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592B1 - 수유식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592B1
KR102115592B1 KR1020190140069A KR20190140069A KR102115592B1 KR 102115592 B1 KR102115592 B1 KR 102115592B1 KR 1020190140069 A KR1020190140069 A KR 1020190140069A KR 20190140069 A KR20190140069 A KR 20190140069A KR 102115592 B1 KR102115592 B1 KR 10211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main body
heating tube
connecting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 엔에스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에스유통 filed Critical (주) 엔에스유통
Priority to KR102019014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3가열관; 상기 제1가열관과 상기 제2가열관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2가열관과 상기 제3가열관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가열관에 배치되는 버너; 및 상기 제3가열관에 배치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는 제3 및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장치{WATER AND OIL FRYER}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 기름의 소모량 줄이기 위해 튀김통 내부에 물과 튀김 기름을 함께 수용한다. 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 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의 하부에 위치되고 튀김 기름이 물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며, 이에 따라 튀김통 내부는 하부의 물 수용 공간과 튀김 기름 수용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면 튀김 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물에 의해 용해되고,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가 물로 가라앉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튀김 기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 기름을 신선한 상태로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튀김 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튀김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가스식 가열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가스식 가열수단은 가열관과, 가열관의 내부로 고온의 연소열을 공급하도록 가열관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스버너와, 가열관의 타단에 결합되는 배기관을 포함한다. 가스버너가 작동되면, 가스버너로부터 생성된 연소열이 가열관을 통과하여 튀김 기름을 가열하고, 가열관을 통과한 연소열은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의 경우, 가스버너, 배기관 및 복수의 가열관이 모두 튀김통과 접촉되어 있어, 접촉부분에서 크랙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유식 튀김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스버너, 배기관 및 복수의 가열관을 튀김통과 소정 간격 이격시켜 접촉부분에서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3가열관; 상기 제1가열관의 타단과 상기 제2가열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2가열관의 타단과 상기 제3가열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가열관의 일단과 결합되는 버너; 및 상기 제3가열관의 타단과 결합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측판보다 상기 제2측판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2측판보다 상기 제1측판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판은 상기 제1가열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관의 일단은 상기 제1측판의 상기 제1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측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가열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측판의 외측에서 상기 버너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너는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판은 상기 제3가열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가열관의 일단은 상기 제2측판의 상기 제2홀 관통하도록 상기 제2측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3가열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2측판의 외측에서 상기 배기관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3 및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 내지 제3가열관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물과 기름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기름이 수용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부는 상기 제2공간부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가열관은 상기 제2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의 내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공간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관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3가열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보다 상기 제3측벽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보다 상기 제4측벽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3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4측벽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버너와 상기 제1가열관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가열관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되는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기관과 결합되는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가열관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부분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4부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가스버너, 배기관 및 복수의 가열관을 튀김통과 소정 간격 이격시켜 접촉부분에서 크랙 발생이 최소화되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가열관을 통과하는 연소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가열관을 통과하는 연소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수유식 튀김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본체(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본체(20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부와, 제1 및 제2측부를 연결하는 제3 및 제4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측부와 제2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코너와, 제2측부와 제3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코너와, 제3측부와 제4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코너와, 제4측부와 제1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4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부는 수유식 튀김장치(10)의 전면이고, 제2측부는 수유식 튀김장치(20)의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개폐도어(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하우징(100)의 제1 내지 제4측부 중 어느 한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도어(110)는 수유식 튀김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하우징(100)의 제1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도어(110)의 일단은 하우징(110)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여닫이 형태일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제어부(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본체(200) 내부의 물 또는 튀김기름을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100)을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도어(110)는 본체(200)를 세척하기 위해 하우징(100)을 개방시킬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우징(100)의 제1 내지 제4측부 중 어느 한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하우징(100)의 제1측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유식 튀김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개폐도어(1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2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1)는 수유식 튀김장치(10)의 전반적인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위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22)는 버너(50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복수의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130)는 4개의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지지부(130) 각각은 하우징(100)의 제1 내지 제4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이동부(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이동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이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40)는 지지부(1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140)는 지지부(130)의 하단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140)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40)는 수유식 튀김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140)는 이동을 제한하기 위함 잠금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배기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배기관(6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배기관(600)의 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하우징(1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하우징(100)의 제2측부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하우징(100)의 제2측부와 결합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배기관(600)의 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커버(150)의 상판에는 배출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커버(150)는 배출홀(15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151)은 배기커버(150)의 상판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51)은 배기관(600)의 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51)을 통해 배기관(6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가 배기커버(15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210, 220)과, 제1측판(210)과 제2측판(220)을 연결하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3 및 제4측판(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의 길이 방향에 대앙되는 방향일 수 있다. 본체(200)는 상부에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200)의 개구는 하우징(10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물과 기름을 수용할 수 있다. 제1측판(210)은 제1가열관(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211)은 제1측판(210)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홀(211)에는 제1가열관(310)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측판(220)은 제3가열관(3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221)은 제2측판(220)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홀(221)에는 제3가열관(330)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체(200)는 내부에 공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부(250)는 내부에 물과 기름을 수용할 수 있다. 공간부(250)의 수용된 물과 기름은 상호간의 비중차에 의해 물이 하부에 위치하고 기름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부(250)는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251)와, 기름이 수용되는 제2공간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간부(251)는 제2공간부(25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공간부(251)의 내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제1공간부(251)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0)는 냉각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관(260)은 본체(200)의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냉각관(260)은 공간부(250)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관(260)은 제2공간부(251)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관(260)은 제2공간부(25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관(260)은 제2공간부(25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냉각관(260)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관(260)은 냉각관(260)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기름층에 인접한 물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가열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관(300)은 본체(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관(300)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은 본체(200)의 공간부(2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은 제1공간부(251)와 제2공간부(2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은 제2공간부(252)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내부에 열기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제1가열관(3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본체(100)의 제3측벽(2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의 일단은 본체(200)의 제1측판(210)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제1측판(210)의 제1홀(211)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에는 버너(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 은 제1측판(210)의 외측에서 버너(5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제1연결부재(4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제1연결부재(410)의 홀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은 제2공간부(25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내부에 열기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의 일단은 제1연결부재(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의 타단은 제2연결부재(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제2가열관(3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가열관(3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제2가열관(3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3가열관(33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및 제3가열관(310, 330)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가열관(320)은 제2공간부(25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내부에 열기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의 일단은 제2측판(220)의 제2홀(221)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의 일단에는 배기관(6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의 일단은 제2측판(220)의 외측에서 배기관(6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3가열관(330)은 제2공간부(252)에 배치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제1연결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견부재(410)는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대향하는 제1면과, 본체의 제2측판(220)과 대향하는 제2면과, 본체의 제3측판(230)과 대향하는 제3면과, 본체의 제4측판(240)과 대향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제1측판(210)보다 제2측판(22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제2연결부재(420)보다 제3측판(2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본체(200)의 제2측판(22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와 제2측판(220)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의 제2면은 본체(200)의 제2측판(22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제3측판(23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의 제3면은 본체(200)의 제3측판(23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와 제3측판(230)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제1가열관(310)과 제2가열관(3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제1가열관(310)의 타단과 제2가열관(32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에는 제1가열관(310)의 타단 및 제2가열관(32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가열관(310)으로부터 유입된 열기는 제1연결부재(410)를 통해 제2가열관(3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제1가열관(310)의 타단과 대응되는 제1홀과, 제2가열관(320)의 일단과 대응되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의 제1 및 제2홀은 제1연결부재(410)의 제1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의 제1 및 제2홀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는 버너(500)로부터 발생된 연소열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연결부재(420)와 제1 내지 제3가열관(210, 220, 230)의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연결부재(420)와 제1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제2연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열견부재(420)는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대향하는 제1면과, 본체의 제2측판(220)과 대향하는 제2면과, 본체의 제3측판(230)과 대향하는 제3면과, 본체의 제4측판(240)과 대향하는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제2측판(220)보다 제1측판(2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제1연결부재(410)보다 제4측판(24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와 본체(200)의 제1측판(210)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의 제1면은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제4측판(24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의 제4면은 본체(200)의 제4측판(24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와 본체(200)의 제4측판(240)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제2가열관(320)과 제3가열관(33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은 제2가열관(320)의 타단과 제3가열관(330)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에는 제2가열관(320) 및 제3가열관(3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인해, 제2가열관(320)으로부터 유입된 열기는 제2연결부재(420)를 통해 제3가열관(3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제2가열관(320)의 타단과 대응되는 제1홀과, 제3가열관(330)의 타단과 대응되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의 제1 및 제2홀은 제2연결부재(420)의 제2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의 제1 및 제2홀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는 버너(500)로부터 발생된 연소열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연결부재(410)와 제1 내지 제3가열관(210, 220, 23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버너(5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너(500)는 가스식 버너일 수 있다. 버너(500)는 작동됨에 따라 기름을 가열할 수 있는 연소열을 생성할 수 있다. 버너(500)는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대향하는 하우징(100)의 측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버너(500)는 제1가열관(310)과 결합될 수 있다. 버너(500)는 제1가열관(310)과 연결될 수 있다. 버너(500)는 제1가열관(310)의 일단과 연결되어 제1가열관(310)의 내부로 연소열을 공급할 수 있다. 버너(200)는 본체(200)의 제1측판(210)의 외측에서 제1가열관(31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버너(500)는 본체(200)의 제1측판(2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너(500)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본체(200)와 버너(500)의 연결 부위에 발생되는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배기관(6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600)은 본체(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관(600)은 본체(200)의 제2측판(220)과 본체(200)의 제2측판(220)과 대향하는 하우징(100)의 측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관(6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내 배치될 수 있다. 배기관(600)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200)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본체(200)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배기관(600)의 돌출 부분은 배기커버(15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배기관(600)은 제3가열관(330)과 결합될 수 있다. 배기관(600)은 제3가열관(33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배기관(600)은 본체(200)의 제2측판(220)과 이격될 수 있다. 배기관(600)은 본체(200)의 제2측판(220)의 외측에서 제3가열관(33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너(500)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본체(200)와 배기관(600)의 연결 부위에 발생되는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기관(600)는 배기홀(6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홀(610)은 배기커버(150)의 배출홀(151)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배기관(600)은 가열관(300)을 통과한 연소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가열관(300)을 통과한 연소열은 배기홀(6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0)는 버너(500)와 제1가열관(31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700)는 배기관(600)과 제3가열관(33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700)는 제1커버(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7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커버(720)와 중첩될 수 있다. 제1커버(710)는 제1부분(7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711)은 제1가열관(3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711)은 제1가열관(310)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711)은 제3가열관(33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711)은 제3가열관(330)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710)는 제2부분(7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부분(712)은 제1부분(7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부분(712)은 제1측판(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부분(712)은 제2커버(720)의 제4부분(7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710)는 홀(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710)의 홀(713)은 제1커버(710)의 제1부분(7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710)의 홀(713)의 직경은 제1가열관(310)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710)의 홀(713)의 직경은 제3가열관(330)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커버(710)의 제1부분(711)이 제1가열관(310) 또는 제3가열관(330)의 일단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나아가, 버너(500)와 본체(200)의 인접부분 및 배기관(600)과 본체(200)의 인접부분의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커버(700)는 제2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720)는 버너(500)와 제1커버(710)의 사이 또는 배기관(600)과 제1커버(7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버(720)는 제1커버(7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제2커버(720)는 제3부분(7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부분(721)은 제1커버(710)의 제1부분(7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부분(721)은 제1커버(710)의 제1부분(711)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부분(721)은 제1커버(710)의 홀(7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3부분(721)은 제1커버(710)의 홀(713)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3부분(721)의 중심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커버(710)의 제1부분(711)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720)는 제4부분(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부분(722)은 제3부분(7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4부분(722)은 제1커버(710)의 제2부분(7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4부분(722)은 배기관(6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720)은 홀(7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720)의 홀(723)은 제1커버(710)의 홀(713)과 홀(723)의 중심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커버(720)의 홀(723)은 제2커버(720)의 제3부분(7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720)의 홀(723)의 직경은 제1가열관(310) 또는 제3가열관(330)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너(500)와 본체(200)의 인접부분 및 배기관(600)과 본체(200)의 인접부분의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유식 튀김장치(10)는 튀김망(800)을 포함할 수 있다. 튀김망(800)은 일부가 본체(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튀김망(800)은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튀김망(800)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튀김망(800)은 내부에 튀김의 재료가 되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튀김망(800)에 수용된 음식물은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에 의해 가열된 기름에 의해 튀겨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10)의 연소열의 이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가열관를 통과하는 연소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너(500)로부터 발생된 연소열은 제1가열관(3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가열관(310)을 통과한 연소열은 제1연결부재(410)를 통해 제2가열관(3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가열관(320)으로 공급된 연소열은 제2연결부재(420)를 통해 제3가열관(330)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버너(500)로부터 발생된 연소열은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을 통과하면서 기름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버너(500)로부터 발생된 연소열은 제1 내지 제3가열관(310, 320, 330)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내려가며, 온도가 내려간 연소열은 제3가열관(330)과 연결된 배기관(6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가스버너, 배기관 및 복수의 가열관을 튀김통과 소정 간격 이격시켜 접촉부분에서 크랙 발생이 최소화되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수유식 튀김기 100: 하우징
200: 본체 300: 가열관
400: 연결부재 500: 버너
600: 배기관 700: 커버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3가열관;
    상기 제1가열관의 타단과 상기 제2가열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2가열관의 타단과 상기 제3가열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1가열관의 일단과 결합되는 버너; 및
    상기 제3가열관의 타단과 결합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가열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버너와 상기 제1가열관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가열관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부분에 배치되는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기관과 결합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보다 상기 본체이 상기 제2측판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보다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은 상기 제1가열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열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의 상기 제1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가열관의 상기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의 외측에서 상기 버너와 결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은 상기 제3가열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가열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의 상기 제2홀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3가열관의 상기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의 외측에서 상기 배기관과 결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2측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측판과 이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물과 기름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기름이 수용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부는 상기 제2공간부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가열관은 상기 제2공간부에 배치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의 내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공간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관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3가열관의 길이보다 짧은 수유식 튀김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보다 상기 본체의 상기 제3측판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보다 상기 본체의 상기 제4측판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3측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4측판과 이격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가열관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3부분은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부분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4부분보다 크게 형성되는 수유식 튀김장치.
KR1020190140069A 2019-11-05 2019-11-05 수유식 튀김장치 KR10211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69A KR102115592B1 (ko) 2019-11-05 2019-11-05 수유식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69A KR102115592B1 (ko) 2019-11-05 2019-11-05 수유식 튀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592B1 true KR102115592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69A KR102115592B1 (ko) 2019-11-05 2019-11-05 수유식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575A (ko) * 2006-06-09 2006-06-28 민경탁 프라이드 치킨 조리 장치
KR20120033851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아코폰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66325B1 (ko) * 2012-05-22 2013-05-22 오에스지(주) 가스 튀김기
KR101662746B1 (ko) * 2016-06-14 2016-10-05 이창흠 열손실 저감 구조를 갖는 튀김장치
KR101915262B1 (ko) * 2018-02-06 2018-11-05 고재규 고효율 구조를 갖는 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575A (ko) * 2006-06-09 2006-06-28 민경탁 프라이드 치킨 조리 장치
KR20120033851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아코폰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66325B1 (ko) * 2012-05-22 2013-05-22 오에스지(주) 가스 튀김기
KR101662746B1 (ko) * 2016-06-14 2016-10-05 이창흠 열손실 저감 구조를 갖는 튀김장치
KR101915262B1 (ko) * 2018-02-06 2018-11-05 고재규 고효율 구조를 갖는 튀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867B2 (en) Oven
KR100878387B1 (ko) 액체 가열 조리기
US20140144423A1 (en) Gas oven range
KR102115592B1 (ko) 수유식 튀김장치
CN100374779C (zh) 气体辐射炉灶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101266325B1 (ko) 가스 튀김기
CN107923628A (zh) 组合式炊具
KR101720995B1 (ko)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KR102024060B1 (ko) 유수 분리식 가스 튀김 장치
US10371413B2 (en) Boiler with access to heat exchangers
JP2017189281A (ja) グリル
JP2013127342A (ja) 熱供給窯
KR101542240B1 (ko) 튀김장치
KR200381890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101719820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KR102593987B1 (ko) 수유식 튀김기
KR20110082653A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CN104930554A (zh) 一种嵌入式燃气灶
US5787727A (en) High-temperture generator
US20220007891A1 (en) A Method For Deep Frying A Food Product, As Well As A Deep Frying Device
JP2016077425A (ja) フライヤー
KR20230153685A (ko) 수유식 가스 튀김장치
WO2023141228A1 (en) A portable oven configured for multiple different fuel 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