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940Y1 - 채집통 - Google Patents

채집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940Y1
KR200250940Y1 KR2019990008895U KR19990008895U KR200250940Y1 KR 200250940 Y1 KR200250940 Y1 KR 200250940Y1 KR 2019990008895 U KR2019990008895 U KR 2019990008895U KR 19990008895 U KR19990008895 U KR 19990008895U KR 200250940 Y1 KR200250940 Y1 KR 200250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in
opening
baff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237U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이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호 filed Critical 이덕호
Priority to KR2019990008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940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940Y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곤충채집이나 물고기 등을 넣고 운반할 수 있는 채집통 내에 배플을 설치하여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배플 위에는 받침망을 설치하여 곤충이 쉴 수 있도록 구성한 채집통에 관한 것으로, 제 1함 및 제 2함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본체와, 이 본체의 제 1함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며 개구부 및 다수의 통기구멍을 갖는 타원형 받침망사형 덮개와, 이 받침망사형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덮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본체의 제 1함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채집통에 있어서, 제 1함(22)에는 개방공(62)을 지닌 경사형태의 배플(60)이 설치되고, 이 배플(60)의 상부에는 격자형상의 받침망(70)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채집통{gathering container}
본 고안은 채집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채집이나 물고기 등을 넣고 운반할 수 있는 채집통 내에 배플을 설치하여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배플 위에는 받침망을 설치하여 곤충이 쉴 수 있도록 구성한 채집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집통은 자연 학습 활동이나 생태 연구 등을 목적으로 표본을 수집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통을 말하며, 채집물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가 잘 통하는 받침망사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채집통을 주로 쓰는 대상으로는 자연관찰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단체나 광물, 지표생물등의 표본을 채집하여 자연도감을 만드는 사람, 혹은 수집을 목적으로 취미 생활을 즐기려는 많은 이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자연 탐구 활동을 위한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채집통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 본 출원인이 1999. 4. 15일 자로 출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 1999-614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채집물을 보관하도록 상단 및 하단부 양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제 1함(22)과 그 아래 상단부면만 개방되어 제 1함 내부에 삽입되는 제 2함(24)을 갖는 본체(20)와, 본체(20)의 제 1함(22)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채집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도어(40)를 갖는 받침망사형 덮개(30)로 이루어져 있다. 채집통(10)의 본체(20) 및 받침망사형 덮개(30)는 평면상 타원형 구조를 갖으며, 특히 본체(20)는 수집된 채집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집통(10)은 수집한 채집물을 이송하는데 쉽도록 본체(20)의 제 1함(22)의 외측 상단부에 손잡이(50)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제 1함(22)의 고리(26)(또는 홈)를 통해서 어깨끈(60)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타원형 본체(20)의 제 1함(22)은 하단부분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걸림쇠(22a)를 갖는다. 본체를 구성하는 제 2함(24)은 제 1함(22)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부의 외측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걸림쇠(22a)에 맞도록 설치된 2걸림턱(24a)을 갖는다. 그리고, 본체(20)의 1함(22)의 외측 상단부에는 손잡이(50)가 삽입되는 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 방향으로는 어깨끈(60)을 연결하는 고리(26)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채집통에서는 내부에 물고기 등을 넣고 이동하는 경우에 물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으며, 채집통 내의 곤충이 적당히 앉아서 쉴만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채집통 내의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고 곤충이 앉아서 쉴 수 있도록 구성한 채집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채집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채집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채집통을 보인 조립 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고안에 따른 채집통의 사용 상태도,
도 5a와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집통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채집통 20: 타원형 본체
22,24: 제 1, 2함 29: 개구부
30: 타원형 받침망사형 덮개 32: 끈 고정홈
34: 창 38: 고정대
40: 도어 50: 손잡이
60: 배플 70: 받침망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함 및 제 2함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 1함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며 개구부 및 다수의 통기구멍을 갖는 타원형 받침망사형 덮개와, 상기 받침망사형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덮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제 1함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채집통에 있어서, 상기 제 1함에는 개방공을 지닌 경사형태의 배플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집통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집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채집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채집통을 보인 조립 단면도이고, 도 4a와 4b는 본 고안에 따른 채집통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5a와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집통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집통(10)은 수집된 채집물을 보관하도록 상단 및 하단부 양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제 1함(22)과 그 아래 상단부면만 개방되어 제 1함 내부에 삽입되는 제 2함(24)을 갖는 본체(20)와, 본체(20)의 제 1함(22)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채집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도어(40)를 갖는 받침망사형 덮개(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채집통(10)은 수집한 채집물을 이송하는데 쉽도록 덮개(30)의 상부 지점에는 손잡이(50)가 연결되어 있다. 타원형 본체(20)의 제 1함(22)은 하단부분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걸림쇠(22a)를 갖는다. 본체를 구성하는 제 2함(24)은 제 1함(22)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부의 외측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걸림쇠(22a)에 맞도록 설치된 2걸림턱(24a)을 갖는다. 그리고, 본체(20)의 1함(22)의 외측 상단부에는 손잡이(50)가 삽입되는 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 방향으로는 어깨끈(60)을 연결하는 고리(26)가 구비되어 있다.
타원형 받침망사형 덮개(30)에는 어깨끈을 고정할 수 있는 끈 고정홈(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 내측이 본체(20)의 제 1함(22)의 상단 가장자리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망사형 덮개(30)의 상단 중앙에는 수집한 채집물을 넣도록 개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개구부(39) 근방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힌지공(36)과 그 맞은 편에 설치된 고정대(38)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받침망사형 덮개(30)는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에 둘러싸인 창(34)을 구비한다.
도어(40)는 상기 받침망사형 덮개(30)의 개구부(39)를 개폐하도록 상기 힌지공(36)에 연결되는 힌지축(42)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고정대(38)를 통해서 고정되는 고정 돌기(4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채집통(10)에 있어서, 물고기 등을 넣었을 때에 본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서는 개방공(62)을 지닌 배플(60)을 제 1함(22)의 상단에 설치하였다. 또한, 곤충이 쉴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배플(60)의 상부에는 가로부(72) 및 세로부(74)로 이루어진 받침망(70)을 설치하였다. 본 고안의 배플(60)은 상단 가장자리부(64)로부터 개방공(62)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조하였다. 또한, 곤충이 올라앉게 되는 받침망(70)은 테두리(76)에 의해서 배플(6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체(20)를 구성하는 제 1함(22)의 상단 내벽에는 배플(6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배플(60)과 받침망(70)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함(22)의 상단 내벽에는 결합홈(25)을 형성하였으며, 이 결합홈(25)에 배플(60)의 가장자리부(64)를 끼우면 된다. 배플(60)의 상부에는 받침망(70)의 테두리(76)가 얹혀진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원리에 따라 각각 채집통의 크기를 늘렸을 때와 그 크기를 줄였을 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채집통(1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 활동 중에 채집물을 보관할 경우 소정 부분 겹쳐진 본체(20)의 제 1함(22)과 제 2함(24)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잡아 당기면 제 1함(22)의 걸림쇠(22a)가 제 2함(24)의 걸림턱(24a)에 걸리게 된다. 이에, 본체(20)의 길이가 최대로 늘어나서 내부 공간이 커지게 되고, 결국 채집통(10)의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채집통(10)에 채집물을 넣을 경우 받침망사형 덮개(30)의 상부에 있는 도어(40)를 고정대가 개방된 방향으로 움직이면 고정돌기(44)가 고정대(38)로부터 이격되어 개구부(39)가 개방된다.
또한, 채집통(10)에 채집물, 예를 들어 곤충을 넣은 후에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받침망사형 덮개(30)의 도어(40)를 닫아야만 한다. 즉, 도어(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대(38)에 고정돌기(44)를 삽입하면 받침망사형 덮개(30)의 개구부(39)가 차단된다.
이때, 본 고안의 채집통 내에는 배플(60)이 설치되어 있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배플(60)위에는 받침망(70)이 설치되어 있어 잠자리나 여치와 같은 곤충이 이 받침망(70)위에 앉아 쉴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채집통(1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본체(20)의 제 1함(22)과 제 2함(24)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 1함(22)쪽으로 제 2함(24)을 밀어 넣으면 상기 걸림쇠(22a)가 걸림턱(24a)으로부터 분리되어 본체(20)의 길이가 최대로 줄어든다. 이로 인해, 채집통(1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채집통의 크기를 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함으로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집통의 크기를 늘렸을 때와 그 크기를 줄였을 때를 나타낸 측면도들로서, 상술한 일 실시예의 채집통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3개 함을 갖는 채집통(10)은 상단 및 하단부 양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제 1함(222)과, 역시 상단 및 하단부 양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제 1함(222) 내부에 삽입되는 제 2함(224)과, 상단부면만 개방되어 제 2함(224) 내부에 삽입되는 제 3함(226)을 갖는 본체(20)와,본체(20)의 제 1함(22)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채집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도어(40)를 갖는 받침망사형 덮개(3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20)의 제 1함(22)상부에는 물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배플(60)과 곤충이 쉴 수 있도록 하는 받침망(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채집통(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 활동 중에 채집물을 보관할 경우 소정 부분 겹쳐진 본체(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잡아 당기면 제 1함(222)의 걸림쇠(222a)가 제 2함(224)의 걸림턱(224a)에 걸리게 되고 제 2함의 걸림쇠(224b)가 제 3함(226)의 걸림턱(226a)에 걸리게 된다. 이에, 본체(20)의 길이가 최대로 늘어나서 내부 공간이 커지게 되고, 결국 채집통(10)의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된다.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채집통(1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본체(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 2함(224)쪽으로 제 3함(226)을 밀어 넣고 제 1함(222)쪽으로 다시 제 2함(224)을 밀어 넣으면 각각의 함의 걸림쇠(222a,224b)가 걸림턱(224a,226a)으로부터 분리되어 본체(20)의 길이가 최대로 줄어든다. 이로 인해, 채집통(1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채집 활동 내지 운반시 채집통의 크기를 적당하게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서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도 그 장소에 맞게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관상 편리하며, 본체 내부에는 배플과 받침망이 설치되어 있어 본체에 들어있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받침망 위에는 곤충이 앉아 쉴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

  1. 제 1함 및 제 2함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 1함의 상단 가장자리에 끼움 결합되며 개구부 및 다수의 통기구멍을 갖는 타원형 받침망사형 덮개와, 상기 받침망사형 덮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덮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제 1함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채집통에 있어서,
    상기 제 1함(22)에는 개방공(62)을 지닌 경사형태의 배플(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집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60)의 상부에는 격자형상의 받침망(70)이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집통.
KR2019990008895U 1999-05-24 1999-05-24 채집통 KR200250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95U KR200250940Y1 (ko) 1999-05-24 1999-05-24 채집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95U KR200250940Y1 (ko) 1999-05-24 1999-05-24 채집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237U KR20000021237U (ko) 2000-12-26
KR200250940Y1 true KR200250940Y1 (ko) 2001-11-15

Family

ID=5476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895U KR200250940Y1 (ko) 1999-05-24 1999-05-24 채집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9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64B1 (ko) 2011-11-15 2013-01-31 변영광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KR101991273B1 (ko) 2017-08-09 2019-06-20 이주찬 갯벌 생물 채집통
KR102319902B1 (ko) * 2019-09-09 2021-11-01 우선우 곤충 채집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237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462B1 (en) Snap-ring stiffener apparatus having a scooping ramp edge and method for stiffening bag openings and other flexible fabrics
US5109625A (en) Bait bucket with locking bait tray
US3394832A (en) Waste receptacle
KR101790876B1 (ko) 우산 보관대
US10582811B2 (en) Ventilated leak-proof container
US6450186B1 (en) Tent with storage receptacle
KR200250940Y1 (ko) 채집통
US6167651B1 (en) Christmas tree watering device
WO2018038699A1 (en) Fishing tackle box
US8813992B2 (en) Countertop compost collector
CN213863354U (zh) 一种园艺植物病虫标本采集箱
KR200490721Y1 (ko) 가방
KR200412646Y1 (ko)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KR200217908Y1 (ko) 채집통
KR101790871B1 (ko) 우산 보관대
KR200194565Y1 (ko) 채집통
CN217554647U (zh) 一种盖体及收纳盒体
CN212186083U (zh) 一种新型雨伞收纳箱
CN214691211U (zh) 一种食物保温装置
JPH0776041B2 (ja) コップ回収容器
KR20170003283U (ko) 애완동물용 접이식 이동 박스
AU783544B2 (en) Aquaculture basket end cap
KR101996506B1 (ko)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통
JPH0327432Y2 (ko)
KR20220002491U (ko) 세탁물 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