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02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02B1
KR102117102B1 KR1020130102940A KR20130102940A KR102117102B1 KR 102117102 B1 KR102117102 B1 KR 102117102B1 KR 1020130102940 A KR1020130102940 A KR 1020130102940A KR 20130102940 A KR20130102940 A KR 20130102940A KR 102117102 B1 KR102117102 B1 KR 10211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driving circuit
flexible circuit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356A (ko
Inventor
윤여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02B1/ko
Priority to US14/471,312 priority patent/US20150062466A1/en
Publication of KR2015002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회로부를 구비한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일단부에 터치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가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구동회로부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회로부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ESD/EMI로부터 구동회로부 또는 표시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ESD(electrostatic discharge)/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로부터 구동회로부를 차폐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표시장치인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경량 박막형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해상도와 컬러표시 및 화질 등에서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고,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때, 이러한 표시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발생되거나 표시장치의 내부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ESD/EMI가 다른 내부 부품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이에 따라 내부 부품이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회로부를 차폐함으로써 ESD/EMI로부터 구동회로부 및 표시장치의 다른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구동회로부를 구비한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일단부에 터치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가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or cable),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구동회로부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회로부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구동회로부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차폐부의 타측은 상기 구동회로부가 위치된 상기 표시모듈과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는 서로 반대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면에 상기 터치센서가 위치되며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차폐부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표시모듈의 비표시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표시모듈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모듈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게 위치되되 상기 제1 기판에 비하여 상기 윈도우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보다 더 넓어서 형성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돌출영역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가 상기 구동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표시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구동회로부가 위치된 상기 표시모듈의 반대 면에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따르면, 제1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된 차폐부로써 구동회로부를 차폐하여, ESD/EMI로부터 구동회로부 및 표시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표시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제1 연성회로기판의 일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차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1 연성회로기판의 일단부와 도 4에 도시한 차폐부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100)의 표시모듈(110)의 평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모듈(110), 윈도우(150), 제1 연성회로기판(130), 및 차폐부(160)를 포함하고 차폐부(160)가 구동회로부(120)를 커버하여 EMI/ESD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표시모듈(11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부재로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113)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영역(113)에는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비표시영역(114)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110)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모듈 또는 액정층 등을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등일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 사이에 다수의 화소가 구비되어 표시영역(113)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은 제2 기판(112)에 비하여 윈도우(150)에 인접한 엔캡(Encap) 기판일 수 있으며, 제2 기판(112)은 제1 기판(111)보다 넓게 형성되어 돌출영역(115)을 구비하는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기판일 수 있다. 이때, 돌출영역(115)은 비표시영역(114)의 일부일 수 있으며 돌출영역(115)에 구동회로부(120)가 위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부(120)는 표시모듈(11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부재로서 표시모듈(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회로부(120)는 표시모듈(110)의 비표시영역(114) 중 제2 기판(112)의 돌출영역(115)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회로부(120)의 측면에는 제1 기판(111)이 제2 기판(112)과 대향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회로부(120)는 제2 연성회로기판(140) 및 표시모듈(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연성회로기판(140)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응답하여 다양한 신호를 표시모듈(110)의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성회로기판(140)은 표시모듈(110)의 제2 기판(112)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부(141)가 구동회로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동회로부(120)에 인접한 방향을 향하고 타단부(142)가 절곡되어 구동회로부(120)가 위치된 제2 기판(112)의 일면과 반대되는 제2 기판(112)의 타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성회로기판(140)은 구동회로부(12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제2 기판(112) 상에 형성되는 회로패턴 등을 통해 구동회로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윈도우(150)는 표시모듈(110) 상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표시모듈(110), 구동회로부(120), 제1 연성회로기판(130)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표시모듈(110)이 표시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표시모듈(110)의 표시영역(113)에 대응되는 윈도우(150)의 윈도우 표시영역(151)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표시모듈(110)의 비표시영역(114)에 대응되는 윈도우 비표시영역(152)에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구동회로부(120), 연성회로기판(130, 140) 등의 내부 전자부품 등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150)는 표시모듈(110)과 투명 접착층(153)을 통해 접착될 수 있으며 이때 투명 접착층(153)과 표시모듈(110) 사이에는 편광판(154)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접착층(153) 및 편광판(154)은 제2 기판(112)보다 좁은 제1 기판(111)에 대응되는 크기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기판(112) 상의 구동회로부(120) 상에는 투명 접착층(153) 및 편광판(154)이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회로부(120)의 상부에는 윈도우(150)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부(120)와 윈도우(150) 사이의 공간으로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가 진입할 수 있다.
제1 연성회로기판(130)은 일단부(131)에 터치센서(135)를 구비하여 터치센서(135)와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부재로서, 일단부(131)가 윈도우(150)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성회로기판(130)은 서로 반대되는 제1 면(133)과 제2 면(134)을 구비할 수 있으며, 터치센서(135)는 일단부(131)의 제1 면(1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의 제2 면(134)은 윈도우(150) 하부에 노출된 구동회로부(120) 및 제2 기판(112)의 상면과 대면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135)는 윈도우(150)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 또는 이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센서(135)의 위치에 대응되는 윈도우(150)의 윈도우 비표시영역(152)을 터치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1 연성회로기판(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센서(135)가 위치된 곳은 표시모듈(110)의 비표시영역(114)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센서(135)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수로 구성되어 여러 터치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135)는 사용자가 윈도우(150)를 바라보면서 터치할 부분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LED와 같은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성회로기판(130)은 터치센서(135)를 포함하는바 이를 제어하는 구동회로부를 별개로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표시모듈(110)의 구동회로부(120)를 이용하여 터치센서(135)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1 연성회로기판(130)은 제2 연성회로기판(140)과 마찬가지로 표시모듈(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타단부(132)가 제2 연성회로기판(140)의 타단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112)의 하면에 제2 연성회로기판(140)의 타단부(142)와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타단부(132)가 차례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예를 들어 섀시와 같은 부재가 연결되어 제1 연성회로기판(130) 및 제2 연성회로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의 경우 구동회로부(120)가 노출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ESD가 유입되면 구동회로부(120)가 손상될 위험이 있고, 구동회로부(120)의 EMI가 외부로 유출되면 표시장치(100)의 다른 부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부(16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100)의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100)의 차폐부(16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와 도 4에 도시한 차폐부(160)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차폐부(160)는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의 제2 면(134)으로부터 구동회로부(120)를 향해 돌출되어 구동회로부(120)를 커버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차폐부(1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측이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와 연결되어 상면이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이때, 차폐부(160)는 반드시 도 4와 같은 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면을 통해 구동회로부(1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면만 개구되면 무관하고 원형 박스, 삼각 박스 등이어도 무관하다 할 것이다. 또한, 차폐부(160)는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와 연결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구동회로부(120)가 위치된 표시모듈(110)의 제2 기판(112)의 상면과 연결되거나 이에 인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회로부(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60)의 타측이 제2 기판(112)의 상면에 연결되는 경우 차폐부(160)의 타측 하부에는 제2 연성회로기판(140)과 구동회로부(120)를 연결하는 제2 기판(112)의 회로패턴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160)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의 제2 면(134)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벽을 이루는 본체부(161)와 본체부(161)로부터 돌출 연장되되 절곡되어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의 제2 면(134)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돌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는 구동회로부(120)를 커버하는 차폐부(160)가 충분히 위치할 수 있도록 다른 영역에 비하여 더 넓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부(131)의 제2 면(134)에는 접지된 그라운드 단자(136)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연성회로기판(130)의 최외곽에 있는 커버레이를 절개하여 내부의 도선을 노출시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60)의 돌출부(162)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각 그라운드 단자(1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폐부(160)는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된 상태의 차폐부(160)가 구동회로부(120)의 측면을 차폐하고 제1 연성회로기판(130)이 구동회로부(120)의 상면을 차폐하는 형상, 또는 접지된 상태의 차폐부(160)가 구동회로부(120)의 측면 및 상면을 차폐하는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구동회로부(120)를 ESD/EMI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나 표시장치(100)의 내부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ESD/EMI가 구동회로부(120)를 향하더라도 차폐부(160)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136)로 유도되며, 이에 따라 구동회로부(120)가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부(120)로부터 발생되는 ESD/EMI가 차폐부(160)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136)로 유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100)의 내부 부품이 구동회로부(120)로부터 발생된 ESD/EMI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손상에 의한 부품 교체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표시모듈 111 : 제1 기판
112 : 제2 기판 113 : 표시영역
114 : 비표시영역 120 : 구동회로부
130 : 제1 연성회로기판 135 : 터치센서
136 : 그라운드 단자 140 : 제2 연성회로기판
150 : 윈도우 160 : 차폐부

Claims (13)

  1. 구동회로부를 구비한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일단부에 터치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가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구동회로부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회로부를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구동회로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표시모듈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구동회로부의 측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차폐부의 타측은 상기 구동회로부가 위치된 상기 표시모듈과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표시모듈의 비표시영역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표시모듈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게 위치되되 상기 제1 기판에 비하여 상기 윈도우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보다 더 넓어서 형성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돌출영역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구동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표시모듈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구동회로부가 위치된 상기 표시모듈의 반대 면에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타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02940A 2013-08-29 2013-08-29 표시장치 KR10211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940A KR102117102B1 (ko) 2013-08-29 2013-08-29 표시장치
US14/471,312 US20150062466A1 (en) 2013-08-29 2014-08-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940A KR102117102B1 (ko) 2013-08-29 2013-08-29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356A KR20150025356A (ko) 2015-03-10
KR102117102B1 true KR102117102B1 (ko) 2020-06-01

Family

ID=5258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940A KR102117102B1 (ko) 2013-08-29 2013-08-2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62466A1 (ko)
KR (1) KR102117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7706B2 (ja) * 2015-06-05 2017-11-29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及び光送受信装置
KR101742584B1 (ko) * 2015-09-02 2017-06-0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70040435A (ko) * 2015-10-02 2017-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504645B (zh) * 2016-10-24 2019-09-2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设备
US10664014B2 (en) 2017-01-05 2020-05-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569691B1 (ko) * 2017-07-03 2023-08-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272260B (zh) * 2017-07-19 2020-04-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灯条、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2622729B1 (ko) 2019-06-2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50885A (ko) * 2021-04-19 202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632A (ja) * 2004-03-23 2005-10-06 Sharp Corp 液晶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WO2010021200A1 (ja) * 2008-08-22 2010-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パッケージ、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061026A (ja) * 2008-09-05 2010-03-1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321B2 (ja) * 2006-03-14 2012-10-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632A (ja) * 2004-03-23 2005-10-06 Sharp Corp 液晶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WO2010021200A1 (ja) * 2008-08-22 2010-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パッケージ、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061026A (ja) * 2008-09-05 2010-03-1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356A (ko) 2015-03-10
US20150062466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102B1 (ko) 표시장치
EP277282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8638399B2 (en) Touch display device
EP2911043B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KR10233332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713295B2 (en) Tape-based grounding structures
CN107748457B (zh) 显示装置
KR20120032158A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082284B1 (ko) 평판표시장치
CN109426044A (zh) 显示装置
US20190227692A1 (en) Touch input device
US10051766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1376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CN110780481B (zh) 连结基板以及显示装置
KR101432891B1 (ko) 액정표시장치
US9411448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US20160085306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notably haptic touch surface and a flexible electrical shield
WO2018193953A1 (ja) 表示装置
JP5674910B1 (ja) 液晶表示装置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235714B1 (ko)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52175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665517B1 (ko) 커버 쉴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67051A (ko) 전자 기기
KR20130029309A (ko) 액정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