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051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051A
KR20180067051A KR1020160168350A KR20160168350A KR20180067051A KR 20180067051 A KR20180067051 A KR 20180067051A KR 1020160168350 A KR1020160168350 A KR 1020160168350A KR 20160168350 A KR20160168350 A KR 20160168350A KR 20180067051 A KR20180067051 A KR 20180067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electrostatic discharge
conductive member
color fil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019B1 (ko
Inventor
이창호
전은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02F2001/1333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컬러 필터 기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신속하게 방전시켜 컬러 필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정전기 차단 패턴과 도전성 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방전시켜 컬러 필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모바일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또는 표시 화면을 갖는 가전 기기 등의 화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TFT 기판, 대향 기판, 및 TFT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계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를 조절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 상에 화소 전극을 형성하고 대향 기판 상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여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수직 전계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도 있고, TFT 기판 상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함께 형성하여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수평 전계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도 있다.
수평 전계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TFT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대향 기판 상에 차광층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 CF)을 형성한다. TFT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여 액정 표시 패널을 완성한다.
액정 표시 패널을 완성한 후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광원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배치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 백라이트 유닛을 액정 표시 패널의 측면에 배치하는 엣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방출된 광을 액정셀로 진행시키기 위한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을 형성한다.
이후, 모듈 공정을 거쳐서 완성품으로 제조된다. 모듈 공정에서는 측면에 지지를 위한 가이드 패널(Guide Panel)을 결합한다. 이후, 도광판의 하부로 향하는 빛을 상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시트를 형성하고, 컬러 필터보다 비표시 영역 상으로 연장된 TFT 기판의 상부에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IC를 실장한다.
컬러 필터 기판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컬러 필터 기판 상에서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컬러 필터 기판이 손상될 수 있다. TFT 기판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컬러 필터 기판과 TFT 기판 사이에는 도트 패턴이 마련된다. 그러나, 도트 패턴이 마련된 면적이 작아, 컬러 필터 기판과 TFT 기판 사이에 도통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정전기가 방전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컬러 필터 기판은 그 자체뿐만 아니라, 커버 윈도우 등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전기 발생 요인에 대해서도 취약하다. 컬러 필터 기판을 도트 패턴을 통해서만 그라운드로 연결할 경우, 그라운드 면적이 좁아 정전기 방전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컬러 필터 기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신속하게 방전시켜 컬러 필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수납 공간을 갖는 하우징, 수납 공간에 수납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도록 하우징에 지지되고 정전기 차단 패턴을 갖는 커버 윈도우, 및 정전기 차단 패턴에 연결된 정전기 방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정전기 차단 패턴과 도전성 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방전시켜 컬러 필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FT 기판, 컬러 필터 기판, 도트 패턴, 드라이버 IC,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트 패턴과 도전성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전기 방출 경로와 돌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트 패턴, 커버 윈도우, 정전기 방출 경로, 도전성 부재, 및 절연막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하우징(300), 및 커버 윈도우(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30), 및 가이드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분자의 구동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3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하부 기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 영역마다 마련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픽셀 전극 및 픽셀 전극과 중첩되도록 마련된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픽셀 전극은 픽셀 영역 내에 마련되고, 공통 전극은 인접한 복수의 픽셀 영역에 걸쳐 마련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비정질 실리콘의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11)의 하측 에지부에는 각 신호 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패드부가 마련되고, 패드부는 구동 회로와 연결된다. 또한, 하부 기판(111)의 좌측 또는/및 우측 비표시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기 위한 내장 게이트 구동 회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내장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과 함께 하부 기판(111)의 비 표시 영역에 형성된다. 내장 게이트 구동 회로는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 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갖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해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에 공급한다.
상부 기판(113)은 하부 기판(111)에 마련된 각 픽셀 영역에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정의하는 픽셀 정의 패턴 및 개구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상부 기판(113)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 기판(111)과 대향 합착되어 하부 기판(111)의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하부 기판(111)의 전체를 덮는다.
하부 기판(111)의 후면에는 제 1 편광축을 갖는 하부 편광 부재(115)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 기판(113)의 전면(前面)에는 제 1 편광축과 교차하는 제 2 편광축을 갖는 상부 편광 부재(117)가 부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1)에 마련된 공통 전극은 디스플레이 모드시 픽셀 전극과 함께 액정 구동 전극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터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터치 전극(TE)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아래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30)은 도광판(131), 광원부, 반사 시트(133), 및 광학 시트부(135)를 포함한다.
도광판(131)은 적어도 일측면에 마련된 입광부를 포함한다. 도광판(131)은 입광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면 방향,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시킨다.
광원부는 도광판(131)의 입광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도광판(131)의 입광부에 광을 조사한다. 광원부는 도광판(131)의 입광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133)는 도광판(131)의 후면을 덮는다. 반사 시트(133)는 도광판(131)의 하면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31)의 내부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광학 시트부(135)는 도광판(131)의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3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부(135)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이중 휘도 강화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사각띠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에지부에 부착된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백라이트 유닛(130)의 각 측면을 둘러쌈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30)의 유동을 최소화한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시트 지지부(151) 및 패널 지지부(153)를 포함한다.
시트 지지부(151)는 백라이트 유닛(130), 즉 광학 시트부(135)의 에지부와 중첩되도록 사각띠 형태로 형성되어 광학 시트부(135)의 에지부를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151)의 하면은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이 프레임 부착 부재에 의해 반사 시트(133)의 확장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153)는 시트 지지부(151)의 상면 에지부로부터 사각띠 형태로 돌출되고 패널 부착 부재(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에지부에 부착된다. 패널 부착 부재(160)는 양면 테이프, 열 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양면 부착성 폼 패드(foam p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착되어 백라이트 유닛(130)을 지지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3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매달리도록 한다.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면서 커버 윈도우(500)를 지지한다. 즉, 하우징(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후면과 각 측면을 직접적으로 감싼다.
하우징(300)은 하우징 플레이트(310) 및 하우징 측벽(330)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전도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0)은 알루미늄(Al) 재질, 인바(invar) 재질 또는 마그네슘(Mg)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10)는 수납 공간의 바닥면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는다.
하우징 플레이트(31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수납 공간(300S)이 마련될 수 있다. 시스템 수납 공간(300S)에는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700), 통신 모듈, 전원 회로, 메모리, 구동 회로, 및 전압 생성 회로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시스템 수납 공간(300S)은 후면 커버(800)에 의해 은폐된다.
하우징 측벽(330)은 하우징 플레이트(310)의 각 측면에 수직하게 마련된다. 하우징 측벽(330)은 커버 윈도우(500)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 측면을 직접적으로 감싼다.
커버 윈도우(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를 덮도록 하우징(300)에 지지된다. 커버 윈도우(500)는 강화 글라스(Glass),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강화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 윈도우(500)는 하우징 측벽(330)에 마련된 탄성 부재(5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510)는 하우징 측벽(330)의 상부 내벽에 마련된 홈부(350)에 부착되어 커버 윈도우(500)의 후면 에지부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51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패드, 양면 부착성 폼 패드, 또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510)는 커버 윈도우(5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커버 윈도우(500)는 하우징 측벽(330)의 홈부(350)에 배치된 탄성 부재(510)와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하우징 측벽(3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커버 윈도우(500)는 투명 점착 부재(55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전체에 부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보호한다. 투명 점착 부재(510)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버 윈도우(500)에 부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하우징(300)의 하우징 플레이트(310)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하우징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에어 갭(AG)이 마련된다. 에어 갭(AG)은 커버 윈도우(5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하우징 플레이트(310)와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 플레이트(310)에 부착된 완충 패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패드(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도록 하우징 플레이트(310)에 부착된다. 완충 패드(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변형시,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하우징 플레이트(310) 간의 물리적으로 접촉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일 예에 따른 완충 패드(400)는 소프트 재질, 예를 들어 PU(polyuretha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TFT 기판(11), 컬러 필터 기판(13), 도트 패턴(15), 드라이버 IC(17), 및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19)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40)에서 공급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측으로는 드라이버 IC(drive IC, DIC)(77)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9)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TFT 기판(11), TFT 기판(11) 위에 합착되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13), 및 TFT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3)의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드라이버 IC(77)는 TFT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3)이 엇갈려 배치되어 TFT 기판(11)의 일부가 노출된 가장자리에 실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한다.
TFT 기판(11)은 매트릭스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며,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은 드라이버 IC(17)에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버 IC(17)의 일 측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19)이 연결된다.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19)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드라이버 IC(17)을 통해서 각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각 화소에 배치된 TFT를 턴-온 또는 턴-오프해 각 화소로 구동전압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TFT 기판(11) 위에는 컬러 필터 기판(13)이 합착된다. 컬러 필터 기판(13)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TFT 기판(11) 및 컬러 필터 기판(13)의 표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광을 편광시킨다.
도트 패턴(15)은 TFT 기판(11)의 일부가 노출된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도트 패턴(15)은 컬러 필터 기판(13)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도트 패턴(15)은 TFT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트 패턴(15)은 Ag, Al, Cu 등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도트 패턴(15)이 없다면, 컬러 필터 기판(13)은 외부로 전하를 방출할 수 없다. 이 경우, 컬러 필터 기판(13) 상에서 발생한 정전기 또는 컬러 필터 기판(13)의 상부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 상에서 발생한 정전기가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컬러 필터 기판(13)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컬러 필터 기판(13)을 TFT 기판(11)과 연결시키는 도트 패턴(15)을 통해서, 컬러 필터 기판(13)에 쌓인 전하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컬러 필터 기판(13)에서 정전기가 쌓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컬러 필터 기판(13)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50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500)의 배면에는 정전기 차단 패턴(600)과 도전성 부재(630)가 마련된다. 정전기 차단 패턴(600)은 정전기 방출 경로(610)와 돌출부(620)를 포함한다.
정전기 방출 경로(610)는 커버 윈도우(500)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정전기 방출 경로(610)는 직선 금속 패턴 또는 도전성 라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가 커버 윈도우(500)의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전기 방출 경로(610)는 커버 윈도우(500)의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방출 경로(610)는 커버 원도우(500) 상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돌출부(620)를 이용하여 공급받는다. 정전기 방출 경로(610)는 도전성 부재(63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정전기 방출 경로(610)는 공급받은 정전기를 도전성 부재(630)로 전달할 수 있다.
돌출부(620)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의 측면 모서리에서 연장된다. 돌출부(620)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에서 커버 윈도우(500)의 중앙 라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620)는 미세 금속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돌출부(620)는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며, 전하를 잘 끌어당기는 구조를 갖는다. 돌출부(620)는 커버 윈도우(500)의 중앙 라인 방향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모은다. 돌출부(620)는 모은 정전기를 정전기 방출 경로(610)로 전달한다.
도전성 부재(630)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와 연결된다. 도전성 부재(630)는 전기 전도도가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마련된다. 도전성 부재(630)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에서 모은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도전성 부재(630)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19)을 통해 연장된 도전성 라인을 이용하여 외부로 정전기를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부재(630)가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다른 도전성 물질과 접속되어야 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19)을 통해 연장된 도전성 라인은 구조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른 층 또는 구성 요소들과 연결되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접지를 위한 부재는 전자 기기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19)을 통해 연장된 도전성 라인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자유롭게 접지를 할 수 있는 구성 요소와 도전성 부재(6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우징(3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하우징(300)의 일 측 모서리에는 그라운드 단자(301)가 마련된다.
그라운드 단자(301)는 하우징(3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하우징(300)의 내부 표면에 설치된다. 그라운드 단자(301)는 하우징(300)의 외부로 전하를 방출할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301)는 그라운드 전압을 갖는다. 그라운드 단자(30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전체적으로 쌓이는 정전기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도전성 부재(630)는 그라운드 단자(301)와 접속된다. 도전성 부재(630)에서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19)을 통해 연장된 도전성 라인을 그라운드 단자(301)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성 부재(630)로 모인 모든 전하들은 그라운드 단자(301)를 통해 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500)의 배면에 설치된 정전기 차단 패턴(600)을 이용하여 모은 정전기를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트 패턴(15)과 도전성 부재(6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트 패턴(15)은 도전성 부재(630)와 접속된다. 도트 패턴(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TFT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컬러 필터 기판(13)에 쌓인 정전기를 분산시킨다. 도전성 부재(630)는 도트 패턴(15)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도트 패턴(15)이 전자 기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므로,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전성 부재(630)를 형성하는 경우 도트 패턴(15)과 도전성 부재(630)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성 부재(630)에서의 정전기 방전 속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전성 부재(630)는 도트 패턴(15)의 높이 차이를 제거한다. 도트 패턴(15)은 TFT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3)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TFT 기판(11)이 컬러 필터 기판(13)보다 연장되어 있으므로, 도트 패턴(15)은 TFT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3)의 경계부에서 단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도전성 부재(630)는 유연성이 높으면서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트 패턴(15)의 단차를 제거하는 형태를 갖도록 미리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트 패턴(15)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여 도전성 부재(630)가 도트 패턴(15)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전기 방출 경로(610)와 돌출부(6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돌출부(620)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에서 연장되면서, 커버 윈도우(500)의 중앙 라인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돌출부(620)는 삼각파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리적인 성질에 의하여 전하는 뾰족한 끝에 잘 모인다. 따라서, 돌출부(620)의 끝이 뾰족한 삼각파형 형태를 갖는 경우, 커버 윈도우(500)의 중앙 방향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더욱 잘 모을 수 있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돌출부(620)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에서 연장되면서, 커버 윈도우(500)의 중앙 라인 방향으로 갈수록 여러 갈래로 분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돌출부(620)는 피뢰침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피뢰침과 같이 꼭지점 또는 직선의 끝 부분의 개수가 많을수록 동일 면적 내에서 전하를 더 잘 모을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620)의 끝이 여러 경로로 분기되면서 끝이 더 많아지는 경우, 커버 윈도우(500)의 중앙 방향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더욱 잘 모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트 패턴(15), 커버 윈도우(500), 정전기 방출 경로(610), 도전성 부재(630), 및 절연막(64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정전기 방출 경로(610)의 하부에 절연막(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64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된다. 만약 정전기 방출 경로(610)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컬러 필터 기판(13) 또는 TFT 기판(11)의 구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에 속하는 부분에는 절연막(640)을 형성하여, 컬러 필터 기판(13) 또는 TFT 기판(11)의 구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막(640)은 정전기 방출 경로(610)를 보호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전성 부재(630)의 하부에는 절연막(640)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는 도전성 부재(630)와 도트 패턴(1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정전기 방출 경로(610)에서 모은 정전기를 도전성 부재(630)를 통하여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커버 윈도우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정전기 차단 패턴과 도전성 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방전시켜 컬러 필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TFT 기판 13: 컬러 필터 기판
15: 도트 패턴 17: 드라이버 IC
19: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30: 백라이트 유닛
150: 가이드 프레임 300: 하우징
301: 그라운드 단자 500: 커버 윈도우
600: 정전기 차단 패턴 610: 정전기 방출 경로
620: 돌출부 630: 도전성 부재
640: 절연층

Claims (9)

  1. 수납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정전기 차단 패턴을 갖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정전기 차단 패턴에 연결된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커버 원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정전기 방지 패턴과 외부의 정전기 방전 부재를 연결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그라운드 단자이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된, 전자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FT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연결된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을 통하여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된, 전자 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지 부재는 TFT 기판의 비표시 영역과 컬러 필터 기판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도트 패턴이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도트 패턴과 연결된, 전자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TFT 기판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 사이의 높이 차이를 제거한, 전자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단 패턴은 상기 커버 원도우의 측면에 배치된 정전기 방출 경로; 및
    상기 정전기 방출 경로에서 상기 커버 원도우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 원도우의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파 형태인, 전자 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 원도우의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복수의 경로로 분기된 피뢰침 형태인, 전자 기기.
KR1020160168350A 2016-12-12 2016-12-12 전자 기기 KR10264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50A KR102640019B1 (ko) 2016-12-12 2016-12-12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350A KR102640019B1 (ko) 2016-12-12 2016-12-12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051A true KR20180067051A (ko) 2018-06-20
KR102640019B1 KR102640019B1 (ko) 2024-02-27

Family

ID=6276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350A KR102640019B1 (ko) 2016-12-12 2016-12-12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9468A (ja) * 2007-02-23 2008-09-11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KR20110095818A (ko) * 2010-02-19 2011-08-25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9565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9468A (ja) * 2007-02-23 2008-09-11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KR20110095818A (ko) * 2010-02-19 2011-08-25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9565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19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4547B2 (en) Flexibl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17580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rce touch function
KR10200967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03117600U (zh) 显示装置
US7626672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EP3112997A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rce touch function
US10268086B2 (en) Electronic device
US109557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8255357B (zh) 触摸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0007308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20100182529A1 (en) Mount structure,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apparatus
KR102117102B1 (ko) 표시장치
US20190377925A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sensor opening
KR102350393B1 (ko) 전자파 차폐 구조물과 그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227016B1 (ko) 표시장치
CN108241234B (zh) 光源模组以及包括该光源模组的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US20170005116A1 (en) Displays Having Substrate Ledge Support
KR102640019B1 (ko) 전자 기기
CN108254967B (zh) 光源模块以及包括其的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KR102563263B1 (ko) 인쇄 회로 기판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046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13460A (ko) 표시장치
KR20160039060A (ko) 표시장치
KR10266884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96463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