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133B1 -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133B1
KR102116133B1 KR1020180072315A KR20180072315A KR102116133B1 KR 102116133 B1 KR102116133 B1 KR 102116133B1 KR 1020180072315 A KR1020180072315 A KR 1020180072315A KR 20180072315 A KR20180072315 A KR 20180072315A KR 102116133 B1 KR102116133 B1 KR 10211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vinyl acetate
ethylene
acet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247A (ko
Inventor
서성규
김정수
김동호
배성국
Original Assignee
삼호산업(주)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산업(주),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삼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7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1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29C44/3446Feeding the blowing agent
    • B29C44/3449Feeding the blowing agent through the screw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8Copolymers of styrene

Abstract

본 발명은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고무에 불포화 산 무수물에 비해 반응 안정성이 높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과산화물,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그라프트율이 높은 그라프팅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고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한 후, 이 기재에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금속 산화물 등의 첨가제와 가교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반발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에 비해 슬립저항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PRODUCING OF FOAM COMPOUNDS HAVING HIGH RESILIENCE AND ANTI SLIP PROPERTY}
본 발명은 합성고무에 불포화 산 무수물에 비해 반응 안정성이 높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과산화물,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그라프트율이 높은 그라프팅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고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한 후, 이 기재에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금속 산화물 등의 첨가제와 가교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반발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에 비해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는 외력에 의해 모양과 부피가 변형된 후 힘을 제거하였을 때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가지는데, 고무의 탄성은 힘을 점차 크게 가하면 어느 단계 이상에서는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변형이 그대로 남는 영구변형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영구변형의 한계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 조성물에 황이나 유기과산화물 등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망상 구조의 가교를 형성시킨다.
한편, 최근에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가 개발되어 고무 적용 분야에 사용되고 있지만, 화학적인 가교구조를 갖는 기존의 가교 고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열성, 내구성, 영구압축변형률, 탄성복원력, 내스크래치성 등이 떨어지며 잔류변형이 커서 응력 완화나 크리이프(Creep)현상이 나타나는 단점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열가소성 가황고무(Thermoplastic vulcanizates; TPV)는 연질의 고무와 경질의 플라스틱의 블렌드이지만 연질 고무 부분이 가교되어 있어 기존의 열경화성 고무와 유사한 탄성을 나타내는 소재이나, 경질 플라스틱부에 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나 폴리에틸렌(PE)에 의하여 가소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충진제의 충진율이 일반 플라스틱과 유사하게 낮아 30중량%이상 고충진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가교된 고무 조성물에 비해 영구압축변형률이 나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EPDM 또는 컨쥬게이팅된 디엔 고무 및 이소부틸렌 고무로부터 얻어지는 열가소성 가황고무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지만, 상기 열가소성 가황고무는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된 고무배합물을 약 10~90 중량부 함유하며 이를 통해 열가소성을 가지면서 가황 고무와 유사한 모듈러스를 발현하고자 하였으나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부분 가교 결합상의 고무 조성으로 인해 탄성 회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최적 탄성 회복을 위해 정해진 모폴로지를 가지는 열가소성 가황고무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 기술은 인접하게 놓여진 가교된 고무 입자 사이의 연속 가소성 물질의 조절 기술을 통해 두 인접 인자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탄성 회복력을 가지도록 하였으나 탄성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가소성의 경질 플라스틱 재료를 줄일 경우 기계적 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이를 증량할 경우 탄성이 감소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감성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3에서는 합성고무 또는 올레핀계 수지에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 MA)를 사용하여 그라프팅화시킨 화합물을 단독 기재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그라프팅화시킨 화합물에 기타 수지를 혼합한 혼합 조성물을 기재로 사용하고, 이 기재에 첨가한 반응성 아민 화합물, 금속 산화물들이 고무 또는 올레핀계 분자 사이에서 수소 결합(Hydrogen bonding) 및 이온 결합(Ionic interaction)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였으나, 상기 특허의 가교 결합 구조는 수소결합과 이온클러스터에 의한 이온간력(ionic interaction)으로 나누어지며, 아민화합물에 의한 수소결합이 가교 고무가 나타내는 공유결합보다는 결합력이 약하지만 이온간력은 수소결합보다 상대적으로 강력한 물리결합을 나타내므로 가교 고무와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와 같이 반응성이 높은 불포화 산 무수물을 채용한 그라프트 화합물은 그라프트율이 2.0% 미만이므로 이를 기재로 하여 상기 가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열가역성 가교 조성물로는 가교 고무 수준의 영구압축변형률을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문헌 4와 같은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을 선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문헌 4는 합성고무에 불포화 산 무수물에 비해 반응 안정성이 높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과산화물,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그라프트율이 높은 그라프팅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 기재에 이온화가 가능한 금속염들을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하여 분자간 이온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와 낮은 영구압축변형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4를 개량하여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뿐만 아니라, 반발탄성과 슬립저항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27193호 "EPDM 또는 컨쥬게이팅된 디엔 고무 및 이소부틸렌 고무로부터 얻어지는 열가소성 가황고무"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3732호 "최적 탄성 회복을 위해 정해진 모폴로지를 가지는 열가소성 가황고무"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5869호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545호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고무에 불포화 산 무수물에 비해 반응 안정성이 높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과산화물,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그라프트율이 높은 그라프팅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고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한 후, 이 기재에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금속 산화물 등의 첨가제와 가교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반발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에 비해 슬립저항성이 우수하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0.15 ~ 25 중량부, 과산화물 0.01 ~ 0.3 중량부, 산화방지제 0.01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카르복실산이 0.1 ~ 15.0%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S100 단계를 거쳐 제조된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5 ~ 30 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70 ~ 95 중량%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하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 0.05 ~ 15.0 중량부, 산화아연 2 ~ 4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15 ~ 20분 동안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 0.5 ~ 1.5 중량부 및 발포제 2 ~ 4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open roll)에서 분산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발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에 비해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5 ~ 3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70 ~ 95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 0.05 ~ 15.0 중량부, 산화아연 2 ~ 4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 가교제 0.5 ~ 1.5 중량부 및 발포제 2 ~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0.15 ~ 25 중량부, 과산화물 0.01 ~ 0.3 중량부, 산화방지제 0.01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카르복실산이 0.1 ~ 15.0%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 산의 함량이 0.15 중량부 미만에서는 그라프트율이 낮아 분자 간의 초분자 결합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라프트 반응이 지나치게 일어나 그라프트 합성고무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상기 과산화물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그라프트 반응의 개시가 잘 일어나지 않아 그라프트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며,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산화물이 고무 분자와 라디칼 반응하여 겔화(Gelation)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아울러, 산화방지제를 투입하지 않을 경우, 과산화물에 의한 개시 반응 빠르게 유도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진행할 수 있으나 과산화물 함량이 증가될 경우 겔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산화물이 0.15 중량부 이상 사용될 경우에는 산화방지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기능을 구현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산화방지제가 과산화물의 개시반응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기재를 이루기 위하여 5 ~ 30 중량%가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70 ~ 95 중량%와 혼합되어 기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사용량이 95 중량%를 초과하게 되므로 반발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사용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사용량이 70 중량% 미만이 되므로 발포체가 제대로 제조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며, 그 사용량이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반발탄성과 슬립저항성의 향상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성 또는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가교제 및 발포제는 발포체 제조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첨가제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함량 역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포체의 사용용도나 환경 등에 따라 이미 공지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0.15 ~ 25 중량부, 과산화물 0.01 ~ 0.3 중량부, 산화방지제 0.01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카르복실산이 0.1 ~ 15.0%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100)를 거친 후, 상기 S100 단계를 거쳐 제조된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5 ~ 30 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70 ~ 95 중량%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하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 0.05 ~ 15.0 중량부, 산화아연 2 ~ 4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15 ~ 20분 동안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 0.5 ~ 1.5 중량부 및 발포제 2 ~ 4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open roll)에서 분산시키는 단계(S200)를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기재 및 각종 첨가제에 관한 구체적인 조성비 등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S100 단계에서 압출 조건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과산화물의 개시반응이 활성화 되지 않아 그라프트 반응률이 저하되어 그라프트율이 0.1% 이하로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기재 합성고무 및 불포화 카르복실 산(Unsaturated carboxylic acid)이 열화 및 겔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혼합 조건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각 기재 및 첨가제가 제대로 혼합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의 구성으로 제조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발포체의 제조
(실시예 1)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이타콘산) 0.15 중량부, 과산화물(과산화 칼슘) 0.01 중량부, 산화방지제(Songnox-1076, 송원화학) 0.01 중량부를 첨가하여 카르복실산이 0.1% 그라프트된 이타콘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1317, 한화케미칼) 95 중량%와 상기 제조된 이타콘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0.05 중량부,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약 15 ~ 20분 동안 니더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디큐밀퍼옥사이드) 1.0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미드) 3.0 중량부 첨가하여 오픈 롤에서 분산시킨 과정을 거쳐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를 155℃에서 20분간 프레스로 성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이타콘산) 25 중량부, 과산화물(과산화 칼슘) 0.3 중량부, 산화방지제(Songnox-1076, 송원화학)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카르복실산이 15.0% 그라프트된 이타콘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1317, 한화케미칼) 70 중량%와 상기 제조된 이타콘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5.0 중량부,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약 15 ~ 20분 동안 니더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디큐밀퍼옥사이드) 1.0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미드) 3.0 중량부 첨가하여 오픈 롤에서 분산시킨 과정을 거쳐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를 155℃에서 20분간 프레스로 성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1317, 한화케미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약 15 ~ 20분 동안 니더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디큐밀퍼옥사이드) 1.0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미드) 3.0 중량부 첨가하여 오픈 롤에서 분산시킨 과정을 거쳐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를 155℃에서 20분간 프레스로 성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1317, 한화케미칼) 95 중량%, 말레인산 무수물 그라프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Fusabond MO525D, 듀폰) 5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약 15 ~ 20분 동안 니더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디큐밀퍼옥사이드) 1.0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미드) 3.0 중량부 첨가하여 오픈 롤에서 분산시킨 과정을 거쳐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를 155℃에서 20분간 프레스로 성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1317, 한화케미칼) 70 중량%, 말레인산 무수물 그라프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Fusabond MO525D, 듀폰) 3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약 15 ~ 20분 동안 니더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 1.0 중량부, 발포제 3.0 중량부 첨가하여 오픈 롤에서 분산시킨 과정을 거쳐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를 155℃에서 20분간 프레스로 성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2. 발포체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반발탄성과 슬립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반발탄성 : ASTM D263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슬립저항성 : ASTM D1894-78에 준하여 로이드사의 마찰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반발탄성(%) 62 62 45 49 성형 불가능
(가공 안됨)
슬립저항성
(건조, μd)
2.51 2.52 2.15 2.17 성형 불가능
(가공 안됨)
슬립저항성
(습윤,μw)
2.18 2.18 1.62 1.64 성형 불가능
(가공 안됨)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 조성물로 제조된 발포체는 비교예에 비하여 반발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에 비해 슬립저항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00 :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S200 :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하고, 여기에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 첨가제, 가교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는 단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0.15 ~ 25 중량부, 과산화물 0.01 ~ 0.3 중량부, 산화방지제 0.01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카르복실산이 0.1 ~ 15.0%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S100 단계를 거쳐 제조된 카르복실산 그라프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5 ~ 30 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70 ~ 95 중량%를 혼합하여 기재를 제조하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 0.05 ~ 15.0 중량부, 산화아연 2 ~ 4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 150℃의 온도로 15 ~ 20분 동안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이후에 가교제 0.5 ~ 1.5 중량부 및 발포제 2 ~ 4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open roll)에서 분산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첨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72315A 2018-06-22 2018-06-22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1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15A KR102116133B1 (ko) 2018-06-22 2018-06-22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315A KR102116133B1 (ko) 2018-06-22 2018-06-22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47A KR20200000247A (ko) 2020-01-02
KR102116133B1 true KR102116133B1 (ko) 2020-05-27

Family

ID=6915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315A KR102116133B1 (ko) 2018-06-22 2018-06-22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299B1 (ko) * 2021-02-05 2022-07-1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미끄러짐 저항 특성과 그립성이 우수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773A (ja) * 2013-03-28 2014-10-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架橋発泡体、及び履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045A (en) 1995-11-13 1997-04-15 Patel; Raman Thermoplastic vulcanizates from isobutylene rubber and either EPDM or a conjugated diene rubber
DE60005964T2 (de) 1999-07-16 2004-08-12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Akron Thermoplastisches vulkanisat mit definierter morphologie für eine optimale rückgewinnung
KR101155869B1 (ko) 2009-12-14 2012-06-20 이창성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KR101270545B1 (ko) 2011-04-08 2013-06-0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KR101709691B1 (ko) * 2015-04-06 2017-02-23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9773A (ja) * 2013-03-28 2014-10-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架橋発泡体、及び履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299B1 (ko) * 2021-02-05 2022-07-1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미끄러짐 저항 특성과 그립성이 우수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47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9943A (ko) 발포체용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발포체
TW400354B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N106459520B (zh) 具有改进的隔振性和耐热性的热塑性弹性体组合物以及由此制造的模制物品
JP265822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58266B1 (ko) 포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생성된 포움
KR20190140577A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WO2017170190A1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ム成形品
KR102116133B1 (ko) 반발탄성 및 슬립저항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940003261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1709691B1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7828121A (zh) 一种动态硫化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22525B1 (ko) 가공성, 기계적 강도,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5167900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及び発泡体の製造方法
JP387260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WO2018181137A1 (ja) 樹脂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靴底用部材
KR101819674B1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KR100477345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42118B1 (ko)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아이오노머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적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 방법
JPS60137645A (ja) 耐熱性コンベヤベルト
WO2019188339A1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混練機表面への粘着性の低減方法
KR101963414B1 (ko) 반발탄성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5558A (ko) 에어 인테이크 호스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자동차용 에어 인테이크 호스
JP6932242B2 (ja) ゴム組成物
KR20200036673A (ko)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CN108359167A (zh) 一种耐磨微孔弹性体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