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566B1 -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566B1
KR102116566B1 KR1020160095528A KR20160095528A KR102116566B1 KR 102116566 B1 KR102116566 B1 KR 102116566B1 KR 1020160095528 A KR1020160095528 A KR 1020160095528A KR 20160095528 A KR20160095528 A KR 20160095528A KR 102116566 B1 KR102116566 B1 KR 10211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layer
film
composition
antistat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550A (ko
Inventor
권현철
박지성
정재호
고동호
최광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9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5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코팅 방식에 따라 형성한 대전 방지층 대비 표면 처리층에 대해 현저하게 향상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동시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어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ANTISTATIC FIL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정보화시대의 가속화 속에 정보와 사람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시장이 전력소비가 심하고 공간효율이 떨어지는 기존의 음극선관 방식에서 LCD, OLE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대체되는 시점에서 평판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개발은 그 양과 질적인 면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함께 수요에 대한 공급 초과 현상이 맞물려 그 동안 고가였던 평판 디스플레이의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생산 효율 향상에 대한 필요성으로 다가오고 있다.
LCD는 현재 PC 모니터 분야의 가장 인기 있는 제품으로 그 영역을 TV로 까지 넓혀가고 있으며 편광판은 LCD 구동에 필요한 핵심부품 중 하나이다. 자체 발광을 할 수 없는 LCD는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으로 영상을 구현한다.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은 여러 방향의 진동을 가지고 있는데 편광판은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 시키고 나머지 진동 방향의 빛은 편광매질을 이용하여 흡수 또는 반사시킨다. 이 편광판을 액정셀 양쪽에 수직 또는 수평 되게 배치하여 백라이트의 빛이 액정셀을 통과하는 동안 편광판의 회전배치 정도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세기가 조절된다.
편광판은 편광매질인 PVA(폴리비닐알코올)를 중심에 포함하고 PVA 양면에 지지체인 TAC(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을 배치시킨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편광판은 LCD의 다른 구성품과 접합되기 위해 PVA 양면에 배치된 TAC 필름 중 어느 한 필름의 면에 점착제를 코팅하고 보호 필름을 입혀 준비된다. 그러나, 편광판 접합의 후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을 박리시키는 과정 중 정전기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편광판에 대한 대전 방지 처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서, 종래에는 TAC 필름을 제조한 후 대전 방지 기능을 위한 별도의 층을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코팅 방법을 통해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TAC 필름에 컬, 얼룩 등의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하고, 별도의 코팅 공정의 추가로 인해 편광판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외부의 빛이 LCD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화질 및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사 방지 기능을 요구하거나 혹은 LCD를 외부 충격 혹은 자극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경도 혹은 내스크래치성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TAC 필름에는 대전 방지층 외에 반사 방지 기능이나 손상 방지 기능을 위한 다양한 표면 처리층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층을 포함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을 포함하며,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다음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하여 5B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이 공압출되어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 방지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전 방지제는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및 폴리페닐렌비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다음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하여 5B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층을 제조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2 개 이상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2 개 이상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다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상기 2 개 이상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연결된 압출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과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공급하고 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압출함으로써 대전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3 개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3 개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3 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3 개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3 개의 유로를 통해 연결된 압출기를 이용하여, 중간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중간 주입구를 제외한 2 개의 주입구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에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 혹은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함으로써 대전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대전 방지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의 대전 방지 필름은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의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코팅 방식에 따라 형성한 대전 방지층 대비 표면 처리층에 대해 현저하게 향상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동시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어 별도의 코팅 공정 없이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압출기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을 포함하며,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다음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하여 5B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기재 필름에 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한 대전 방지층은 반사 방지 기능이나 손상 방지 기능의 표면 처리층에 대한 부착력이 좋지 않아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한 필름을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전 방지 필름에 대해 계속 연구한 결과, TAC 기재 필름 및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다층 구조의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다양한 표면 처리층에 대하여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그 표면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전 방지층 상에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한 결과 5B의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한 JIS K 5400에 따른 크로스-해치 시험(Cross-hatch test)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 1 내지 6 ㎛, 3 내지 5 ㎛ 혹은 약 4 ㎛가 되도록 도포한다. 그리고, 얻어지는 도포막을 60℃ 에서 1 분간 건조 후 약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나이프로 가로 세로 1 mm 간격의 평행한 선을 11 번 그어 100 개의 바둑판 눈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둑판 눈금이 형성된 면에 접착 테이프(Nichiban No.405 adhesive tape)를 잘 밀착시키고 이 접착 테이프를 9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표면 처리층의 결손된 면적을 측정하였다. 박리된 후 결손된 면적이 0 내지 1%인 경우 5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1% 초과 5% 이하인 경우 4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5% 초과 15% 이하인 경우 3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15% 초과 35% 이하인 경우 2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35% 초과 65% 이하인 경우 1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65% 초과인 경우 0B로 규정하였다. 결손된 면적이 좁을 수록 즉, 5B에 가까울수록 상기 대전 방지층의 표면 처리층에 대한 밀착력 및 부착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상기 특정 표면 처리층에 대해 5B 정도의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층은 상기 특정 표면 처리층 외의 다른 다양한 기능의 표면 처리층에 대해서도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대전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다층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대전 방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동일한 재료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여 보다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대전 방지층은 기본 수지로 기재 필름과 동일한 재료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 방지제로는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및 폴리페닐렌비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대전 방지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4급 암모늄염 화합물; 피리디늄염; 1 내지 3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양이온성 화합물; 설폰산 염기, 황산 에스테르 염기, 인산 에스테르 염기, 포스폰산 염기 등의 음이온성 화합물; 아미노산계 또는 아미노 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의 양성 화합물; 이미노 알코올계 화합물, 글리세린계 화합물, 폴리에틸렌 글리콜계 화합물 등의 비이온성 화합물; 주석 또는 티타늄 등을 포함한 금속 알콕사이드 화합물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의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염 등의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들의 2 종 이상의 반응물 또는 고분자화물; 이러한 화합물들의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4급 암모늄염 화합물은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4급 암모늄염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저분자형 또는 고분자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제로 상기 도전성 고분자를 금속 산화물 미립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는 산화 아연, 산화 안티몬, 산화 주석, 산화 세륨, 인듐 주석 산화물, 산화 인듐, 산화 알루니늄, 안티몬 도핑된 산화 주석, 알루미늄 도핑된 산화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기본 수지와 대전 방지제를 1:2 내지 4, 1:2 내지 3, 혹은 1:2 내지 2.5의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전 방지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도전성 고분자를 1:2 내지 4, 1:2 내지 3, 혹은 1:2 내지 2.5의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으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대전 방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다양한 표면 처리층에 대해 보다 우수한 부착력 및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대전 방지 필름은 편광판의 지지체로 사용되어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할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LCD의 구동 시 내부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IC 회로 등이 손상되거나 기기가 오작동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은 다양한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밀착력 및 부착력을 나타내므로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전 방지층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하드 코팅층; AG (Anti-glare)층 또는 SG (Semi-glare)층과 같은 눈부심 방지층; 또는 AR (Anti reflection)층 또는 LR (Low reflection)층과 같은 저반사층 등의 표면 처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은 편광판의 지지체 외에도 3D FPR (film pattern retarder) 혹은 고색재현필름 등의 대전 방지 처리가 필요한 다양한 광학 필름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대전 방지층은,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다음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하여 5B의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할 수 있는 압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출기로는 2 개 이상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2 개 이상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다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상기 2 개 이상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연결된 압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의 서로 다른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과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공급하고 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압출하여 다층 구조의 대전 방지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출기는 도 1과 같이 3 개의 주입구(11, 12, 13)와 1 개의 토출구(20)를 가지며, 3 개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3 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3 개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3 개의 유로(31, 32, 33)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의 중간 주입구(12)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중간 주입구를 제외한 2 개의 주입구(11, 13)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11 또는 13)에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주입구(11 또는 13)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 혹은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여, 기재 필름의 일면 혹은 양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된 대전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제조된 대전 방지층은 기존의 코팅 방식을 통해 제조된 대전 방지층 대비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부착력 및 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의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컬이나 얼룩 발생 문제 없이 대전 방지 필름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의 형성 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대전 방지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유기 용매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상용성이 좋은 용매로, 예를 들면, 아세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의 구체적인 종류 및 함량 등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대전 방지층 상에 다양한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층의 구체적인 예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아세톤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중량평균분자량: 190,000 g/mol)를 15 중량%로 첨가하고 70℃에서 혼합/용융시켜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한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과 폴리아닐린(Polyaniline)을 50:50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대전 방지제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앞서 준비한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 중 일부와 대전 방지제를 94:6의 중량 비율 (TAC : Acetone : PEDOT : Polyaniline = 14.1 : 79.9 : 3 : 3)로 혼합하여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도 1과 같이, 3 개의 주입구(11, 12, 13)와 1 개의 토출구(20)를 가지며, 3 개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3 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3 개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3 개의 유로(31, 32, 33)를 통해 연결된 압출기를 준비하였다.
압출기의 중간 주입구(12)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중간 주입구를 제외한 2 개의 주입구(11, 13)에 각각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한 후, 35℃의 온도에서 공압출하여 기재 필름의 양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된 대전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의 총 두께는 60 ㎛ 이었으며,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 양면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 각각의 두께는 20 ㎛이었다.
비교예 1: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압출기의 3 개의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압출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1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2 중량%, 폴리에틸렌디옥시디오펜 3 중량%, 폴리아닐린 3 중량%, 광개시제(Irg-184) 1 중량%, 에탄올 40 중량%, 2-부탄올 20 중량%, 자일렌 20 중량%를 혼합한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바 코팅하고 80℃에서 2 분간 건조시켰다. 그리고, 상기 건조막에 약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기재 필름 상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의 총 두께는 61 ㎛ 이었으며,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1 ㎛이었다.
비교예 2: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압출기의 3 개의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압출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1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2 중량%, 폴리에틸렌디옥시디오펜 3 중량%, 폴리아닐린 3 중량%, 광개시제(Irg-184) 1 중량%, 에탄올 40 중량%, 2-부탄올 20 중량%, 자일렌 20 중량%를 혼합한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바 코팅하고 80℃에서 2 분간 건조시켰다. 그리고, 상기 건조막에 약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기재 필름 상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 필름의 총 두께는 60.5 ㎛ 이었으며,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0.5 ㎛이었다.
시험예: 대전 방지 필름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대전 방지 필름을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10 cm 및 10 cm가 되도록 잘라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시편에 대해 하기와 같은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1) 부착력 측정
상기 시편의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4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리고, 얻어지는 도포막을 60℃ 에서 1 분간 건조 후 약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Cross-hatch test)을 수행하여 표면 처리층에 대한 대전 방지층의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우선,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나이프로 가로 세로 1 mm 간격의 평행한 선을 11 번 그어 100 개의 바둑판 눈금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바둑판 눈금이 형성된 면에 접착 테이프(Nichiban No.405 adhesive tape)를 잘 밀착시키고 이 접착 테이프를 9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표면 처리층의 결손된 면적을 측정하였다.
박리된 후 결손된 면적이 0 내지 1%인 경우 5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1% 초과 5% 이하인 경우 4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5% 초과 15% 이하인 경우 3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15% 초과 35% 이하인 경우 2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35% 초과 65% 이하인 경우 1B로 규정하고, 결손된 면적이 65% 초과인 경우 0B로 규정하였으며, 5B에 가까울수록 대전 방지층의 표면 처리층에 대한 밀착력 및 부착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하기 표 1에는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의 부착력 평가 후 촬영한 표면 사진을 나타내었다.
(2) 표면 저항 측정
표면 저항 측정기(MCP-HT800)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의 면저항을 측정하였다. 면저항이 측정되지 않으면 시편이 도전성을 나타내지 못함을 의미하며, 1014 Ω/□ 미만의 면저항이 측정되면 대전 방지 특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3) 박리 대전압 측정
상기 (1) 부착력 측정을 위한 방법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대전 방지층 상에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표면 처리층 상에 보호 필름인 PET 필름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였다. 이후, 상기 보호 필름을 25℃에서 세로 방향으로 30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할 때의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상기 박리 대전압이 작을수록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우수한 대전 방지 특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부착력 표면 사진 표면 저항
[Ω/□]
박리 대전압
[단위: kV]
실시예 1 5B
Figure 112016073119394-pat00001
3.0 X 1012 -0.14
비교예 1 4B
Figure 112016073119394-pat00002
4.3 X 1012 -0.12
비교예 2 3B
Figure 112016073119394-pat00003
4.0 X 1012 -0.13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대전 방지층은 기존 코팅 방식으로 형성된 비교예 1 및 2의 대전 방지층과 같이 우수한 대전 방지 특성을 나타내면서 비교예 1 및 2의 대전 방지층과는 달리 표면 처리층에 대해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다.
11, 12, 13: 주입구
20: 토출구
31, 32, 33: 유로

Claims (9)

  1.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이 공압출되어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된 다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대전 방지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 방지제는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및 폴리페닐렌비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다음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하여 5B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기재 필름과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층을 공압출하여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전 방지제는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및 폴리페닐렌비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도전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대전 방지층 상에 전체 고형분에 대해 PS-PMMA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 입자 4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0.1 내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1 분간 건조시킨 다음 3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 처리층을 형성한 후에,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층에 대해 25℃에서 JIS K 5400에 따라 크로스-해치 시험을 수행하여 5B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대전 방지층을 제조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2 개 이상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다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상기 2 개 이상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연결된 압출기를 이용하며, 서로 다른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과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공급하고 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압출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3 개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를 가지며, 3 개의 주입구로 공급된 조성물이 1 개의 토출구를 통해 3 층 구조로 압출될 수 있도록 3 개의 주입구와 1 개의 토출구가 3 개의 유로를 통해 연결된 압출기를 이용하며, 중간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중간 주입구를 제외한 2 개의 주입구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에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주입구에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 혹은 대전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공급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160095528A 2016-07-27 2016-07-27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28A KR102116566B1 (ko) 2016-07-27 2016-07-27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28A KR102116566B1 (ko) 2016-07-27 2016-07-27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50A KR20180012550A (ko) 2018-02-06
KR102116566B1 true KR102116566B1 (ko) 2020-05-28

Family

ID=6122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528A KR102116566B1 (ko) 2016-07-27 2016-07-27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5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57B1 (ko) * 2007-11-15 2010-03-05 광 석 서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JP5645355B2 (ja) * 2008-07-18 2014-12-24 株式会社ジロオコーポレートプラン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00049804A (ko)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다원시스 대전 방지 고분자 필름
KR101251198B1 (ko) * 2008-12-23 2013-04-08 (주)엘지하우시스 자외선경화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장식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50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460B1 (ko) 원 편광판 및 입체 화상 표시 장치
TWI686432B (zh) 光學用聚酯薄膜及使用其之偏光板
US2016002590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I570463B (zh)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WI805838B (zh) 積層薄膜
JP200404265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816867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了該附相位差層之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WO2015170872A1 (ko) 보호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5030157A (ja) 透明導電性積層体の製造方法
TWI547726B (zh) Image display device
KR101783210B1 (ko)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W201510584A (zh) 相位差薄膜、相位差薄膜之製造方法、使用此相位差薄膜之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使用此影像顯示裝置之3d影像顯示系統
TWI777075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其之影像顯示裝置
TWI832889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了該附相位差層之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KR102116566B1 (ko) 대전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369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695915B1 (ko)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781308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TWI827658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該附相位差層之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KR101717642B1 (ko)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201738301A (zh) 樹脂膜之製造方法及偏光膜之製造方法
KR101748531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KR20210052904A (ko) 편광판
TW201945202A (zh) 偏光板、偏光板捲材、及偏光膜之製造方法
JP6521149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