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065B1 - 페달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065B1
KR102118065B1 KR1020130132691A KR20130132691A KR102118065B1 KR 102118065 B1 KR102118065 B1 KR 102118065B1 KR 1020130132691 A KR1020130132691 A KR 1020130132691A KR 20130132691 A KR20130132691 A KR 20130132691A KR 102118065 B1 KR102118065 B1 KR 10211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imulator
head
stoppe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365A (ko
Inventor
손미진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0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페달시뮬레이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페달시뮬레이터는: 오일이 충진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바디와, 챔버를 따라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오일을 압축하는 제1피스톤과, 일측은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은 페달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로드 및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작동로드와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달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본 발명은 페달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로드와 피스톤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달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달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는 스프링 탄성력으로 유압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추종한 반력을 형성해 운전자에게 페달답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페달시뮬레이터는 운전자와 제동륜 사이에 기계적 연결이 없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된다. 페달시뮬레이터는 운전자에게 적절한 조작감을 제공하는 기계적 장치와 더불어 운전자의 페달 조작 의지를 파악하고 페달의 스트로크를 파악할 수 있는 전기적 장치를 구비한다.
페달시뮬레이터는 통상적으로 페달에 결합되어 페달의 스트로크에 따라 밀려나는 작동로드가 삽입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에서 스프링으로 탄발지지되고 작동로드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외부에 설치되어 페달의 스트로크 변화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4229호(2012.05.30 공개, 발명의 명칭: 페달시뮬레이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피스톤의 내측에 작동로드를 연결시키는 구조가 불안정하여 작동로드와 피스톤 사이에 유격이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벌어지므로, 운전자에게 적절한 페달답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동작신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로드와 피스톤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달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는: 오일이 충진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바디와, 챔버를 따라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오일을 압축하는 제1피스톤과, 일측은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은 페달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로드 및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작동로드와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피스톤과 이격되어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피스톤과, 제2피스톤과 제1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피스톤과 시뮬레이터바디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피스톤은, 작동로드의 헤드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입구부와, 입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헤드의 타측을 지지하는 걸림돌기 및 걸림돌기에서 커버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스토퍼부가 고정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는 연장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헤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의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스토퍼부와 마주하는 연장몸체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스토퍼부는 연장몸체의 내측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피스톤은, 작동로드의 헤드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진입부와, 진입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헤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에서 커버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제1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는 진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헤드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는, 진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작동공간을 구비하는 스토퍼몸체 및 스토퍼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헤드와 연결된 로드몸체가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헤드의 타측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는 작동로드가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부도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작동로드를 구속하므로 작동로드와 제1피스톤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가 제1피스톤의 내부에서 조립되기에 제1피스톤과 마주하는 시뮬레이터바디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페달에 설치된 페달시뮬레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는, 오일이 충진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바디(10)와, 챔버를 따라 시뮬레이터바디(10)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하며 오일을 압축하는 제1피스톤(20)과, 일측은 제1피스톤(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은 페달(5)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로드(40)와, 제1피스톤(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작동로드(40)와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스토퍼부(50)를 포함한다.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5)의 몸체에 페달시뮬레이터(1)가 설치되어 페달답력을 제공한다.
페달시뮬레이터(1)의 몸체를 형성하는 시뮬레이터바디(10)는 차량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시뮬레이터바디(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로드(40)는 페달(5)의 몸체에 힌지 연결된다.
시뮬레이터바디(10)는 오일이 충진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바디(10)의 내측에는 제1챔버(18)와 제2챔버(19)가 구비되며, 시뮬레이터바디(10)의 일측(이하 도 1 기준 좌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시뮬레이터바디(10)의 타측(이하 도 1 기준 우측)에는 제1피스톤(20)이 설치된다.
시뮬레이터바디(10)의 내측에 제1피스톤(20)과 스토퍼부(50)와 제1탄성부재(12)와 제2피스톤(16)과 제2탄성부재(14)와 커버부재(11) 등이 설치되어 페달시뮬레이터(1)를 구성한다.
제2피스톤(16)은 제1피스톤(20)과 이격되어 시뮬레이터바디(10)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12)는 제2피스톤(16)과 제1피스톤(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12)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며, 제1탄성부재(12)의 일측은 제2피스톤(16)에 지지되며 제1탄성부재(12)의 타측은 제1피스톤(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스토퍼부(50)에 지지된다.
제2탄성부재(14)는 제2피스톤(16)과 시뮬레이터바디(10)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부재(11) 사이에 설치된다.
제1피스톤(20)과 제2피스톤(16) 사이에는 제1챔버(18)가 형성되며, 커버부재(11)와 제2피스톤(16)의 사이에는 제2챔버(19)가 형성되며, 제1챔버(18)와 제2챔버(19)의 내측에는 오일이 충진된다.
제1피스톤(20)은 챔버를 따라 시뮬레이터바디(10)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하며 오일을 압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피스톤(20)은 입구부(22)와 걸림돌기(24)와 연장몸체(26)와 암나사(28)를 포함한다.
입구부(22)는 작동로드(40)의 헤드(42)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작동로드(40)의 로드몸체(44)는 입구부(22)의 내측에 위치하며 로드몸체(44)와 입구부(22)의 내측면 사이에는 설정된 거리로 간격이 형성되므로, 작동로드(40)는 헤드(42)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다.
걸림돌기(24)는 입구부(22)의 일측에서 입구부(2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헤드(42)의 타측을 지지한다.
로드몸체(44)는 걸림돌기(24)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입구부(22)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연장몸체(26)는 걸림돌기(24)에서 커버부재(11)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스토퍼부(50)가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피스톤(20)은 연장몸체(26)와 입구부(22)의 외경이 동일하며, 연장몸체(26)와 입구부(22)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피스톤(20)에 연결되는 작동로드(40)의 일측은 제1피스톤(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작동로드(40)의 타측은 페달(5)에 힌지 연결된다.
제1피스톤(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헤드(42)는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헤드(42)에서 연장된 로드몸체(44)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봉에 연결된 브라켓(46)은 페달(5)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므로, 페달(5)의 회전에 따라 브라켓(46)과 로드몸체(44)는 헤드(42)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면서 제1피스톤(20)을 시뮬레이터바디(10)의 길이방향(D)으로 이동시킨다.
스토퍼부(50)는 제1피스톤(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작동로드(40)와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50)는 연장몸체(2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헤드(42)의 일측을 지지한다.
스토퍼부(50)의 외측에는 수나사(54)가 형성되며 스토퍼부(50)와 마주하는 연장몸체(26)의 내측에는 암나사(28)가 형성되므로, 스토퍼부(50)는 연장몸체(2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면서 제1피스톤(20) 내에서 헤드(42)의 수평 이동을 구속한다.
스토퍼부(50)의 일측에는 받침부재(52)가 구비되며, 제1탄성부재(12)의 타측은 받침부재(5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받침부재(52)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길이방향(D)은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길이방향(D)은 페달시뮬레이터(1)의 제1챔버(18)와 제2챔버(19)를 관통하는 좌우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터바디(10)의 내측에 챔버가 2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챔버가 단일로 구성된 것이나 3개 이상의 챔버를 구비한 시뮬레이터바디(10)에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피스톤(20)의 연장몸체(26)를 통하여 작동로드(40)의 로드몸체(44)를 삽입하며, 작동로드(40)의 헤드(42)가 제1피스톤(20)의 걸림돌기(24)에 걸린 상태에서 연장몸체(26)의 내측으로 스토퍼부(50)를 삽입한다.
스토퍼부(50)를 회전시켜 수나사(54)와 암나사(28)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며, 스토퍼부(50)가 헤드(42)를 가압하여 헤드(42)가 걸림돌기(24)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스토퍼부(5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로드몸체(44)와 브라켓(46)은 헤드(42)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결합하며, 브라켓(46)은 페달(5)의 몸체에 힌지 연결된다.
시뮬레이터바디(10)의 내측에 제1탄성부재(12)와 제2탄성부재(14)와 제2피스톤(16)과 커버부재(11)가 설치된다.
운전자가 페달(5)을 밟는 경우, 페달(5)은 회전과 연동하여 작동로드(40)도 이동한다.
헤드(42)를 중심으로 로드몸체(44)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헤드(42)로 힘을 전달하면, 헤드(42)는 제1피스톤(20)의 내측에 고정된 스토퍼부(50)를 가압한다.
스토퍼부(50)와 함께 제1피스톤(20)이 시뮬레이터바디(10)의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하면서 제1챔버(18)에 있는 오일과 제1탄성부재(12)가 압축된다.
제1챔버(18)에 있는 오일과 제1탄성부재(12)의 압축에 의해 제1피스톤(20)에 페달답력이 전달된다.
또한 제1챔버(18)에 있는 오일과 제1탄성부재(12)에 의해 제2피스톤(16)이 시뮬레이터바디(10)의 일측으로 이동한다.
제2피스톤(16)의 이동으로 제2챔버(19)에 있는 오일과 제2탄성부재(14)가 압축된다.
제2챔버(19)에 있는 오일과 제2탄성부재(14)의 압축에 의해 제1피스톤(20)에 페달답력이 전달된다.
또한 제1챔버(18)와 제2챔버(19)에 있는 오일은 압축되어 휠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제동력을 형성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는 페달답력 형성과 함께 제동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피스톤(30)은 시뮬레이터바디(10)의 타측으로 삽입되며, 진입부(32)와 지지부재(34)와 가이드몸체(37)를 포함한다.
진입부(32)는 작동로드(40)의 헤드(42)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작동로드(40)의 로드몸체(44)는 진입부(32)의 내측에 위치하며 로드몸체(44)와 진입부(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설정된 거리로 간격이 형성되므로, 작동로드(40)는 헤드(42)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다.
지지부재(34)는 진입부(3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헤드(42)의 일측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4)는 진입부(32)의 일측에서 진입부(32)의 내측공간을 가로막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헤드(42)와 마주하는 지지부재(34)의 측면에는 깔때기 형상의 경사홈부(35)가 형성되므로, 진입부(32)의 내측으로 삽입된 헤드(42)가 경사홈부(35)를 따라 이동되어 지지부재(34)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헤드(42)의 일측은 지지부재(34)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가이드몸체(37)는 지지부재(34)에서 커버부재(11)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제1탄성부재(1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가이드몸체(37)의 내측에는 제1탄성부재(12)의 타측이 연결되며, 제1피스톤(30)의 이동으로 제1탄성부재(12)와 제1챔버(18)에 있는 오일이 압축된다.
제1피스톤(30)은 진입부(32)와 가이드몸체(37)의 외경이 동일하며, 진입부(32)와 가이드몸체(37)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토퍼부(60)는 진입부(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헤드(42)의 타측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60)는 스토퍼몸체(62)와 받침부재(66)를 포함한다.
스토퍼몸체(62)는 진입부(3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작동로드(40)의 로드몸체(44)가 이동되는 작동공간(64)을 구비한다.
스토퍼몸체(62)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토퍼몸체(62)의 타측은 외측으로 굽어져서 제1피스톤(30)의 진입부(32)에 걸린다.
받침부재(66)는 스토퍼몸체(62)의 일측에서 스토퍼몸체(62)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헤드(42)와 연결된 로드몸체(44)가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헤드(42)의 타측을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에서 작동로드(40)의 조립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스토퍼부(60)의 받침부재(66)를 통하여 작동로드(40)의 로드몸체(44)를 삽입하며, 작동로드(40)의 헤드(42)가 받침부재(66)에 걸린 상태에서 진입부(32)의 내측으로 스토퍼부(60)를 삽입한다.
작동로드(40)의 헤드(42)가 제1피스톤(30)의 진입부(32)를 통하여 삽입되어 지지부재(34)의 경사홈부(35)를 따라 이동되어 지지부재(34)의 중앙부에 접한 상태에서 스토퍼부(60)의 삽입 동작이 정지된다.
스토퍼몸체(62)가 진입부(32)의 내측에 압입된 상태에서, 헤드(42)의 일측은 지지부재(34)에 접하며 헤드(42)의 타측은 받침부재(66)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로드몸체(44)와 브라켓(46)은 헤드(42)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결합되며, 브라켓(46)은 페달(5)의 몸체에 힌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로드(40)가 제1피스톤(20,3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부(50,60)도 제1피스톤(20,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작동로드(40)를 구속하므로 작동로드(40)와 제1피스톤(20,30)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켜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50,60)가 제1피스톤(20,30)의 내부에서 조립되기에 제1피스톤(20,30)과 마주하는 시뮬레이터바디(10)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페달에 설치된 페달시뮬레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페달을 사용하는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페달시뮬레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페달시뮬레이터 5: 페달
10: 시뮬레이터바디 11: 커버부재
12: 제1탄성부재 14: 제2탄성부재
16: 제2피스톤 18: 제1챔버
19: 제2챔버 20: 제1피스톤
22: 입구부 24: 걸림돌기
26: 연장몸체 28: 암나사
30: 제1피스톤 32: 진입부
34: 지지부재 35: 경사홈부
37: 가이드몸체 40: 작동로드
42: 헤드 44: 로드몸체
46: 브라켓 50: 스토퍼부
52: 받침부재 54: 수나사
60: 스토퍼부 62: 스토퍼몸체
64: 작동공간 66: 받침부재
D: 길이방향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오일이 충진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바디;
    상기 챔버를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오일을 압축하는 제1피스톤;
    일측은 상기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은 페달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로드;
    상기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로드와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스토퍼부;
    상기 제1피스톤과 이격되어 상기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바디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작동로드의 헤드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타측을 지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고정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6. 오일이 충진되는 챔버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바디;
    상기 챔버를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오일을 압축하는 제1피스톤;
    일측은 상기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은 페달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로드;
    상기 제1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로드와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는 스토퍼부;
    상기 제1피스톤과 이격되어 상기 시뮬레이터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시뮬레이터바디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작동로드의 헤드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진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작동공간을 구비하는 스토퍼몸체; 및
    상기 스토퍼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헤드와 연결된 로드몸체가 관통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의 타측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진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8. 삭제
KR1020130132691A 2013-11-04 2013-11-04 페달시뮬레이터 KR10211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691A KR102118065B1 (ko) 2013-11-04 2013-11-04 페달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691A KR102118065B1 (ko) 2013-11-04 2013-11-04 페달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65A KR20150051365A (ko) 2015-05-13
KR102118065B1 true KR102118065B1 (ko) 2020-06-02

Family

ID=5338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691A KR102118065B1 (ko) 2013-11-04 2013-11-04 페달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526B (zh) * 2018-01-12 2022-03-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踏板模拟器和具有其的线控制动系统、车辆
KR102576774B1 (ko) * 2019-03-07 2023-09-11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 실린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1389D0 (en) * 2003-09-12 2003-10-15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Master cylinder
KR101162325B1 (ko) * 2007-04-03 2012-07-04 주식회사 만도 제동장치용 마스터 실린더
KR101890572B1 (ko) * 2011-11-17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 시뮬레이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65A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939B2 (en) Pedal simulator for active brake system
CN104554200A (zh) 用于主动制动系统的踏板模拟器
JP6486370B2 (ja) 車両用ペダルの抵抗及びキックダウンアセンブリ
KR102118065B1 (ko) 페달시뮬레이터
ITUB20156277A1 (it) Pedale frizione elettronico per veicolo.
JP2015532243A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倍力装置、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倍力装置の製造法
CN105264626B (zh) 按钮装置
CN103481880B (zh) 电子式液压制动装置
CN105221598B (zh) 活塞缸、离合器分离系统
KR102223847B1 (ko) 페달 시뮬레이터
CN214304945U (zh) 制动系统
CN107002783B (zh) 用于行车制动和停车制动的制动盘浮动卡钳
US20150143991A1 (en) Master cylinder with recessed piston-rod interface
WO2014001876A1 (en) Braking device of a trailer
KR101258849B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구조
CN208978828U (zh) 一种对输入力推杆限位的真空助力器
RU2551833C2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KR101913610B1 (ko) 제동 감지 센서
CN207311409U (zh) 一种缓冲式主缸活塞
KR101172378B1 (ko) 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조립체
CN204099448U (zh) 离合器液压主缸及其壳体结构
JP6316109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217496100U (zh) 主缸及线控制动系统
KR101705153B1 (ko) 파킹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조정 장치
KR101459433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