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972B1 -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972B1
KR102118972B1 KR1020180111362A KR20180111362A KR102118972B1 KR 102118972 B1 KR102118972 B1 KR 102118972B1 KR 1020180111362 A KR1020180111362 A KR 1020180111362A KR 20180111362 A KR20180111362 A KR 20180111362A KR 102118972 B1 KR102118972 B1 KR 10211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intermittent
screw shaft
fix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396A (ko
Inventor
임효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메이션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메이션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메이션투
Priority to KR102018011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9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부에 의해 수평이동과 수직부에 의해 수직이동을 통해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구성하지 않고 기구적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단가를 저하시키면서 단순한 구조적 구성에 따른 유지보수가 원활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면에 모니터를 설치,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모니터 거치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10)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의 일단측에 구성되는 이동브라켓(20); 및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일단측에 구성되고 타단면에 모니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브라켓(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10)과 이동브라켓(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브라켓(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평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브라켓(20)과 제2고정브라켓(3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직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Monitor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부에 의해 수평이동과 수직부에 의해 수직이동을 통해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구성하지 않고 기구적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단가를 저하시키면서 단순한 구조적 구성에 따른 유지보수가 원활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 또는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또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브라운관 방식, 즉 CRT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상기 CRT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는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책상과 같은 설치면 상에 별도의 스탠드를 매개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CRT방식에서 벗어나 LCD나 PDP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전환되면서 그 두께가 혁신적으로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전체 무게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러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는 벽걸이 방식이나 스탠드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를 스탠드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평판디스플레이장치는 넥부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스탠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넥부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부에 또는 배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넥부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설치면에 분산시켜,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면에 직립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다르게, 평판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평판디스플레이장치를 자착하여 사용한다.
평판디스플레이장치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부여하기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스탠드 방식이나 벽걸이 방식 모두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본체의 좌우회전에 따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벽걸이 방식의 경우, 벽면에서 일정간격 돌출되어 거치되거나, 또는 스탠드 방식의 경우 스탠드를 거치시키는 용도의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거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V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스위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탠드 방식 또는 벽걸이 방식의 구성요소는 더욱 복잡해지고, 거치대의 부피 역시 증가하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벽걸이방식은 벽에 일단 고정되면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정면에서 보지 않고 측면이나 디스플레이의 설치 위치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에서 보는 경우에 왜곡된 화면을 보거나 또는 보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는 목을 돌리거나 자세가 바르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 제10-911651호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대 회전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브래킷(12)에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대(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브래킷(12)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2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제1정역회전모터(23)와, 상기 제1정역회전모터(23)의 회전력이 제1동력전달부재(25)를 거쳐 전달되면 브래킷(12)의 배면에 구성된 제1종동체(31)와 면접촉하면서 브래킷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1캠(30)을 포함하는 좌우회전장치(20)와, 상기 브래킷(12)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디스플레이 거치대(14)와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대(41)와, 상기 브래킷(12)과 디스플레이 거치대(14)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2)와, 상기 브레킷(12)에 고정되는 제2정역회전모터(43)와, 상기 제2정역회전모터(43)의 회전력이 제2동력전달부재(45)를 거쳐 전달되면 디스플레이 거치대(14)의 배면에 구성된 제2종동체(51)와 면접촉하면서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제2캠(50)을 포함하는 상하회전장치(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벽걸이형 거치대는 구성관계가 복잡함에 제조단가가 높고, 이로 인해 제품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PC방과 같이 모니터를 대단위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고가(高價)의 벽걸이형 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47018호(2018.05.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51977호(2017.05.12.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563871호(2015.10.28.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부에 의해 수평이동과 수직부에 의해 수직이동을 통해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구성하지 않고 기구적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단가를 저하시키면서 단순한 구조적 구성에 따른 유지보수가 원활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모니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모니터를 설치,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모니터 거치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일단측에 구성되는 이동브라켓; 및 상기 이동브라켓의 일단측에 구성되고 타단면에 모니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이동브라켓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브라켓과 제2고정브라켓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직부는, 수평의 길이방향에 구비되고 나선이 형성된 제1나사축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일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나사축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지지하우징과; 상기 이동브라켓의 일단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나사축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제1나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체가 구성된 제2지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평부에는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수평이동이 불가하도록 단속하는 제1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속부는 상기 제1지지하우징의 회전체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을 단속시키는 단속핀과; 상기 단속핀의 일단에 링크결합되어 상기 단속핀의 단속 또는 해제 작용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제1회동링크와; 상기 제1회동링크의 타측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이 제1고정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밀림력을 작용받아 상기 제1회동링크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제1밀대; 및 상기 제1밀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밀대에 밀림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원위치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직부는, 수직의 길이방향에 구비되고 나선이 형성된 제2나사축과; 상기 제2나사축과 나사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일단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나사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브라켓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4지지하우징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나사축이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지지하우징과; 상기 제2나사축의 일단에 구성되어 회전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수평의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직부에는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수직이동이 불가하도록 단속하는 제2단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속부는 상기 방향전환부의 일측에 치합되어 단속 및 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동에 의해 상기 스톱퍼의 단속 또는 해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회동링크와; 상기 제2회동링크의 일단에 링크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링크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밀림력을 제공하는 제2밀대; 및 상기 제2밀대의 일측에 구성되어, 밀림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2밀대가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부에 의해 수평이동과 수직부에 의해 수직이동을 통해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구성하지 않고 기구적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단가를 저하시키면서 단순한 구조적 구성에 따른 유지보수가 원활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의 결합상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의 작용상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의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니터 거치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종인 모니터를 벽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모니터를 상, 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 거치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브라켓(10)과, 이동브라켓(20), 및 제2고정브라켓(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은 벽면에 고정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에는 모니터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평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110)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에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을 기준으로 이동브라켓(20)이 수평 즉,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평부(110)는 제1나사축(112)과, 제1 및 제2지지하우징(114)(1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나사축(112)은 수평방향으로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하우징(114)은 상기 제1나사축(112)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제1나사축(112)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하우징(114)은 제1고정브라켓(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하우징(114)은 상기 제1나사축(112)이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나사축(112)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2지지하우징(116)은 상기 제1나사축(1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나사축(112)의 나선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하우징(116)은 이동브라켓(20)의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하우징(116)에는 상기 제1나사축(1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나사축(112)에 형성된 나선을 따라 제자리 회전을 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체(116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브라켓(20)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일측에 구성된 제2지지하우징(116)이 상기 제1나사축(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부(110)는 제1고정브라켓(10)에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부(10)는 볼스크류방식 또는 LM 가이드방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110)에는 상기 제2지지하우징(116)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1단속부(118)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단속부(118)는 사용자가의 임의 이송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위치되면, 임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속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속부(118)는 단속핀(1182)과, 제1회동링크(1184), 및 제1밀대(1186)를 포함한다.
상기 단속핀(1182)은 상기 제2지지하우징(116)의 일측에 구성되고, 승강작용을 하면서, 상승시 상기 제2지지하우징(116)에 구성된 회전체(1162)의 일측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1162)가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나사축(112)을 따라 이송되는 것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회동링크(1184)는 상기 단속핀(1182)의 일측에 링크결합으로 연결되어, 제1밀대(1186)의 밀림력을 제공받아 상승된 상기 단속핀(1182)을 하강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밀대(1186)는 상기 제1회동링크(1184)의 일측에 일단이 링크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밀림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길이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밀대(1186)의 일측에는 사용자에서 제공되는 밀림력이 해제되면, 탄성 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1밀대(1186)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118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속부(118)는 제1고정브라켓(10)의 일측에 위치한 제1밀대(1186)를 밀면, 상기 제1밀대(1186)의 일단에 링크결합된 제1회동링크(1184)를 일측으로 회동시키고, 이때, 상기 제1밀대(1186)의 일측에 구성된 제1스프링(1188)이 압축된다.
이어서, 상기 제1회동링크(1184)이 회동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1184)의 일측에 링크결합된 단속핀(1182)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단속핀(1182)에 의해 단속된 회전체(1162)에 단속력이 해제됨으로써, 이동브라켓(20)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수평 이동을 완료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1밀대(1186)에 작용하였던 밀림력을 해제하고, 이때, 상기 제1밀대(1186)의 일측에 압축된 제1스프링(1188)이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1밀대(1186)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밀대(1186)의 원위치 복귀에 의해 역순방향으로 상기 제1회동링크(1184) 및 단속핀(1182)의 원위치 복귀되면서, 상기 단속핀(1182)이 상승함으로써, 상기 단속핀(1182)에 의해 제2지지하우징(116)의 회전체(1162)를 단속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브라켓(20)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에 구성된 수평부(11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제2고정브라켓(30)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브라켓(20)은 일면에 제2지지하우징(116)이 구성되고, 타면에 수직부(210)가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210)는 상기 이동브라켓(20)의 타면에 구성되어 제2고정브라켓(30)이 상, 하의 수직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직부(210)는 제2나사축(212)과, 제3지지하우징(214)과, 방향전환부(216)와, 회전축(218) 및 회전노브(219)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나사축(212)은 상기 이동브라켓(20)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제3지지하우징(214)은 상기 제2나사축(212)의 양단 또는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2나사축(212)이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향전환부(216)는 상기 제2나사축(212)의 일단에 구성되어, 수평방향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제2나사축(212)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방향전환부(216)는 베벨기어 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18)은 상기 방향전환부(216)의 일측에 구성되어 수평방향의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노브(219)는 상기 회전축(218)의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외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축(218)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210)에는 상기 제2나사축(212)이 삽입되고, 일단이 제2고정브라켓(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2나사축(212)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이동브라켓(30)이 상, 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4지지하우징(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4지지하우징(213)은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의 일면에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2나사축(212)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나사축(21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고정브라켓(30)이 승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부(210)는 이동브라켓(20)의 외측에 구성된 회전노브(219)를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노브(219)에 일단이 고정된 회전축(218)이 회전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218)의 타단에 구성된 방향전환부(216)가 수평의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회전력을 전환시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216)의 타측에 구성된 제2나사축(212)이 상기 방향전환부(216)를 통해 제공되는 수직방향의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고, 이때, 상기 제2나사축(212)에 일측에 삽입된 제4지지하우징(213)이 상기 제2나사축(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제4지지하우징(213)의 일단에 고정된 제2고정브라켓(3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브라켓(20)에는 상기 수직부(210)가 상기 제2고정브라켓(300)에 고정된 모니터의 자중에 의해 임의 하강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단속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속부(220)는 스톱퍼(222)와, 제2회동링크(224)와, 제2밀대(226)와, 노브(228) 및 제2스프링(229)를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222)는 상기 방향전환부(216)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방향전환부(216)가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스톱퍼(222)는 상기 방향전환부(216)가 베벨기어로 구성될 경우, 상기 베벨기어의 기어치 일부와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베벨기어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222)의 중앙에는 힌지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회동링크(224)는 상기 스톱퍼(222)의 일측과 링크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222)를 일정각도 회동시켜 방향전환부(216)의 단속 또는 해제되도록 회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2회동링크(224)의 중앙에는 힌지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한다.
상기 제2밀대(226)는 상기 제2회동링크(224)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이동브라켓(20)의 외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밀대(226)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밀림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밀대(226)가 자동으로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제2스프링(229)이 구성된다.
상기 노브(228)는 상기 제2밀대(226)의 끝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제2밀대(226)에 밀림력을 작용할 때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단속부(220)는 사용자가 노브(228)를 통해 제2밀대(226)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2밀대(226)의 밀림력에 의해 제2회동링크(224)가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동링크(224)와 일측이 링크 결합된 스톱퍼(222)가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톱퍼(222)에 의해 일측이 단속된 수직부(210)의 방향전환부(216)에 단속이 해제되어 상기 수직부(210)에 의한 승강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사용자의 밀림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2밀대(226)의 일측에 구성된 제2스프링(229)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2밀대(226)가 원위치 복귀되면서 단속이 해제된 방향전환부(216)의 일측에 스톱퍼(222)가 치합됨에 따라 상기 방향전환부(216)에 단속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수직부(210)에 의한 승강작용이 단속되어 임의 승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브라켓(20)에는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이 수직부(210)에 의해 승강작용이 이루어질 때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은 일단에 모니터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브라켓(20)에 구성된 수직부(210)의 작용에 의해 승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의 타단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안내홈(230)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230)을 따라 승강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안내돌기(32)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니터 거치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고정브라켓(10)에 구성된 수평부(110)에 이동브라켓(20)의 일단면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20)의 타단면에 구성된 수직부(210)에 제2고정브라켓(30)의 일단면이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의 타단면에 모니터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에 모니터의 고정은 거치식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한 체결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은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앙카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확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사용자가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도록 한다.
예컨대, 모니터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제1고정브라켓(10)에 구성된 수평부(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평부(110)의 제1단속부(118)를 통해 단속상태를 해제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제1단속부(118)의 제1밀대(1186)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1밀대(1186)의 일단에 연결된 제1회동링크(1184)가 링크 회동되고 이와 더불어 제1회동링크(1184)와 링크 결합된 단속핀(1182)이 하강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단속핀(1182)에 의해 단속된 제2지지하우징(116)의 회전체(1162)의 단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속부(118)의 제1밀대(1186)를 일측으로 민 상태에서, 모니터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브라켓(20)의 일단면에 고정된 제2지지하우징(116)이 제1고정브라켓(10)의 제1나사축(112)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이 이루어져 모니터에 대한 수평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에 대한 수평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제1단속부(118)에 제공하였던 밀림력을 해제하면, 제1밀대(1186)의 일측에 구성된 스프링(11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제1회동링크(1184) 및 단속핀(1182)이 원위치 복귀되면서 상기 단속핀(1182)이 제2지지하우징(116)의 회전체(1162)를 단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속핀(1182)의 단속에 의해 상기 회전체(1162)가 단속되면, 모니터에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 이동이 불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브라켓(20)의 일측에 구성된 수직부(210)를 단속하고 있는 제2단속부(220)를 해제한다.
즉, 상기 제2단속부(220)의 제2밀대(226)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2밀대(226)의 일단에 구성된 제2회동링크(224) 및 스톱퍼(222)가 링크 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스톱퍼(222)에 의해 단속된 수직부(210)의 방향전환부(216) 즉, 베벨기어아의 치합이 해제되어, 상기 수직부(210)의 수직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밀대(226)를 민 상태에서, 수직부(210)의 회전노브(21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노브(219)에 고정된 회전축(218)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218)의 일단에 구성된 방향전환부(216)를 통해 수평방향의 회전력이 수직방향의 회전력으로 전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216)의 수직방향 회전력에 의해 제2나사축(2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나사축(212)의 일측에 나사체결된 제2고정브라켓(30)의 제4지지하우징(213)이 상기 제2나사축(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이 수직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에 구성된 안내돌기(32)가 이동브라켓(20)에 형성된 안내홈(230)에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수직부(2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고정브라켓(30)의 수직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부(210)에 의해 제2고정브라켓(30)의 수직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제2단속부(220)의 제2밀대(226)에 밀림력을 해제하면, 상기 제2밀대(226)의 일측에 구성된 제2스프링(229)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상기 제2밀대(226)의 일단에 구성된 제2회동링크(224)와 스톱퍼(222)의 링크 회동에 의해 상기 스톱퍼(222)가 원위치 복귀하면서 수직부(210)의 방향전환부(216)를 단속함으로써, 모니터에 수직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 이동이 불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평부에 의해 수평이동과 수직부에 의해 수직이동을 통해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별도의 외부 전원을 구성하지 않고 기구적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단가를 저하시키면서 단순한 구조적 구성에 따른 유지보수가 원활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고정브라켓 110: 수평부
112: 제1나사축 114: 제1지지하우징
116: 제2지지하우징 1162: 회전체
118: 제1단속부 1182: 단속핀
1184: 제1회동링크 1186: 제1밀대
1188: 스프링 20: 이동브라켓
210: 수직부 212: 제2나사축
213: 제4지지하우징 214: 제3지지하우징
216: 방향전환부 218: 회전축
219: 회전노브 220: 제2단속부
222: 스톱퍼 224: 제2회동링크
226: 제2밀대 228: 제2밀대
229: 제2스프링 230: 안내홈
30: 제2고정브라켓 32: 안내돌기

Claims (5)

  1. 벽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10)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의 일단측에 구성되는 이동브라켓(20)과,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일단측에 구성되고 타단면에 모니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브라켓(30)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10)과 이동브라켓(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브라켓(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평부(110)와, 상기 이동브라켓(20)과 제2고정브라켓(3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직부(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210)는, 수직의 길이방향에 구비되고 나선이 형성된 제2나사축(212)과, 상기 제2나사축(212)과 나사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의 일단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나사축(212)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브라켓(30)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4지지하우징(213)과, 상기 이동브라켓(2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나사축(212)이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지지하우징(214)과, 상기 제2나사축(212)의 일단에 구성되어 회전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하는 방향전환부(216)와, 상기 방향전환부(216)의 일측에 구성되어 수평의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218)과, 상기 회전축(218)의 일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18)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노브(219)로 구성된 모니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210)는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수직이동이 불가하도록 단속하는 제2단속부(220) 포함하되;
    상기 제2단속부(220)는 상기 방향전환부(216)의 일측에 치합되어 단속 및 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스톱퍼(222)와;
    상기 스톱퍼(222)의 일측에 링크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동에 의해 상기 스톱퍼(222)의 단속 또는 해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회동링크(224)와;
    상기 제2회동링크(224)의 일단에 링크결합되어 상기 제2회동링크(224)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밀림력을 제공하는 제2밀대(226); 및
    상기 제2밀대(226)의 일측에 구성되어, 밀림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2밀대(226)가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제2스프링(229)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10)는,
    수평의 길이방향에 구비되고 나선이 형성된 제1나사축(112)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10)의 일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나사축(112)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지지하우징(114)과;
    상기 이동브라켓(20)의 일단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나사축(112)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제1나사축(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체(1162)가 구성된 제2지지하우징(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10)에는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수평이동이 불가하도록 단속하는 제1단속부(118)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속부(118)는 상기 제1지지하우징(116)의 회전체(1162)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을 단속시키는 단속핀(1182)과;
    상기 단속핀(1182)의 일단에 링크결합되어 상기 단속핀(1182)의 단속 또는 해제 작용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제1회동링크(1184)와;
    상기 제1회동링크(1184)의 타측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이 제1고정브라켓(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밀림력을 작용받아 상기 제1회동링크(1184)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제1밀대(1186); 및
    상기 제1밀대(1186)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밀대(1186)에 밀림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원위치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제1스프링(118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11362A 2018-09-18 2018-09-18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KR10211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62A KR102118972B1 (ko) 2018-09-18 2018-09-18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62A KR102118972B1 (ko) 2018-09-18 2018-09-18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396A KR20200032396A (ko) 2020-03-26
KR102118972B1 true KR102118972B1 (ko) 2020-06-04

Family

ID=6995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62A KR102118972B1 (ko) 2018-09-18 2018-09-18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9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080A (ja) * 2010-06-03 2011-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被懸架部材の取付装置
JP2014111952A (ja) * 2012-12-05 2014-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送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871B1 (ko) 2013-12-13 2015-10-28 (주)한국랩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2541936B1 (ko) 2015-11-03 2023-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20180047018A (ko) 2016-10-29 2018-05-10 이강영 거리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평면 모니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080A (ja) * 2010-06-03 2011-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被懸架部材の取付装置
JP2014111952A (ja) * 2012-12-05 2014-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396A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8497B2 (en) Flat panel display
KR1002089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의 스탠드형 설치 장치
US8313068B2 (en) Lif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0991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EP1840445A2 (en) Display apparatus
US20070064379A1 (en) Display apparatus
JPWO2003050787A1 (ja) ディスプレイの昇降調整装置
KR20040048472A (ko)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US20070053151A1 (en) Display mounting system
KR1021991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33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50083030A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200441352Y1 (ko) 벽걸이 티브이의 자동 시청각 조절장치
JP2004260819A (ja) 額縁を兼ねる薄型映像設備用フレーム装置
KR102118972B1 (ko)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WO2019029088A1 (zh) 智能平板组件
KR100838592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US2006016461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ing assembly
CN112524417A (zh) 一种多媒体教学装置及教学方法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100549309B1 (ko)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변 벽걸이 장치
KR1016827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US20080164398A1 (en) Display support apparatus
CN201051414Y (zh) 升降旋转机构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