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845B1 -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845B1
KR102118845B1 KR1020200031063A KR20200031063A KR102118845B1 KR 102118845 B1 KR102118845 B1 KR 102118845B1 KR 1020200031063 A KR1020200031063 A KR 1020200031063A KR 20200031063 A KR20200031063 A KR 20200031063A KR 102118845 B1 KR102118845 B1 KR 10211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s
subordinate
flattening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김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배 filed Critical 김근배
Priority to KR102020003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60W60/00256Delive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60W30/165Automatically following the path of a preceding lead vehicle, e.g. "electronic tow-ba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B60W2050/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65Data transmitted betwee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G05D2201/021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투닝(Platooning)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유통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물품들을 집하하는 출발지 및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배송지인 도착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복수의 대표 차량들;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 각각을 위한 플래투닝 대열들에 포함되어,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종속 차량들; 및 복수의 차량들 각각에게 출발지 및 도착지를 배정하고,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을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배치하고,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들 별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GOODS USING PLATOONING}
본 발명은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플래투닝 대열들을 설정 및 변경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래투닝(Platooning)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주로 트럭 등 산업용 화물 차량 여러 대를 하나로 묶고, 후방 차량이 인간 개입 없이 선두 트럭을 자동으로 따라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집단 자율 주행 기술이다. 이러한 플래투닝은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운전 지원 시스템으로 특히 유럽 지역에서 인간 운전자 보조 탑승, 선두 차량만 운전자 탑승 등 여러 단계의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플래투닝은 그 의미를 더 자세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트럭 플래투닝(Truck Platooning)으로 명칭하기도 한다.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일렬 연결된 2~3대의 트럭은 서로 방향, 신호, 위치, 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으면서 차량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센서, 사물 인터넷, GPS, 레이더 등 기존 기술에 더해 자율 비상 브레이크(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차선 유지 보조(Lane Keeping Assist), 반응형 차량 제어(Lane Keeping Assist) 등 이미 상용화된 자율 주행 보조 기술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플래투닝을 활용하면 대량으로 물품을 운반해야 하는 물류 유통 산업에 큰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수산시장에 해산물을 대규모로 운송하거나 대형 마트 등에 농수산물 및 공산품 등을 대규모로 운송해야 할 때 요구되는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지금까지의 플래투닝 기술은 복수의 차량의 플래투닝을 유연하게 변경하기 어려워, 물류 유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에는 복수의 차량에 플래투닝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5026호 (명칭: 플래툰에서의 차량들 사이의 거리 변경, 2019.09.11.)
본 발명은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투닝(Platooning)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유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물품들을 집하하는 출발지 및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배송지인 도착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복수의 대표 차량들;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 각각을 위한 플래투닝 대열들에 포함되어,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종속 차량들; 및 복수의 차량들 각각에게 출발지 및 도착지를 배정하고,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을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배치하고,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들 별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 각각의 플래투닝 대열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은,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의 이동 경로를 상기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서, 특정 플래투닝 대열 내에서의 차량들의 배치는, 상기 특정 플래투닝 대열의 대표 차량이 가장 앞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플래투닝 대열 내에서 종속 차량들은, 상기 종속 차량들 각각의 도착지를 기반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포함된 대표 차량 및 종속 차량들 간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래투닝(Platooning)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들 각각에게 복수의 물품들을 집하하는 출발지 및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배송지인 도착지를 배정하고,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복수의 대표 차량들 및 복수의 종속 차량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을 위한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대한 복수의 구간들 별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유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에도 복수의 차량에 플래투닝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물류 유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투닝(Platooning)을 이용한 유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래투닝을 이용한 유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구간들 별 플래투닝을 위한 차량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속 차량이 플래투닝 대열에 진입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래투닝 기반 물류 유통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생산 시스템은, 통신망 (100), 대표 차량(200), 관리 서버(300) 및 종속 차량(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차량(200)은 관리 서버(3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망(100)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선 통신망은 LTE (Long Term Evolution), 5G (5 Generation) 및 WiFi 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 차량(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1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대표 차량(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대표 차량(200)은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대표 차량(200)은 우선적으로 통신망(100)에 접속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제공 장치(미도시) 예컨대, 앱 스토어 등에 접속을 수행하고 해당 앱 스토어로부터 플래투닝에 관련된 앱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표 차량(200)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대표 차량(200)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는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플래투닝에 관련된 앱을 다운 및 설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대표 차량(200)의 동작은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의 동작을 포함하여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차량(200)이 통신망(1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종속 차량들(400) 및 다른 대표 차량(200)과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은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가 통신망(1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종속 차량들(4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 및 다른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들과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차량들에 대한 플래투닝을 설정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대표 차량(200) 및 종속 차량들(400)과 송수신하고, 상기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대표 차량(200) 및 종속 차량들(400)의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속 차량(4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1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종속 차량(4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표 차량(200)과 통신망(10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종속 차량(400)은 대표 차량(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종속 차량(400)은 우선적으로 통신망(100)에 접속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제공 장치(미도시) 예컨대, 앱 스토어 등에 접속을 수행하고 해당 앱 스토어로부터 플래투닝에 관련된 앱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속 차량(400)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종속 차량(400)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속 차량(4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는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종속 차량(4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플래투닝에 관련된 앱을 다운 및 설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속 차량(4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종속 차량(400)의 동작은 종속 차량(4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의 동작을 포함하여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속 차량(400)이 통신망(100)을 통해 대표 차량(200)과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은 종속 차량(4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가 통신망(100)을 통해 대표 차량(200)에 포함된 사용자의 장치들과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래투닝 설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물품들을 유통하기 위한 차량들에게 출발지와 도착지를 배정할 수 있다(S205). 이 때, 출발지는 각각의 차량들이 물품을 집하하는 장소로서, 각각의 차량들의 출발지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착지는 각각의 차량들이 집하된 물품을 운송하는 장소로서, 각각의 차량들의 도착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차량들에 배정된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복수의 대표 차량들 및 각각의 대표 차량을 위한 종속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차량들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도착지가 각 광역권 별로 동일한 차량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착지를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부산, 서울, 울산, 대전, 대구, 광주 및 인천으로 구분하여 각 도착지 별로 복수의 차량들을 임의 그룹들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 후, 각 임의 그룹에서 출발지 및 도착지 간의 이동 거리가 가장 긴 N 대(예를 들어, 5대)의 차량들을 선택하고, 각 임의 그룹의 N 대의 차량들의 이동 경로 중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가 가장 많은 1대의 차량을 각 임의 그룹 별로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플래투닝의 대열 변경을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속도로 구간에서 대열 변경을 하는 것이 일반도로 구간에서 대열 변경하는 것보다 바람직함으로, 이동 경로에 고속도로 구간이 가장 많이 포함된 1대의 차량을 각 임의 그룹 별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각 그룹 별로 선택된 1대의 차량을 대표 차량(200)이라고 한다.
대표 차량(200)은 후술하는 플래투닝 대열에서 항상 가장 선두에 위치하며, 관리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대표 차량(200) 이외의 차량인 종속 차량(400)은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지 않으며, 종속 차량(200)은 자신이 속한 플래투닝 대열의 대표 차량(200)과만 통신할 수 있다.
각 임의 그룹에서 1대씩의 대표 차량(200) 선택되면, 관리 서버(300)는 임의 그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각 대표 차량(200) 별로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플래투닝 대열에는 하나의 대표 차량(200)이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 플래투닝 대열에 속한 대표 차량(200)의 이동 경로를 복수의 구간들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구간들은 새로운 플래투닝 대열로 변경하는 시점에 대한 구간이며,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시작점에서 플래투닝 대열의 변경이 시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구간들의 첫 시작점에서 해당 플래투닝 대열이 아닌 다른 플래투닝 대열로 이동하는 제 1 종속 차량(400)이 대열에서 빠지며, 해당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는 제 2 종속 차량(400)이 합류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시작점은 고속도로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래투닝 대열의 이탈 및 합류가 편하도록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를 기준으로 복수의 구간들 각각의 시작점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 대표 차량(200)에 대한 복수의 구간들이 설정되면, 복수의 구간들 및 종속 차량(400)들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포함하는 종속 차량(400)들 각각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간들 별로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할 수 있다(S215). 또한,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구간들 별 플래투닝 대열에 대한 정보를 해당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차량(200)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플래투닝 대열에 대한 정보는, 해당 구간에서 플래투닝 대열에 포함되는 종속 차량(400)들의 식별 정보 및 종속 차량(400)들의 대열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관리 서버(300)가 복수의 구간들 별로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종속 차량들(400)의 이동 경로에서 인터체이지를 통한 고속도로 진입 구간 및 고속도로 진출 구간을 기반으로 복수의 구간들 별로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할 수 있고, 종속 차량들(400)이 제 1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여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는 동안은 수동 운전을 해야 할 수 있으므로, 종속 차량(400)이 제 1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시점의 장소와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는 시점의 장소 간의 거리가 일정 이하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각 분할 구간 별 플래투닝 대열은 각 분할 구간에서 이탈하는 제 1 종속 차량(400) 및 합류하는 제 2 종속 차량(400) 간의 관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종속 차량(400)이 합류 후, 다시 이탈하기 전에 해당 플래투닝 대령에서 이탈하는 제 1 종속 차량(400)이 있다면, 제 2 종속 차량(400)은 제 1 종속 차량(400) 앞에 배치되도록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투닝 대열은 해당 지점으로부터 가장 먼저 이탈하는 종속 차량(400)이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도록 배열하여, 이탈에 의한 대열의 변경이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 2 종속 차량(400)이 다시 해당 플래투닝 대열을 이탈하기 전까지 해당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제 1 종속 차량(400)이 없다면, 제 2 종속 차량(400)이 해당 플래투닝 대열에서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도록 플래투닝 대열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플래투닝 대열에 포함된 각각의 대표 차량(200) 및 종속 차량(400)들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관리 서버(300)가 설정한 복수의 구간 별 플래투닝 대열에 종속 차량(400)이 합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5 종속 차량(400)은 #5 종속 차량(400)의 제 1 식별 정보를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 대표 차량(200) 혹은 #1~#4의 종속 차량(200) 중 어느 하나가 제 1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1~#4의 종속 차량(200) 중 어느 하나가 제 1 식별 정보를 인식하였다면, 대표 차량(200)에게 진입하려는 종속 차량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대표 차량(200)은 해당 구간에서 #5 종속 차량(400)이 진입할 것을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플래투닝 대열에 대한 정보를 통해 인지하고 있으므로, #5 종속 차량(400)의 제 1 식별 정보 및 대표 차량(200)의 제 2 식별 정보를 #5 종속 차량(400)이 진입하는 위치의 뒤 차량인 #3 종속 차량(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3 종속 차량(400)은 #5 종속 차량(400)가 방송하여 수신한 제 1 식별 정보와 대표 차량(200)이 수신한 제 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5 종속 차량(400)에게 현재 플래투닝 대열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3 종속 차량(400)은 현재 플래투닝 대열의 속도보다 일정 비율(예를 들어, 10%) 감속하여, #2 종속 차량(400)과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 때, #3 종속 차량(400)은 종속 차량들 간의 간격으로 설정된 일정 간격에 #5 종속 차량(400)의 길이를 더한 값에 일정 비율(예를 들어, 10%) 정도의 여유를 둔 길이만큼 #2 종속 차량(400)과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한편, 제 1 식별 정보 및 제 2 식별 정보는 각각 #5 종속 차량(400)의 차량 번호 및 대표 차량(200)의 차량 번호일 수 있다.
#5 종속 차량(400)은 측면에 설치된 공간 인식 센서를 통해 자신이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었음을 인지하고, 해당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2 종속 차량(400)은 후방 카메라를 통해 #5 종속 차량(400)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5 종속 차량(400)이 안정적으로 진입했음을 인지하면, 이를 대표 차량(200)에 알릴 수 있고, 대표 차량(200)은 #3 종속 차량(400)에게 #5 종속 차량(40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때까지 속도를 높일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을 수신한 #3 종속 차량(400)은 #5 종속 차량(400)과 일정 간격이 이뤄질 때까지 속도를 높인 후, 다시 대표 차량(200)과의 동일한 속도로 운행할 수 있다.
한편, 플래투닝 대열에 포함된 종속 차량(400)들은 각각의 종속 차량(400)들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를 통해 각각의 종속 차량(400)들 뒤의 종속 차량(400)의 차량 번호판을 주기적으로 인식하고, 인식한 자신의 뒤편 종속 차량(400)의 차량 번호를 주기적으로 제 1 대표 차량(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대표 차량(200)은 종속 차량(400)들이 전송한 차량 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종속 차량(400)들이 해당 구간에서 자신의 플래투닝 대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할 종속 차량(400)들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플래투닝 대열에 포함되지 말아야 할 종속 차량(400)이 오류로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종속 차량(400)의 차량 번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는 해당 종속 차량(400)의 제 2 대표 차량(200)을 확인하여, 제 1 대표 차량(200)에게 제 2 대표 차량(20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제 2 대표 차량의 다음 분할 구간 시작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대표 차량(200)은 해당 종속 차량(400)에게 제 2 대표 차량(20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제 2 대표 차량(200)의 다음 분할 구간 시작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다음 분할 구간 시작점에서 제 2 대표 차량(200)의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대열 이탈 시점을 결정하여, 해당 종속 차량(400)에 알려줄 수 있다.
한편, 해당 플래투닝 대열에 포함되어야 할 종속 차량(400)이 오류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종속 차량(400)의 차량 번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300)는 해당 종속 차량(400)이 현재 포함되어 있는 플래투닝 대열의 제 2 대표 차량(200)을 확인하여, 제 2 대표 차량(200)에게 제 1 대표 차량(20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제 1 대표 차량의 다음 분할 구간 시작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대표 차량(200)은 해당 종속 차량(400)에게 제 1 대표 차량(20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제 1 대표 차량(200)의 다음 분할 구간 시작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다음 분할 구간 시작점에서 제 1 대표 차량(200)의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대열 이탈 시점을 결정하여, 해당 종속 차량(400)에 알려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는 제어 모듈(210), 통신 모듈(220), 저장 모듈(230), 출력 모듈(240), 입력 모듈(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 모듈(2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 모듈(250)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 모듈(250)은 출력 모듈(2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50)은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모듈(25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210)로 전달한다.
출력 모듈(240)은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 모듈(240)은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모듈(24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 모듈(240)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 모듈(240)은 입력 모듈(25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 모듈(23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23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2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통신 모듈(220)은 통신망(1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및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20)은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 서버(300) 및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20)은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듈(22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통신망(100)을 통해 관리 서버(300) 및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한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모듈(210)은 입력 모듈(250)을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통신 모듈(22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한 비콘, 와이파이, 기지국 신호 또는 관리 서버(300)에서 전송한 정보들을 출력 모듈(240)을 통해 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모듈(2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 전반이 제어 모듈(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제어 모듈(310), 통신 모듈(320) 및 저장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 및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모듈(320)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 모듈(33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3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33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300)는 대표 차량(200) 및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3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제어 모듈(31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의 제어 모듈(3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의 동작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300)의 동작 과정 전반이 제어 모듈(3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는 제어 모듈(410), 통신 모듈(420), 저장 모듈(430), 출력 모듈(440), 입력 모듈(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50)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 모듈(4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 모듈(450)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 모듈(450)은 출력 모듈(4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450)은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모듈(45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410)로 전달한다.
출력 모듈(440)은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 모듈(440)은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모듈(44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 모듈(440)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 모듈(440)은 입력 모듈(45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 모듈(43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43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4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통신 모듈(420)은 통신망(100)을 통해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42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420)은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420)은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듈(42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통신망(100)을 통해 대표 차량(200)의 사용자 장치와 통신한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모듈(410)은 입력 모듈(450)을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통신 모듈(420)을 통해 대표 차량(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모듈(420)을 통해 수신한 대표 차량(200)에서 전송한 정보들을 출력 모듈(440)을 통해 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제어 모듈(4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종속 차량(400)의 사용자 장치의 동작 과정 전반이 제어 모듈(4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플래투닝 대열들을 설정 및 변경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유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에도 복수의 차량에 플래투닝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물류 유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통해 물류 유통 산업 전반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통신망 200: 대표 차량 300: 관리 서버 400: 종속 차량

Claims (7)

  1. 플래투닝(Platooning)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유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물품들을 집하하는 출발지 및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배송지인 도착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복수의 대표 차량들;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 각각을 위한 플래투닝 대열들에 포함되어,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종속 차량들; 및
    복수의 차량들 각각에게 출발지 및 도착지를 배정하고,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을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배치하고,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구간들 별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은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은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과만 통신 가능하며,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포함된 대표 차량 및 종속 차량들 간의 거리는 제 1 거리로 일정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차량들 각각의 도착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차량들을 임의 그룹들로 그룹핑하고, 상기 임의 그룹들 각각에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가 가장 많은 차량들을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은,
    제 1 종속 차량이 제 1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시점의 장소와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는 시점의 장소 간의 거리가 제 2 거리 이하이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 후, 다시 이탈하기 전에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제 2 종속 차량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종속 차량은 상기 제 2 종속 차량 앞에 배치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 후, 다시 이탈하기 전에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제 2 종속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 1 종속 차량은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서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제 2 종속 차량 앞에 배치되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의 제 1 대표 차량은,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방송한 상기 제 1 종속 차량의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종속 차량에게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대표 차량의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종속 차량은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기 전에 상기 제 2 종속 차량의 앞에 위치한 제 3 종속 차량과 상기 제 1 거리에 상기 제 1 종속 차량의 길이를 더한 거리 값에 제 2 비율을 곱한 제 3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질 때까지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의 속도보다 제 1 비율만큼 낮은 속도로 감속하고,
    상기 제 2 종속 차량은 상기 제 3 종속 차량의 후방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안정적으로 진입했음을 상기 제 1 대표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 2 종속 차량과 상기 제 1 종속 차량의 간격이 상기 제 1 거리가 될 때까지, 다시 속도를 증가하는,
    유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 각각의 플래투닝 대열을 배치하는,
    유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은,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의 이동 경로를 상기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하는,
    유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서, 특정 플래투닝 대열 내에서의 차량들의 배치는,
    상기 특정 플래투닝 대열의 대표 차량이 가장 앞에 배치되는,
    유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플래투닝 대열 내에서 종속 차량들은,
    상기 종속 차량들 각각의 도착지를 기반으로 배치되는,
    유통 시스템.
  6. 삭제
  7. 관리 서버가 플래투닝(Platooning)을 기반으로 설정한 플래투닝 대열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들 각각에게 복수의 물품들을 집하하는 출발지 및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배송지인 도착지를 배정하고,
    상기 복수의 차량들 각각의 도착지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차량들을 임의 그룹들로 그룹핑하고, 상기 임의 그룹들 각각에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가 가장 많은 차량들을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차량들을 복수의 종속 차량들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 각각을 위한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대한 복수의 구간들 별로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은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은 상기 복수의 대표 차량들과만 통신 가능하며,
    상기 플래투닝 대열들 각각에 포함된 대표 차량 및 종속 차량들 간의 거리는 제 1 거리로 일정하고,
    상기 복수의 종속 차량들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은,
    제 1 종속 차량이 제 1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시점의 장소와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는 시점의 장소 간의 거리가 제 2 거리 이하이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 후, 다시 이탈하기 전에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제 2 종속 차량이 존재하면, 상기 제 1 종속 차량은 상기 제 2 종속 차량 앞에 배치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 후, 다시 이탈하기 전에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서 이탈하는 제 2 종속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 1 종속 차량은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서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제 2 종속 차량 앞에 배치되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의 제 1 대표 차량은,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방송한 상기 제 1 종속 차량의 제 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종속 차량에게 상기 제 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대표 차량의 제 2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종속 차량은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에 합류하기 전에 상기 제 2 종속 차량의 앞에 위치한 제 3 종속 차량과 상기 제 1 거리에 상기 제 1 종속 차량의 길이를 더한 거리 값에 제 2 비율을 곱한 제 3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질 때까지 상기 제 2 플래투닝 대열의 속도보다 제 1 비율만큼 낮은 속도로 감속하고,
    상기 제 2 종속 차량은 상기 제 3 종속 차량의 후방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 1 종속 차량이 안정적으로 진입했음을 상기 제 1 대표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 2 종속 차량과 상기 제 1 종속 차량의 간격이 상기 제 1 거리가 될 때까지, 다시 속도를 증가하는,
    유통 방법.
KR1020200031063A 2020-03-13 2020-03-13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1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63A KR102118845B1 (ko) 2020-03-13 2020-03-13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63A KR102118845B1 (ko) 2020-03-13 2020-03-13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845B1 true KR102118845B1 (ko) 2020-06-29

Family

ID=7140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063A KR102118845B1 (ko) 2020-03-13 2020-03-13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084B1 (ko) * 2022-04-11 2023-01-03 한국교통연구원 가상 굴절 차량 기반의 다중 기종점 군집화 대중교통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675A (ja) * 2006-06-20 2008-01-10 Toyota Motor Corp 車載用隊列編成装置及び車両の隊列編成方法
JP2015138364A (ja) * 2014-01-22 2015-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走行支援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走行支援システム
JP2016126647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運行管理システムと方法
WO2018043753A1 (ja) * 2016-09-05 2018-03-08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隊列走行管理システム
JP2019046034A (ja) * 2017-08-31 2019-03-22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隊列走行管理装置
KR20190105026A (ko) 2016-12-30 2019-09-11 벤딕스 커머셜 비히클 시스템즈, 엘엘씨 플래툰에서의 차량들 사이의 거리 변경
JP2019175124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東芝 隊列走行運用システムおよび隊列走行運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675A (ja) * 2006-06-20 2008-01-10 Toyota Motor Corp 車載用隊列編成装置及び車両の隊列編成方法
JP2015138364A (ja) * 2014-01-22 2015-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走行支援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走行支援システム
JP2016126647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運行管理システムと方法
WO2018043753A1 (ja) * 2016-09-05 2018-03-08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隊列走行管理システム
KR20190105026A (ko) 2016-12-30 2019-09-11 벤딕스 커머셜 비히클 시스템즈, 엘엘씨 플래툰에서의 차량들 사이의 거리 변경
JP2019046034A (ja) * 2017-08-31 2019-03-22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隊列走行管理装置
JP2019175124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東芝 隊列走行運用システムおよび隊列走行運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084B1 (ko) * 2022-04-11 2023-01-03 한국교통연구원 가상 굴절 차량 기반의 다중 기종점 군집화 대중교통 운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7230B2 (ja) 所定の位置データ点の決定およびサービス提供者への供給
US98910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avigation guidance via proximate devices
WO2020147361A1 (zh) 用于控制车辆的方法和装置
JP6423520B2 (ja) サービスの供給状況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281906A1 (en) Crowd enhanced connectivity map for data transfer intermittency mitigation
EP2166492A2 (en) Vehicle deployment planning system
WO2015169204A1 (zh) 自动驾驶车辆调度方法、车辆调度服务器及自动驾驶车辆
US10839691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US20160180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digital signage
CN106647734A (zh) 自动导引车、路径规划方法与装置
JP7032881B2 (ja) 車両の走行スケジュール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18230A1 (en) Multiple destination vehicle interface
AU2016382240A1 (en) Delivery method for enabling advertisement of delivery orderer
US9836705B2 (en) Vehicle generated social network updates
US9395200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operating strategy for a motor vehicle
CN109635980B (zh) 约车订单分配方法及系统
US10869066B2 (en)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CN1969305A (zh) 地图数据提供方法
CN102466487A (zh) 行驶路线引导系统和车载音频装置及用其引导路线的方法
US20220276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arative routing associated with origin-destination pairs
KR102118845B1 (ko) 플래투닝을 이용하여 물품을 유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00151769A1 (en)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20200342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charitable goods
US202000510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01495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