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734B1 - 골프용 손바닥 패드 - Google Patents

골프용 손바닥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734B1
KR100865734B1 KR1020070039854A KR20070039854A KR100865734B1 KR 100865734 B1 KR100865734 B1 KR 100865734B1 KR 1020070039854 A KR1020070039854 A KR 1020070039854A KR 20070039854 A KR20070039854 A KR 20070039854A KR 100865734 B1 KR100865734 B1 KR 10086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golf
finger
pad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세인트 죤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빈센트 세인트 죤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센트 세인트 죤 토마스 filed Critical 빈센트 세인트 죤 토마스
Priority to KR102007003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접하는 손바닥 부분에 대어지는 가요성 몸체와, 이 몸체의 상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손가락 끼움공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지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몸체의 일측에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를 잡을 때, 이 몸체의 주름 형성을 방지하는 주름방지 트임이 형성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사용하게 되면, 골프 클럽의 손잡이를 쥘 때 마찰과 충격으로부터 손바닥을 보호하며, 밀착감을 증대시켜 정확한 히트가 이루어지게 돕는 효과가 있다.
손가락 끼움공, 주름방지 트임

Description

골프용 손바닥 패드{plam pad in gol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을 A - A´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패드
10 : 몸체
20 : 손가락 끼움공
21 : 박음질
30 : 주름방지 트임
40 : 측면끼움공
100 : 장갑
200 : 골프 클럽의 손잡이
본 발명은 손바닥에 대어지는 패드(pa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클럽(club)의 손잡이를 쥐는 손바닥에 대어져 손바닥을 보호하면서, 밀착감을 향상시키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와 관련된다.
골프의 스윙(swing)은 골프 클럽의 손잡이 부분이 사용자의 손아귀에 쥐어져 허리와 어깨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이 골프 클럽의 헤드(head)로 지면에 놓인 볼을 치게 되는데,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의 정확한 비거리와 방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윙 동작이 자연스러워야 하며, 특히 정확한 히트를 위해서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를 쥔 손의 모양 및 세기(이하, ‘그립’(grip) 또는 ‘그립핑’(gripping)이라 한다)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스윙은 하나의 흐름 속에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톱스윙(top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팔로스루(follow through) 및 피니시(finish)로 이어지는데, 볼을 정확하고 멀리 보내기 위해서는 다운스윙과 팔로스루 사이에 이루어지는 임팩트(impact)와 팔로스루 동작이 정확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스윙 동작에 있어 그립핑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게 되면, 팔과 어깨 근육이 경직되어 부드러운 스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더하여 골프 클럽의 헤드의 속도가 떨어지게 되어 볼의 비거리와 방향에 좋지 아니한 결과가 초래된다.
한편, 그립핑에 너무 약한 힘을 주면, 스윙시 골프 클럽의 무게에 의하여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손아귀 사이에 틈새가 생겨 골프 클럽이 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아귀에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의 마찰로 물집이 발생될 수도 수 있다.
결국, 골프에 있어서 그립핑은 볼의 비거리와 방향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골프 클럽이 놀지 않되 과도하지 않은 적당한 힘이 들어가면서 동시에 골프 클럽과 손아귀 사이에 틈새가 없이 견고히 밀착되어야 바람직한 그립핑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윙 동작에 있어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할 때, 왼손은 골프 클럽의 끝 부분을 잡게 되어 스윙동작에 많은 힘이 들어가는 부분이다.
특히, 왼손바닥의 손날 부근의 둔턱 부분과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과 연결되는 손바닥의 상단부분은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직접 접촉되면서 스윙시 골프 클럽이 지지되면서, 임팩트시에는 충격이 흡수되는 부분이다. 더하여, 각 스윙에서 골프 클럽이 원심력에 의하여 골프 클럽의 손잡이가 조금씩 밀려 전술된 손바닥의 손날부분에는 마찰이 잦게 된다.
이렇듯, 골프 클럽을 쥐는 데 있어서, 정확한 히팅을 위하여 손바닥의 감각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면서도, 손바닥은 전해지는 충격과 마찰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소재와 기능을 갖는 골프용 장갑이 이미 실시되고 있으며, 특허공개 제10-2005-017392호의 ‘장갑의 중앙부분에 삽입되는 골프 장갑용 삽입 장치’에는 전체적으로‘부메랑’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갑에 삽입되는 것을 주요한 구성으로 하여, 비거리 향상의 효과만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등 전체를 감싸는 구성이 공통되어 오버래핑(overlapping), 인터로킹(interlocking)의 그립(grip) 방법에서 오른손과 왼손의 밀착감이 떨어지고, 특히 전술된 바에 따라 손날 부분이 마찰로 헤지는 경우 손바닥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바로 교체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성향에 따라 밀착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얇은 골프용 장갑을 선호하는 경우 손바닥의 충격 및 마찰로부터 손바닥의 보호가 미흡하다.
더하여, 골프용 장갑과 골프 클럽의 손잡이가 밀착됨으로써 오히려 장갑의 내피와 손바닥 피부가 땀 등으로 인하여 반복적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이러한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손바닥에 물집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장갑과 같이 사용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을 충격, 마찰로부터 보호하며, 밀착감을 향상시켜 정확한 히트와 비거리를 늘리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와 관련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접하는 손바닥 부분에 대어지는 가요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손가락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더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를 잡을 때, 주름의 형성을 방지하는 주름방지 트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끼움공의 길이 방향 끝단에는 상기 손가락 끼움공의 찢김이 방지되도록 마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몸체는 오목하게 들어간 손바닥의 형상에 따라 손바닥 중앙부분과 손날부분이 완만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몸체에는 엄지가 삽입되는 측면끼움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손가락 끼움공은 일자형, ‘x’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4은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을 A - A´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골프 클럽의 손잡이 끝부분을 쥐는 왼손바닥에 대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대칭적으로 오른손바닥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는 각각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을 의미한다.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한 도면부호는 일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인 골프용 손바닥 패드(1)의 일 실시예에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와 접하는 손바닥 부분에 대어지는 얇은 판형의 가요성(可撓性)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가 각각 삽입되는 손가락 끼움공(20)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재질은 손바닥에 대어져 손을 쥐었을 때 자연스럽게 손바닥과 밀착되면서 손을 쥐었을 때 손바닥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손을 폈을 때에는 자연스럽게 회복되도록 탄력성이 요구된다. 또한, 손바닥에 직접 닿게 되므로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인장에 의하여 쉽게 찢어지지 아니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다. 이때, 민감한 피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손바닥이 닿는 몸체(10)의 일면에는 탄력있게 제작된 천연직물(도 시 생략)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은 상기 몸체(10)의 상단부분에 형성되되, 각 손가락이 끼워지면 손가락의 둘레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몸체(10)는 네 손가락의 연결부분부터 손바닥 중앙과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까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손가락에만 끼워져 고정되므로,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쥐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손바닥과 상기 몸체(10) 사이가 자연스럽게 벌어져 통풍이 가능하여 손바닥에 습기가 차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수는 실시자의 임의의 선택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지, 중지에 해당되는 손가락 끼움공(20)만 형성되는 경우 나머지 약지와 소지에는 손바닥과 연결되는 첫째 마디 부근까지 상기 몸체(10)가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은 일자형, ‘x’형 및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이 일자형인 경우에는 손가락이 굵지 아니한 여성, 아동 등의 사용자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를 손가락에 고정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이 ‘x’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에는 손가락이 굵은 사용자에게 적합하여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착용 및 탈의가 용이한 이점 이 있다.
더하여,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손가락 중 굵기가 작은 소지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검지, 중지 및 약지은 선택적으로 ‘x’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잡을 때 주름의 형성을 방지하는 주름방지 트임(30)이 형성된다.
손바닥이 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손바닥 패드(1)가 착용되므로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잡을 때 손바닥을 오무리면 손바닥의 중앙과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이 형성되면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와의 밀착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손바닥 중앙부분에서 아래 방향으로 또는 손날 방향의 끝 부분으로 주름방지 트임(30)이 형성되어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쥐었을 때 상기 몸체(10)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 주름방지 트임(30)의 형상 및 위치는 실시자의 임의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몸체(10)는 사용자의 손바닥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손가락에 끼워질 때 가로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착용되어,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쥘 때는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래의 크기로 회복되면서 상기 주름방지 트임(30)과 함께 상기 몸체(10)의 주름의 형성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길이 방향 끝단에는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찢김을 방지하는 마감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은 잦은 착용 및 탈의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인장되므로 길이방향의 양 끝단이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양 끝단에는 실을 이용하여 재봉되어 마감부(21)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21)는 박음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질 때 손가락의 원형 형상에 따라 상기 손가락 끼움공(20)의 가로방향 상,하부분이 늘어나면서 손가락에 밀착되고, 이 박음질된 부분은 손가락과 손가락의 사이에 위치되어 착용시 불편함을 느낄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주먹을 살짝 쥐었을 때의 손바닥의 형상에 따라 오목하게 들어가는 손바닥 중앙부분과 골프 클럽을 쥐는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이 다른 외곽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검지와 손바닥이 연결되는 부분에 걸치면서 손바닥의 중앙부분을 지나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으로 이 손잡이(200)의 끝부분이 지지되도록 잡는 경우에 손바닥의 중앙부분은 직접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와 닿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몸체(10)의 중앙부분이 두껍게 형성되어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와 손바닥의 중앙부분이 밀착시킴으로써 임팩트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손바 닥 전체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은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와의 잦은 마찰로 인한 쓸림과 물집 및 임팩트시의 충격으로 인하여 피하조직에 멍이 주로 발생되는 부분이므로, 이 둔턱부분을 충분히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가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을 지지하는 해당 부분은 타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에서 네 손가락과 연결되는 부분은 네 손가락과 함께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에 밀착되도록 얇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밀착감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몸체(10)의 중앙부분(11)과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은 스윙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바닥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용 손바닥 패드(1)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골프용 손바닥 패드(1)가 착용된 상태에서 장갑(100)이 더 착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되는 장갑(100)은 밀착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얇으면서 질긴 가죽 소재의 장갑(100) 또는 가격 면에서 저렴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갑(100)은 기존에 공지된 장갑(100)이 사용되므로 장갑(100)에 관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된 골프용 손바닥 패드(1)를 장착한 후에 장갑(100)을 더 착용하는 경우에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1)가 손바닥과 밀착되어 밀착감을 증대시키며 손바닥을 보호함과 동시에 장갑(100)의 재질 또는 부가되는 형상에 따른 골프 클럽의 손잡 이(200)와의 마찰력의 증대의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장갑(100)의 내측면과 골프용 손바닥 패드(1)는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장갑(100)과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가 밀착됨으로써 장갑(100)의 내피와 손바닥이 미끄러지는 경우라도 손바닥에 밀착된 탄력성있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1)가 손바닥을 장갑(100) 내피와의 마찰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장갑(100)의 크기가 사용자의 손에 정확히 맞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골프용 손바닥 패드(1)는 장갑(100)과 별도로 손가락에 끼워져 손바닥 위에 놓이므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착용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골프용 손바닥 패드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몸체(10)에는 엄지가 삽입되는 측면끼움공(4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0)는 엄지와 연결되는 손바닥 부분을 포함하여, 엄지와 검지의 연결부분부터 손날 부근의 둔턱부분을 포함하는 손바닥 전체를 덮는 형상이 된다.
상기 몸체(10)는 엄지와 검지의 연결부분부터 손바닥을 덮게 되므로,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200)를 양 손의 모든 손가락으로 쥐는 텐 핑거 그립(ten finger grip)를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할 것이다.
한편, 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용 손잡이(200) 패드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장갑(1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용 손잡이 패드에 따르면, 골프 클럽의 손잡이를 쥘 때 마찰과 충격으로부터 손바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가락과 손바닥의 연결부분에 대어져 물집의 발생과 쓸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착감을 증대시켜 정확한 히트가 이루어지게 한다.

Claims (6)

  1.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접하는 손바닥 부분에 대어지는 가요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손가락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를 잡을 때, 주름의 형성을 방지하는 주름방지 트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
  2.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접하는 손바닥 부분에 대어지는 가요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손가락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끼움공의 길이 방향 끝단에는 상기 손가락 끼움공의 찢김이 방지되도록 마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
  3.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접하는 손바닥 부분에 대어지는 가요성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손가락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오목하게 들어간 손바닥의 형상에 따라 손바닥 중앙부분과 손날부분이 완만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엄지가 삽입되는 측면끼움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움공은 일자형, ‘x’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움공은 일자형, ‘x’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손바닥 패드.
KR1020070039854A 2007-04-24 2007-04-24 골프용 손바닥 패드 KR10086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854A KR100865734B1 (ko) 2007-04-24 2007-04-24 골프용 손바닥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854A KR100865734B1 (ko) 2007-04-24 2007-04-24 골프용 손바닥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734B1 true KR100865734B1 (ko) 2008-10-28

Family

ID=4017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854A KR100865734B1 (ko) 2007-04-24 2007-04-24 골프용 손바닥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7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11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KR101845980B1 (ko) * 2017-06-27 2018-04-0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KR102510252B1 (ko) * 2022-11-03 2023-03-14 송석현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골프 장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7919A (ja) * 1995-12-15 1997-06-17 M C C:Kk インナー手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7919A (ja) * 1995-12-15 1997-06-17 M C C:Kk インナー手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11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KR101845980B1 (ko) * 2017-06-27 2018-04-0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KR102510252B1 (ko) * 2022-11-03 2023-03-14 송석현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골프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5462A (en) Golf glove
JP3990911B2 (ja) 野球用手袋
WO2009142615A1 (en) Correct grip sports glove
TWM306886U (en) Glove for baseball or softball
US5140709A (en) Golf glove
KR100865734B1 (ko) 골프용 손바닥 패드
KR101030131B1 (ko) 손목 고정 기능이 부가된 골프용 장갑
US5920913A (en) Combination baseball cap and fielder's glove
KR200403073Y1 (ko) 골프장갑
JP2005087725A (ja) ゴルフグローブ
CN201058223Y (zh) 一种带护臂的搏击手套
WO2019053493A1 (en) GOLF GLOVE COMPRISING AIR FLOW VENTS
US20100125924A1 (en) Finger Protector
JP2022038398A (ja) 遊技用手袋
KR200497449Y1 (ko) 골프장갑
JP3116418U (ja) スポーツ用手袋
KR102564390B1 (ko) 골프장갑
CN210229097U (zh) 一种少儿排球护臂
KR200427974Y1 (ko) 힘과 스피드 향상을 위한 기능성 골프 장갑.
JP5590261B1 (ja) スポーツ用手袋
CN211752382U (zh) 一种篮球训练用保暖手套
KR100495613B1 (ko) 격투용 손 보호대
KR200407674Y1 (ko) 격투용 손 보호대
JP3098802U (ja) バッティング練習用グローブ
CN207532737U (zh) 一种可防脱落的体育教学用拳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