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595B1 - Safety barrier - Google Patents
Safety b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9595B1 KR102119595B1 KR1020180062706A KR20180062706A KR102119595B1 KR 102119595 B1 KR102119595 B1 KR 102119595B1 KR 1020180062706 A KR1020180062706 A KR 1020180062706A KR 20180062706 A KR20180062706 A KR 20180062706A KR 102119595 B1 KR102119595 B1 KR 102119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wall
- steel plate
- space
- present
- road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5—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3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engaging, collapsing or permanently deforming when deflected or displaced, e.g. by vehicle impact
- E01F9/63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engaging, collapsing or permanently deforming when deflected or displaced, e.g. by vehicle impact by shearing or tearing, e.g. having weakened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은, 도로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상기 도로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강판부; 및 상기 강판부를 관통하되, 상단부가 상기 몸체에 매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에 매립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도로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이외의 상기 앵커부의 중단부가 위치하기 위한 제1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공간 내에서의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을 동반하면서 이동되어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이후, 상기 앵커부를 파단시켜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추가 이동을 구현토록 하여, 상기 충격이 소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stalled on a road structure; A steel pl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road structure; And an anchor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steel plate portion,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is buried in the body and a lower end portion is buried in the road structure, where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body and the road structure. A first space for forming is formed, an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body is moved along with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art in the first space so that the shock is absorbed, and the steel plate part is the middle part After bending deformation, the anchor portion may be broken to further implement movement of the body due to the impact, and the impact may be dissip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방호벽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wall that is installed on a roa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wall that can promote safety.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특히 고속주행이 이루어지는 고속도로, 차량 전용 도로 등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진행 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도로 밖, 반대 차선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탑승자의 상해 또는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 등을 위해 방호벽이 설치된다.In general, the purpose of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vehicle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on roads in which vehicles travel, especially highways where high-speed driving is performed, and dedicated roads for vehicles, vehicles that have misdirected in the direction of departure are out of the road, opposite lanes, etc. A protective wall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vehicle from being carried out, or for minimizing damage to the vehicle or injury to the occupant.
그리고 종래의 방호벽은 일반적으로 보강근이 내설된 콘트리트로 제작되어 외부의 강력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rotective walls are generally made of concrete with reinforcing bars, and are often manufactured to have high strength to withstand strong external impacts.
이는 강력한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반대 방향의 주행 차량들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This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protect vehicles trave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event of a strong impact.
다만,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종래의 방호벽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차량에 반작용으로 가해지는 충격량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due to these features, the conventional protection wall ha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by reaction to a directly colliding vehicle is very large.
이는 운전자에게 매우 큰 상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운전자가 사망하는 경우도 있어 충돌 차량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It is pointed out that this not only causes a very serious injury to the driver, but also sometimes causes the driver to die, so that protection against a crash vehicle is not achieved.
또한, 방호벽에 충돌하는 차량에 의해 순간적으로 높은 하중이 상기 방호벽에 전달되면, 콘크리트 등의 파편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편은 반대측 노선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게도 상해를 입힐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n instantaneous high load is transmitted to the protective wall by a vehicle colliding with the protective wall, debris such as concrete is generated, and such fragments have a problem that may cause injury to a vehicle driver traveling on the opposite route.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양 방향의 주행 차량이 서로 반대 측 노선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량에 의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충돌 차량에 의해 발생된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충돌 차량 및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riving vehicles in both directions of the road from invading each oth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ad, and at the same time, when a collision is caused by the vehicle,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by the collision vehicle is effectively distributed to damage the collision vehicle and the driver It is to provide a firewall to minimize the.
또한, 충돌 차량에 의한 콘크리트 등의 파편 발생을 최소화하여 반대측 노선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bris such as concrete by the collision vehicle to provide a protective wall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vehicle driver running on the opposite rou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은, 도로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상기 도로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강판부; 및 상기 강판부를 관통하되, 상단부가 상기 몸체에 매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에 매립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도로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이외의 상기 앵커부의 중단부가 위치하기 위한 제1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공간 내에서의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을 동반하면서 이동되어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이후, 상기 앵커부를 파단시켜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추가 이동을 구현토록 하여, 상기 충격이 소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stalled on a road structure; A steel pl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road structure; And an anchor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steel plate portion,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is buried in the body and a lower end portion is buried in the road structure, where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body and the road structure. A first space for forming is formed, an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body is moved along with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art in the first space so that the shock is absorbed, and the steel plate part is the middle part After bending deformation, the anchor portion may be broken to further implement movement of the body due to the impact, and the impact may be dissip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도로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강판부가 하단부에 배치되기 위한 제2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이동 시, 상기 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ace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road structure, the body has a second space to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plate portion, and the steel plate portion is subjected to the impact. When moving the body b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with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강판부는, 상기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기 제1 공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l plate portion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vers the first space before the impact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은, 상기 제1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의 하측면을 규정하며,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시, 상기 하단부에 의한 상기 도로구조물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파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pace to define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and when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art is prevented, damage to the road structure by the lower part is prevented.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amage preven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도로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ace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the steel plat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provided by the road structure, the movement of the body by the impact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강판부는, 상기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기 제1 공간의 하측면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l plate portion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before the impact is applie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is def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은,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면을 규정하며,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시, 상기 상단부에 의한 상기 몸체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파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pace to defin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pace, and when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ortion is deformed, the breakage of the body by the upper portion is prevented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amage preven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은, 상기 중단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구조물 및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성 과정에서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도로구조물 및 상기 몸체의 형성 후, 상기 도로구조물과 상기 몸체의 연결이 구현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round the middle portion so that the first spac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t least one of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after formation of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that allows the connection of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to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도로구조물 및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강도보다 작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less than the strength of at least one of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space of the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or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강판부는, 상기 앵커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을 규정하는 내면은, 상기 강판부에 의한 상기 앵커부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l plate portion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nchor portion passes, and an inner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breaking of the anchor portion by the steel plate por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의 상기 강판부는, 상기 앵커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강판부에 의한 파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l plate portion of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nchor portion penetrates, and the anchor portion has a diameter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o facilitate breaking by the steel plate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part.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에 의하면, 도로의 양 방향의 주행 차량이 서로 반대 측 노선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ehicles traveling in both directions of the road from invading each other on opposite side routes.
또한, 충돌 차량에 의해 발생된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충돌 차량 및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by the crash vehicle to minimize damage to the crash vehicle and the driver.
또한, 충격량을 분산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 등을 설치하는 타입의 방호벽에 비해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시공 난이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cost is lower than that of a type of protective wall in which a separate member or the like for dispersing the impact amount is install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low construction difficulty.
또한, 방호벽 자체의 파손 역시 최소화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damage to the protective wall itself is also minimized,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또한, 매일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벼운 차량의 충돌 또는 스침 현상에는 횡변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lateral displacement does not occur in a collision or grazing phenomenon of a light vehicle that frequently occurs every day, maintenance may be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종래의 방호벽에 있어서, 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종래의 방호벽에 있어서, 몸체에 내설된 보강근에 발생하는 내부에너지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종래의 방호벽 각각의 충돌 해석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방호벽 및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제공되는 강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제공되는 앵커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 23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for comparing kinetic energy changes occurring in concrete constituting the body in the protective wall and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hange in the internal energy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muscle built in the body in the protective wall and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llision analysis model of each of the protection wall and the conventional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computer simulation result of a conventional firewall and a firewa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and 2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teel plate portion provided on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nchor portion provided on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3;
2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3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and 2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and 3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and 36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6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and 4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6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7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nother component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change, delete, etc.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the respec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는 도로구조물(L) 상에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112)과, 상기 수용공간(1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앵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상기 몸체(110)는 도로구조물(L) 상의 양 방향 주행 차선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것으로 하였다.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하단부에 인접해서는 폭 증가량이 보다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기립 가능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근(111a, 111b)이 설치될 수 있다.And inside the
상기 수용공간(112)은 상기 몸체(110)와 상기 도로구조물(L)의 접촉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L)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상기 수용공간(1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이 상기 도로구조물(L)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앵커부(120)는 상기 수용공간(1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단부가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L)에 설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앵커부(120)는 상기 수용공간(112) 내에서 상기 몸체(110)의 변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110)에 차량의 충돌 등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변형됨에 따라 상기 몸체(110)가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nd th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120)는 차량의 충돌 시 변형되며 상기 몸체(110)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완충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10)와 상기 도로구조물(L)의 접촉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변위 발생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앵커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단일 탄성체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부재의 결합에 의한 복원 구조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앵커부(120)는 탄성을 가지는 보강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For example, a single elastic body may be applied, or a restoration structur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may be applie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수용공간(112)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내측에 상기 몸체(110)의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앵커부(120)가 설치되는 곳에 대응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종래의 방호벽에 있어서, 몸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종래의 방호벽에 있어서, 몸체에 내설된 보강근에 발생하는 내부에너지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hange in kinetic energy generated in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body in the protective wall and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hange of internal energy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body in the protective wall and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과 종래의 방호벽 각각의 충돌 해석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llision analysis model of each of the protection wall and the conventional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그래프 중 점선으로 나타난 (a)의 경우 종래의 방호벽의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며, 실선으로 나타난 (b)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의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graph shown in FIG. 4, (a) indicated by a dotted line represents kinetic energy generated in the concret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and (b) indicated by a solid line occurs in the concrete of the
도 4에 따른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는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초기 운동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소정 시간 이후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운동에너지가 보다 소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graph according to Figure 4, the
도 5 역시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나타난 (a)의 경우 종래의 방호벽의 보강근에 발생하는 내부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실선으로 나타난 (b)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의 보강근에 발생하는 내부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5 also shows a change in internal energy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bar of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in the case of (a)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in the case of (b) shown in solid line, the internal energy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bar of the
도 5에 따른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는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보강근(111a, 111b)의 내부에너지 변화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the graph according to FIG. 5, the
즉, 도 4 및 도 5의 그래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는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직접적인 충돌 차량에 의해 발생된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충돌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graphs of FIGS. 4 and 5, the
도 6 역시 마찬가지로 (a)의 경우 종래의 방호벽의 충돌 해석모델을 나타낸 것이며, (b)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의 충돌 해석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6 also shows the collision analysis model of the conventional protection wall in the case of (a), and the collision analysis model of the
이와 같은 충돌 해석모델은 38톤의 중량체가 80 km/h의 속도로, 15도 각도의 충돌각으로 방호벽에 충돌하는 것을 실험조건으로 하였다.In this collision analysis mode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that a 38-ton heavy body collides against a protective wall at a speed of 80 km/h and at a 15-degree angle.
그리고, 이하의 [표 1]은 해석 결과에 따른 부피손실률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the following [Table 1] shows the volume loss r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도 6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호벽은 36%의 부피손실률이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00)는 다소의 변형이 발생하였을 뿐 손실되는 부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6 and [Table 1],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has a volume loss rate of 36%, while the
여기서, 부피손실율이라 함은 1.2m 길이의 방호벽 부피를 기준으로 파손되어 상기 1.2m 길이의 방호벽에서 떨어져 나간 부피와의 비율을 의미한다.Here, the volume loss ratio refers to the ratio of the volume that is broken based on the 1.2m length of the protective wall volume and is separated from the 1.2m length of the protective wall.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20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와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나, 수용공간(212)이 몸체(210) 측이 아닌 도로구조물(L) 측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이와 같이 수용공간(212)이 도로구조물(L) 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앵커부(220)의 변형을 통해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Even when the receiving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12)은 상기 몸체(210)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L)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는 형태 외에도, 상기 몸체(2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제3 실시예][Third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30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와 마찬가지로 수용공간(312)이 몸체(310) 측에 형성된다는 점은 동일하나, 상기 도로구조물(L) 측에 보조수용공간(322)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상기 보조수용공간(322)은 상기 몸체(310) 또는 상기 도로구조물(L) 중 상기 수용공간(312)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변형에 따른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320)의 둘레에 여유 공간을 형성한다.The
즉, 상기 보조수용공간(322)은 상기 앵커부(320)의 변위 허용량을 증가시켜 충격 분산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상기 앵커부(320)가 보다 완만한 각도로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앵커부(320)에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제4 실시예][Example 4]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며, 도 13은 종래의 방호벽 및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11 and 1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and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of a firewall.
우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도로구조물(L) 상에 설치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와 상기 도로구조물(L)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베이스부(420)와,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를 관통하고 양 끝단이 각각 상기 몸체(410)와 상기 도로구조물(L)에 매입 정착되는 앵커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상기 몸체(410)는 도로구조물(L) 상의 양 방향 주행 차선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것으로 하였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4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하단부에 인접해서는 폭 증가량이 보다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기립 가능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근(411a, 411b)이 설치될 수 있다.And, inside the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410)와 상기 도로구조물(L)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410)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즉,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상면은 상기 몸체(410)의 하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41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는 상기 몸체(4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는 상기 몸체(410)의 하면과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4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과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일 수도 있다.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410)를 지지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하부로 갈수록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폭이 증가할 경우에는 횡변위가 적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폭이 감소할 경우에는 횡변위가 커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idth of the
상기 앵커부(412)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단부가 상기 몸체(410)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L)에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앵커부(412)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 내에서 상기 몸체(410)의 변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410)에 차량의 충돌 등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형태 변화에 대응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상기 몸체(410)에 변위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베이스부(420) 및 상기 앵커부(412)는 차량의 충돌 시 변형되며 상기 몸체(410)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완충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할 경우, 즉, 상기 몸체(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베이스부(420)의 전단 변형을 통해 상기 몸체(410)에 수평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물론, 상기 몸체(410)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전단 부착 강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탄성베이스부(420) 상에서의 슬립에 의해 수평 이동이 발생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이는 상기 몸체(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때 상기 앵커부(412)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에 삽입된 부분이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변형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된다.This is because the deformation occurs even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상기 몸체(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차량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 상기 몸체(410) 및 상기 앵커부(412)의 수평 이동을 통한 변형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소산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종래 하부가 고정된 방호벽의 경우, 차량에 의한 충격면에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집중되기 때문에, 같은 강도를 가지는 방호벽이라도 하부가 고정된 형태의 경우에는 적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밖에 없다.Since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oncentrated on the impact surface caused by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ly fixed protective wall, even in the case of a protective wall having the same strength, less energy is absorb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차량이 저속으로 충돌할 경우, 즉 상기 몸체(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이 되어 전단 변형이 아닌 휨이 지배하는 경우일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410)가 회전하여 기울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는 상기 몸체(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 충격이 가해진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마찬가지로 상기 앵커부(412)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에 삽입된 부분이 상기 탄성베이스부(420)의 변형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된다.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상기 몸체(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420) 및 상기 앵커부(112)의 변형을 통해 충격량을 상기 몸체(410)의 회전으로 전환하여 소산시킬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deformation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차량의 운동에너지 일부가 방호벽(400)의 변형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운동에너지를 보다 많이 소산시키며 방호벽(400)에 작용하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400)는 상기 탄성베이스부(420)를 관통하는 부분이 비구속된 상태이므로,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410)와 앵커부(412)의 내부에너지 변화가 크게 증가하게 되어 운동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본 발명은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직접적인 충돌 차량에 의해 발생된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충돌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disperse the amount of impact generated by a direct collision vehicle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minimize damage to the collision vehicle 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도 13에는 종래의 방호벽 및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400)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13 shows the results of a computer simulation of a conventional firewall and a
도 13의 (a)는 종래 방호벽의 소성변형률을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b)는 종래 방호벽의 탄성변형률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3의 (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의 소성변형률을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의 탄성변형률을 나타낸 것이다.13(a) shows the plastic strain rat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and FIG. 13(b) shows the elastic strain rat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13(c) shows the plastic strain of th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는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른 탄성변형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성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이와 반대로 종래 방호벽의 경우, 충돌 지점에 소성 변형 영역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 소성 영역을 탄성 변형 영역이 감싼 형태로 나타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the plastic deformation region is widely distributed at the collision point, and the plastic deformation region appears as a form in which the elastic deformation region is wrapped.
따라서, 소성 변형 영역이 상대적으로 복원 가능한 탄성 변형 영역에 비해 넓게 분포하므로 더욱 많은 손상이 가해짐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region is distributed more widely than the relatively resilient elastic deformation region, so that more damage is applied.
즉, 종래의 방호벽은 탄성변형영역(하중 제거 시 회복 가능한 변형)은 적은 반면에 소성변형영역(탄성변형 이후의 구간으로 영구변형 발생)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의 경우에는 소성변형 영역은 아주 작은 반면, 탄성변형을 넓은 구간에 걸쳐서 분산시켜 발생하도록 하여 방호벽(400)의 파손을 적게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protective wall, the elastic deformation region (recoverable deformation upon removal of the load) is small, while the plastic deformation region (permanent deformation occurs in the section 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is relatively large, bu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제5 실시예][Example 5]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500)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와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나, 탄성베이스부(520)가 탄성계수가 다른 복수의 레이어(520a, 520b)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520)는 복수 층으로 형성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경우 각 레이어(520a, 520b)의 탄성계수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방호벽(500)가 설치된 도로구조물(L)의 운용 특성에 적합한 탄성베이스부(520)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계수가 보다 낮은 레이어로부터 먼저 변형이 발생한 후, 탄성계수가 보다 높은 레이어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다단에 걸친 충격 흡수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deformation occurs first from a layer having a lower modulus of elasticity, and then deformation occurs in a layer having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have a multi-stage shock absorption mechanism.
[제6 실시예][Example 6]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600)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400)와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620)가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탄성 변형률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620)는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탄성 변형, 즉, 회전 변형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610)는 외부 충격이 발생할 경우 보다 큰 각도로 회전되어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620)는 전체적으로 동일 재질로 형성되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밀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위치에 따라 탄성 변형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탄성베이스부(620)는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탄성 변형률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경우, 내측의 탄성계수가 외측보다 작아 앵커부(612)의 전단변형이 커지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inner side is smaller than the outer side, and thus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제7 실시예][Example 7]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700)는 도 1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600)와 마찬가지로 탄성베이스부(120)가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탄성 변형률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6, the
다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620)의 밀도가 변화하는 형태를 가지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베이스부(720)의 폭 변화를 통해 위치에 따른 탄성 변형 변화를 구현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sity of the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베이스부(720)의 상면은 중앙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회전 변형을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탄성베이스부(72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탄성 변형 변화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탄성베이스부는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내측 의 탄성계수가 외측보다 작아 앵커부(712)의 전단변형이 커지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base portion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inner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side, and thus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제8 실시예][Example 8]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19 and 2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itu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800)는 도로구조물(L) 상에 설치되는 몸체(810)와, 상기 몸체(8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강판부(820)와, 상기 강판부(8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앵커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7 and 18, the
상기 몸체(810)는 도로구조물(L) 상의 양 방향 주행 차선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것으로 하였다.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8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하단부에 인접해서는 폭 증가량이 보다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기립 가능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몸체(810)의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근(811a, 811b)이 설치될 수 있다.And, inside the
상기 강판부(8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8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관통홀(H)이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강판부(820)는 강성이 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강판부(820)는 기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810)의 하면에는 상기 강판부(820)에 대응되는 형상의 함몰홈(G)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강판부(820)는 상기 함몰홈(G)에 삽입된 형태를 가진다.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depression groove 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이때, 상기 강판부(820)의 면적은 상기 몸체(810) 하면의 총 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강판부(820)의 면적은 상기 강판부(820) 하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area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홈(G)은 상기 몸체(810) 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함몰홈(G)은 상기 도로구조물(L)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groove (G) may be formed on the
또한, 상기 강판부(820)는 상기 몸체(8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몸체(8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과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앵커부(812)는 상기 강판부(820)의 관통홀(H)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단부가 상기 몸체(810)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L)에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앵커부(812)는 상기 몸체(810)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부(820)에 의해 파단되어 상단부 및 하단부가 분리된다.Then, when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or more is applied to the
즉, 상기 몸체(810)에 차량의 충돌 등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앵커부(812)가 파단되어 상기 몸체(810)에는 방호벽(800)의 길이 방향(종방향)의 직각이 되는 수평 방향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충격을 소산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collision of a vehicle is applied to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800)는, 차량이 저속으로 충돌할 경우, 즉, 상기 몸체(8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앵커부(812)가 파단되지 않고 상기 몸체(81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성능으로 버틸 수 있으며,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할 경우, 즉, 상기 몸체(8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앵커부(812)의 파단에 의해 상기 몸체(810)에 수평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특히,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이 방호벽(800)에 충돌하게 될 경우, 충돌 지점에 위치된 방호벽(800)의 변위가 가장 크게 발생하게 되며, 충돌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충격량이 작아지므로 방호벽(800)의 변위가 점차 작아지게 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0, when the vehicle C collides with the
그리고, 충격량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에는 앵커부(812)의 파단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변위가 발생하기 않는다.And, when the impact amoun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800)는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방호벽의 변형에너지로 전환시켜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보다 많이 소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즉,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800)는 기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강판부(820)에 의해 상기 앵커부(812)가 파단되어 상기 몸체(810)가 비구속된 상태로 전환되므로,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810)내부에너지 변화가 크게 증가하게 되어 운동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산 시킬 수 있다.That is, the
즉,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800)는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직접적인 충돌 차량에 의해 발생된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충돌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특히, 본 발명은 단면 면적의 증가 없이도, 단순히 보강근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성능을 향상시킨 방호벽의 성능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performance similar to that of a protective wall with improved performance by simply increasing the amount of reinforcing muscles without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다만, 종래의 방호벽은 부지 여건, 비용, 안전 등의 여러가지 제약 조건으로 인해 더 이상의 폭 확장이 불가능한 반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한계 없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However, conventional barriers cannot be extended further due to various constraints such as site conditions, cost, and safety, wherea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performance without such limitations.
또한, 본 발명은 매일 빈번히 발생하는 차량의 가벼운 충돌에 대해서는 방호벽의 횡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지만, 큰 충격이 왔을 경우에는 횡변위가 발생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protective wall from occurring in a light collision of a vehicle that frequently occurs every day, but when a large impact occurs, lateral displacement occurs to maximize performance.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제공되는 강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teel plate portion provided on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강판부(820a)의 내측에 앵커부(812)가 관통하는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H1)의 내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 through hole H1 through which an
따라서, 상기 앵커부(812)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경우보다 상기 강판부(820a)에 의해 보다 더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Therefore, the
즉, 상기 관통홀(H1)의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관통홀(H1)에 내측으로 돌출된 지점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강판부(820a)와 상기 앵커부(812)는 전체적으로 상기 앵커부(812)의 둘레를 따라 선 접촉되므로 상기 강판부(820a)에 의해 상기 앵커부(812)가 보다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H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a point protruding inward to the through-hole H1 is formed, so that the
한편, 상기 관통홀(H1)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rough-hole (H1) is supposed to be form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down, but on the contrary, it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up.
또는, 상기 관통홀(H1)의 내주면이 복수의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H1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제공되는 앵커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2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nchor portion provided on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앵커부(812a)는 강판부(820)의 관통홀(H)에 대응되는 부분(813a)의 직경(d2)이 나머지 부분의 직경(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즉, 상기 앵커부(812a)는 상기 강판부(820)의 관통홀(H)에 대응되는 부분(813a)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앵커부(812a)는 전체적으로 동일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앵커부(812a)는 상기 강판부(820)의 관통홀(H)에 대응되는 부분(813a)의 강성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약하게 형성된다.That is, the
이에 따라 상기 앵커부(812a)는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경우보다 상기 강판부(82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물론, 상기 앵커부(812a)는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강판부(820a)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연하다.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한편, 상기 앵커부(812a)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본 경우와 달리 앵커부의 일부를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거나, 해당 지점에 후처리를 수행하여 강성을 약화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case in which a part of the
[제9 실시예][Example 9]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의 변형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 23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3, and FIG. 25 i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23 for explaining the deformation situation when applied.
우선,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900)는 도로구조물(L) 상에 설치되는 몸체(910), 강판부(920), 충격흡수부(930) 및 앵커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3 and 24, the
상기 몸체(910)는 도로구조물(L) 상의 양 방향 주행 차선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로구조물(L)과의 사이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몸체(910)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근(911a, 911b)이 설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보강근(911a, 911b)은 메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직립된 상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개의 메쉬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도로구조물(L)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몸체(910)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Here, the reinforcing muscles (911a, 911b)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sh, and may be in an upright state along a plurality of length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mesh form, and may be a road structure. 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상기 강판부(920)는 상기 몸체(910)에 인가되는 외력, 예를 들어, 차량의 충격에 의해 상기 몸체(910)가 이동되려는 경우, 상기 몸체(910)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수용공간(S)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부(912)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H)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강판부(920)는 강성이 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여 상기 앵커부(912)를 파단시킬 수 있을 정도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상기 충격흡수부(920)는 상기 몸체(9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930)는 스티로폼, 부직포, 우레탄,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수용공간(S)은 몸체(910)의 하단부에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부(92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공간(S1) 및 상기 충격흡수부(93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be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제1 수용공간(S1) 및 상기 제2 수용공간(S2)은 각각 상기 강판부(920) 및 상기 충격흡수부(93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공간(S1)은 상기 제2 수용공간(S2)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first receiving space (S1) a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may each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상기 강판부(920)는 상기 충격흡수부(930)보다 더 넓은 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910)의 하면의 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다만, 상기 강판부(920)의 면적은 상기 몸체(910)의 하면의 면적보다 반드시 작을 필요는 없으며, 상기 몸체(910)의 하면의 면적 이상일 수도 있다.However, the area of the
또한, 상기 강판부(920)는 상기 몸체(9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910) 및 상기 도로구조물(L)과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앵커부(912)는 상기 관통홀(H) 및 상기 충격흡수부(93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가 상기 몸체(910)에 매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L)에 매립되어, 상기 몸체(910)에 인가되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910)가 이동되려는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910)와 함께 이동되려는 상기 강판부(920)에 의해 파단되어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가 분리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상기 수용공간(S)은 상기 몸체(9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부(920), 상기 충격흡수부(930) 및 상기 앵커부(912)는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S)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S)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다만, 상기 수용공간(S)은 반드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몸체(9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not necessarily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910).
이 경우, 상기 강판부(920) 및 상기 충격흡수부(930)도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S)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공간(S)의 적어도 일부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910)에 차량의 충돌 등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앵커부(912)가 파단되어 상기 몸체(910)에는 방호벽(900)의 길이 방향(종방향)의 직각이 되는 수평 방향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충격을 소산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collision of a vehicle is applied to the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900)는 차량이 저속으로 충돌할 경우, 즉, 상기 몸체(9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앵커부(912)가 파단되지 않고 상기 몸체(910)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성능으로 버틸 수 있으며, 이 경우, 충격흡수부(930)는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the
한편,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할 경우, 즉, 상기 몸체(910)에 가해지는 외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몸체(9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910)와 함께 이동되려는 상기 강판부(930)에 의해 상기 앵커부(912)가 판단되게 되며, 상기 충격흡수부(930)는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at a high speed, 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결국, 상기 몸체(910)에 수평 이동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몸체(910)가 비구속된 상태로 전환되므로, 종래의 방호벽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910) 내부에너지 변화가 크게 증가하게 되어 운동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산 시킬 수 있다.As a result, horizontal movement occurs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900)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로 설명한 강판부(820) 및 앵커부(812)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관통홀(H)을 규정하는 내면은 상기 몸체(910)에 인가되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910)가 이동되려는 경우, 상기 앵커부(912)가 상기 몸체(910)와 함께 이동되려는 상기 강판부(920)에 의해 파단되어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가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 (H) is to be moved by the
또한, 상기 앵커부(912)는 상기 몸체(910)에 인가되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몸체(910)가 이동되려는 경우, 상기 몸체(910)와 함께 이동되려는 상기 강판부(920)에 의해 파단되어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가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상기 관통홀(H)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0 실시예][Example 10]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며,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2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7 and 2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900)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고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우선,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은 도로구조물(L) 상에 설치되는 몸체(1010), 상기 몸체(1010)와 상기 도로구조물(L) 사이에 배치되는 강판부(1020) 및 상기 강판부(1020)를 관통하되, 상단부(1012a)가 상기 몸체(1010)에 매립되고 하단부(1012c)가 상기 도로구조물(L)에 매립되는 앵커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6, the
여기서, 상기 몸체(1010)와 상기 도로구조물(L)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1012a) 및 상기 하단부(1012c) 이외의 상기 앵커부(1012)의 중단부(1012b)가 위치하기 위한 제1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Here, between the
상기 제1 공간(S1)은 상기 도로구조물(L)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구조물(L)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The first space S1 may be provided by the road structure L, and specifically, may be a space formed by being embedd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oad structure L.
상기 몸체(1010)는 상기 강판부(1020)가 하단부에 배치되기 위한 제2 공간(S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강판부(1020)는 상기 몸체(1010)에 접착되면서 상기 제2 공간(S2)에 수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공간(S2)에 수용되어도 무방하다.The
상기 강판부(1020)는 상기 몸체(1010)에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기 제1 공간(S1)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구비하여, 상기 제1 공간(S1)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제1 공간(S1)은 상기 몸체(10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강판부(1020), 앵커부(1012)는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S1)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pace (S1)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다만, 상기 제1 공간(S1)은 반드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몸체(10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a plurality of the first spaces S1 are not necessari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 경우, 상기 강판부(1020)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공간(S1)과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10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10)에 차량의 충돌 등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1010)는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의 상기 중단부(1012b)의 휨 변형이 동반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27 and 28, when an impact such as a collision of a vehicle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상기 강판부(1020)는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1010)의 이동 시, 상기 몸체(10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중단부(1012b)의 휨 변형 이후에는 상기 앵커부(1012)를 파단시켜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1010)의 추가 이동을 구현토록 하여, 상기 충격이 소산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즉,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은 일정 크기의 충격까지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1012)의 휨 변형을 동반하면서 상기 몸체(1010)가 이동되어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고, 이후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1012)의 파단을 동반한 상기 몸체(1010)의 추가 이동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부에너지를 극대화시켜, 충격에너지를 내부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충격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은 도 21 및 도 22를 참조로 설명한 강판부(820) 및 앵커부(812)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제11 실시예][Example 11]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2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100)은 연결부(1130)를 제외하고는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부(11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9, the
상기 연결부(1130)는 앵커부(1112)의 중단부(1112b)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구조물(L) 및 상기 몸체(1110) 중 적어도 하나의 형성과정에서 상기 제1 공간(S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연결부(1130)는 상기 도로구조물(L) 및 상기 몸체(1110)의 형성 후, 상기 도로구조물(L)과 상기 몸체(1110)의 연결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ormation of the road structure L 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130)는 도로구조물(L)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는 경우 앵커부(1112)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등의 타설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S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 단순해지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crete or the like is poured to form the road structure L,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1130)는 상기 도로구조물(L) 및 상기 몸체(1110) 중 적어도 하나의 강도보다 작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스티로폼, 우레탄, 부직포, 플라스틱 및 빈 캔 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부(1130)는 상기 몸체(11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1100)은 충격 흡수 및 소산 등의 측면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The
[제12 실시예][Example 12]
도 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며,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3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1 and 3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200)은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의 위치, 이로 인한 강판부(1220)의 위치 등을 제외하고는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의 위치, 이로 인한 강판부(1220)의 위치 등의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0 to 32, the
제1 공간(S1)은 몸체(1210)의 하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21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공간일 있다.The first space S1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상기 도로구조물(L)은 상기 강판부(1220)가 상단부에 배치되기 위한 제2 공간(S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강판부(122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수용되어 충격에 의한 몸체(1210)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oad structure (L)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pace (S2) for the
즉, 상기 강판부(1220)는 상기 도로구조물(L)에 제공되는 제2 공간(S2)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1210)가 충격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에도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기 제1 공간(S1)의 하측면을 규정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몸체(1210)에 차량의 충돌 등의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1210)의 이동, 앵커부(1212)의 휨 변형 및 파단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제13 실시예][Example 13]
도 3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3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300)은 연결부(1330)를 제외하고는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2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부(13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3, the
상기 연결부(1330)는 몸체(1310)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는 경우 앵커부(1312)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등의 타설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S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 단순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1330)의 재질 및 효과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erial and effects of the connecting
[제14 실시예][Example 14]
도 3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며,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3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5 and 36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the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400)은 파손방지부(1450)를 제외하고는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0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파손방지부(145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4 to 36, the
상기 파손방지부(1450)는 제1 공간(S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S1)의 하측면을 규정하며, 앵커부(1412)의 중단부(1412b)의 휨 변형 시, 앵커부(1412)의 하단부(1412c)에 의한 도로구조물(L)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상기 파손방지부(1450)는 강판부(14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한편, 상기 몸체(1410)에 차량의 충돌 등의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1410)의 이동, 앵커부(1412)의 휨 변형 및 파단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제15 실시예][Example 15]
도 37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3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500)은 연결부(1530)를 제외하고는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4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부(15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7, the
상기 연결부(1530)는 도로구조물(L)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는 경우 앵커부(1512)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등의 타설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S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 단순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or the like is poured to form the road structure L, the
상기 연결부(1530)의 재질 및 효과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erial and effects of the connecting
[제16 실시예][Example 16]
도 38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며,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3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9 and 4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situa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8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600)은 파손방지부(1650)를 제외하고는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2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파손방지부(165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8 to 40, the
상기 파손방지부(1650)는 제1 공간(S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S1)의 상측면을 규정하며, 앵커부(1612)의 중단부(1612b)의 휨 변형 시, 앵커부(1612)의 상단부(1612a)에 의한 몸체(161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상기 파손방지부(1650)는 강판부(16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한편, 상기 몸체(1610)에 차량의 충돌 등의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1610)의 이동, 앵커부(1612)의 휨 변형 및 파단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제17 실시예][Example 17]
도 41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을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4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wall according to a 17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700)은 연결부(1730)를 제외하고는 도 38 내지 도 4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1600)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부(173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1, the
상기 연결부(1600)는 몸체(1710)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는 경우 앵커부(1720)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등의 타설과 동시에 상기 제1 공간(S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 단순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or the like is poured to form the
상기 연결부(1730)의 재질 및 효과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erial and effects of the connect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17 실시예 각각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동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Further, it is revealed that each of the first to seventeen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simultaneously appl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ntradict each other.
100: 방호벽
110: 몸체
111a, 111b: 보강근
112: 수용공간
120: 충격흡수부
122: 보조수용공간
L: 도로구조물100: firewall
110: body
111a, 111b: Rebar
112: accommodation space
120: shock absorber
122: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L: Road structure
Claims (12)
상기 몸체와 상기 도로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는 강판부; 및
상기 강판부를 관통하되, 상단부가 상기 몸체에 매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로구조물에 매립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도로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 이외의 상기 앵커부의 중단부가 위치하기 위한 제1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공간 내에서의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을 동반하면서 이동되어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이후, 상기 앵커부를 파단시켜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추가 이동을 구현토록 하여, 상기 충격이 소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 body installed on the road structure;
A steel plat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road structure; And
Includes; through the steel plate portion, the upper end is embedded in the body and the lower end is embedded in the road structure;
Between the body and the road structure is formed a first space for the middle portion of the anchor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located,
The body,
When an impact is applied, the impact is absorbed by being moved while accompanying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first space,
The steel plate portion,
After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ortion, the anchor portion is broken so that the additional movement of the body due to the impact is realized, so that the impact is dissipated.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도로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강판부가 하단부에 배치되기 위한 제2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이동 시, 상기 몸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pace,
It is provided by the road structure,
The body,
The steel plate portion has a second space for being disposed at the lower end,
The steel plate portion,
A protective wal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ody is moved by the impact, it is moved together with the body.
상기 강판부는,
상기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기 제1 공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2,
The steel plate portion,
A protective wall characterized by covering the first space before the impact is applied.
상기 제1 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의 하측면을 규정하며,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시, 상기 하단부에 의한 상기 도로구조물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파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pace to defin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pace, to prevent damage to the road structure by the lower end when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ortion; Firewall made with.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강판부는,
상기 도로구조물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충격에 의한 상기 몸체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pace,
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he steel plate portion,
It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provided by the roa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is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body by the impact.
상기 강판부는,
상기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기 제1 공간의 하측면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el plate portion,
A protective wall characterized by defining a lower side of the first space before the impact is applied.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면을 규정하며, 상기 중단부의 휨 변형 시, 상기 상단부에 의한 상기 몸체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파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The method of claim 5,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pace to defin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pace, and when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ddle portion,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body by the upper end portion; Firewall.
상기 중단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구조물 및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성 과정에서 상기 제1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도로구조물 및 상기 몸체의 형성 후, 상기 도로구조물과 상기 몸체의 연결이 구현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around the middle portion so that the first spac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t least one of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and after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are form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is implemented. The connecting portion; a fire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도로구조물 및 상기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강도보다 작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ng portion,
A protective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less than that of at least one of the road structure and the body.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pace,
A protective wal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or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강판부는,
상기 앵커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을 규정하는 내면은,
상기 강판부에 의한 상기 앵커부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plate portion,
It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nchor portion,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
A protective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breaking of the anchor portion by the steel plate portion.
상기 강판부는,
상기 앵커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강판부에 의한 파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plate portion,
It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nchor portion,
The anchor portion,
The protective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rest of the portion so as to be easily broken by the steel plat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2706A KR102119595B1 (en) | 2018-05-31 | 2018-05-31 | Safety barrier |
US16/137,733 US20190368143A1 (en) | 2018-05-31 | 2018-09-21 | Safety barrier |
US17/712,228 US20220228332A1 (en) | 2018-05-31 | 2022-04-04 | Safety b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2706A KR102119595B1 (en) | 2018-05-31 | 2018-05-31 | Safety barr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6688A KR20190136688A (en) | 2019-12-10 |
KR102119595B1 true KR102119595B1 (en) | 2020-06-08 |
Family
ID=6869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2706A KR102119595B1 (en) | 2018-05-31 | 2018-05-31 | Safety barri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20190368143A1 (en) |
KR (1) | KR1021195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4157Y1 (en) | 2021-04-26 | 2021-08-17 | (주)우성씨앤티 | Safety barr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767023B2 (en) * | 2018-12-14 | 2020-12-21 | Ingecid Investig Y Desarrollo De Proyectos S L | ROAD SAFETY BARRI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8035Y1 (en) * | 2001-11-22 | 2002-03-15 |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 Enhanced Central Separator |
KR100579618B1 (en) * | 2006-03-15 | 2006-05-15 |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 A median strip for absorbing shock |
JP2009221747A (en) * | 2008-03-17 | 2009-10-01 | Yoshida Kozo Design:Kk | Partition wall for road |
KR101133280B1 (en) * | 2009-06-09 | 2012-04-05 | 동원엔지니어링(주) | Post for load safety railing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08724A (en) * | 1963-10-08 | 1967-03-14 | Smith Henry Such | Roadway guard rail barrier |
AT357195B (en) * | 1978-12-15 | 1980-06-25 | Pius Dr Prosenz | TRAFFIC CONTROL DEVICE, USEFUL AS MEDIUM SEPARATION AND ROAD BARRIER |
SE8101798L (en) * | 1981-03-20 | 1982-09-21 | A Betong Ab | POSTS OF CONCRETE AND WAY TO MAKE THE SUIT |
JP2612600B2 (en) * | 1988-08-23 | 1997-05-21 |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 How to repair the median strip |
US5218805A (en) * | 1991-08-19 | 1993-06-15 | Superior Precast, Inc. | Post assembly and noise barrier wall |
DE4329547C1 (en) * | 1993-09-02 | 1994-09-22 | Spig Schutzplanken Prod Gmbh | Steel crash-barrier train |
KR960006194Y1 (en) * | 1993-12-23 | 1996-07-22 | 허창희 | Road side structure |
US6176638B1 (en) * | 1995-02-14 | 2001-01-23 | Roger C. Kellison | Chemically bonded anchor systems |
WO1997033046A1 (en) * | 1996-03-06 | 1997-09-12 | Bsm Europa, S.A. | Process for fabricating signalling cones, and system for anchoring such cones |
JP3370847B2 (en) * | 1996-04-30 | 2003-01-27 | 日本サミコン株式会社 | Concrete road side wall |
FR2749329B1 (en) * | 1996-06-04 | 1998-07-24 | Plattard Sa | SAFETY BARRIER FOR HIGHWAYS AND HIGHWAYS |
DE29623605U1 (en) * | 1996-12-21 | 1998-12-10 | Koch, Eberhard, 69231 Rauenberg | Device for attaching bolt anchors to concrete structures |
FR2757886B1 (en) * | 1996-12-30 | 1999-03-05 | Didier Chamel | POSTS AND BOLLARDS WITH BREAK LIMIT GROUND CONNECTION DEVICE |
DE19823185A1 (en) * | 1997-06-06 | 1998-12-10 | Rausch Peter | Traffic island component laid and fixed directly on roads |
IT1302420B1 (en) * | 1998-08-05 | 2000-09-05 | Autostrade Concess Const | DEVICES FOR THE CALIBRATION DECELERATION OF URTANT VEHICLES FOR NEW JERSEY PROFILE SAFETY BARRIERS WITH ANCHORING |
US6308927B1 (en) * | 1999-05-11 | 2001-10-30 | Lawrence E. Leahy | Breakaway sign post connector |
US7434778B2 (en) * | 2001-11-02 | 2008-10-14 | Xcessories Squared | Breakaway signpost connector |
IL148689A (en) * | 2002-03-14 | 2009-11-18 | Sagy Alexander | Crash barriers for road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
US6679649B1 (en) * | 2002-12-27 | 2004-01-20 | Sps New England, Inc. | Barrier wall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KR100510855B1 (en) * | 2004-03-15 | 2005-08-30 | 주식회사 우전그린 | Prefabricated road median strip |
DE102004028226A1 (en) * | 2004-06-09 | 2005-12-29 |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 Anchoring assembly, anchor rod and method of making an anchor assembly |
JP4447610B2 (en) * | 2004-11-10 | 2010-04-07 | 大成建設株式会社 | Guideway side wall and guideway side wall installation method |
KR20080004839U (en) * | 2007-04-19 | 2008-10-23 | 황금윤 | A road line safety pillar for regulating traffic lane |
KR101408934B1 (en) * | 2014-02-25 | 2014-06-17 | (주)대양커뮤니케이션 | Wood fence |
-
2018
- 2018-05-31 KR KR1020180062706A patent/KR10211959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1 US US16/137,733 patent/US2019036814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2
- 2022-04-04 US US17/712,228 patent/US2022022833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8035Y1 (en) * | 2001-11-22 | 2002-03-15 |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 Enhanced Central Separator |
KR100579618B1 (en) * | 2006-03-15 | 2006-05-15 |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 A median strip for absorbing shock |
JP2009221747A (en) * | 2008-03-17 | 2009-10-01 | Yoshida Kozo Design:Kk | Partition wall for road |
KR101133280B1 (en) * | 2009-06-09 | 2012-04-05 | 동원엔지니어링(주) | Post for load safety rail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4157Y1 (en) | 2021-04-26 | 2021-08-17 | (주)우성씨앤티 | Safety b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228332A1 (en) | 2022-07-21 |
KR20190136688A (en) | 2019-12-10 |
US20190368143A1 (en) | 2019-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3458B1 (en) | A median strip for absorbing shock | |
KR102119595B1 (en) | Safety barrier | |
JP4999740B2 (en) | Road partition wall | |
JP3577497B2 (en) | Road protection device | |
KR100716195B1 (en) | Guard fence | |
KR100965234B1 (en) | Safety block for the protective wall of a bridge | |
KR101017704B1 (en) | Newel post having shock absorber | |
KR20130068744A (en) | Guardrail with energy absorber | |
KR101996024B1 (en) | Median Strip Having Fracturable Anchor | |
KR101102617B1 (en) | Guardrail the shock absorber for road | |
KR100717609B1 (en) | Guardrail | |
CN112854069B (en) | Road buffer stop | |
KR101135057B1 (en) | guard rail | |
KR20200089243A (en) | Median Strip Having Impact Absorption Part | |
KR200274017Y1 (en) | Guard rail for absorbing shock | |
KR102335872B1 (en) | Low-Profile Barri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0249073Y1 (en) | Shock-absorbing Structure of Gauard Block in Road | |
RU2815336C1 (en) | Road baffle | |
KR101217832B1 (en) | Vehicle protection fence | |
KR20190057209A (en) | Median Strip Having Impact Absorption Part | |
KR200154105Y1 (en) | Safety protection belt using waste tire | |
KR101170088B1 (en) | guard rail | |
KR101282920B1 (en) | Guardrail | |
KR101697963B1 (en) | High-strength elastomers for vehicle crash barrier | |
KR20180062633A (en) | Median Strip Having Impact Absorption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