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876B1 - 우산 보관대 - Google Patents

우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876B1
KR101790876B1 KR1020160058173A KR20160058173A KR101790876B1 KR 101790876 B1 KR101790876 B1 KR 101790876B1 KR 1020160058173 A KR1020160058173 A KR 1020160058173A KR 20160058173 A KR20160058173 A KR 20160058173A KR 101790876 B1 KR101790876 B1 KR 10179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groove
pedestal
stand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780A (ko
Inventor
조빛나
Original Assignee
조빛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빛나 filed Critical 조빛나
Priority to KR102016005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8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2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for walking-sticks or 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우산을 우산보관대에 각각 꽂이 방식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자물쇠를 통해 걸이쇠를 수평으로 폴딩시켜 우산살 사이의 우산천이 걸이쇠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우산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꽂이통에 삽입시 우산측의 정리 끈을 결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산을 손쉽게 꽂이통에 꽂거나 손쉽게 뺄 수 있으며, 투명 혹은 반투명한 꽂이통은 타인의 우산과 혼동되지 않게 하고, 우산의 타이트한 삽입으로 우산의 대소 길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보관가능하고 외부 간섭으로 인한 우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천시 건물의 입구, 관공서, 지하철 출입구, 백화점, 학교. 각 영업식당 등등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 및 우산보관대를 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로 하는 곳에 가감설치로써, 기존의 우산 보관대 제품에 비해 다수개의 우산거치에 따른 공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 보관대{Umbrella stand}
본 발명은 우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우산 보관대를 필요에 따라 다수개 배열 조합하여 공간차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수개의 우산을 각각 보관정리시 우산에 마련된 정리 끈을 결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산을 손쉽게 꽂이통에 꽂거나 손쉽게 뺄 수 있음은 물론, 타인의 우산과 혼동되지 않고 각각 꽂이통에 마련한 자물쇠를 통해 우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산의 대소 길이에 맞추어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외부 간섭으로 인한 우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우천시 반드시 사용되고 있는 우산들은 길이가 짧은 접이식 2단, 3단 등의 우산, 길이가 비교적 길게 제작한 장우산, 장우산과 접이식 우산 중간길이의 우산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주로 도심지에서는 다수인들이 건물을 드나들면서 우산을 소지하고 그대로 건물 내부로 들어가 빗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사례가 발생한다.
따라서 비에 젖어 있는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 현관의 입구 한편에는 각각 우산 외부를 씌워 빗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산전용 비닐커버 공급대가 비치되고, 비닐커버 공급대에 수개 마련된 비닐커버는 사용이 편리하도록 낱개씩 떨어져 나가는 형태로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비닐커버 공급대와 함께 우산에 씌워졌던 비닐커버를 수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별도의 비닐커버 수거통을 거치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닐커버를 이용할 경우, 건물 내부에 빗물 떨어짐을 방지하여 바닥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바닥청소에 대한 청소인원인 수고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비닐커버의 사용은 비닐커버 공급대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사용한 비닐커버를 수거하는 수거통의 비치는 건물 입구를 혼잡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수거통을 매시간 마다 비우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비닐커버의 처리는 일회용으로 대부분 버려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낭비가 되고, 이들의 처리는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비닐커버를 사용하는 예와 달리 소규모 물품판매 영업소 혹은 우체국, 은행과 같은 관공서에서는 드나드는 손님들을 위해 임시로 우산을 꽂아 둘 수 있는 보관통을 비치하여 사용한다.
불특정 다수인들은 우산을 보관통에 넣고, 후에 빼내는 과정에서 타인의 우산에 걸려 우산이 훼손되는 문제점과, 도난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과, 젖지 않은 우산임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우산과 혼합 보관되어 자신의 우산이 젖는다는 단점과, 장우산, 접이식우산의 길이가 달라 특히 접이식 우산 들을 하나의 보관통에 같이 보관한 경우, 향후 짧은 접이식 우산은 찾기에 불편을 초래하고, 상기 우산들을 집합체처럼 보관한 보관통에는 빗물이 항상 고여있기 때문에 보관통 내에 고인 빗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우산들을 모두 들어내야 하는 취급상의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2646호(명칭: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등록일자: 2006년 03월 22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공개실용 제20-1998-0004112호, 공개일자: 1988년 05월 06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2'이라 함)가 선행기술로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우선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화분 받침대로 활용하거나 그 외 기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용성을 높이는 것으로써, 그 구성을 살피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4개의 지지봉체와, 이들 지지봉체의 상,중단에 일체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상,하부프레임과, 지지봉체의 최하단의 하부받침대에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가 조립된 우산꽂이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서, 그 상면에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끼움공들이 구비되며, 이들 끼움공들에는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하부용캡이 각기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들 조립된 상,하부용캡의 관통공을 통하여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이 동시에 꽂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별도의 잠금수단이 없기 때문에 우산을 보관한 위치에서 멀어지게 되면 우산의 도난우려가 있다.
또한, 젖은 우산을 꽂아 놓는 과정에서 빗물이 하부에 위한 물받이에 고이게 됨으로써, 미관상 좋치 않고, 특히 짧은 접이식 우산에 있어 가장자리측에 위치한 우산인 경우는 빗물이 낙하하여 물받이에 떨어서 외곽으로 튀어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는, 상판의 요홈에 지주를 삽설하고, 하판을 관통한 다리를 지주의 요홈에 삽설하며, 상판에 돌출 형성한 삽지공일측에 잠금부를 돌설하여 수장실을 내설하고 잠금쇠와 랙으로 된 로커를 수장하며, 키홈이 형성된 피니언을 마개의 축봉에 유삽하며, 피니언실에 나합하고 피니언실상부에 관통공을 천설하며 다리에 탄성흡반을 삽착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즉, 특허문헌 2의 우산 꽂이대는 자물쇠를 두어 열쇠를 이용하여 꽂혀진 우산의 지주 부분을 걸어 우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로커의 전진되는 길이를 감안한 우산 꽂이부의 설계에 있어, 실질적으로 로커의 전진 길이가 짧기 때문에 우산의 지주 부분을 홀딩하기 위해서는 키(열쇠)를 수회 돌려 로커를 전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우산을 빼내기 위해서도 반대로 로커를 삽지공의 내경으로부터 간섭되지 않는 정도가 되게 후퇴시켜야 하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로커의 전, 후진 길이를 감안하기 위해서는 삽지공의 간격배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꽂이대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우산 꽂이대는 적은 갯수의 우산을 꽂아 보관하기 용이한 크기 혹은 많은 갯수의 우산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제품을 더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우산 보관대를 필요에 따라 다수개 배열 조합하여 공간차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수개의 우산을 각각 보관정리시 우산에 마련된 정리 끈을 결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산을 손쉽게 꽂이통에 꽂거나 손쉽게 뺄 수 있음은 물론, 타인의 우산과 혼동되지 않고 각각 꽂이통에 마련한 자물쇠를 통해 우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산의 대소 길이에 맞추어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외부 간섭으로 인한 우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산 보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우산을 꽂아 보관하도록 된 우산 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우산 보관대는,
내측 바닥면에 빗물배수공이 형성된 원형의 조립홈부가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모서리부측에 연결홈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빗물트레이가 서랍식으로 탈착되어 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조립홈부에 하단이 받침대의 전방으로부터 계단형태로 배열되게 결합되어 우산을 꽂아 각각 수용하는 다수개의 꽂이통과; 상기 꽂이통의 길이방향에 안내되어 받침대에 각각 배열된 다수개의 꽂이통을 묶음 형태로 지지하도록 관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모서리부측에 연결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부 일측은 나팔관 형태로 확장되어 라운드지고, 전면은 경사진 형태로 개구되되, 개구된 전면 중앙에는 라운드형의 우산 손잡이를 걸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며, 개구된 측면에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걸이홈이 형성된 일측에는 자물쇠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꽂이통(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우산 안내컵과; 상기 자물쇠 설치부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우산 안내컵의 걸이홈을 경유하여 우산살 단부 사이의 우산천 끝단을 걸어 우산 안내컵의 상향으로 우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쇠가 열쇠의 잠금 및 해제동작에 의해 90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폴딩되며, 걸이쇠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걸이홈 내측에 안내되어 지지되는 보조걸이쇠가 구비된 자물쇠와; 띠 형상의 연결부 양단에 끼움축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및 지지부재의 연결홈에 양측이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와 받침대,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산 안내컵의 요홈부 또는 자물쇠 설치부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접이식 우산의 손잡이에 구비된 걸이 끈을 걸어 꽂이통에 접이식 우산이 깊게 삽입됨을 방지하는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는 다수개의 우산을 우산보관대에 각각 꽂이 방식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자물쇠를 통해 걸이쇠를 수평으로 폴딩시켜 우산살 사이의 우산천이 걸이쇠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우산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꽂이통에 삽입시 우산측의 정리 끈을 결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산을 손쉽게 꽂이통에 꽂거나 손쉽게 뺄 수 있으며, 투명 혹은 반투명한 꽂이통은 타인의 우산과 혼동되지 않게 하고, 우산의 타이트한 삽입으로 우산의 대소 길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보관가능하고 외부 간섭으로 인한 우산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천시 건물의 입구, 관공서, 지하철 출입구, 백화점, 학교. 각 영업식당 등등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 및 우산보관대를 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로 하는 곳에 가감설치로써, 기존의 우산 보관대 제품에 비해 다수개의 우산거치에 따른 공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우산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보관대의 꽂이통에 우산이 꽂혀지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안내컵에 마련된 자물쇠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안내컵에 장우산이 안내되어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안내컵에 접이식 우산이 안내되어 걸고리를 홀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의 자물쇠측 걸이쇠에 우산살과 살 사이가 걸쳐져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수개의 우산(U)을 꽂아 보관하도록 된 본 발명의 우산 보관대(10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바닥면에 빗물배수공(11a)이 형성된 원형의 조립홈부(11)가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모서리부측에 연결홈(1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빗물트레이(13)가 서랍식으로 탈착되어 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대(10)와; 중공의 관으로, 받침대(10)의 조립홈부(11)에 하단이 결합되어 우산(U)을 꽂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꽂이통(20)과; 상기 꽂이통(20)의 길이방향에 안내되어 받침대(10)에 각각 배열된 다수개의 꽂이통(20)을 묶음 형태로 지지하도록 관삽입부(31)가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모서리부측에 연결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와; 상부 일측은 나팔관 형태로 확장되어 라운드지고, 전면은 경사진 형태로 개구되되, 개구된 전면 중앙에는 라운드형의 우산 손잡이(U1)를 걸기 위한 요홈부(41)가 형성되며, 개구된 측면에는 걸이홈(42)이 형성되고, 걸이홈(42)이 형성된 일측에는 자물쇠 설치부(4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꽂이통(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우산 안내컵(40)과; 상기 자물쇠 설치부(43)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우산 안내컵(40)의 걸이홈(42)을 경유하여 우산살(U2) 단부 사이의 우산천(U4) 끝단을 걸어 우산 안내컵(40)의 상향으로 우산(U)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쇠(51)가 열쇠(K)의 잠금 및 해제동작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자물쇠(50)와; 상기 받침대(10) 및 지지부재(30)의 연결홈(12, 32)에 양측이 삽입되어 받침대와 받침대,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꽂이통(20)은 투명 내지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며, 접혀진 우산(U)의 외측둘레가 내경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단면두께 0.8~1mm, 내경 63~68mm, 길이 500~850mm로 형성되어 받침대(10)의 전방으로부터 계단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꽂이통(20)의 길이는 계단형태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제일 낮은 길이는 500mm의 길이로서 2단이나 3단으로 접는 우산을 보관하기 위한 길이이며, 850mm의 길이는 현재 시판중인 최대 길이의 장우산을 보관하기 위함이며, 대략적으로 600~700mm정도는 중간길이의 우산을 보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꽂이통(20)의 내경은 평균적으로 우산을 접어 말아 놓은 상태의 우산(U)의 외측둘레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꽂이통에 우산의 외측이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0)의 관삽입부(31)는 상기 꽂이통(20)의 외경이 타이트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받침대(10)상으로부터 길이가 긴 꽂이통(20)의 길이방향을 각각 안정되게 잡아줄 수 있게 하여 꽂이통의 유동을 방지하고, 꽂이통의 꺽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우산 안내컵(40)의 요홈부(41) 또는 자물쇠 설치부(43)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접이식 우산(U)의 손잡이에 구비된 걸이 끈(U5)을 걸어 꽂이통(20)에 접이식 우산(U)이 깊게 삽입됨을 방지하는 걸고리(44)가 구비된다.
상기 꽂이통(20)과 결합되는 우산 안내컵(40)의 내경은 하부측에는 꽂이통의 외경이 안내되고, 꽂이통의 내경이 우산 안내컵의 내경과 일치되는 단턱 결합홈(45)이 형성되어 꽂이통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자물쇠(50)의 걸이쇠(51)는 90도 각도로 폴딩되며, 길이방향에는 상기 걸이홈(42) 내측에 안내되어 지지되는 보조걸이쇠(52)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이쇠(51) 및 보조걸이쇠(52)는 쉽게 변형이 어려운 7~1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며, 이는 자물쇠(50)의 회전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자물쇠의 잠금 해제시 90도 각도로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와 받침대,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재(60)는 띠 형상의 연결부(61) 양단에 끼움축(62)이 각각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U6은 우산천에 재봉되어 우산 외측을 감아 정리하기 위한 정리 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우산 보관대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100)는 건물의 입구, 관공서, 지하철 출입구, 백화점, 학교. 각 영업식당 등등의 현관 내, 외측에 거치시켜 사용되는 것으로써, 이용자가 우산(U)을 접은 상태에서 우산캡(U3)이 하향 위치가 되도록 우산손잡이측을 상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우산 안내컵(40)의 상부에 안내시켜 꽂이통(20)에 꽂아 준다.
이때의 우산(U)은 우산천(U4)에 마련된 정리 끈(U6)을 정리하지 않은 상태, 즉,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그대로 꽂아준다. 여기서 정리 끈(U6)은 비에 젖은 우산천(U4) 부분에 손을 대지 않고 굳이 우산(U) 외측둘레를 결속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제공한다.
통상 우산(U)의 중심 끝이 되는 우산캡의 진입과 동시에, 우산살(U2)을 포함한 우산천(U4)은 이용자가 우산손잡이(U1)를 잡고 강압적으로 눌러 꽂으면 타이트한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때의 우산(U)의 정리 끈(U6)은 상부가 확장 형성된 우산 안내캡(40)을 따라 꽂이통(20) 내부로 자연스럽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우산(U)은 꽂이통(20)의 타이트한 내경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잡아 뽑거나 삽입하지 않는 이상 자연적으로 꽂이통(20)의 하부로 낙하되지 않는 정지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꽂이통(20)에 꽂혀진 젖은 우산(U)들은 빗물이 상기 받침대(10)의 조립홈부(11) 바닥면에 형성된 빗물배수공(11a)을 통해 그 하부에 위치한 빗물트레이(13)에 수집되어져 향후 받침대(10)로부터 빗물트레이(13)의 인출로서 빗물 처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우산(U) 중에는 우산손잡이(U1)가 일자 또는 일자에 가까운 우산손잡이는 상기 우산 안내컵(60)의 상부에 돌출되는 형태로 위치되며, 우산손잡이(U1)가 라운드형으로 굴곡진 경우라면, 첨부된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우산안내캡(40)의 개구된 전면에 위치한 요홈부(41)에 상기와 같이 라운드 형으로 굴곡진 우산손잡이(U1)를 걸어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길이가 긴 우산과는 달리 접이식 우산(U)의 경우에도 상기 꽂이통(20)에 삽입시 그 접혀진 우산의 외측둘레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꽂이통(20)의 내경에 안정된 상태로 밀착 지지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접이식 우산의 외측둘레가 꽂이통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라면,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우산손잡이(U1)에 마련된 걸이 끈(U5)을 우산 안내컵(40)측에 위치한 걸고리(44)에 걸어 접이식 우산의 손잡이가 꽂이통 내부로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종 길이가 다르거나 우산 손잡이가 각기 다른 우산을 꽂은 상태에서 우산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우산 안내캡(40)의 자물쇠 설치부측 자물쇠(50)에 꽂혀진 열쇠(K)를 잠금방향(도면상에서는 좌측방향)으로 돌려주면, 자물쇠측의 걸이쇠(51) 및 보조걸이쇠(52)는 첨부된 도 6에서 되살 바와 같이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우산 안내컵(40)의 걸이홈(42)측으로 안내되어 수평으로 위치된다.
이는 우산손잡이(U1)를 피해 그 일측에 상기 걸이쇠(51)가 위치하는 것으로, 잠금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열쇠(K)를 뽑으면 우산(U)을 인위적으로 상향 인출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들어 준다.
첨부된 도 9 및 도 110 상기 자물쇠(50)의 잠금 상태에서 우산 손잡이(U1)를 잡고 상향으로 우산을 뽑아 들어올리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걸이쇠(51)는 다수개의 우산살(U2) 중 상기 걸이쇠(51)가 가로질러 위치한 우산살 사이의 우산천(U4)의 단부에 자연스럽게 걸려 상향으로 들어올릴 수 없는 상태가 됨으로써, 본인의 우산 외에 해당 열쇠로 자물쇠를 해제시키지 않는 한 우산을 도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상적으로 열쇠(K)를 이용한 자물쇠(50)의 걸이쇠(51)를 역으로 회전시켜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우산 안내컵(40)의 개구된 상부를 확보하여 우산(U)을 상향 뽑거나 또는 다시 그 자리에 우산(U)을 꽂는 과정에서의 우산살(U2) 및 우산천(U4)은 라운드형으로 상부가 나팔관형태로 개구되고, 꽂이통(20)의 상단부가 결합된 우산 안내캡(40)의 단턱 결합홈(45)은 첨부된 도 3의 발췌된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꽂이통(40)의 내경과 동일선상이 되므로서 우산(U) 외표면에 긁힘 등의 손상 없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보관대(100)는 첨부된 도 1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산보관대를 2열 혹은 3열 그 이상으로 연결부재(60)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와 받침대, 지지부재(30)와 지지부재에 형성된 연결홈(12, 32)에 연결부재(60)의 끼움축(62)을 삽입시켜 줌으로써, 우산보관대(100)의 그 길이를 횡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연장하여 보다 다수개의 우산들을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이는 제일 전방에 낮은 높이로 위치한 꽂이통(20)에 2단 또는 3단의 접이식 우산(U)을 꽂거나 그 후방으로 계단형태로 배열된 꽂이통(20)에는 길이에 맞는 우산을 선택적으로 보관토록 함으로써, 우산 소지자에 대한 편의성 제공과 더불어 우산의 도난을 방지해 줄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우산보관대는 여러 곳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받침대 11: 조립홈부
11a: 빗물배수공 12, 32: 연결홈
13: 빗물트레이 20: 꽂이통
30: 지지부재 31: 관삽입부
40: 우산 안내컵 41: 요홈부
42: 걸이홈 43: 자물쇠 설치부
44: 걸고리 45: 단턱 결합홈
50: 자물쇠 51: 걸이쇠
52: 보조걸이쇠 60: 연결부재
61: 연결부 62: 끼움축
100: 우산 보관대 U: 우산
U1: 우산손잡이 U2: 우산살
U3: 우산캡 U4: 우산천
U5: 걸이 끈 U6: 정리 끈
K: 열쇠

Claims (6)

  1. 다수개의 우산을 꽂아 보관하도록 된 우산 보관대(100)에 있어서,
    상기 우산 보관대(100)는,
    내측 바닥면에 빗물배수공(11a)이 형성된 원형의 조립홈부(11)가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모서리부측에 연결홈(1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빗물트레이(13)가 서랍식으로 탈착되어 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조립홈부(11)에 하단이 받침대(10)의 전방으로부터 계단 형태로 배열되게 결합되어 우산(U)을 꽂아 각각 수용하는 다수개의 꽂이통(20)과;
    상기 꽂이통(20)의 길이방향에 안내되어 받침대(10)에 각각 배열된 다수개의 꽂이통(20)을 묶음 형태로 지지하도록 관삽입부(31)가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 모서리부측에 연결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와;
    상부 일측은 나팔관 형태로 확장되어 라운드지고, 전면은 경사진 형태로 개구되되, 개구된 전면 중앙에는 라운드형의 우산 손잡이(U1)를 걸기 위한 요홈부(41)가 형성되며, 개구된 측면에는 걸이홈(42)이 형성되고, 걸이홈(42)이 형성된 일측에는 자물쇠 설치부(4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꽂이통(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우산 안내컵(40)과;
    상기 자물쇠 설치부(43)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우산 안내컵(40)의 걸이홈(42)을 경유하여 우산살(U2) 단부 사이의 우산천(U4) 끝단을 걸어 우산 안내컵(40)의 상향으로 우산(U)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쇠(51)가 열쇠(K)의 잠금 및 해제동작에 의해 90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폴딩되며, 걸이쇠(51)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걸이홈(42) 내측에 안내되어 지지되는 보조걸이쇠(52)가 구비된 자물쇠(50)와;
    띠 형상의 연결부(61) 양단에 끼움축(6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10) 및 지지부재(30)의 연결홈(12, 32)에 양측이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와 받침대,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보관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안내컵(40)의 요홈부(41) 또는 자물쇠 설치부(43)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접이식 우산(U)의 손잡이에 구비된 걸이 끈(U5)을 걸어 꽂이통(20)에 접이식 우산(U)이 깊게 삽입됨을 방지하는 걸고리(4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보관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8173A 2016-05-10 2016-05-10 우산 보관대 KR10179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3A KR101790876B1 (ko) 2016-05-10 2016-05-10 우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3A KR101790876B1 (ko) 2016-05-10 2016-05-10 우산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80A KR20160065780A (ko) 2016-06-09
KR101790876B1 true KR101790876B1 (ko) 2017-10-26

Family

ID=5613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73A KR101790876B1 (ko) 2016-05-10 2016-05-10 우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789A (zh) * 2018-12-21 2019-04-12 广州云鼎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雨伞的租还装置、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948A (zh) * 2018-08-07 2018-12-18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存放长柄雨伞的小车
CN109538032A (zh) * 2018-11-28 2019-03-29 江西大地走红伞业有限公司 一种能够放置16把共享雨伞的共享雨伞装置
CN109441256A (zh) * 2018-11-28 2019-03-08 江西大地走红伞业有限公司 一种能够放置40把共享雨伞的共享雨伞装置
KR102601326B1 (ko) * 2023-01-30 2023-11-13 김정희 깃발 꽂이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513Y1 (ko) * 2006-08-18 2006-11-23 규 언 김 우산꽂이
KR101046420B1 (ko) * 2010-10-01 2011-07-05 주식회사 건승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513Y1 (ko) * 2006-08-18 2006-11-23 규 언 김 우산꽂이
KR101046420B1 (ko) * 2010-10-01 2011-07-05 주식회사 건승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789A (zh) * 2018-12-21 2019-04-12 广州云鼎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雨伞的租还装置、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80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876B1 (ko) 우산 보관대
US6679462B1 (en) Snap-ring stiffener apparatus having a scooping ramp edge and method for stiffening bag openings and other flexible fabrics
KR20130050530A (ko) 빗물 탈수를 겸하는 우산 보관 및 반출 장치
KR101790871B1 (ko) 우산 보관대
KR101391076B1 (ko)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US6167651B1 (en) Christmas tree watering device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KR100798847B1 (ko) 휴대용 우산지지장치
CN205727736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垂钓包
KR200250940Y1 (ko) 채집통
KR20110011385U (ko) 쓰레기 수거장치 및 쓰레기통의 보관장치
KR200462812Y1 (ko) 우산커버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FR2761656A1 (fr) Dispositif de rangement vertical et clos pour velocipedes
CN204698029U (zh) 多功能行李车
KR101066085B1 (ko) 방수커버 수납가이드와 인장 수단을 구비한 우산
CN212186083U (zh) 一种新型雨伞收纳箱
CN211407357U (zh) 一种实用鱼护包
CN218185626U (zh) 一种前开副盖的拉杆箱
CN212290876U (zh) 带有沥水筐的奶瓶收纳箱
KR200436036Y1 (ko) 회전식 수납구조
CN210382966U (zh) 一种组合式箱体及组合化妆箱
KR101922336B1 (ko) 절첩 및 가변 사용이 가능한 우산꽂이
KR102114983B1 (ko) 우산커버 공급대
FR2926305A1 (fr) Le seche-linge pendulaire
JPS6022089Y2 (ja) 手掛枠を有する鎖を内蔵した柵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