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936B1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936B1
KR102541936B1 KR1020150153761A KR20150153761A KR102541936B1 KR 102541936 B1 KR102541936 B1 KR 102541936B1 KR 1020150153761 A KR1020150153761 A KR 1020150153761A KR 20150153761 A KR20150153761 A KR 20150153761A KR 102541936 B1 KR102541936 B1 KR 10254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isplay body
sliding frame
display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977A (ko
Inventor
김동중
윤성
김성현
전인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9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구비된 제1패턴과, 마더글라스에 구비된 제2패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제1패턴을 촬영한 제1이미지와, 제2패턴을 촬영한 제2이미지를 가지고 각각 선명한 부분만을 합성부에 의해 합성하여 제3이미지를 도출함으로써, 제1패턴과 제2패턴 사이에 초점 거리가 이격 되더라도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정렬 위치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고해상도 FMM을 제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DISPLAY FIXING DEVICE OF WALL MOUNTED TYPE}
본 발명은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본체를 거치할 수 있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 또는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또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운관 방식, 즉 CRT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책상과 같은 설치면 상에 별도의 스탠드를 매개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CRT 방식에서 벗어나 LCD나 PDP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환되면서 그 두께가 혁신적으로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전체 무게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걸이 방식이나 스탠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넥부와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스탠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넥부는 상기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부 또는 배면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넥부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설치면에 분산시켜,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면에 직립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다르게,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기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이용하여, 최근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무관하게 어디에서라도 최적의 시청각도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회전(swivel)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스탠드 방식이나 벽걸이 방식 모두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본체의 좌우 회전에 따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벽걸이 방식의 경우, 벽면에서 일정 간격 돌출되어 거치되거나, 또는 스탠드 방식의 경우 스탠드를 거치시키는 용도의 가구가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거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TV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위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스탠드 방식 또는 벽걸이 방식의 구성요소는 더욱 복잡해지고, 거치대의 부피 역시 증가하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과 디스플레이 본체 사이에 복잡한 구조물 없이 디스플레이 본체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면을 후크에 의해 거치하고,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면을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거치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벽면에 고정하고, 디스플레이 본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벽면 상에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후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걸고, 하부에는 스피커를 지지수단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거치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게다가 벽면에 체결부를 고정하고, 탄성 조립체를 디스플레이 본체의 배면에 복수개 구비하여 샤프트가 돌출되면서 체결부와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본체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와이어 홀더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를 와이어가 관통하면서 천장이나 벽면에 디스플레이 본체를 매다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에 따르면,
첫째, 벽면과 디스플레이 본체의 배면 사이가 밀착되어 별도의 거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둘째, 벽면 상에서 걸거나 매다는 방식, 슬라이딩 방식, 부착방식, 끼우는 방식 등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를 벽면에 밀착시켜 거치하는 과정이 간편하며,
셋째,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벽면에 디스플레이 본체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d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측면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e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f 및 1g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스피커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d는 도 3b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스피커가 결합되는 상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탄성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d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측면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100)는 벽면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본체가 거치되는 후크(110)와, 상기 후크(110) 하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는 완제품의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또는 테블릿PC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본체는 PDP, LCD, LED, OLED 등 두께가 얇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110)는 먼저 디스플레이 본체(10)가 위치할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110)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본체(10)가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후크(110) 상에 거치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면은 상기 지지프레임(1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10)와 함께 지지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디스플레이 본체(10)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에서 절곡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0)과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면은 패스너에 의해 체결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본체(1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후크(110)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배면에 가려지고, 상기 지지판(122)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10) 전방에 위치한 시청자들에게 디스플레이 본체(10)의 거치구조가 드러나지 않는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벽면과 디스플레이 본체(10) 배면 사이에 간격이 없이 벽걸이형으로 거치할 수 있어 거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e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100)는 후크(110)와 지지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이 마련된다.
상기 후크(110)와 지지프레임(120)의 기능은 전기한 바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후크(110)가 벽면에 결합되는 위치가 정해지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위치가 자동 설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벽면에 고정되는 구조가 없어도,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강성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저면을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크(110)와 지지프레임(120) 및 연결프레임(130)이 디스플레이 본체(10) 전방에서 확연히 노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10) 고유의 디자인을 살려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f및 1g는 도 1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f 및 도 1g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는 상부에 후크(110)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상부가 상기 후크(110)에 체결되며, 상기 후크(110) 하측에 지지프레임(120)이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저면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고정판(121)과 지지판(122)이 교차하는 양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부 모서리 부분 측면을 감싸도록 측면 가이드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22)의 단부에서 측면 가이드부재(123) 방향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전면 하단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전면 가이드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123)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양 측면 일부를 차폐하거나 감싸도록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본체(10)가 수평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면 가이드부재(124)는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122) 상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고정판(121)과 지지판(122), 그리고 측면 가이드부재(123)와 전면 가이드부재(12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단부를 수납할 수 있는 포켓구조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단부가 수납될 때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저면에 배치된 버튼이 수납 과정에서 눌리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리모컨 수신률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개방 또는 절개 구조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200)는 얇은 사각 판재 형상의 디스플레이 본체(20)의 제1모서리 부분(21)과, 상기 제1모서리 부분(21)에 대향하는 제2모서리 부분(22)을 안내하여 벽면에 거치시키는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하측 단부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 본체(20)의 제1모서리 부분(21)과 인접한 제3모서리 부분(23)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은 디스플레이 본체(20)의 양 측 모서리 부분, 즉 제1모서리 부분(21)과 제2모서리 부분(22)을 일부 차폐하여 디스플레이 본체(20)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디스플레이 본체(20)의 전면을 일부 차폐하는 포켓부재(211)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 상에서 삽입되어 결합된 디스플레이 본체(20)의 하측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본체(20)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포켓부재(211)는 상기 지지프레임(220) 상에도 돌출되도록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20)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상측 단부에는 커버부(23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의 상단에서 디스플레이 본체(20)의 탈착을 위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20)이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디스플레이 본체(20)가 슬라이딩 결합된 후, 상기 커버부(230)가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10) 상에 결합되면, 디스플레이 본체(20)는 각 구성에 의해 사면이 고정되어 견고하게 벽면 상에 거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스피커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300)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310)과, 상기 상부 프레임(310) 상에서 하방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320)과, 상기 연장 프레임들(320)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연장 프레임(320) 및 하부 프레임(330)은 격자 구조로 배치되어 보다 견고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310)은 배면이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고, 상면에 상향 돌출되는 제1후크(3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후크(311)는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분리되어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311)는 디스플레이 본체(3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31)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본체(30)를 거치하게 된다.
상기 연장 프레임(320)은 한 쌍이 각각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30)을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330)은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마찬가지로 배면이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고, 상면에 상향 돌출되는 제2후크(3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후크(331)는 별도 구비되는 스피커(34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크(331)는 상기 스피커(340)가 결합된 후, 상기 스피커(340)의 상면이 디스플레이 본체(3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340)의 배면에는 상기 제2후크(331)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체결홈(341)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본체(30)는 상기 제1후크(311)에 먼저 거치되면서 하방으로 장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피커(34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본체(30)의 저면이 접촉하면서 거치가 완료된다.
상기 스피커(340)는 디스플레이 본체(30)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연동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며, 벽면에 밀착하여 거치된 디스플레이 본체(30)에 음성신호의 출력을 강화시켜주는 효과를 수반한다.
도 3d는 도 3b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스피커가 결합되는 상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에서는 하부 프레임(330)과 스피커(350)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연장 프레임(320)의 구조는 동일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330) 상면에는 슬라이딩 프레임(351)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350)의 배면에는 슬라이딩 홈(3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351)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스피커(350)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 홈(352)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351)이 삽입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351)과 슬라이딩 홈(352)이 결합되면 보다 견고한 디스플레이 본체(30)의 지지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 프레임(330)과 스피커(350)의 결합방향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계변경 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400)는 수평방향을 따라서 길게 벽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과,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과 나란히 벽면에 고정되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과,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 또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 상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본체(40)가 슬라이딩 결합 시 구름 운동하는 롤러(4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누구나 간편하게 디스플레이 본체(40)를 벽면 상에 거치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40)의 규모나 하중에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프레임과 나란히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이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40)의 원활한 거치가 가능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 또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1)와, 상기 고정부재(41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벽면 상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결합부재(4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본체(40)의 배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이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 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이 삽입되는 제2슬라이딩 홈(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 홈(41) 또는 제2슬라이딩 홈(42) 내부에는 상기 롤러(430)와 접촉하는 접촉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430)의 구름운동에 간섭되도록 구름 방지홈(43)이 형성된다.
상기 구름 방지홈(43)은 상기 제1슬라이딩 홈(41) 또는 제2슬라이딩 홈(42)과 같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롤러(430)의 곡면 보다 적어도 같거나 큰 라운드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슬라이딩 홈(41) 또는 제2슬라이딩 홈(42) 보다 상부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평면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본체(40)의 결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롤러(430)가 구름 방지홈(43)에 삽입되어 더 이상 슬라이딩 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본체(40)가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 상에서 고정되어야 하는 위치를 설정하고, 불필요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 홈(41) 또는 제2슬라이딩 홈(42) 주변에는 상기 지1슬라이딩 프레임(410) 또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결합턱(4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44)은 상기 결합부재(412)와 고정부재(411)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재(412)로부터 디스플레이 본체(4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간섭된다.
보다 상세하게 이들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과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이 벽면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40)가 슬라이딩 결합되면,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과 제1슬라이딩 홈(41)의 내부 상면이 먼저 마찰이 시작되고, 곧 이어 상기 롤러(430)가 상기 제1슬라이딩 홈(41) 내부 상면에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하여 디스플레이 본체(40)의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 상에 구비된 다른 롤러(430)에 접촉하면서 온전히 구름 운동으로만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진다. 결합이 완료될 무렵에 즉,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10)과 제2슬라이딩 프레임(420)이 각각 제1슬라이딩 홈(41)과 제2슬라이딩 홈(42)에 완전 삽입이 완료될 즈음하여 상기 롤러(430)는 상기 제1슬라이딩 홈(41)과 제2슬라이딩 홈(42)에 각각 형성된 구름 방지홈(43)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결합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결합턱(44)은 결합부재(412)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40)가 벽면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가 완료된다.
다시 디스플레이 본체(40)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본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 작동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450)는 제1슬라이딩 프레임(460)과 제2슬라이딩 프레임(470)이 전기한 방식과 반대로 벽면 상에 결합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본체(45)에 형성된 제1슬라이딩 홈(46)과 제2슬라이딩 홈(47)이 처음부터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60) 또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470)과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 방식과 달리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서로 결합하여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본체(45)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60)과 제2슬라이딩 프레임(470) 사이에는 벽면 상에 제1후크(4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45)의 배면에는 상기 제1후크(480)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간섭되는 제2후크(48)가 마련된다. 상기 제1후크(480)와 제2후크(48)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460)과 제2슬라이딩 프레임(470) 상에 디스플레이 본체(45)가 완전 결합되면, 상기 제1후크(480)와 제2후크(48)가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본체(45)가 벽면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1후크(480)에는 제1돌기(481)가 돌출되고, 제2후크(48)에는 상기 제1돌기(481)와 마주하도록 돌출되는 제2돌기(49)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후크(480)와 제2후크(48)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1돌기(481)와 제2돌기(49)의 마찰에 의해 디스플레이 본체(45)의 거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480)와 제2후크(48)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제1돌기(481)와 제2돌기(49)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마찰력을 극대화 시키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탄성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500)는 벽면 상에 나란히 고정되는 복수개의 체결부(510)와, 상기 체결부(510)들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본체(50)를 거치하는 탄성 조립체(52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510)는 벽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511)와, 상기 고정부재(511)로부터 벽면 외측으로 노출되고, 통공(513)이 구비되는 걸이부재(5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공(513)은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체결부(510)는 하나의 체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체결부에 형성된 통공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가상의 연장선 상에 동일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탄성 조립체(520)는 상기 통공(513)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직선 왕복운동 하는 샤프트(521)와, 상기 샤프트(521)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523)이 내부에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본체(50)의 양 단부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하우징(522)과, 상기 하우징(522) 내부에서 상기 샤프트(521) 외주면에 결합되어 샤프트(521)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22) 상에서 상기 샤프트(521)의 일 단부는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521)는 하우징(522) 내부로 밀어 넣었을 때 탄력적으로 출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 조립체(520)는 디스플레이 본체(50)의 상단 양 측에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양 측과, 하단 양 측에 각각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벽면에 상기 체결부(510)를 고정하고, 각 통공(513)의 위치를 조절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본체(50)의 상단 좌측의 탄성 조립체(520)를 상기 체결부(510)에 결합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50)의 상단 우측의 탄성 조립체를 상기 샤프트를 밀어 넣어서 상기 체결부의 통공에 체결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본체(50)의 하단 좌측 또는 우측의 탄성 조립체의 샤프트를 밀어 넣고 각각 양 측의 상기 체결부 통공에 체결하여 디스플레이 본체의 거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510)의 외관이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의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방법이 간단하여 혼자서도 디스플레이 본체(50)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c는 도 6b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600)는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홀더(610)와, 상기 와이어 홀더(610)에 각 양 단부가 결합되되, 중간에 디스플레이 본체(60) 내부를 통과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620)와, 디스플레이 본체(60)의 배면에 배치되어 벽면과 디스플레이 본체(60) 사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홀더(610)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가 용이하고, 와이어(620)를 간편하게 연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홀더(610)는 벽면 상에 나란히 한 쌍이 결합되어 와이어(620)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와이어(620)는 디스플레이 본체(6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미들 캐비닛(61)에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본체(6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표시부가 위치하고, 배면에 백커버(63)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미들 캐비닛(61)은 디스플레이 본체(60)의 배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62)은 디스플레이 본체(60)의 상면에서 상기 와이어 홀더(6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통시켜 상기 와이어(620)가 상기 관통홀(62)을 지나 상기 와이어 홀더(6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벽면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 홀더(610)에 와이어(620)만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6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본체의(60)거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30)는 자성체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본체(60)의 배면을 벽면 상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와이어(620)에 의해 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630)에 의해 고정되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안전하게 디스플레이 본체(60)를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본체(60)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본체(60)를 거치할 수 있는 벽면이 디스플레이 본체를 거치하기에 마땅치 않을 때, 천장이나 천장이 인접한 벽면에 디스플레이 본체(60)를 연결하여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에 나타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700)는 벽면 상에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걸림턱(710)과, 디스플레이 본체(7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7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721)이 구비되며,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본체(70)를 거치시키는 결합패널(720)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710)은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랜지부재(7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721)은 상기 플랜지부재(711)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 홈(722)과, 상기 제1슬라이딩 홈(722)의 일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 홈(7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딩 홈(722)과 제2슬라이딩 홈(723)은 서로 연통하며 외부에 노출된다. 다만 상기 플랜지부재(711)가 상기 제1슬라이딩 홈(722)에 삽입되고,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 홈(722)과 제2슬라이딩 홈(723) 사이에 위치했을 때는 상기 결합홈(721)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는 상기 제2슬라이딩 홈(723)은 상기 플랜지부재(711)가 상기 제2슬라이딩 홈(723) 내부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재(711)의 상면을 간섭하는 간섭부재(724)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710)은 상기 결합홈(721)에 삽입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 홈(722)에서 제2슬라이딩 홈(723) 방향으로 상기 결합패널(720)이 이동하면서 상기 간섭부재(724)에 의해 탈거가 방지되고, 이때 상기 제1슬라이딩 홈(722)의 일 단부 끝에 상기 플랜지부재(711)가 위치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본체(7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딩 홈(723) 내부에 상기 플랜지부재(711)가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패널(720)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패널(720)이 상기 걸림턱(710) 상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디스플레이 본체(70)를 벽면 상에 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710)과 결합홈(721)의 개수 또는 간격은 다양한 패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700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10 : 후크 120 : 지지프레임
130 : 연결프레임 210 : 슬라이딩 프레임
220 : 지지프레임 230 : 커버부
310 : 상부 프레임 320 : 연장 프레임
330 : 하부 프레임 340, 350 : 스피커
410, 460 : 제1슬라이딩 프레임 420, 470 : 제2슬라이딩 프레임
430 : 롤러 480 : 제1돌기
510 : 체결부 520 : 탄성 조립체
610 : 와이어 홀더 620 : 와이어
630 : 고정부재 710 : 걸림턱
720 : 결합패널 10~70 : 디스플레이 본체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벽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제1슬라이딩 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의 하측에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기 제1슬라이딩 홈 하측에 구비된 제2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
    디스플레이 본체에 구비된 제1슬라이딩 홈 또는 제2슬라이딩 홈에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 또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이 결합 시,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 상면과 제1슬라이딩 홈과의 접촉면 사이 또는 상기 제2슬라이딩 프레임 상면과 제2슬라이딩 홈과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어 구름운동 하는 제1 롤러 또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롤러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프레임 또는 상기 제2슬라이딩 프레임 각각에 고정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홈 또는 상기 제1슬라이딩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의 구름운동에 간섭되도록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와 제1슬라이딩 홈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의 접촉면에 구비된 구름 방지홈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벽면 상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본체는 상기 결합부재 상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 홈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홈 주변에 돌출되는 결합턱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3. 삭제
  14. 벽면 상에 수평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제1슬라이딩 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의 하측에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본체를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과 함께 슬라이딩 결합하는 제2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제1슬라이딩 프레임과 제2슬라이딩 프레임 사이에서 벽면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본체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제2 후크의 제2 돌기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제1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의 마찰에 의해 디스플레이 본체의 거치가 완료되며,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5. 벽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벽면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벽면 외측으로 노출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구비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디스플레이 본체의 배면 상에서 적어도 상단 모서리 양 측에 구비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의 통공에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본체를 벽면 상에 고정하는 탄성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조립체는,
    상기 통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직선 왕복 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고, 간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일 단부가 상시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6. 삭제
  17. 벽면 상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홀더;
    하나의 상기 와이어 홀더에 일 단부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미들 캐비넷 내부에 마련된 관통홀을 지나 다른 하나의 상기 와이어 홀더에 타 단부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본체를 거치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디스플레이 본체의 배면 사이에 구비되어 벽면 상에 디스플레이 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50153761A 2015-11-03 2015-11-03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254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61A KR102541936B1 (ko) 2015-11-03 2015-11-03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61A KR102541936B1 (ko) 2015-11-03 2015-11-03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77A KR20170051977A (ko) 2017-05-12
KR102541936B1 true KR102541936B1 (ko) 2023-06-09

Family

ID=5874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61A KR102541936B1 (ko) 2015-11-03 2015-11-03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72B1 (ko) 2018-09-18 2020-06-04 주식회사 포메이션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모니터 거치장치
KR102039143B1 (ko) * 2019-09-26 2019-10-31 이영경 패널 착탈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착탈장치
KR20220060390A (ko) * 2020-11-04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KR102339994B1 (ko) * 2021-11-05 2021-12-16 딥스원테크(주) 영상기기가 설치되는 칠판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670U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차량의 패시어 패널에 구비된 액정 티브이 고정장치
KR19990016629U (ko) * 1997-10-29 1999-05-25 전주범 모니터용 외장스피커 장착구조
KR100867108B1 (ko) * 2002-09-19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설치장치용 지그
KR20100007682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100047751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
KR100979709B1 (ko) * 2009-02-09 2010-09-15 (주) 디토스 디스플레이기기 이송장치
KR101087056B1 (ko) * 2009-12-22 2011-11-25 주식회사 토비스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KR20120127047A (ko) * 2011-05-13 2012-11-21 이준배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77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936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CN105993044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8988616B2 (en) Mounting systems for digital media players
US9057478B2 (en) Monitor supporting module
CA2837945C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76679B1 (ko) 셋톱박스 거치프레임
JP502875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75612A (ko) 몰입식 올인원 pc 시스템
RU2595919C2 (ru) Несущая ра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ее
KR200478172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20100090831A (ko) 디스플레이기기 이송장치
KR102135535B1 (ko) 티비에 장착이 가능한 다기능 거치대
CN111050098A (zh) 一种激光电视
US11300244B2 (en) Display devices
CN209949230U (zh) 一种可调角度的提词设备
KR20140123806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N205584354U (zh) 激光信息中心
WO2018113383A1 (zh) 一种交互智能平板
CN215581359U (zh) 用于电视的摄像头、电视
KR101072387B1 (ko) 평판화상기용 이동스탠드
CN218480366U (zh) 显示器底座固定结构及电视机
CN216982013U (zh) 远程音视频会议管理一体机
WO2012089477A1 (en)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housing
CN210776038U (zh) 一种可避免vr设备屏幕画面撕裂的双屏显示装置
CN213716478U (zh) 一种裸眼立体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