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983B1 - 우산커버 공급대 - Google Patents

우산커버 공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983B1
KR102114983B1 KR1020180090278A KR20180090278A KR102114983B1 KR 102114983 B1 KR102114983 B1 KR 102114983B1 KR 1020180090278 A KR1020180090278 A KR 1020180090278A KR 20180090278 A KR20180090278 A KR 20180090278A KR 102114983 B1 KR102114983 B1 KR 10211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ver
umbrella
rail
cov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667A (ko
Inventor
조빛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9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66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2067/1294Holders for multiple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커버 공급대에 관한 것으로서, 젖은 우산을 공급대로부터 순차적으로 장착된 우산커버에 각각 하나씩 씌워 건물 내부로 반입하고, 사용 후에는 공급대의 경사레일에 다시 우산커버의 레일걸이부를 걸어 주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일회용으로 무분별하게 사용하였던 비닐 우산커버에 비해 자원낭비를 현저히 줄여 환경오염을 막고, 나아가 일회용이 아닌 재사용 물품으로 반드시 공급대측의 후방에서 걸어 놓고 가도록 유도함으로써, 별도의 비닐커버 수거함 없이 무인관리가 가능하며, 재사용에 대한 바른 사용인지와 더불어 주변인들에게도 자발적인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사람이 오고 가는 각 공공기관, 회사건물 등등의 현관 입구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커버 공급대{Umbrella cover supply stand}
본 발명은 우산커버 공급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젖은 우산을 커버하는 우산커버를 일회용이 아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우산커버의 사용 후에는 우산커버를 순차적으로 우산커버 공급대에 거치시키도록 자율적으로 유도하여 다음 사람들이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무분별하게 일회용으로 사용 후 버려지는 비닐커버 자원낭비를 막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산커버 공급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나 눈 등이 오는 날에는 우산을 사용한 후 건물 내부로 들고 들어가야 할 경우, 바닥오염 및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젖은 우산을 비닐커버에 씌운 후 반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닐커버는 순차적으로 우산을 꽂은 상태에서 개구된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낱개씩 덜어져 나가는 형태로 비닐커버 공급대에 수개 장착되며, 한번 사용된 비닐커버는 재장착이 불가한 형태로 일회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다시 나올 때에는 비닐커버를 제거하여 별도로 비치된 수거함에 비닐커버를 넣고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거함에 모인 비닐커버는 대부분 빗물이 고여있는 형태로서, 이들은 모두 폐기처분되는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의 요인이 되며, 수거함에 모인 비닐커버를 처리하는 작업자의 수고가 동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젖은 우산에 대한 일회용 비닐커버의 사용은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건물을 옮겨갈 때마다 여러 번 비닐커버를 사용하고 버리는 행위로 폐비닐 처리가 쉽지 않고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2017년 9월부터 공공기관에서는 빗물제거기를 설치해 사용 중에 있다. 상기와 같은 빗물제거기는 젖은 우산을 통과시키면서 우산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나, 우선적으로 개개인마다 빗물제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빗물제거 사용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가령 빠르게 빗물제거기를 그대로 통과시켜 빗물 제거가 거의 되지 않는 상태에서 젖은 우산을 가지고 건물 내부로 반입함으로써 바닥 오염 및 미끄러움 해결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젖은 우산을 커버하는 우산커버를 일회용이 아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우산커버의 사용 후에는 우산커버를 순차적으로 우산커버 공급대에 거치시키도록 자율적으로 유도하여 다음 사람들이 재사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무분별하게 일회용으로 사용 후 버려지는 비닐커버 자원낭비를 막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산커버 공급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우산커버 공급대는,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로 상부에는 우산을 수용하기 위해 출입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출입부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걸이부와, 상기 몸체 하부에는 내부에 모인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와, 상기 몸체의 상부 일면에 부착 설치되어 우산을 넣기 위해 출입부를 벌리기 위한 당김편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우산커버와; 상기 우산커버를 순차적으로 전방에서 인출시키고, 후방에서 수용시키기 위해 양 측벽이 수직되어 마주하여 전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상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측벽 상단에는 평행하게 부착되어 우산커버의 레일걸이부를 걸어 안내하는 경사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의 내측 면에는 우산커버의 배출밸브를 안내하는 경사가이드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전면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경사지면서 상면에 배출밸브를 개방시켜 물을 빼내는 가압턱이 돌출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 하부에는 서랍형태의 빗물수집을 위한 트레이가 탈착되게 구비된 공급대본체와;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상기 공급대본체 전면 상부에 부착 설치되어 우산 하단부를 우산커버의 출입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산커버의 몸체는 우레탄(PU) 원단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밸브는 외측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체크볼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구비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체크볼이 안착되는 밸브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공이 형성된 하부에는 받침대의 가압턱이 안내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우산커버의 하단부가 밀봉 부착되는 배수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밸브는 일방향 체크밸브로 누름버튼이 구비되어 내부에 고인 빗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레일은 공급대본체의 전방과 후방으로 더 돌출되되, 공급대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레일의 마주하는 폭은 우산커버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걸이부의 폭보다 좁게 절곡되어 경사레일로부터 우산커버의 인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대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경사레일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경사레일의 마주하는 폭은 우산커버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걸이부의 폭보다 좁게 절곡되어 되어 경사레일에 우산커버의 레일걸이부가 안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일걸이부는 경사레일에 안내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안내홈 및 안내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경사레일에 걸려 접촉되는 내경을 갖되, 내경은 경사레일로부터 미끄러져 이동되기 용이한 라운드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커버 공급대는 젖은 우산을 공급대로부터 순차적으로 장착된 우산커버에 각각 하나씩 씌워 건물 내부로 반입하고, 사용 후에는 공급대의 경사레일에 다시 우산커버의 레일걸이부를 걸어 주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일회용으로 무분별하게 사용하였던 비닐 우산커버에 비해 자원낭비를 현저히 줄여 환경오염을 막고, 나아가 일회용이 아닌 재사용 물품으로 반드시 공급대측의 후방에서 걸어 놓고 가도록 유도함으로써, 별도의 비닐커버 수거함 없이 무인관리가 가능하며, 재사용에 대한 바른 사용인지와 더불어 주변인들에게도 자발적인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사람이 오고 가는 각 공공기관, 회사건물 등등의 현관 입구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우산커버 공급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커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대에 우산커버가 장착되어 나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공급대에 우산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5에서 우산을 우산커버에 꽂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9의 (a)(b)는 도 8에서 배출밸브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단면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출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젖은 우산을 씌우는 우산커버가 수개 구비된 우산커버 공급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산커버 공급대(100)는, 우산커버(10)와, 공급대본체(20)와, 가이드컵(30)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우산커버(10)는,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로 상부에는 우산(U)을 수용하기 위해 출입부(11a)를 갖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출입부(11a)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걸이부(12)와, 상기 몸체(11) 하부에는 내부에 모인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13)와, 상기 몸체(11)의 상부 일면에 부착 설치되어 우산(U)을 넣기 위해 출입부(11a)를 벌리기 위한 당김편(14)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대본체(20)에 수개 장착된다.
상기 우산커버(10)의 몸체(11)는 우레탄(PU) 원단으로 제작된 것으로, 두겹으로 그 가장자리는 밀봉처리 되되, 상기 출입부의 둘레부 측은 내구성을 위해 각각 두겹이 되게 접힌 상태가 되게 제작된다.
상기 레일걸이부(12)는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 부식에 강한 금속으로 제작되며, 상기 출입부(11a)의 일면에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레일걸이부(12)는 후술하는 경사레일(22)에 안내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안내홈(12a) 및 안내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경사레일(22)에 걸려 접촉되는 내경(12b)을 갖되, 내경은 경사레일(22)로부터 미끄러져 이동되기 용이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산커버(10)에 구비되는 배출밸브(13)는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13a)이 형성되고, 내측에 체크볼(13b)이 스프링(13c)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구비된 밸브체(13-1)와, 상기 밸브체(13-1)와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체크볼(13b)이 안착되는 밸브공(13d)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공(13d)이 형성된 하부에는 받침대(24)의 가압턱(24a)이 안내되는 요홈부(13e)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우산커버(10)의 하단부가 밀봉 부착되는 배수블럭(13-2)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10은 상기 우산커버(10)에 구비되는 배출밸브(13)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밸브(13)는 일방향 체크밸브로 누름 버튼(13f)이 구비되어 내부에 고인 빗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13f)는 배수블럭의 측면에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누름시 상기 요홈부 내측에 위치하는 체크볼을 밀어올려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타입이며, 이는 상기 가압턱과는 관계없이 사용자가 직접 누름버튼을 눌러 우산커버의 몸체 내부에 고인 빗물을 수동으로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당김편(14)은 우산커버(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출입부(11a)의 일면에 리벳팅 부착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공급대본체(20)는, 우산커버(10)들을 순차적으로 전방에서 인출시키고, 후방에서 수용시키기 위해 양 측벽(21)이 수직되어 마주하여 전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그 상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21) 상단에는 평행하게 부착되어 우산커버(10)의 레일걸이부(12)를 걸어 안내하는 경사레일(22)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레일(22)은 환봉으로 공급대본체(20)의 전방과 후방으로 더 돌출되되, 공급대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레일의 마주하는 폭은 우산커버(10)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걸이부(12)의 폭보다 좁게 절곡되어 경사레일로부터 우산커버의 인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대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된 경사레일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경사레일의 마주하는 폭은 우산커버(10)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걸이부(12)의 폭보다 좁게 절곡되어 경사레일에 우산커버의 레일걸이부가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경사레일(22)이 설치되는 공급대본체(20)의 상부에는 지지대(20a)가 용접되어 상기 측벽(21)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공급대본체(20)의 형태를 유지시켜 준다.
상기 측벽(21)의 내측 면에는 우산커버(10)의 배출밸브(13)를 안내하는 경사가이드(23)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대본체(20)의 전면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경사지면서 상면에 배출밸브를 개방시켜 물을 빼내는 가압턱(24a)이 돌출형성된 받침대(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4) 하부에는 서랍형태의 빗물수집을 위한 트레이(25)가 탈착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컵(30)는,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상기 공급대본체(20) 전면 상부에 부착 설치되어 우산(U)의 하단부를 우산커버(10)의 출입부(11a)측으로 안내하도록 한 것으로, 외측에는 상기 공급대본체에 고정되는 브라켓부(31)가 일체로 마련되어 고정나사로서 체결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우산커버 공급대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천시 건물의 현관에 비치되는 우산커버 공급대(100)는 다수개의 우산커버(10)가 경사레일(22)에 장착되어 있고, 우산커버(10)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젖은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경사레일(22)의 제일 앞에 위치한 우산커버(10)에 구비된 당김편(14)을 잡아당겨 주면, 몸체(11)의 출입부(11a)는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벌려지고, 우산(U)은 가이드컵(30)을 통해 벌려진 상기 출입부(11a)에 꽂아준다.
상기와 같이 우산(U)을 꽂은 상태에서는 우산 손잡이를 잡고, 상기 가이드컵(30)의 개구된 방향으로 우산(U)을 당기면, 우산커버(10)의 레일걸이부(12)는 최종적으로 경사레일(22)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며, 이때부터는 우산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우산 손잡이만을 잡고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우산커버(10)에 순차적으로 젖은 우산을 씌운 상태로 건물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바닥오염 방지 및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우산커버(10)는 우레탄원단으로 제작되어 쉽게 찢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회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용에 있어, 한번 사용했던 우산커버는 상기 공급대본체(2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된 두개의 경사레일(22)에 레일걸이부(12)를 걸어주는 방식으로 안내시키면, 경사레일(22)을 따라 상기 우산커버(10)의 레일걸이부(12)는
미끄러져 공급대본체(20)의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레일걸이부(12)의 내경(12b) 단면이 라운드형으로 미끄러져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배출밸브(13)를 구성하는 배수블럭(13-2)은 상기 공급대본체(20) 내측에 상호 마주하면서 경사진 경사가이드(23)의 하부측으로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번 이상 사용한 우산커버(U)가 리사이클되어 재사용되는 상태에서는 내부에 빗물이 고인상태로 남아 있는 상태가 된다(도 9의 (a)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대본체(20) 전방측 에서 우산(U)을 꽂은 상태에서 배출밸브(13)를 구성하는 배수블럭(13-2)은 공급대본체(20)의 전방 하부에 부착된 받침대(24)에 받쳐짐과 동시에, 도 9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볼(13b)은 받침대(24) 상의 가압턱(24a)에 밀착됨과 동시에 체크볼을 밀어올려 줌으로써, 상기 우산커버의 하부에 고인 빗물은 밸브체(13-1)의 배수공(13a)과 상기 체크볼(13b)이 안착되었던 배수블럭(13-2)의 밸브공(13d)으로 배출되어 요홈부(13e) 하부측, 즉 경사진 받침대(24)를 따라 상기 공급대본체(20)에 서랍식으로 마련된 트레이(25)에 빗물이 수집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25)에 상당량 수집된 빗물은 향후 트레이를 공급대본체(20)에서 인출시켜 빗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밸브(13)에 대한 일 실시예로써, 첨부된 도 10의 배출밸브(13)는 사용자가 직접 누름버튼(13f)을 눌러 주면, 상기 체크볼(13b)을 통한 밸브공(13d)으로 빗물을 직접 배출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혹은 우산커버(10)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이 사용하고 난 우산커버에서 쉽게 빗물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커버 공급대(100)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우산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우산커버의 길이, 받침대의 위치 등등을 고려하여 단우산 전용으로도 설계 및 제작,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우산커버 11: 몸체
11a: 출입부 12: 레일걸이부
12a: 안내홈 12b: 내경
13: 배출밸브 13-1: 밸브체
13-2: 배수블럭 13a: 배수공
13b: 체크볼 13c: 스프링
13d: 밸브공 13e: 요홈부
13f: 누름버튼 14: 당김편
20: 공급대본체 20a: 지지대
21: 측벽 22: 경사레일
23: 경사사이드 24: 받침대
24a: 가압턱 25: 트레이
30: 가이드컵 31: 브라켓부
100: 우산커버 공급대 U: 우산

Claims (6)

  1. 젖을 우산을 씌우는 우산커버가 수개 구비된 우산커버 공급대에 있어서,
    상기 우산커버 공급대(100)는,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로 상부에는 우산(U)을 수용하기 위해 출입부(11a)를 갖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출입부(11a)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걸이부(12)와, 상기 몸체(11) 하부에는 내부에 모인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13)와, 상기 몸체(11)의 상부 일면에 부착 설치되어 우산(U)을 넣기 위해 출입부(11a)를 벌리기 위한 당김편(14)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우산커버(10)와;
    상기 우산커버(10)를 순차적으로 전방에서 인출시키고, 후방에서 수용시키기 위해 양 측벽(21)이 수직되어 마주하여 전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상부는 후방으로 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측벽(21) 상단에는 평행하게 부착되어 우산커버(10)의 레일걸이부(12)를 걸어 안내하는 경사레일(22)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21)의 내측 면에는 우산커버(10)의 배출밸브(13)를 안내하는 경사가이드(23)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전면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경사지면서 상면에 배출밸브를 개방시켜 물을 빼내는 가압턱(24a)이 돌출형성된 받침대(24)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24) 하부에는 서랍형태의 빗물수집을 위한 트레이(25)가 탈착되게 구비된 공급대본체(20) 와;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상기 공급대본체(20) 전면 상부에 부착 설치되어 우산 하단부를 우산커버(10)의 출입부(11a)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컵(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 공급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커버(10)의 몸체(11)는 우레탄(PU) 원단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 공급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13)는 외측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13a)이 형성되고, 내측에 체크볼(13b)이 스프링(13c)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구비된 밸브체(13-1)와,
    상기 밸브체(13-1)와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체크볼(13b)이 안착되는 밸브공(13d)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공(13d)이 형성된 하부에는 받침대(24)의 가압턱(24a)이 안내되는 요홈부(13e)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우산커버(10)의 하단부가 밀봉 부착되는 배수블럭(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 공급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13)는 일방향 체크밸브로 누름 버튼이 구비되어 내부에 고인 빗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 공급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레일(22)은 공급대본체(20)의 전방과 후방으로 더 돌출되되, 공급대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레일의 마주하는 폭은 우산커버(10)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걸이부(12)의 폭보다 좁게 절곡되어 경사레일로부터 우산커버의 인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대본체(20)의 후방으로 돌출된 경사레일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경사레일의 마주하는 폭은 우산커버(10)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걸이부(12)의 폭보다 좁게 절곡되어 경사레일에 우산커버의 레일걸이부가 안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 공급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걸이부(12)는 경사레일(22)에 안내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안내홈(12a) 및 안내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경사레일(22)에 걸려 접촉되는 내경(12b)을 갖되, 내경은 경사레일(22)로부터 미끄러져 이동되기 용이한 라운드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커버 공급대.
KR1020180090278A 2018-08-01 2018-08-01 우산커버 공급대 KR10211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78A KR102114983B1 (ko) 2018-08-01 2018-08-01 우산커버 공급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78A KR102114983B1 (ko) 2018-08-01 2018-08-01 우산커버 공급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67A KR20200014667A (ko) 2020-02-11
KR102114983B1 true KR102114983B1 (ko) 2020-06-29

Family

ID=6956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278A KR102114983B1 (ko) 2018-08-01 2018-08-01 우산커버 공급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47Y1 (en) 1996-03-14 2000-03-15 Soon Kil Kim The automatic vinyl wrapping machine for folding umbrella
JP2000184908A (ja) 1998-12-24 2000-07-04 Tsubasa System Co Ltd 雨傘用カバー
KR200215008Y1 (ko) 2000-08-11 2001-02-15 신창식 우산꽂이
JP2006138610A (ja) 2004-11-15 2006-06-01 Fujiya Setsuko 傘の脱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597U (ko) * 1989-11-10 1991-07-22
JPH0856806A (ja) * 1994-08-23 1996-03-05 Yamagata Gravure:Kk 濡傘を袋に収納せしめ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47Y1 (en) 1996-03-14 2000-03-15 Soon Kil Kim The automatic vinyl wrapping machine for folding umbrella
JP2000184908A (ja) 1998-12-24 2000-07-04 Tsubasa System Co Ltd 雨傘用カバー
KR200215008Y1 (ko) 2000-08-11 2001-02-15 신창식 우산꽂이
JP2006138610A (ja) 2004-11-15 2006-06-01 Fujiya Setsuko 傘の脱水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259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67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5652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484546B1 (ko)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KR101790876B1 (ko) 우산 보관대
KR101705681B1 (ko) 일회용장갑 착용기
KR20190115730A (ko) 고양이용 화장실
KR102114983B1 (ko) 우산커버 공급대
CN106460282B (zh) 一种洗涤设备
KR102009907B1 (ko) 사방 차단 커튼 대 및 이를 이용한 사방 차단 샤워커튼
KR200453365Y1 (ko) 쌀통
KR101592179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US9265388B2 (en) Combination toilet cleaning device
US11927002B2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101382931B1 (ko)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
KR101247509B1 (ko) 우산 비닐 커버 회수기
CN106264010A (zh) 一种多功能雨伞架及其使用方法
KR101249718B1 (ko) 신발 방향을 전환하는 신발집게
KR20160029764A (ko) 일반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구조가 형성된 차량 도어
KR20170120321A (ko) 화장용 솔
KR101234395B1 (ko) 우산 포장 비닐 회수장치
CA3116267C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JP2016214428A (ja) 顔面付着異物吸引除去装置およびその吸引口具
WO2019148202A1 (en) Keeper for orderly storage and conveyance of clothing hangers
KR200329213Y1 (ko) 싱크대용 빨래망 및 그 보관장치
KR200436036Y1 (ko) 회전식 수납구조
CN210287847U (zh) 一种晾衣防滴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