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513Y1 -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513Y1
KR200431513Y1 KR2020060022237U KR20060022237U KR200431513Y1 KR 200431513 Y1 KR200431513 Y1 KR 200431513Y1 KR 2020060022237 U KR2020060022237 U KR 2020060022237U KR 20060022237 U KR20060022237 U KR 20060022237U KR 200431513 Y1 KR200431513 Y1 KR 200431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stand
upper structure
stand
low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규 언 김
Original Assignee
규 언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규 언 김 filed Critical 규 언 김
Priority to KR2020060022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2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 A47F7/00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with one compartment or recess for each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우산이든 접이우산이든 우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투입하고 쉽게 꺼낼 수 있는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는 분리 가능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그리고 집수통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구조는 적어도 2 이상의 수용관과, 각 수용관의 하부에 형성되며 장우산은 관통되고 접이우산은 걸리게 되는 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구조는 투명소재로 제작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구조는 상부구조가 안착되는 구조이며, 집수통은 하부구조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우산꽂이는 벽이나 기타의 구조물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석구조를 포함한다.
우산꽂이, 상부구조, 하부구조, 집수통, 수용관, 홀, 자석

Description

우산꽂이 {Umbrella hold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산꽂이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상부구조 12. 하부구조
13. 집수통 14. 수용관
16. 홀 18. 자석
20. 통공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우산이나 접이우산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는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대체로 장우산과 접이우산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종래의 우산꽂이는 각 우산의 길이에 대응하는 수용관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실용신안출원 제2000-22931호에 개시된 우산꽂이를 나타낸다. 개시된 우산꽂이는 긴 길이를 갖는 수용관(1a,1b,1c)과 짧은 길이를 갖는 수용관(2a,2b,2c)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관들의 하부에는 집수통이 구비되어,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을 모아 버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도면에서 볼 때, 긴 수용관(1a,1b,1c)은 장우산을 수용하며 짧은 수용관(2a,2b,2c)은 접이우산을 수용한다.
상기 우산꽂이는 길이가 다른 수용관들을 배치 및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설계 및 제작상의 어려움 및 그에 따르는 경제적인 불리함을 갖고 있다. 사용상으로도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접이우산이 긴 수용관(1a,1b,1c)에 투입되면 꺼내기가 어려워 진다. 반대로, 장우산이 짧은 수용관(2a,2b,2c)에 투입되면 손잡이 측이 너무 많이 튀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 우산꽂이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는 자기의 우산을 어느 수용관에 투입하여야 할 지를 정확히 판단하고 난 후에 투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일이 긴 수용관인 지 짧은 긴 수용관인 지를 판단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급히 사용하다 보면 투입에 실수를 범하기 마련이다. 특히 접이 우산이 긴 수용관(1a,1b,1c)에 투입되면 꺼내기가 어려워 지며, 투입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다음 사용자가 같은 수용관에 또 투입하는 경우도 생긴다. 또한 투입된 접이우산을 꺼내기 위하여 기기 자체를 뒤집어 엎거나 파괴하여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한편으로는, 상기 우산꽂이는 분해 및 조립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워서 세척이 불가능한 동시에 비사용시에 우산꽂이의 보관상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산꽂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우산이든 접이우산이든 우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투입하고, 쉽게 꺼낼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해 및 조립이 쉽게 가능한 우산꽂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투입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벽이나 기타의 구조물에 쉽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는: 적어도 2 이상의 수용관과, 각 수용관의 하부 바닥에 형성되며 장우산은 관통되고 접이우산은 걸리게 되는 홀을 갖는 상부구조 와; 상부구조가 위에서 안착되며, 상기 홀을 통하여 수용관과 통하게 되는 하부구조와; 하부구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착탈형 집수(集水)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는 분리 가능하다.
상기 상부구조는 투명소재로 제작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우산꽂이는 벽이나 기타의 구조물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석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우산꽂이에 투입되는 우산이 장우산인 경우에는 홀을 관통하고, 접이우산인 경우에는 홀의 외경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우산이 투입된 상태는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산의 종류 및 수용관의 용도를 구별할 필요가 없으며, 빈 자리에 투입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는 분리 가능하므로,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자석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우산꽂이의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다.
본 고안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는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상기 우산꽂이(10)는 상부구조(11)와 하부구조(12) 및 집수통(1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구조(11)는 적어도 2 이상의 수용관(14)을 포함한다. 각 수용관(14)의 하부 바닥에는, 장우산(U1)이 관통되고 접이우산(U2)이 걸리게 되는 홀(16)이 형성된다. 각 수용관(14)의 홀(16)의 위치는 동일 수준에 있다. 동일하게 하는 것이 제작상의 편리를 위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 홀(16)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할 특별한 이유도 없다.
상부구조(11)의 상측 개방구(15)는 우산의 투입구이다. 당연하게 상기 홀(16)은 개방구(15)에 비하여 크기가 작다. 장우산(U1)은 관통되고 접이우산(U2)은 걸리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홀(16)은 적당한 크기로 설계되어야 한다. 실제로, 홀(16)의 직경은 3~5c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으나, 본 고안이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구조(11)는 투명소재로 제작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수용관(14)이 비어 있거나 차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수용관(14)에 투입할 것인 지를 쉽게 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투입할 경우 자신의 우산이 안전하게 위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11)의 하단부는 하부구조(12)의 상단부에 끼워지고, 따라서 상부구조(11)가 하부구조(12) 위에서 분리 가능하게 안착된다. 조립 편의상, 하부 구조(12)는 상부구조(11)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라인(17)을 갖는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구조(12)는 상기 홀(16)을 통하여 상부구조(11)의 수용관(14)과 통하게 된다. 하부구조(12)는 하나의 내부 수용공간(도 4의 S)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각 수용관(14) 또는 복수 수용관(14)에 대응하도록 구분된 수용공간들(S1,S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우산꽂이(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자석(18)이 제공된다. 두 개의 금속편(19)이 각각 하부구조(12)의 배면 및 벽이나 기타의 구조물에 부착되고, 그 사이에 자석(18)이 제공됨으로써 우산꽂이(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집수통(13)은 하부구조(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구조이다.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은 집수통(13)에 모아져 버려진다. 도 5에서와 같이 우산꽂이(10)가 앞뒤 2중으로 접합되는 경우에 규모가 큰 집수통(13a)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하부구조(12)의 배면에 집수통(13a)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꽂이에 투입되는 우산이 장우산인 경우에는 홀을 관통하고 접이우산인 경우에는 홀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우산이 투입된 상태는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산의 종류 및 수용관의 용도를 구별할 필요가 없으며, 빈 자리에 투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는 분리 가능하므로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자석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적어도 2 이상의 수용관(14)과, 각 수용관(14)의 하부 바닥에 형성되며 장우산(U1)은 관통되고 접이우산(U2)은 걸리게 되는 홀(16)을 갖는 상부구조(11)와; 상부구조(11)가 위에서 안착 결합되며, 상기 홀(16)을 통하여 수용관(14)과 통하게 되는 하부구조(12)와; 하부구조(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착탈형 집수통(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11)와 하부구조(12)는 분리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11)는 투명소재로 제작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11)의 하단부는 하부구조(12)의 상단부에 끼워지고, 따라서 상부구조(11)가 하부구조(12) 위에서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12)는 내벽에 상부구조(11)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라인(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12)는 하나의 내부 수용공간(S) 또는 수용관(14)에 대응하도록 구분된 수용공간들(S1,S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꽂이는 벽면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 자석(18)과 금속판(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12)는 배면에 집수통(13a)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KR2020060022237U 2006-08-18 2006-08-18 우산꽂이 KR200431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37U KR200431513Y1 (ko) 2006-08-18 2006-08-18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37U KR200431513Y1 (ko) 2006-08-18 2006-08-18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513Y1 true KR200431513Y1 (ko) 2006-11-23

Family

ID=4177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37U KR200431513Y1 (ko) 2006-08-18 2006-08-18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5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455A (ko) * 2008-01-02 2009-07-07 황용안 우산 수납함
KR20160010934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자연 우산 꽂이대
KR20160126708A (ko) * 2015-04-24 2016-11-02 이예원 우산보관함
KR101790876B1 (ko) * 2016-05-10 2017-10-26 조빛나 우산 보관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455A (ko) * 2008-01-02 2009-07-07 황용안 우산 수납함
KR20160010934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자연 우산 꽂이대
KR101594865B1 (ko) 2014-07-21 2016-02-17 주식회사 자연 우산 꽂이대
KR20160126708A (ko) * 2015-04-24 2016-11-02 이예원 우산보관함
KR101709155B1 (ko) * 2015-04-24 2017-02-22 이예원 우산보관함
KR101790876B1 (ko) * 2016-05-10 2017-10-26 조빛나 우산 보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513Y1 (ko) 우산꽂이
USD550912S1 (en) Laundry basket
US6209729B1 (en) Pool scoop
US6123374A (en) Mini hole digger
KR102301703B1 (ko) 조립성과 편의성이 개선되는 다목적 선반
US20070164173A1 (en) Collapsible garbage bag supporter
KR20100105068A (ko) 슬라이더형 옷걸이가 구비된 옷장
KR200466403Y1 (ko) 간이 화장실용 변기
USD587332S1 (en) Portable pool kit
CN201131600Y (zh) 雨伞排水桶
KR200469759Y1 (ko) 우산보관통
KR100678511B1 (ko)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200416033Y1 (ko)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KR200172549Y1 (ko) 욕실청소용 브러쉬 보관함
CN202893060U (zh) 一种过滤系统的过滤器和通透手柄
CN214964875U (zh) 一种装配式沥水支架
KR200411374Y1 (ko) 배수가이드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200192324Y1 (ko) 바구니가 형성된 산악용 자전거
CN202499220U (zh) 自行车用前置型水壶
KR20140006141U (ko) 우산꽂이
TW201219267A (en)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filter core
KR200383859Y1 (ko)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KR200410282Y1 (ko) 받침구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20090073920A (ko) 우산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