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065Y1 - 무술용 손 보호장갑 - Google Patents

무술용 손 보호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065Y1
KR200358065Y1 KR20-2004-0004195U KR20040004195U KR200358065Y1 KR 200358065 Y1 KR200358065 Y1 KR 200358065Y1 KR 20040004195 U KR20040004195 U KR 20040004195U KR 200358065 Y1 KR200358065 Y1 KR 200358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glove
finger
palm
prot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조
Original Assignee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4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luid-filled, e.g. air-fil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술용 손 보호장갑에 관한 것으로, 손의 다섯 손가락이 각기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며, 엄지의 경우에는 두번째마디, 인지에서부터 소지(새끼손가락)의 경우에는 두번째마디와 세번째마디들은 완전히 노출되고 손등과 연결되어 있는 각 첫번째 마디부분만을 감쌀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각 손가락보호부와; 엄지를 제외한 인지에서부터 소지(새끼손가락)의 각 손가락과 손등을 연결시키고 있는 각 손가락 뼈마디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등부위 선단측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정권보호부와; 상기 정권보호부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손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등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손등보호부와; 손바닥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장갑의 손바닥부위에 구멍뚫린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손바닥노출부와; 손날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날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손날보호부;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무술용 손 보호장갑{Gloves for military arts}
본 고안은 손을 사용하여 상대방이나 물체를 가격하는 태권도와 같은 운동, 상대방을 붙잡고 넘기는 유도와 같은 운동, 목검이나 죽도 등의 도구를 손에 들고 운동을 하는 검도 등등의 운동을 연습할 때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아니라 도구를 맨손으로 붙잡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각종 운동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무술용 손 보호장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태권도는 발차기 기술과 함께 손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이며, 유도의 경우에는 상대방을 붙잡고 넘겨야 하기 때문에 발 보다는 손을 더 많이 사용하는 운동이며, 검도의 경우에는 목검이나 죽도를 손에 들고 하는 운동이므로 손을 많이 사용하게 되며, 그외에도 킥복싱, 공수도, 쿵후 등의 운동에서도 손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이다.
위와 같은 각종 운동을 연습함에 있어서는 손가락 등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인 맨손으로 하게 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데, 이렇게 맨손으로 연습을 할 때에는 손을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목을 다치게 되는 사례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권도에서 대련할 때 특히 초급자의 경우에는 상대방의 발차기 공격을 맨손으로 막는 동작시 훈련량 또는 경험부족으로 인하여 자칫 손목이나 손가락을 다치게 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갑을 끼고 운동을 하게 될 경우에는 맨손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손이 다치게 되는 사례는 어느 정도 피할 수는 있겠으나, 손에 착용된 장갑이 손의 감촉을 떨어뜨리고 또 손가락의 움직임을 둔화시키게 되어 운동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손이 다칠 수 있다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맨손으로 각종 운동을 연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종 격투기 운동을 연습할 때 손이 다치는 것을 예방하고, 나아가 맨손으로 운동을 연습하는 느낌을 가지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을 보호하면서 손의 힘을 증가시켜 운동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갑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손에 착용하는 장갑에 있어서,
손의 다섯 손가락이 각기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며, 엄지의 경우에는 두번째마디, 인지에서부터 소지(새끼손가락)의 경우에는 두번째마디와 세번째마디들은 완전히 노출되고 손등과 연결되어 있는 각 첫번째 마디부분만을 감쌀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각 손가락보호부와;
엄지를 제외한 인지에서부터 소지(새끼손가락)의 각 손가락과 손등을 연결시키고 있는 각 손가락 뼈마디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등부위 선단측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정권보호부와;
상기 정권보호부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손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등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손등보호부와;
손바닥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장갑의 손바닥부위에 구멍뚫린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손바닥노출부와;
손날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날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손날보호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장갑의 손목부위는 착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손목부위까지 연장되어 손목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정권보호부, 손등보호부, 손날보호부 각각은 장갑 자체를 착용자의 손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리에스텔, 스폰지, 고무, EVA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정권보호부, 손등보호부, 손날보호부 각각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에어백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갑 손등부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갑 손바닥부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고안의 장갑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먹을 쥔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갑 2a∼2e : 손가락보호부
3 : 정권보호부 4 : 손등보호부
5 : 손바닥노출부 6 : 손날보호부
7 : 손목보호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갑 손등부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장갑 손바닥부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A)(B)는 본 고안의 장갑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먹을 쥔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장갑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장갑(1)의 각 손가락부분은 착용자의 엄지, 인지, 중지, 약지 및 소지(새끼손가락) 등 다섯손가락들 중 엄지의 경우에는 손톱이 있는 두번째마디는 통과하여 노출되고, 또 인지에서부터 소지까지의 각 손가락의 경우에는 각기 세번째 및 두번째 마디부분은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손등과 연결되는 각 손가락의 첫번째 마디부분만을 감쌀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된 각 손가락보호부(2a,2b,2c,2d,2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갑(1)의 손등부위에는 상기한 각 손가락보호부들 중 인지 내지 소지가 관통하는 네개의 손가락보호부(2b∼2e)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등과 인지에서부터 소지 각각을 연결시켜주는 네개의 각 뼈마디 전부를 일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정권보호부(3)와, 착용자의 손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된 손등보호부(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갑(1)의 손바닥부위에는 착용자의 손바닥을 노출시켜주기 위한 손바닥노출부(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손바닥노출부(5)는 장갑(1)의 손바닥 중앙부위에서부터 착용자의 손목에 인접한 부분쪽으로 치우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갑(1)의 손날부위에도 착용자의 손날(수도)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된 손날보호부(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갑(1)의 손목부위에 형성되는 손목보호부(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의 손목보호부(7)는 착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손목을 충분히 감싸줄 수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갑(1)은 기존과 같이 면이나 스판텍스 등의 소재로 제조되거나 또는 천연가죽 및 인조가죽 등의 소재로 제조되는 반면에, 장갑의 외부 즉, 손등부위와 손날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 형성되는 각 보호부는 착용자의 손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소재로서, 포리에스텔, 스폰지, 고무, EVA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백 등의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를 선택하여 각 부위에 재봉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강력접착제로 접착하여 부착시키는데, 상기와 같은 소재로 부착된 정권보호부(3), 손등보호부(4), 손날보호부(6)는 완충기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손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공격을 방어할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작용으로 쌍방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장갑(1)을 착용하고 샌드백을 두드릴 때, 벽돌이나 송판 등을 격파할 때 손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도시는 착용자가 장갑(1)을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각 손가락을 펼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장갑(1)을 착용한 손의 각 손가락은 손등과 연결된 첫번째 마디부분만 각 손가락보호부(2a∼2e)에 끼워져 있고 두번째 및 세번째 마디부분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이므로 착용자는 각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물건을 잡을 때에도 노출된 각 손가락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착용자의 손바닥은 장갑(1)의 손바닥부위에 형성된 손바닥노출부(5)에 의해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착용자가 장갑(1)을 낀 손으로 물건을 붙잡을 때 각 손가락보호부(2a∼2e)에서 노출된 각 손가락과 손바닥노출부(5)에 의해 노출된 손바닥이 물건과 접촉하게 되므로서 착용자는 장갑(1)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마치 맨손을 사용하여 물건을 붙잡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검도운동을 연습할 때 장갑(1)을 낀 손으로 목검이나 죽도를 들게 되더라도 그 목검이나 죽도의 손잡이부분이 손바닥노출부(5)의 해 노출된 손바닥에 접촉하게 되고 또 각 손가락보호부(2a∼2e)에서 노출된 각 손가락으로 움켜쥘 수 있게 되어 착용자는 마치 맨손으로 검도운동을 연습하게 되는 느낌을 가지게 되어 그 목검이나 죽도를 올바르게 들고 운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이와 같이 장갑(1)을 낀 손은 장갑(1) 자체의 탄력에 의해 목검이나 죽도의 손잡이를 꽉 쥘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착용자는 목검이나 죽도를 보다 견고하게 쥘 수 있게 되어 검도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도시는 장갑(1)을 낀 착용자가 주먹을 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착용자가 주먹을 쥐게 되면 인지에서부터 소지까지의 각 첫번째 마디부분과 손등을 연결시키고 있는 각 뼈마디가 정권보호부(3)에 의하여 보호된 상태가 되며, 또한 주먹을 쥔 손가락들은 각 손가락보호부(2a∼2e)에 탄력에 의하여 주먹을 쥔 각 손가락을 고정시키게 되므로서 착용자가 주먹을 쥔 손으로 샌드백을 가격할 때 정권보호부(3)에 보호된 인지 내지 소지의 각 뼈마디 즉, 정권으로 강하게 샌드백 등을 가격할 수 있게 되어 강도 높은 연습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권으로의 가격시 손가락보호부(2a∼2e)가 엄지를 비롯하여 인지 내지 소지의 각 손가락이 어긋나지 않고 주먹을 쥔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킴과 동시 각 손가락의 첫번째 마디부분을 보호하게 되어 착용자는 주먹이 다치는 우려없이 연습량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갑(1)을 낀 착용자의 손날(수도)부위는 손날보호부(6)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으므로 착용자는 손날(수도)을 사용하여 벽돌이나 송판 등을 격파할 때손날이 다치는 우려를 떨칠 수 있으며, 또한 손날치기로 상대방을 공격할 때 손날보호부(6)가 완충작용을 하여 공격자는 물론이고 방어자 서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서 태권도와 같은 격투기운동을 할 때 착용자의 손을 보호함과 동시 상대방에게 큰 충격을 주지않게 되므로서 정권치기 및 손날치기 등을 보다 정확하고 강도있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갑(1)의 손목보호부(7)는 착용자의 손목까지 연장되어 그 손목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태권도, 유도 등의 운동을 연습할 때 손목에 힘을 실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유도와 같이 손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의 경우에는 손을 보호하면서 힘을 증강시킬 수 있어 각종 운동연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장갑에 형성된 각 손가락보호부들은 착용자의 각 손가락들이 통과하여 첫번째 마디부분만을 감싸고 있게 하므로서 착용자는 각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손바닥노출부는 착용자의 손바닥이 노출되게 하여 물건을 붙잡을 때 그 물건이 손바닥에 직접 접촉되게 하면서 각 손가락보호부에서 노출된 각 손가락으로 움켜쥘 수 있게 하여 마치 맨손으로 물건을 붙잡아주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장갑의 손등부위 및 손날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된 정권보호부와 손등보호부 및 손날보호부는 완충작용으로 공격 및 방어시 충격을 완화시켜 손을 보호함과 동시 상대방에게 충격을 덜 주게되게 되는 효과와 함께 손의 힘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태권도, 유도, 검도 등과 같이 손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연습할 때 손에 힘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 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각종 운동을 보다 강도있고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손에 착용하는 장갑에 있어서,
    손의 다섯 손가락이 각기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며, 엄지의 경우에는 두번째마디, 인지에서부터 소지(새끼손가락)의 경우에는 두번째마디와 세번째마디들은 완전히 노출되고 손등과 연결되어 있는 각 첫번째 마디부분만을 감쌀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각 손가락보호부와;
    엄지를 제외한 인지에서부터 소지(새끼손가락)의 각 손가락과 손등을 연결시키고 있는 각 손가락 뼈마디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등부위 선단측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정권보호부와;
    상기 정권보호부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손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등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손등보호부와;
    손바닥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장갑의 손바닥부위에 구멍뚫린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손바닥노출부와;
    손날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의 손날부위에 덧대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손날보호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용 손 보호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착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손목부위까지 연장된 손목보호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용 손 보호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권보호부, 손등보호부, 손날보호부 각각은 장갑 자체를 착용자의 손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리에스텔, 스폰지, 고무, EVA 및 공기층이 형성된 에어백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용 손 보호장갑.
KR20-2004-0004195U 2004-02-18 2004-02-18 무술용 손 보호장갑 KR200358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95U KR200358065Y1 (ko) 2004-02-18 2004-02-18 무술용 손 보호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95U KR200358065Y1 (ko) 2004-02-18 2004-02-18 무술용 손 보호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065Y1 true KR200358065Y1 (ko) 2004-08-05

Family

ID=4934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95U KR200358065Y1 (ko) 2004-02-18 2004-02-18 무술용 손 보호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0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73B1 (ko) 2007-04-02 2008-07-01 이해석 휴대형 정권단련구
KR102269222B1 (ko) * 2020-08-27 2021-06-28 주식회사 유니월드 전투장갑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73B1 (ko) 2007-04-02 2008-07-01 이해석 휴대형 정권단련구
KR102269222B1 (ko) * 2020-08-27 2021-06-28 주식회사 유니월드 전투장갑제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172B2 (en) Fingertip flexor glove
US3855633A (en) Karate glove
US5781928A (en) Multi-purpose hand protector
US8287437B1 (en) Martial art training pad
US7171696B2 (en) Athletic clothing with sting reduction padding
US20090113592A1 (en) Shock absorber for sports
US20150059043A1 (en) Disposable Fingerless Exercise Glove
US10369400B2 (en) Weighted throwing sleeve
EP1638654B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a fight
WO2008057125A1 (en) Protective article
US20120023632A1 (en) Hand protecting device
US20150099611A1 (en) Training accessories especially for boxing
WO2019148077A1 (en) High impact-resistive protective glove
US20150141206A1 (en) Athletic glove with hand-exercising features
US20110173733A1 (en) Hand wrist and forearm protection glove
US20090193560A1 (en) Hand protecting device
US6588019B1 (en) Impact structure for the absorption of impact forces to the body
KR200358065Y1 (ko) 무술용 손 보호장갑
JP2011518593A (ja) 保護用具
US11813515B2 (en) Training glove
KR200447163Y1 (ko) 손보호용장갑과 팔목보호대가 일체로 형성된 검도대련용 보호구
WO2006068381A1 (en)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100495613B1 (ko) 격투용 손 보호대
KR100842173B1 (ko) 휴대형 정권단련구
KR100714405B1 (ko) 격투용 손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