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503B1 -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503B1
KR102119503B1 KR1020180160378A KR20180160378A KR102119503B1 KR 102119503 B1 KR102119503 B1 KR 102119503B1 KR 1020180160378 A KR1020180160378 A KR 1020180160378A KR 20180160378 A KR20180160378 A KR 20180160378A KR 102119503 B1 KR102119503 B1 KR 10211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ulfide
weight
cog
powder
reactio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03Removing sulfur compounds
    • B01D53/8609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B01J27/04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B01J27/04Sulfides
    • B01J27/043Sulfides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4Sil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8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92Zin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반응 촉매제 제조방법은, 제철소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아연 분말을 20 중량%이하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질산은 분말 3 중량부 이상을 수용성 바인더와 함께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건조된 펠렛을 환원함으로써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반응 촉매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atalysts For Removal of Hydrogen Sulfide in COG}
본 발명은 황화수소 가스가 포함되어 있는 연료 가스, 즉, 천연가스 및 COG(coke oven gas,이하 'COG'라고 한다 )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화학 반응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강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아연(Zn)과 질산을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환원시킴으로써 환원된 금속, Fe, Zn 및 Ag의 반응성으로 COG 연료 가스내 함유된 황화수소를 반응 제거할 수 있는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을 건류하여 코크스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 상태인 COG는 정제공정을 거처서 불순물 H2S, HCN 등을 포집하여 COG 홀더에 저장하고, 제철소내의 에너지원인 연료가스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COG 중 황화수소는 포집 공정을 거쳐도 일부 함유되어 연소 시에 대기 환경의 오염을 일으키는 SOx를 방출시키는 원인 물질이 되고 있다. 또한 대기 환경 공해를 해소하기 위해서 COG를 정제하는 포집 공정을 거침에도 불구하고, 포집되지 않은 H2S, HCN 등의 성분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포집 공정에서 발생한 안수(암모니아수)를 포집액으로 사용하여 황화수소를 포집제거하는데 제거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암모니아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습식방법으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농도의 증가분만큼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인 습식 제거방법과 유사한 발명이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흡수탑에서 안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코크스오븐 가스의 황화수소를 안수에 선택적으로 흡수시켜 제거하는 코크스오븐 가스를 0.5 ~ 0.6의 기액접촉 비율로 농도가 2 ~ 5 g/ℓ인 메틸디에탄올아민(MDEA; MethylDiEthanolAmine) 수용액과 접촉시켜서 코크스오븐 가스의 황화수소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방법은 습식방법에 의해서 공정을 진행되므로 함유된 메틸디에탄올아민을 안수중에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야 하므로 공정상의 복잡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연료가스 중에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2002-0088688호 대한민국 공개번호 2002-0016136호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의 연구개발 과정을 시험한 결과, COG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화학반응에 의해서 금속 황화합물을 형성하여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철강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 아연과 질산은을 첨가하여 펠렛 제조후, 이를 환원로에서 환원함으로써 COG 중 황화 수소와 화학반응을 진행시켜 황화수소를 효과적으로 반응시켜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철소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아연 분말을 20 중량%이하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질산은 분말 3 중량부 이상을 수용성 바인더와 함께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건조된 펠렛을 환원함으로써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반응 촉매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 촉매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산화아연의 첨가량을 20~50중량% 범위로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PVA 또는 CMC일 수가 있다.
상기 환원 시, 환원 열처리온도는 800~1000℃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COG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화학반응에 의해서 제거함으로서 COG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로 인한 연소 시에 발생되는 SOx로 대기 환경 오염을 증대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반응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서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때문에, 폐수의 발생이 없어서 환경적으로 적정한 방법이며, 황화수소 제거효율 또한 우수하여 다양한 적용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COG 연료 가스 유량과 황화수소 제거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펠렛의 환원 열처리온도와 황화수소 제거율(%)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있어서, 산화아연 첨가량과 황화수소 제거율(%)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질산은 첨가량과 황화수소 제거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COG중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수소를 효율적으로 화학반응에 의해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COG 중 황화수소를 밀스케일과 산화아연 및 질산은을 환원한 환원재료에 화학적으로 반응시키면 황화철 및 황화아연 등이 일부 생성되고 연료 가스의 수소 및 메탄 성분에 의해서 환원분위기가 유지되면, 원소 유황으로 석출되는 현상을 확인하고 이 방법을 통하여 연료가스 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화학반응에 의해서 제거 가능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 촉매제의 제조 방법은, 제철소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아연 분말을 20 중량%이하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 분말 100중량부에 질산은 분말 3 중량부 이상을 수용성 바인더와 함께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건조된 펠렛을 환원함으로써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반응 촉매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코크스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COG 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및 LPG등의 연료가스중에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철소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을 마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밀스케일 분말은 200Mesh 이하로 분쇄된 분말을 사용하며, 그 주된 화학 조성을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 T-Fe CaO SiO2 Al2O3 MgO MnO 비고
함량(%) 66-72 0.1-0.28 0.2-0.5 0.1-0.4 0.1이하 0.15-0.3 K2O+Na2O 0.1%
이하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아연 분말을 20 중량%이하로 혼합한다. 이러한 산화아연의 혼합비율이 20중량% 이상인 경우 황화아연 제거율이 급격히 좋아지며 50중량%에 이르면 그 효과는 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화아연의 첨가량을 전체 혼합물에 대한 중량%로, 20~50% 범위로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그 혼합비율이 20중량% 미만이면 소망하는 황화수소 제거율을 달성할 수가 없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혼합된 혼합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질산은 분말 3중량부 이상을 수용성 바인더와 함께 첨가한 후에 펠렛을 제조한다. 질산은은 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황화수소 제거율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3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황화수소 제거율이 90%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성 바인더로 잘알려진 유기성 바인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PVA(폴리비닐알콜) 또는 CMC(카르복실메틸셀루로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펠렛은 통상적인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제조된 펠렛은 이어 건조된다.
후속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된 펠렛을 환원함으로써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반응 촉매제를 제조한다. 즉, 상기 제조된 펠렛을 환원로에 장입한 후, 환원 처리함으로써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반응 촉매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원열처리 온도 범위를 800~1000℃로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열처리 온도가 증가하면 환원된 금속이온의 효과가 증가하여 황화수와 반응에 유리하나, 너무 고온이면 그 효과가 포화되므로 800℃이상, 바람직하게는 800~1000℃에서 환원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제조된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본 발명의 반응 촉매제는 연료가스 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화학반응에 의해서 제거함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COG의 정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반응촉매를 이용하여 연료가스 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화학반응에 의해서 제거함에 고려될 수 있는 화학반응은 반응식과 같다
[활성화된 Fe 성분]
FeO + H2S →FeS + H2O
Fe + H2S →FeS + H2
즉, 황화수소 중의 수소이온이 FeO와 반응하여 물분자를 생성하고, 이중의 황이온 전기적으로 안정한 원소황 상태로 산화되어 연료가스 중에 황화수소를 황화철의 고체로 석출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Fe가 황화수소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며 안정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명은 아래의 할성화된 아연과 은의 경우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활성화된 Zn성분]
ZnO + H2S →ZnS + H2O
Zn+ H2S →ZnS + H2
[활성화된 Ag성분]
2Ag + H2S →Ag2S + H2
상술한 반응을 통하여 COG중에 함유된 황화수소 가스를 아연, 철 및 은과 반응시켜 황화아연, 황화철 및 황화은을 형성하여 COG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험 1
본 실험에서는 200메쉬이하로 분쇄한 열연 밀스케일 분말과 산화아연을 각각 중량%로 50:50으로 혼합한 후, 여기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직경 4-5mm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 펠렛을 환원로에서 800℃에서 열처리한 시료를 반응시험기에 장착시켰으며, 이때, 상기 반응기는 100mm 원통에 높이 200mm를 가졌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 입구에 황화수소 농도 0.75mg/Nm3를 포함한 연료가스, 즉, 코크오븐 가스를 그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밀스케일과 산화아연을 각각 중량%로 50:50으로 혼합한 성형 펠렛 4-5mm을 사용하고, 연료 가스유량을 100ml/min에서 500ml/min사이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반응 후의 연료가스를 가스분석기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황화수소 함량을 측정하여 반응제거율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00 ml/min 이상에서는 반응제거율이 80%이하를 유지하고 공급 유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제거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밀스케일과 산화아연의 동일 중량비에 대해서 실시한 결과지만 촉매의 반응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가스 중 황화수소 제거효율이 80%를 상회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COG중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데 가스 유량 400ml미만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건임을 알 수 있다.
실험 2
본 실험에서는 실험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시료를 열처리 온도에 따라서 COG중의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환원열처리 조건은 600℃에서 900℃까지 실시하였으며, 실험 1의 조건인 COG 400ml를 공급시의 황화수소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를 제거율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원 열처리 온도가 증가하면 환원된 금속이온의 효과가 증가하여 황화수와 반응에 유리한 것으로 파악되나, 무조건 높을 이유는 없다고 보이므로 800℃이상에서 환원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건임을 알 수 있다.
실험 3
본 실험에서는 실험 1의 밀스케일과 산화아연의 함량을 50:50첨가하여 사용한 것과는 달리, 산화아연 첨가량을 10에서 60중량%까지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여 제조된 펠렛을 800℃에서 환원 열처리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험 1과 같이 입구에 황화수소 농도 0.75mg/Nm3를 포함한 연료가스를 400ml를 공급 시 황화수소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를 제거율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OG중의 황화수소 제거효과가 산화아연 혼합율이 20중량% 이상에서는 제거율 80%이상으로 본 발명의 조건에 해당하지만 20중량% 미만인 10중량%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산화아연을 혼합 시 그 첨가량을 20중량% 이상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그 첨가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황화수소 제거 효과가 포화되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 범위로 첨가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 4
본 실험에서는 200메쉬 이하로 분쇄한 열연 밀스케일 분말과 산화아연을 각각 중량%로 50:50으로 혼합한 후, 이에 바인더를 포함시켜 펠렛 직경 4-5mm의 펠렛을 제조 시, 질산은 수용액을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질산은 첨가량을 산화아연과 열연 밀스케일 혼합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3중량부, 5중량부, 7중량부 및 9중량부로 변화시켜 제어하여 펠렛을 각각 제조한 후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된 펠렛을 800℃에서 환원열처리하여 시료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실험 1과 같이 입구에 황화수소 농도 0.75mg/Nm3를 포함한 연료가스를 400ml를 공급 시 황화수소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를 제거율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산은을 첨가하고 제조한 반응 촉매제는 황화수소 제거효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3 중량부 이상 첨가시에는 제거율이 90%이상을 보이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제거율 또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질산은 첨가량 3중량부 이상이 적정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제철소 열연공정에서 발생하는 밀스케일 분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밀스케일 분말에 산화아연 분말을 20 중량%이하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질산은 분말 3 중량부 이상을 수용성 바인더와 함께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건조된 펠렛을 환원함으로써 Fe, Zn 및 Ag성분이 활성화된 반응 촉매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의 첨가량을 20~50중량% 범위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PVA 또는 CM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시, 환원 열처리 온도는 800~10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의 제조 방법.
KR1020180160378A 2018-12-12 2018-12-12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KR10211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78A KR102119503B1 (ko) 2018-12-12 2018-12-12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78A KR102119503B1 (ko) 2018-12-12 2018-12-12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503B1 true KR102119503B1 (ko) 2020-06-16

Family

ID=7114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378A KR102119503B1 (ko) 2018-12-12 2018-12-12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50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205A (ja) * 1996-06-12 2000-09-19 プロジェクト アース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酸接触増強吸着剤および/または触媒ならびにバインダー系
KR20020016136A (ko) 2000-08-24 2002-03-04 이구택 코크스 오븐 가스의 황화수소 제거 방법
KR20020088688A (ko) 2001-05-19 2002-11-29 주식회사 포스코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포집 정제공정에 있어안수증류방법
KR100653046B1 (ko) * 2005-12-21 2006-12-01 주식회사 포스코 화학반응 촉매에 의한 황화수소 제거방법
KR20070086488A (ko) * 2004-12-24 2007-08-2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황 화합물 함유 연료유용 탈황제 및 연료 전지용수소의 제조 방법
KR20080035162A (ko) * 2006-10-18 2008-04-23 세연에스앤알 주식회사 산화철과 산화아연이 함유된 물질로부터 선철 및조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67856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오븐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 제거용 아연페라이트촉매의 제조방법
KR20140031535A (ko) * 2012-09-04 2014-03-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오븐 가스에 함유된 산성가스 제거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205A (ja) * 1996-06-12 2000-09-19 プロジェクト アース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酸接触増強吸着剤および/または触媒ならびにバインダー系
KR20020016136A (ko) 2000-08-24 2002-03-04 이구택 코크스 오븐 가스의 황화수소 제거 방법
KR20020088688A (ko) 2001-05-19 2002-11-29 주식회사 포스코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포집 정제공정에 있어안수증류방법
KR20070086488A (ko) * 2004-12-24 2007-08-2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황 화합물 함유 연료유용 탈황제 및 연료 전지용수소의 제조 방법
KR100653046B1 (ko) * 2005-12-21 2006-12-01 주식회사 포스코 화학반응 촉매에 의한 황화수소 제거방법
KR20080035162A (ko) * 2006-10-18 2008-04-23 세연에스앤알 주식회사 산화철과 산화아연이 함유된 물질로부터 선철 및조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67856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오븐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 제거용 아연페라이트촉매의 제조방법
KR20140031535A (ko) * 2012-09-04 2014-03-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오븐 가스에 함유된 산성가스 제거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Improved low temperature NH 3-SCR performance of FeMnTiO x mixed oxide with CTAB-assisted synthesis
CN102824844B (zh) 一种脱硫脱硝剂、制备方法及其用途
CN104096585B (zh) 低温催化氧化二氧化硫的炭基脱硫催化剂及其制备与应用
JP2012245444A (ja) 焼結炉排ガスの脱硫・脱硝方法
CN100528345C (zh) 脱硝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1351317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및 제철 부생가스를 이용한 환원가스의 제조방법
CN102989301A (zh) 烟气湿式还原一体化脱硫脱硝及无害处理和资源利用方法
US4091076A (en) Method of removing sulfur emissions from a fluidized-bed combustion process
CN103566728A (zh) 用于烟气脱硫脱氮的设备
CN114377541A (zh) 一种低温脱硫剂的制备方法
CN102824836A (zh) 烟气湿式氧化一体化脱硫脱硝及资源化利用方法
KR100961394B1 (ko) 코크오븐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 제거용 아연페라이트촉매의 제조방법
JP2009137795A (ja) 酸化ニッケルの製造方法
KR102119503B1 (ko) Cog 중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반응촉매제 제조 방법
CN100509141C (zh) 一种药剂活化法制备活性炭基材料so2吸附剂的方法
KR100653046B1 (ko) 화학반응 촉매에 의한 황화수소 제거방법
CN102836634B (zh) 一种脱硫脱硝的方法
CN106268283B (zh) 水泥窑烟气脱除重金属和硫硝污染物及资源化利用的方法
KR101403805B1 (ko) 코크 오븐 가스에 함유된 산성가스 제거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31252B (zh) 一种用于氟化氢生产的金属氧化物负载含硼硅酚醛树脂基活性炭尾气脱硫剂的生产工艺
CN102989466A (zh) 一种还原法烟气脱硫脱硝催化剂及其应用
CN113996345B (zh) 一种脱硫催化剂、高炉煤气脱硫系统及脱硫方法
CN114042434A (zh) 一种用于回转窑的尾气脱硫剂及其制备方法
CN101455936B (zh) 一种基于热炭还原的烟气脱硫方法
CN108034459B (zh) 一种硅胶改性脱硫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