unno 利き腕用ゴルフ手袋
JP3060202U (ja) * 1998-10-30 1999-08-17 湘榛 李 ゴルフグラブ
JP2015164479A (ja) * 2014-03-03 2015-09-17 信一 小屋野 スポーツ用手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585A (ko) 2022-08-08 2024-02-15 임창선 마감 처리 구조의 오른손 골프 장갑
KR20240020571A (ko) 2022-08-08 2024-02-15 임창선 오른 손등 보호용 골프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480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443A (en) Exposed palm golf glove for covering selected fingers of a golfer
US3255462A (en) Golf glove
US10588363B2 (en) Gloves with a cut out portion and methods to manufacture gloves with a cut out portion
KR102119884B1 (ko) 골프 장갑 및 골프 장갑 세트
JP3195549U (ja) ボールグローブ
JP5276109B2 (ja) 手袋及びその付属品
KR100686319B1 (ko) 그립 고정용 밴드가 부착된 왼손용 골프장갑
KR101030131B1 (ko) 손목 고정 기능이 부가된 골프용 장갑
EP1516651A1 (en) Golf gloves
KR20140051022A (ko) 콕킹용 골프장갑
US20150314189A1 (en) Fitted wrist protective glove
KR101255543B1 (ko) 스포츠용 장갑
KR20150003404U (ko) 망사 골프 장갑
KR100865734B1 (ko) 골프용 손바닥 패드
KR20110000214U (ko) 골프용 손가락 밴드
KR102028672B1 (ko) 골프장갑
KR102494516B1 (ko) 다기능 장갑
JP3116418U (ja) スポーツ用手袋
JP2022038398A (ja) 遊技用手袋
KR102119883B1 (ko) 골프 장갑
KR101302080B1 (ko) 골프용 장타 골무
JP6713444B2 (ja) 手のひら部分装着用カバー
KR20190009610A (ko) 격투기용 장갑 및 너클
KR200358065Y1 (ko) 무술용 손 보호장갑
KR20230171257A (ko) 방아쇠 수지 질환 방지용 골프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