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57B1 - guard rail - Google Patents
guard ra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5057B1 KR101135057B1 KR1020090051686A KR20090051686A KR101135057B1 KR 101135057 B1 KR101135057 B1 KR 101135057B1 KR 1020090051686 A KR1020090051686 A KR 1020090051686A KR 20090051686 A KR20090051686 A KR 20090051686A KR 101135057 B1 KR101135057 B1 KR 101135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 flat plate
- guard rail
- vehicl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의 중앙 또는 주행중인 차량의 차도 이탈을 방지 하기위해 차도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 rail which is installed at the side of a roadway to prevent deviation of the roadway of a vehicle or a driving vehicle to absorb a shock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It is about.
상기에 따른 본 발명 가드레일은 도로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00)과;The guar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and the pillar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oad;
차량과의 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며, 이하 가드레일판(50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으로, 중앙이 평면형상의 제1평판(3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판(310)에 볼트공(311)을 형성하여 상기 기둥(100)에 고정볼트(400)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1평판(310)을 기점으로 양측을 절곡하며, 제2충격흡수구멍(350)을 형성한 제1절곡부(330)와, 수평으로 뚫려 있는 제1충격흡수구멍(3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제2충격흡수구멍(350)을 통하여 1차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제1충격흡수구멍(340)을 통하여 2차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폐타이어를 재생 분리하여 소성가공한 폐자원을 재활용한 완충부재(300)와;Absorbs the impact force when the impact with the vehicle, and absorbs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guard rail plate 500, the center is formed of a first flat plate 310 of a flat shape and bolt holes (1) in the first flat plate 310 311) to be fastened to the pillar 100 as a fixing bolt 400, and to bend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lat plate 310, the second shock absorption hole 350 is formed And a first bent portion 330 and a first impact absorption hole 340 which is drilled horizontally, and absorbs the first impact through the second impact absorption hole 350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A buffer member 300 which recycles and separates the waste tires formed by absorbing the secondary shock through the first shock absorption hole 340 to recycle the plastic resources;
철판을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형과 동일하게 중앙을 평면형상의 제2평판(510)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평판(510)에 볼트공(511)을 형성하여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측에 고정볼트(400)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2평판(510)을 기점으로 양측을 절곡하며, 작은볼트공(531)을 구비한 제2절곡부(530)를 형성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제2절곡부(53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가드레일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ron plat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lat plate 510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and a bolt hole 511 is formed in the second flat plate 510 to form an outer sid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300.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bolt 400, and to bend both sides of the second flat plate 510, and to form a second bent portion 530 with a small bolt ball 531 to form a The second bending portion 5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ard rail plate 500 to absorb the impact during a collision.
가드레일, 완충부재, 가드레일판, 절곡부, Guard rails, buffer members, guard rail plates, bend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의 중앙 또는 차도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ard rail installed in the center or side of the roadway so as to absorb a shock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일반적으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도록 된 도로의 중앙선에는 보통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통행을 구분하거나 운전자의 졸음운전, 운전미숙 등에 의해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형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In general, a central divider is usually installed at the center line of the road where the vehicle is driven at high speed, thereby preventing large casualties by preventing traffic from invading the center line by dividing the traffic, drowsy driving, or inexperience of the driver. have.
뿐만 아니라, 일반차도변과 산길이나 굴곡이 심한 도로 등에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를테면 도로의 분기점 등에도 분리대 혹은 가드레일과 같은 방호책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In addition, guardrails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eparture of vehicles on general roadsides, mountain roads, and severely curved roads.If necessary, protective measures such as separators or guardrails are installed at the junctions of roads. .
그러나, 이들 중앙분리대 혹은 가드레일 등의 방호책들은 대부분은 콘크리트나 강철판 혹은 와이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충격흡수 기능이 떨어져 차량 충돌시 그 충격으로 인해 차량의 대형손상은 물론, 차량이 차도밖으로 튕겨 나가는 등 그 역기능으로 인해 대형참사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most of these protective measures such as median dividers or guard rails are installed using materials such as concrete, steel sheets, or wires,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is poor.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the catastrophic consequences of the catastrophe, such as bouncing out.
즉, 이들 방호책이 갖는 순기능보다 그 역기능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verse function is further increased than the net function of these protection measur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은 차도의 중앙 또는 차도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드레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ard rail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roadway or on the side of the roadway to absorb a shock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가드레일은 차도중앙이나 차도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00)과;
차량과의 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며, 이하 가드레일판(50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으로, 중앙이 평면형상의 제1평판(3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판(310)에 볼트공(311)을 형성하여 상기 기둥(100)에 고정볼트(400)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1평판(310)을 기점으로 양측을 절곡하며, 제2충격흡수구멍(350)을 형성한 제1절곡부(330)와, 수평으로 뚫려 있는 제1충격흡수구멍(3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제2충격흡수구멍(350)을 통하여 1차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제1충격흡수구멍(340)을 통하여 2차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폐타이어를 재생 분리하여 소성가공한 폐자원을 재활용한 완충부재(300)와;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bsorbs the impact force when the impact with the vehicle, and absorbs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삭제delete
철판을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형과 동일하게 중앙을 평면형상의 제2평판(510)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평판(510)에 볼트공(511)을 형성하여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측에 고정볼트(400)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2평판(510)을 기점으로 양측을 절곡하며, 작은볼트공(531)을 구비한 제2절곡부(530)를 형성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제2절곡부(53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가드레일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ron plat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상기 작은볼트공(531)은 상기 가드레일판(500)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가드레일은 상기 완충부재(300) 및 가드레일판(500)의 제1절곡부(330)와 제2절곡부(530)는 제1평판(310)과 제2평판(510)을 중심으로 적어도 2단 이상 절곡하여 형성하여 충격력을 감소를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또한, 상기 완충부재(300) 및 가드레일판(500)의 제1절곡부(330)와 제2절곡부(530)는 설치 환경에 따라 반원 또는 삼각형의 형태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제작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 가드레일은 차도의 중앙 또는 차도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guar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oadway or on the side of the roadway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absorbing a shock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Applicant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볼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판(500)과 완충부재(300)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본 발명은 크게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00)과 상기 기둥(100)에 체결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300)와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측에 체결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가드레일판(5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fastened to the
상기 기둥(100)은 도로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설치되며 외측에 완충부재(300)가 고정볼트로 체결된다.The
상기 완충부재(300)는 폐타이어를 재생 분리하여 소성가공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한 것으로, 차량과의 충격시 충격을 완충하며, 이하 설명할 가드레일판(50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The
상기 완충부재(300)는 중앙이 평면형상의 제1평판(3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판(310)에 볼트공(311)을 형성하여 상기 기둥(100)에 고정볼트(400)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그리고 상기 제1평판(310)을 기점으로 양측을 적어도 2단 이상 절곡한 제1절곡부(330)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제1절곡부(33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완충부재(300)는 가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기둥(100)의 폭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또한, 상기 제1절곡부(300)의 일측에는 제2충격흡수구멍(3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300)는 산업폐기물로 발생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재생 분리하여 소성가공하여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가드레일판(500)는 철판을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형과 동일하게 즉, 중앙을 평면형상의 평판(510)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평판(510)에 볼트공(511)을 형성하여 상기 완충부재(300)의 외측에 고정볼트(400)로써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그리고 상기 제2평판(510)을 기점으로 양측을 적어도 2단 이상 절곡한 제2절곡부(530)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제2절곡부(53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상기 가드레일판(500)의 제2절곡부(530)일측에는 상기 가드레일판(500)을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작은볼트공(53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상기 제1절곡부(330)와 제2절곡부(530)는 설치 환경 및 위치에 따라 원형 또는 곡면 형상 등으로 절곡하여 차량의 진행시 발생하는 소음과 차량의 충돌시 충격이 곡면을 타고 분산되도록하여 소음 및 충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상기 가드레일판(530)는 가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필요한 길이 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로에 소정을 간격을 두고 기둥(100)을 설치하여 설치한다.The
그리고 완충부재(300)의 외측에 가드레일판(500)을 삽착한다.And the
상기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300)와 가드레일판(500)을 기둥(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볼드(400)로 체결하여 설치를 한다.In this state, the
상기 완충부재(300)는 외부로부터의 압력 및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뚫려 있는 제1충격흡수구멍(340)이 구비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가드레일은 차량과의 충돌시 가드레일판(500)이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이어 가드레일판(500)의 내측에 있는 완충부재(300)를 통하여 이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In the guardrail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llision with the vehicle, the
이때 작은 충돌일 경우는 상기 완충부재(300)와 가드레일판(500)의 강성으로만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되며, 큰 충동일 경우는 가드레일판(500)의 제2절곡부(530)가 펴지면서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가드레일판(500)의 내측에 있는 완충부재(300)의 제2충격흡수구멍(350)의 탄성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제1충격흡수구멍(340)의 탄성을 이용하여 2차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제2절곡부(530)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제2절곡부(530)로부터의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small collision, the impact force is reduced only by the rigidity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볼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판과 완충부재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ard rail plate and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기둥 300 : 완충부재100: pillar 300: buffer member
500 : 가드레일판500: guardrail plat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686A KR101135057B1 (en) | 2009-06-10 | 2009-06-10 | guard ra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1686A KR101135057B1 (en) | 2009-06-10 | 2009-06-10 | guard rai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2876A KR20100132876A (en) | 2010-12-20 |
KR101135057B1 true KR101135057B1 (en) | 2012-04-13 |
Family
ID=4350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1686A KR101135057B1 (en) | 2009-06-10 | 2009-06-10 | guard ra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505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4284B1 (en) * | 2020-05-28 | 2022-03-15 | 조정오 | Safety fence on the roa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6456A (en) * | 2003-04-07 | 2003-05-09 | 박중석 | A guardrail for road |
KR100763461B1 (en) * | 2007-08-08 | 2007-10-04 | 도아기업 주식회사 | Guard rail |
-
2009
- 2009-06-10 KR KR1020090051686A patent/KR10113505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6456A (en) * | 2003-04-07 | 2003-05-09 | 박중석 | A guardrail for road |
KR100763461B1 (en) * | 2007-08-08 | 2007-10-04 | 도아기업 주식회사 | Guard r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2876A (en) | 2010-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7583B1 (en) | Safety guardrail for protecting driver and providing construction convenience | |
KR20100109080A (en) | Guide rails | |
KR101523254B1 (en) | Guardrail with safety support | |
KR101135057B1 (en) | guard rail | |
KR20130080175A (en) | Guardrail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function | |
KR200453404Y1 (en) | Guard rails with raised shock absorbers and guard rail plates | |
KR102157872B1 (en) | Coupling structure for rail and rail of guard rail using road | |
KR20130004377U (en) | Reinforcing member for a guardrail | |
KR101256454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KR20130104091A (en) | Guard rail structure | |
KR101378546B1 (en) | Safety guardrail for protecting driver and providing construction convenience | |
KR101170088B1 (en) | guard rail | |
KR101655362B1 (en) | guardrail assembly reinforced shock absorbing structure | |
KR101655390B1 (en) | guardrail apparatus having shock absorbing and reinforcing structure | |
KR101192586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KR20190136688A (en) | Safety barrier | |
KR200207038Y1 (en) | A median strip of the highway | |
KR101351197B1 (en) |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 |
KR101118078B1 (en) | Reinforcing member for a guardrail | |
KR200364642Y1 (en) | a Buffer Safety Guard | |
KR20090032901A (en) | Safety block for the protective wall of a bridge | |
KR101181429B1 (en) | Guardrails for Absorption of Impact | |
KR200341904Y1 (en) | Safety fence of boundary having spring structure | |
KR200274017Y1 (en) | Guard rail for absorbing shock | |
KR101164944B1 (en) | Reinforcing member for a guardra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