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55B1 -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55B1
KR102117955B1 KR1020190012085A KR20190012085A KR102117955B1 KR 102117955 B1 KR102117955 B1 KR 102117955B1 KR 1020190012085 A KR1020190012085 A KR 1020190012085A KR 20190012085 A KR20190012085 A KR 20190012085A KR 102117955 B1 KR102117955 B1 KR 10211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it
over
assembled
overslam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열
이영무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4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hand-operated, e.g. removable; operated by centrifugal action or by high closing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오버슬램범퍼를 조립 시 작업자가 일일이 오버슬램범퍼를 수작업으로 돌려서 조립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손목에 무리가 오면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반복작업으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테일게이트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되는 진동 흡수 및 완충을 위해 차체에 오버슬램범퍼를 조립함에 있어서, 외주면 선단에는 차체의 조립홀에 조립되는 나선부(110)가 구비되고, 외주면 후미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부(120)가 빙둘러 구비된 러버 재질의 오버슬램범퍼(100); 후미 중앙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비트(200)와 결합되는 비트홀(311)이 구비되어 비트(200)와 일체로 회전되고, 오버슬램범퍼(100)의 걸림홈부(120) 부위를 감싸는 소켓몸체(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부(312)와 맞물리는 걸림돌부(312)가 구비된 소켓(3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류 드라이버가 구비된 일반적인 전동공구에 소켓(300)을 조립하여 소켓(300)에 회전력을 부여시키고 그 소켓(300)에 오버슬램범퍼(100)를 다시 조립하여 오버슬램범퍼(100)를 자동으로 차체에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하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물론 반복적인 작업으로 이로인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The car's slam over the bumper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오버슬림범퍼를 차체에 조립 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오버슬램범퍼를 회전시켜 조립하지 않고 일반적인 전동공구의 스크류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근골계성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드나 테일게이트, 트렁크 및 도어 등을 포함하는 개폐부재는 차체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차체로부터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 개폐부재에는 닫을 때 댐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오버슬램범퍼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는 개폐부재의 개폐 시 충격을 완화시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과 차체와 개폐부재간 적당한 반력을 형성하여 주행 중에 이음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오버슬램범퍼는 개폐부재가 닫힐 때 그 충격력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개폐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수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특히, 엔진룸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후드의 경우에는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장치의 진동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욱 오버슬램범퍼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런데 종래 오버슬램범퍼를 차체에 조립작업 시 작업자가 일일이 오버슬램범퍼를 수작업으로 회전시켜 조립을 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버슬램범퍼의 조립은 개폐부재의 조립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오버슬램범퍼 외부의 사선을 홀에 삽입해 수작업으로 돌려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따라 조립되는 깊이가 일정치 않고, 작업자의 작업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이 일정하지 않는 것은 물론 반복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둘째; 오버슬램범퍼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은 손목관절을 이용한 작업인데 이처럼 장기간에 걸쳐 손목 관절을 계속 사용하다 보면 근골격계성 질환이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오버슬램범퍼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반복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테일게이트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되는 진동 흡수 및 완충을 위해 차체에 오버슬램범퍼를 조립함에 있어서, 외주면 선단에는 차체의 조립홀에 조립되는 나선부가 구비되고, 외주면 후미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부가 빙둘러 구비된 러버 재질의 오버슬램범퍼; 후미 중앙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비트와 결합되는 비트홀이 구비되어 비트와 일체로 회전되고, 오버슬램범퍼의 걸림홈부 부위를 감싸는 소켓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부와 맞물리는 걸림돌부가 구비된 소켓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버슬램범퍼를 작업자가 일일이 돌려서 조립하던 것을 스크류드라이버가 구비된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반복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오버슬램범퍼와 소켓, 스크류드라이버의 비트가 서로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비트가 조립된 소켓에 오버슬램범퍼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3 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 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오버슬램범퍼와 소켓, 스크류드라이버의 비트가 서로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비트가 조립된 소켓에 오버슬램범퍼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테일게이트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되는 진동 흡수 및 완충을 위해 차체에 오버슬램범퍼를 조립함에 있어서, 외주면 선단에는 차체의 조립홀에 조립되는 나선부(110)가 구비되고, 외주면 후미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부(120)가 빙둘러 구비된 러버 재질의 오버슬램범퍼(100); 후미 중앙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비트(200)와 결합되는 비트홀(311)이 구비되어 비트(200)와 일체로 회전되고, 오버슬램범퍼(100)의 걸림홈부(120) 부위를 감싸는 소켓몸체(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부(120)와 맞물리는 걸림돌부(312)가 구비된 소켓(300); 으로 이루어져 오버슬램범퍼(100)를 소켓(300)에 의해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후드나 테일게이트를 여닫을 때 발생되는 진동 흡수 및 완충을 위해 후드나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 접촉되는 차체 부위에 오버슬램범퍼(100)를 설치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오버슬램범퍼(100)를 설치 시 작업자들이 일일이 손으로 오버슬램범퍼(100)를 회전시켜 조립하지 않고, 스크류 드라이버가 구비된 일반적인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오버슬램범퍼(100)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반복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외주면 선단에 나선부(110)가 구비된 오버슬램범퍼(100)의 외주면 후미에 걸림홈부(120)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오버슬램범퍼(100)와 결합되는 소켓(300)을 구비하는데 상기 소켓(300)의 소켓몸체(310) 후미 중앙에는 스크류 드라이버(도면 중 미도시)의 비트(200)와 결합되는 비트홀(311)이 구비되고 오버슬램범퍼(100)의 걸림홈부(120)와 맞물리는 걸림돌부(31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버슬램범퍼(100)를 차체의 조립홀에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스크류 드라이버의 비트(200)를 소켓몸체(310)에 형성된 비트홀(311)을 통해 끼워 서로 조립되게 하여 비트(200)가 회전되면 소켓(30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소켓(300)에 비트(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오버슬램범퍼(100)를 소켓(300)에 조립하기 위해 오버슬램범퍼(100)의 후미를 소켓(300)에 끼워주는데 즉, 오버슬램범퍼(100)의 외주면에 구비된 걸림홈부(120)와 소켓몸체(310)에 구비된 걸림돌부(312)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면 오버슬램범퍼(100)와 소켓(300)은 서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오버슬램범퍼(100)를 조립하고자 하는 차체의 조립홀에 일치시킨 후 스크류 드라이버를 동작시키면 비트(200)가 회전되면서 소켓몸체(300)이 함께 회전되고, 소켓(300)이 회전되면 이에 조립된 오버슬램범퍼(100)도 회전되면서 차체의 조립홀 속으로 오버슬램범퍼(100)가 점차 들어가 고정된다.
즉, 예전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오버슬램범퍼(100)를 손으로 돌려서 회전시켜 조립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동공구인 스크류 드라이버의 비트(200)를 이용하여 오버슬램범퍼(100)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소켓(300)의 후미 외주면에는 나선부로 된 볼설치공(313)을 비트홀(311)과 통하도록 구비하고 볼설치공(313)에는 비트(200)선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홈(210)에 끼워지는 셋트볼(400), 셋트볼(400)에 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00), 스프링(5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력을 조절하여주는 셋트볼트(600)를 차례로 조립한다.
즉, 셋트볼(400)이 비트(200)의 이탈방지홈(210)에 강하게 밀착되어야 만이 소켓(300)의 비트홀(311)에 끼워진 비트(200)가 빠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셋트볼트(600)를 정회전시키면 세트볼트(600)의 저면에 위치한 스프링(500)이 셋트볼트(600)에 의해 압축되면서 셋트볼(400)을 강하게 눌러 그만큼 셋트볼(400)을 이탈방지홈(210)에 강하게 밀착시켜 비트(200)가 빠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비트(200)를 비트홀(311)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셋트볼트(600)를 반대로 역회전시키면 셋트볼트(600)가 점차 상승함에 따라 압축되었던 스프링(500)이 점차 탄발되면서 스프링(500)에 눌렸던 셋트볼(400)이 밀착력을 잃어 손쉽게 비트(200)가 비트홀(311)에서 빠지면서 비트(200)와 소켓(300)이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버슬램범퍼(100)를 차체에 조립하는 도중 차체에 소켓(300)이 접촉되더라도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300)의 재질을 나일론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100 : 오버슬램범퍼 110 : 나선부
120 : 걸림홈부 200 : 비트
210 : 이탈방지홈 300 : 소켓
310 : 소켓몸체 311 : 비트홀
312 : 걸림돌부 313 : 볼설치공
400 : 셋트볼 500 : 스프링
600 : 셋트볼트

Claims (3)

  1. 자동차의 후드, 테일게이트 도어를 여닫을 때 발생되는 진동 흡수 및 완충을 위해 차체에 오버슬램범퍼를 조립하는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에 있어서,
    외주면 선단에는 차체의 조립홀에 조립되는 나선부(110)가 구비되고, 외주면 후미에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부(312)가 빙둘러 구비된 러버 재질의 오버슬램범퍼(100);
    후미 중앙에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비트(200)와 결합되는 비트홀(311)이 구비되어 비트(200)와 일체로 회전되고, 오버슬램범퍼(100)의 걸림홈부(120) 부위를 감싸는 소켓몸체(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부(120)와 맞물리는 걸림돌부(312)가 구비된 소켓(300);
    으로 이루어져 오버슬램범퍼(100)를 소켓(300)에 의해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소켓(300)의 후미 외주면에는 나선부로 된 볼설치공(313)을 비트홀(311)과 통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볼설치공(313)에는 비트(200) 선단의 이탈방지홈(210)에 일단이 끼워지는 셋트볼(400), 셋트볼에 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00), 스프링(5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장력을 조절해 주는 셋트볼트(600)를 차례로 조립하여
    소켓(300)이 비트(2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켓(300)은
    오버슬램범퍼(100)의 조립을 위해 차체와의 접촉 발생 시 차량 도장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나일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KR1020190012085A 2019-01-30 2019-01-30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KR102117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85A KR102117955B1 (ko) 2019-01-30 2019-01-30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085A KR102117955B1 (ko) 2019-01-30 2019-01-30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55B1 true KR102117955B1 (ko) 2020-06-02

Family

ID=7109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085A KR102117955B1 (ko) 2019-01-30 2019-01-30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259A (ja) * 1993-02-05 1994-08-16 Toyota Motor Corp 振動体に装着される開閉体のストッパ構造
JP2008094261A (ja) * 2006-10-12 2008-04-24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259A (ja) * 1993-02-05 1994-08-16 Toyota Motor Corp 振動体に装着される開閉体のストッパ構造
JP2008094261A (ja) * 2006-10-12 2008-04-24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3271A1 (en) Striker with round antichuck bumper
KR102117955B1 (ko)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조립구조
US6431640B1 (en) Assist grip
KR100565372B1 (ko) 글로브 박스의 댐핑 시스템
JP6734734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車両ドア開閉用アクチュエータ
CN109252760B (zh) 一种车辆及其锁体机构
KR20100059521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KR100820209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차용 엔진커버 고정 어셈블리
KR101188582B1 (ko) 자동차 후드용 충격 감쇄장치
KR20180003376U (ko) 창문용 완충스토퍼
US20200392765A1 (en) Striker mounted endgate damper
KR0139997Y1 (ko) 자동차의 범퍼와 휀더의 조립구조
KR20150114344A (ko) 회전운동을 이용한 자동차 문 보호장치
JP3204874B2 (ja) キャビンのドア装置
KR101415404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KR20080103754A (ko)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KR20090058251A (ko) 차량용 오버슬램범퍼
KR100320818B1 (ko) 자동차의 펜더부 기밀구조
KR20032091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호장치
KR20230081147A (ko) 오버 슬램 범퍼 구조
WO2015041585A1 (en) Insulator which is adjustable and can deal with impacts and vibrations
KR100195043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보호장치
KR102105845B1 (ko) 판스프링의 장착구조
KR200235369Y1 (ko) 자동차의 후방문 지지구조
KR100968818B1 (ko) 차량용 리어 쇽업쇼버의 보호 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