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467B1 -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67B1
KR102118467B1 KR1020187032410A KR20187032410A KR102118467B1 KR 102118467 B1 KR102118467 B1 KR 102118467B1 KR 1020187032410 A KR1020187032410 A KR 1020187032410A KR 20187032410 A KR20187032410 A KR 20187032410A KR 102118467 B1 KR102118467 B1 KR 10211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film transistor
side far
touc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919A (ko
Inventor
안유 리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01L27/307
    • H01L27/324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51/5068
    • H01L51/5084
    • H01L51/5203
    • H01L51/5221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radiation-sensitiv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30/00
    • H10K39/30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10K39/32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7Hole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a multi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7Electron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an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고, 이 디스플레이 기판은, 베이스(1);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2); 박막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1)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3); 유기 발광층(3) 내에 형성되는 터치 전극층(4); 을 포함한다. 이 기술 방안은 터치 전극층(4)을 유기 발광층(3) 내에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기 발광층(3)의 면적을 크게 설치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박막 트랜지스터(2)의 바로 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 터치 전극층(4)을 형성하면 터치 전극층(4)도 크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더 넓은 범위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본 발명은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610957966.3이고, 출원일이 2016년10월27일자 인 중국특허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터치 기능의 응용이 점차 보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터치 조작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전극의 구조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터치 전극의 대부분은 여전히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독립되어 제조되고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집적도가 낮고, 따라서 공정 단계가 번거로우며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부족 점을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판이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형성되는 터치 전극층;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기 양극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정공 전송층;
상기 정공 전송층의 상기 정공 주입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재료층;
상기 유기재료층의 상기 정공 전송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전자 전송층;
상기 전자 전송층의 상기 유기재료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전자 주입층;
상기 전자 주입층의 상기 전자 전송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음극층;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상기 양극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전송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정공 전송층과 유기재료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기재료층과 전자 전송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전송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주입층과 음극층 사이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베이스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양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극층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먼 측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기 양극층에서 먼 측에 정공 전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전송층의 상기 정공 주입층에서 먼 측에 유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재료층의 상기 정공 전송층에서 먼 측에 전자 전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전송층의 상기 유기재료층에서 먼 측에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주입층의 상기 전자 전송층에서 먼 측에 음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전송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정공 전송층과 유기재료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유기재료층과 전자 전송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자 전송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자 주입층과 음극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전자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형성되는 터치 전극층;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매체에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한 기술 방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치 전극층을 유기 발광층 내에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기 발광층의 면적을 크게 설치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바로 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면 터치 전극층도 크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더 넓은 범위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서술 및 하기 세부적인 서술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기 발광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모식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모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판은 베이스(1), 박막 트랜지스터(2), 유기 발광층(3) 및 터치 전극층(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재료는 유리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디스플레이 기판이 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베이스의 재료는 유연한 수지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는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2)는 게이트(21), 활성층(22), 소스(23) 및 드레인(24) 등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21)와 활성층(22) 사이에 게이트 절연층(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의 상기 베이스(1)에서 먼 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단계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한 후에 이루어지며, 유기 발광층(3)과 박막 트랜지스터(2) 사이에 패시베이션층(6)이 설치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3)은 패시베이션층(6) 중의 비아 홀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패턴화 공정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증착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유기 발광층과 박막 트랜지스터의 크기 및 위치 관계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층의 면적을 증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에도 유기 발광층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이 구성한 서브 픽셀과 서브 픽셀 사이에는 픽셀 구획층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전극층(4)은 상기 유기 발광층(3) 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은 복수의 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층은 그 중 인접한 두 개의 층 구조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전극층은 패턴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터치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전극층을 유기 발광층 내에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기 발광층의 면적을 크게 설치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바로 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면 터치 전극층도 크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더 넓은 범위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양극층(31), 정공 주입층(32), 정공 전송층(33), 유기재료층(34), 전자 전송층(35), 전자 주입층(36) 및 음극층(37)을 포함한다.
양극층(31)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의 상기 베이스(1)에서 먼 측에 형성되고,
정공 주입층(32)은 상기 양극층(31)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에서 먼 측에 형성되고,
정공 전송층(33)은 상기 정공 주입층(32)의 상기 양극층(31)에서 먼 측에 형성되며,
유기재료층(34)은 상기 정공 전송층(33)의 상기 정공 주입층(32)에서 먼 측에 형성되고,
전자 전송층(35)은 상기 유기재료층(34)의 상기 정공 전송층(33)에서 먼 측에 형성되며,
전자 주입층(36)은 상기 전자 전송층(35)의 상기 유기재료층(34)에서 먼 측에 형성되고,
음극층(37)은 상기 전자 주입층(36)의 상기 전자 전송층(35)에서 먼 측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상기 양극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전송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정공 전송층 및 유기재료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유기재료층 및 전자 전송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전자 전송층 및 전자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주입층 및 음극층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전극층(4)은 정공 주입층(32) 및 정공 전송층(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터치 전극층의 구체적인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층에 정전압을 인가하고 음극층에 부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층으로부터 음극층까지의 전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음극층에서의 전자가 전자 주입층, 전자 전송층, 유기재료층, 정공 전송층, 정공 주입층을 차례로 경유하여 양극층에 도달하며, 유기재료층을 경유할 때 그 중의 유기 재료를 자극시켜 발광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서브 픽셀 중의 유기재료층이 자극을 받았을 때 모두 백색광을 발하므로, 이 디스플레이 기판에 대응 설치되는 기판에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 등의 컬러 필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써 부동한 색상의 필터에 대응하는 서브 픽셀에서 조사하는 빛이 부동한 색상을 띄도록 하고, 나아가 서브 픽셀의 발광 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응 픽셀의 발광색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동한 서브 픽셀 중의 유기재료층이 자극을 받았을 때 부동한 색상의 빛을 발하며, 예를 들어, 각각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부동한 서브 픽셀에서 조사하는 빛이 부동한 색상을 띄도록 하고, 나아가 서브 픽셀의 발광 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응 픽셀의 발광색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기판이 배면발광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투명 도전 재료로 양극을 형성하고 반사율이 높은 도전 재료로 음극을 형성함으로써 광선이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이 전면발광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투명 도전 재료로 음극을 형성하고 반사율이 높은 도전 재료로 양극을 형성함으로써 광선이 전면으로부터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도전 재료는 ITO(인듐 주석 산화물)일 수 있으며, 반사율이 높은 도전 재료는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일 수 있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기 발광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상기 터치 전극층(4)과 상기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층(7)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에 기초하여, 절연층은 터치 전극층(4) 및 정공 주입층(32)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터치 전극층(4) 및 정공 전송층(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 중의 각 층 구조에 음극층에서 양극층으로의 방향의 전자 흐름이 존재하고, 또한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에서 전자가 정착되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터치 전극층이 생성하는 터치 신호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터치 전극층 및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절연층을 설치함으로써, 다른 층 구조로 인해 터치 전극층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고, 터치 전극에 의해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촉할 때, 음극층이 손가락과 터치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며, 이로써 터치 전극층이 감지하여 생성한 터치 신호에 대해 차단 작용을 하며,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가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생성한 터치 신호는 강도가 크므로 정확한 터치 결과를 얻는 데 더욱 유리하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모식도이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41단계에 있어서, 베이스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S42단계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며,
S43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한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모식도이고,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421단계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양극층을 형성하고,
S422단계에 있어서, 상기 양극층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먼 측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며,
S423단계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기 양극층에서 먼 측에 정공 전송층을 형성하고,
S424단계에 있어서, 상기 정공 전송층의 상기 정공 주입층에서 먼 측에 유기재료층을 형성하며,
S425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기재료층의 상기 정공 전송층에서 먼 측에 전자 전송층을 형성하고,
S426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전송층의 상기 유기재료층에서 먼 측에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고,
S427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의 상기 전자 전송층에서 먼 측에 음극층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고,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전송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며,
또는, 상기 정공 전송층 및 유기재료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고,
또는, 상기 유기재료층 및 전자 전송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며,
또는, 상기 전자 전송층 및 전자 주입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고,
또는, 상기 전자 주입층 및 음극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한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 모식도이고,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S44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의 단계는 필요에 따라 순서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43단계는 S422단계 및 S423단계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S44단계는 S422단계와 S44단계 사이에서 실행되거나, S423단계 및 S44단계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이다.
상기 실시예의 제조 장법에 있어서, 각 단계의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디스플레이 기판의 관련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7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헬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700)는 프로세싱 유닛(702), 메모리(704), 전원 유닛(706), 멀티미디어 유닛(708), 오디오 유닛(7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712), 센서 유닛(714) 및 통신 유닛(716) 중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702)는 일반적으로 장치(700)의 전체 조작,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702)은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20)를 구비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702)은 기타 유닛과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편리하게 하도록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702)은 멀티미디어 유닛(708)과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장치(700)의 조작을 서포트(support)하기 위하여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700)에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방법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어,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 ROM(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유닛(706)은 장치(700)의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7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데 관련된 기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708)은 장치(7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 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유닛(708)은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7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가변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유닛(7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유닛(710)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7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7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유닛(716)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유닛(7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712)는 프로세싱 유닛(7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클릭 휠,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714)은 장치(700)를 위해 각 방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714)은 장치(700)의 온/오프 상태, 유닛의 상대적인 포지셔닝(positioning)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은 장치(700)의 디스플레이 및 작은 키패드일 수 있다. 센서 유닛(714)은 장치(700) 또는 장치(700)의 유닛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700)사이의 접촉여부, 장치(7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7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714)은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근처의 물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이미지 형성 응용에 이용하기 위한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714)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716)은 장치(7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편리하게 진행하게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장치(7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유닛(716)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외부의 브로드캐스팅 관리 시스템에서의 브로드캐스팅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팅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716)은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RFID기술, IrDA기술, 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700)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 DSPD (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를 포함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명령어를 포함한 메모리(704)을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어는 장치(700)의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에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내의 서로 인접한 층에 형성되는 터치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기 양극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정공 전송층;
    상기 정공 전송층의 상기 정공 주입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재료층;
    상기 유기재료층의 상기 정공 전송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전자 전송층;
    상기 전자 전송층의 상기 유기재료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전자 주입층;
    상기 전자 주입층의 상기 전자 전송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음극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형성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터치 전극층은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전송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전송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6. 베이스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층을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층 내의 서로 인접한 측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양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극층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먼 측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기 양극층에서 먼 측에 정공 전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전송층의 상기 정공 주입층에서 먼 측에 유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재료층의 상기 정공 전송층에서 먼 측에 전자 전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전송층의 상기 유기재료층에서 먼 측에 전자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주입층의 상기 전자 전송층에서 먼 측에 음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층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 내에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전송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전송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상기 터치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층과 상기 터치 전극층에 인접한 층 구조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층은 자기 인덕턴스형 콘덴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11.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여기서,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내의 서로 인접한 층에 형성되는 터치 전극층; 을 포함하고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양극층;
    상기 양극층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기 양극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정공 전송층;
    상기 정공 전송층의 상기 정공 주입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유기재료층;
    상기 유기재료층의 상기 정공 전송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전자 전송층;
    상기 전자 전송층의 상기 유기재료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전자 주입층;
    상기 전자 주입층의 상기 전자 전송층에서 먼 측에 형성되는 음극층;
    상기 유기 발광층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형성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터치 전극층은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전송층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전송층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6 항 또는 제9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13. 제12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87032410A 2016-10-27 2016-12-20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2118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57966.3 2016-10-27
CN201610957966.3A CN106356394B (zh) 2016-10-27 2016-10-27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电子设备
PCT/CN2016/110999 WO2018076505A1 (zh) 2016-10-27 2016-12-20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919A KR20180135919A (ko) 2018-12-21
KR102118467B1 true KR102118467B1 (ko) 2020-06-10

Family

ID=5786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410A KR102118467B1 (ko) 2016-10-27 2016-12-20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516005B2 (ko)
EP (1) EP3316331B1 (ko)
JP (1) JP6976845B2 (ko)
KR (1) KR102118467B1 (ko)
CN (1) CN106356394B (ko)
RU (1) RU2665816C1 (ko)
WO (1) WO2018076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604A (zh) 2017-02-14 2017-06-20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有机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造方法
CN106851942B (zh) * 2017-03-02 2019-08-23 武汉金石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感应节能智能发光墙纸及其应用方法
CN107561721A (zh) * 2017-08-30 2018-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真3d显示器
CN108183121A (zh) * 2017-12-15 2018-06-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518146B (zh) 2019-08-30 2022-0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封装结构及显示面板
CN112286398A (zh) * 2020-11-18 2021-01-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装置
CN112785927B (zh) * 2021-01-28 2024-0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显示模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6554A (zh) * 2014-05-27 2016-03-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电激发光装置
CN105518863A (zh) 2015-09-15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
US20160170524A1 (en) 2014-12-12 2016-06-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259B2 (ja) 1996-03-14 2002-05-20 松下電工株式会社 El照光式タッチスイッチ
KR100573154B1 (ko) * 2004-06-26 2006-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379056C (zh) * 2005-03-01 2008-04-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触控功能的平面显示器及其形成方法
CN1652651A (zh) * 2005-03-23 2005-08-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式有机发光显示器
FR2913146B1 (fr) * 2007-02-23 2009-05-01 Saint Gobain Electrode discontinu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et leurs fabrications
JP4464985B2 (ja) 2007-04-27 2010-05-19 ビステオン・ジャパン株式会社 El発光式タッチスイッチ
KR101045264B1 (ko) * 2008-09-09 2011-06-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5157825B2 (ja) * 2008-10-29 2013-03-0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CN101894856B (zh) * 2009-05-22 2013-11-0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屏和触控检测单元
KR101633104B1 (ko) * 2009-08-27 2016-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88450B1 (ko) * 2009-10-23 2016-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인셀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1696483B1 (ko) * 2010-12-06 2017-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WI534664B (zh) * 2011-07-28 2016-05-21 宸鴻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JP5726804B2 (ja) * 2012-04-19 2015-06-03 株式会社東芝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1967290B1 (ko) * 2012-11-14 2019-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3050506A (zh) * 2012-12-28 2013-04-17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器
KR102096622B1 (ko) * 2013-08-19 2020-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124906B1 (ko) * 2013-12-26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752466B (zh) * 2013-12-30 2019-06-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整合触屏功能的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5493626B (zh) 2014-06-06 2017-05-03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模块、智能设备及照明装置
CN104409467B (zh) * 2014-10-13 2018-04-2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US10026797B2 (en) * 2014-11-10 2018-07-1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multi-mode cavity structure
CN106033765B (zh) * 2015-03-17 2019-06-1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面板
CN104795425A (zh) * 2015-03-30 2015-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屏及其制作方法
KR102341352B1 (ko) * 2015-04-08 2021-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850268B (zh) * 2015-06-10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制作方法
CN104881179B (zh) 2015-06-23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显示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04898887B (zh) * 2015-06-23 2017-10-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显示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05243993B (zh) * 2015-09-22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和oled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6554A (zh) * 2014-05-27 2016-03-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电激发光装置
US20160170524A1 (en) 2014-12-12 2016-06-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CN105518863A (zh) 2015-09-15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6845B2 (ja) 2021-12-08
CN106356394B (zh) 2018-09-04
US10516005B2 (en) 2019-12-24
JP2018538553A (ja) 2018-12-27
KR20180135919A (ko) 2018-12-21
US10818736B2 (en) 2020-10-27
US20180122865A1 (en) 2018-05-03
RU2665816C1 (ru) 2018-09-04
US20200043985A1 (en) 2020-02-06
WO2018076505A1 (zh) 2018-05-03
CN106356394A (zh) 2017-01-25
EP3316331B1 (en) 2020-12-02
EP3316331A1 (en)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467B1 (ko) 디스플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7145856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
KR102246604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전자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18533749A (ja) アレー基板およびその製作方法、表示パネル、表示装置、電子機器
US11538872B2 (en) Display structure,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6372625B (zh)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电子设备
US20190332223A1 (en) Oled display module with touch function, oled display and terminal device
CN106919914B (zh) 显示模组和电子设备
US11114032B2 (en) Display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185302A (zh) 显示器和显示装置
CN108847199B (zh) 亮度确定方法及装置
CN106855757B (zh) 液晶显示屏、压力测量方法及装置
CN210123986U (zh) 终端屏幕及终端
CN110971722B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
EP3648089A1 (en)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CN111384092B (zh) 终端和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12987906B (zh) 一种降低显示功耗的方法和装置
CN106897691B (zh) 显示模组和电子设备
CN116939072A (zh) 终端、光感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384089A (zh) 显示面板和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