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79B1 -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79B1
KR101592179B1 KR1020150157346A KR20150157346A KR101592179B1 KR 101592179 B1 KR101592179 B1 KR 101592179B1 KR 1020150157346 A KR1020150157346 A KR 1020150157346A KR 20150157346 A KR20150157346 A KR 20150157346A KR 101592179 B1 KR101592179 B1 KR 101592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ollutant
main body
contaminan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훈
Original Assignee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5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4Rigid cleaning-gratings; Tread plates or scrapers for cleaning the soles of footwear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은,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둘레부의 상부측의 내측에 종,횡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삽입 홈(11,12,13)이 형성된 패널 본체(1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 내부를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패널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저부가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블록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오염물을 오염물 수거부로 유도하는 가이드(3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포집부와 통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20)에 의해 구획되는 오염물 포집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염물이 상기 유입부(51)를 통해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다공성의 그레이팅(40)과; 상기 오염물 포집부와 대응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수거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염물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는 오염물을 담아 저장하는 오염물 수거함(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에 형성된 제1삽입 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하되, 저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어 오염물이 오염물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하는 격벽, 일측이 상기 격벽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2삽입 홈(1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22),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격자 구조를 형성하며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3삽입 홈(13)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23),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횡방향 지지대(23)가 연결되는 부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30)와 패널 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다수의 포스트(미도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Safty Pannel For Entry Hall of Biulding}
본 발명은 세대 현관의 바닥에 설치되어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털면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오염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거용 건축물의 현관은 바닥이 타일과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여 마마감되고 거실보다 낮게 시공된다. 현관문의 문턱은 필요에 따라 시설되며 현관바닥보다 약간 높은 높이에 위치되고 신발을 보관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신발장이 구성된다. 현관바닥에 모래나 흙 등이 쌓여 지저분하게 되면 청소를 하여야 하나, 현관바닥이 주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있어서 청소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관바닥에 모래나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VC매트나 카펫트 등을 현관바닥에 설치하여 해당 계절이나 일기 상태에 따라 외출후 신발 밑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옥내에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매트형태로서 실내 환경을 위해 많이 쓰여지고 있지만 실내 환경에는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불편을 주고 있다. 일례로 청명한 날에 주거용 건축물의 현관바닥이 깨끗하게 청소된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이 매트위로 출입하게 되면, 처음 매트가 세척탈수된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잘 닦아지겠지만 출입통행수가 많아짐에 따라 출입자의 신발에 상기 매트상의 흙먼지 및 오물 등을 실내로 옮기게 되었고, 또 상기 매트에 쌓인 흙먼지 등은 그 이후의 출입자 신발에 의해 먼지가 실내공기에 날려 실내의 사람들이 이를 호흡하여 건강상 나쁠 뿐만 아니라 쉽게 청소할 수 없는 곳에 붙어 있게 되었다. 또 우절기의 비나 동절기의 눈이 올 때에는 출입자 신발창에 흙탕물 또는 붙은 압착눈, 기타 여러 가지 현상으로 인하여 해당 매트는 물론 현관바닥은 흙탕물 얼룩 등으로 청결하지 못하게 되고, 흙탕물이 말라 각 신발의 밑바닥에 비벼진 먼지는 실내공기와 함께 사람이 숨쉬게 될 뿐만 아니라 아무데나 붙어 있게 된다는 결점도 있었다. 매트를 사용하더라도 현관바닥을 청소하는 횟수가 줄어들 뿐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어려움, 쓰레받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은 여전히 있었고 더욱이 현관바닥을 물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한 물의 수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8097호)은 전후방측이 내측으로 경사져 돌기부를 갖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고정결합되고, 내부는 상측으로 개방되어 다수개의 히팅바가 배열되며, 그 상면에 중심측의 다수개 집수홈으로 경사진 경사판이 고정결합되되, 경사판의 상단면 다수곳에는 히팅바를 작동시키는 수분감지센서가 고정되고, 경사판의 하단면에는 다수개의 흡기팬이 고정결합되며, 일측단으로는 스팀배출관이 형성되고, 상단 전후방측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유압실린더가 매설되어 내측으로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바닥고정틀과; 상기 바닥고정틀의 경사판 상측에 위치된 고무판체로 상하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공을 갖고, 상하측으로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되며,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닥고정틀 상단에 걸림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전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축이 삽입고정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주름발판과; 상기 바닥고정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판체로 중심측에는 상기 주름발판이 드러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전후방측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고정부착된 커버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세대 현관의 안전 바닥패널 시설로서, 흙 등의 오염물을 수거하는 것이 번거롭고 구조적으로 조립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B1-10-064809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대 현관의 바닥에 설치되어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털면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오염물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은,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둘레부의 상부측의 내측에 종,횡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삽입 홈(11,12,13)이 형성된 패널 본체(1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 내부를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패널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저부가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블록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오염물을 오염물 수거부로 유도하는 가이드(3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포집부와 통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20)에 의해 구획되는 오염물 포집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염물이 상기 유입부(51)를 통해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다공성의 그레이팅(40)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수거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염물 수거부를 통해 수거되는 오염물을 담아 저장하는 오염물 수거함(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에 형성된 제1삽입 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하되, 저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어 오염물이 오염물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하는 격벽, 일측이 상기 격벽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2삽입 홈(1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22),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격자 구조를 형성하며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3삽입 홈(13)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23),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횡방향 지지대(23)가 연결되는 부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30)와 패널 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다수의 포스트(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에 의하면, 신발에 묻은 입자상의 오염물과 물을 신발로부터 제거하여 실내를 청정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고 오염물을 오염물 수거함(50)에 수거하고 이 오염물 수거함(50)을 간단하게 인출하여 오염물을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패널 본체(10)와 지지대(20)와 가이드(30)와 그레이팅(40) 모두가 분리식으로 구성되어 필요한 것만 교체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오랫동안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염물 수거함(50)을 외부와 밀폐 구성하여 오염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오염물의 이탈과 비산에 의한 실내 오염을 방지하고, 별도의 작업없이 오염물 수거함(50)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에 적용된 오염물 수거함의 유입부가 개폐되는 동작을 보인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은,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둘레부의 상부측의 내측에 종,횡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삽입 홈(11,12,13)이 형성된 패널 본체(1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를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패널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저부가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블록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오염물을 오염물 수거부로 유도하는 가이드(3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포집부와 통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20)에 의해 구획되는 오염물 포집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염물이 상기 유입부(51)를 통해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다공성의 그레이팅(40)과;
상기 오염물 포집부와 대응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수거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염물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는 오염물을 담아 저장하는 오염물 수거함(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에 형성된 제1삽입 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하되, 저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어 오염물이 오염물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하는 격벽, 일측이 상기 격벽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2삽입 홈(1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22),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격자 구조를 형성하며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3삽입 홈(13)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23),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횡방향 지지대(23)가 연결되는 부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30)와 패널 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다수의 포스트(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 오염물 수거함(50)은 일측벽의 저부에 상기 유입부(51)가 형성된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일측벽의 외주면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53), 상기 레일(5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유입부(51)를 개폐하는 개폐판(54), 상기 개폐판(54)을 상기 유입부(51)의 폐쇄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판(54)은 상기 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입부(51)를 폐쇄하며 상기 패널 본체(10)에 수납시 상기 수거함 본체는 하강하더라도 상기 지지대(20)의 격벽에 형성되는 개방턱(25)에 의해 제자리를 유지하여 상기 유입부(51)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가이드(30)는 내부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수조가 구비된 가이드 본체(31),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상부에는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40)을 통해 낙하하는 물을 상기 수조 내부로 유도하는 다공성의 망(32),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저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오염물을 저장하는 트레이(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사용형태와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패널 본체(10), 상기 지지대(20), 상기 가이드(30), 상기 그레이팅(40) 및 오염물 수거함(50)으로 구성되며, 건축물(공동주택 등)의 현관 앞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패널 본체(10)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둘레부의 내벽의 상부측에 종,횡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삽입 홈(11,1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삽입 홈(11,12,13)은 각각 지지대(20)의 격벽(21)과
종방향 지지대(22) 및 횡방향 지지대(23)의 양측 끝단부의 하측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홈이다.
상기 패널 본체(10)는 내부에 각종 오염물(신발에서 떨어지는 입자상의 오염물로서 흙 등, 빗물 등의 물)이 포집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10)는 일측벽의 저부에 가이드(30)의 트레이(33)를 외부에서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부(14)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1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본체(10)는 둘레부의 내벽에 지지대(20)와 그레이팅(40)이 안착되는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는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패널 본체(10) 내부를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패널 본체(10) 및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것이며, 격벽(21), 종방향 지지대(22), 횡방향 지지대(23) 및 포스트(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격벽(21)은 상기 패널 본체(10) 내부를 오염물 포집부[그레이팅(40)과 대응되는 부분] 및 오염물 수거부[오염물 수거함(50)이 수납되는 부분]로 구획하는 것이며, 단 오염물 포집부의 오염물이 오염물 수거함(50)에 수거되도록 저부가 패널 본체(10) 또는 가이드(30)의 바닥과 일정 공간을 두고 형성되고, 양측끝단 하단부가 제1삽입 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지지대(22)는 격벽(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일측이 격벽(21)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타측이 제2삽입 홈(12)(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 지지대(23)는 종방향 지지대(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격자 형태의 홀(24)을 형성하고 길이방향 양측끝단 하단부가 제3삽입 홈(13)(1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포스트(미도시)는 종횡방향 지지대(22)가 연결되는 부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저부가 가이드(30) 또는 패널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지지력을 확보한다.
본 발명은 오염물 수거함(50)의 개폐판(54)을 별도의 작업없이 오염물 수거함(50)의 수납에 의해 자연적으로 개방동작하도록 구성되며, 격벽(21)에는 개방턱(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30)는 내부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수조가 구비된 가이드 본체(31), 가이드 본체(31)의 상부에는 형성되며 그레이팅(40)을 통해 낙하하는 물을 가이드 본체(31) 내부의 수조로 유도하는 다공성의 망(32), 가이드 본체(31)의 저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오염물을 저장하는 트레이(3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1)는 상부가 오염물 수거함(50)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오염물이 자연스럽게 오염물 수거함(50)에 수거되도록 하고 일측 단부가 오염물 수거함(50)의 유입부(51) 앞까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에 트레이(33)의 인출과 수납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며 오염물이 트레이(33)에 수거되도록 한다.
상기 망(32)은 빗물 등의 물과 작은 입자의 오염물이 유입되도록 미세한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 본체(3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3)는 가이드 본체(31)의 개구부를 통해 가이드 본체(31)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망(32)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오염물을 수거한다. 트레이(33)는 그레이팅(40)의 분리 없이 오염물을 버릴 수 있도록 서랍식으로 구성된 것이며, 패널 본체(10)의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수거된 오염물을 버릴 수 있고 또한 이 개구부(14)를 통해 다시 수납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40)은 신발 등에서 떨어지는 오염물이 패널 본체(10) 내부에 유입되도록 다공성의 철재, 고강도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고, 1개 또는 도면에서처럼 2개가 바람직하며, 둘레부가 패널 본체(10)의 턱에 지지되면서 지지대(20)를 통해 안정적으로 변형없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40)은 격자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논슬립패드가 상면에 부착되거나 상면이 요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물 수거함(50)은 일측벽의 저부에 유입부(51)가 형성된 수거함 본체(52), 수거함 본체(52)의 일측벽의 외주면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53), 레일(5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입부(51)를 개폐하는 개폐판(54), 개폐판(54)을 유입부(51)의 폐쇄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5)(5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염물 수거함(50)은 유입부(51)가 패널 본체(10) 내부의 오염물 포집부와 통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오염물이 내부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을 저장하고, 개폐판(54)을 통해 내부의 오염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염물 수거함(50)을 패널 본체(10)에서 분리한 후 오염물을 다른 곳에 버리는 과정에서 오염물에 의한 실내 오염을 막는다.
이처럼, 개폐판(54)은 유입부(51)를 개폐하도록 레일(5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탄성부재(55)(55)를 통해 상시 유입부(51)를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단, 유입부(51)를 통해 오염물을 수거하여야 하므로 오염물 수거함(50)이 패널 본체(10)에 장착될 때는 개폐판(54)이 개방 동작하여야 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개폐판(54)을 개방 조작하지 않고 오염물 수거함(50)의 수납 동작만으로도 개폐판(54)이 열리도록 격벽(21)의 개방턱(25)과 연계된다.
즉,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오염물 수거함(50)을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수거부에 삽입 수납할 때, 수거함 본체(52)는 하강하더라고 개폐판(54)은 개방턱(25)에 의해 하강이 구속되어 하강하지 못하여 결국 유입부(51)가 개방된다.
또한, 오염물 수거함(50)을 패널 본체(10)에서 분리할 때 탄성부재(55)(55)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54)이 하강하여 유입부(51)를 폐쇄한다.
상기 탄성부재(55)(55)는 예컨대 레일(53)의 상부에서 개폐판(54)을 하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코일스프링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오염물 수거함(50)은 유입부(51)를 통해 내부의 오염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지만, 오염물의 저장 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며, 오염물 수거함(50)을 외부로 인출하지 않고 내부의 오염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판(56)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수거함 본체(52)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이 상부에 커버판(56)이 힌지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오염물 수거함(50)을 패널 본체(10)에 수납한 상태에서 커버판(56)을 열어 오염물 수거함(50)의 내부를 확인하여 오염물의 수거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안전바닥 패널의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수거부에는 오염물 수거함(50)이 수납되어 있으며, 전술한 것처럼, 오염물 수거함(50)은 개폐판(54)이 개방턱(25)에 의해 상승하여 유입부(51)가 개방되어 있다.
세대 현관의 바닥에 본 발명의 안전바닥 패널을 설치하여 사용하며, 사용자는 실내에 들어올 때 먼저 그레이팅(40)을 밟고 신발에 묻은 먼지나 빗물 등을 털고 들어온다.
먼지 등의 오염물은 그레이팅(40)의 구멍과 지지대(20)의 홀(24)을 통과하여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포집부에 유입되고 가이드(30)의 경사를 타고 오염물 수거함(50)에 유입된다. 한편, 가이드(30)의 망(32)의 구멍보다 작은 크기의 오염물과 물은 망(32)을 통과하여 트레이(33)에 포집된다.
사용자는 오염물 수거함(50)과 트레이(33)를 통해 수거한 오염물을 버림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고, 오염물 수거함(50)을 패널 본체(10)에서 분리하며, 이때, 오염물 수거함(50)이 패널 본체(10)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탄성부재(55)(55)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판(54)이 하강하여 유입부(51)가 폐쇄되므로 오염물 수거함(50)을 들고 이동하더라도 내부의 오염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개폐판(54)을 통해 유입부(51)를 개방하고 오염물 수거함(50)을 기울여 내부의 오염물을 버리고, 오염물 수거함(50)을 패널 본체(10)에 장착하면 개방턱(25)에 의해 유입부(51)가 자연적으로 개방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33)를 패널 본체(10)의 후방쪽에서 외부로 인출할 수 있으며, 트레이(33)에 담긴 오염물을 버린 후 트레이(33)를 다시 가이드(30)에 서랍식으로 수납하여 재사용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33)의 분리를 통해 오염물을 수거함은 물론 그레이팅(40)과 지지대(20) 및 가이드(30)가 분리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을 분리한 후 패널 본체(10)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10 : 패널 본체 20 : 지지대 21 : 격벽
22 : 종방향 지지대 23 : 횡방향 지지대 24 : 홀
25 : 개방턱 30 : 가이드 31 : 가이드 본체
32 : 망 33 : 트레이 40 : 그레이팅
50 : 오염물 수거함 51 : 유입부 52 : 수거함 본체
53 : 레일 54 : 개폐판 55 : 탄성부재
56 : 커버판

Claims (3)

  1.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둘레부의 상부측의 내측에 종,횡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삽입 홈(11,12,13)이 형성된 패널 본체(1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 내부를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함과 아울러 패널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저부가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블록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오염물을 오염물 수거부로 유도하는 가이드(30)와;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포집부와 통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20)에 의해 구획되는 오염물 포집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염물이 상기 유입부(51)를 통해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다공성의 그레이팅(40)과;
    상기 오염물 포집부와 대응하는 유입부(51)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서 상기 패널 본체(10)의 오염물 수거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염물 포집부를 통해 포집되는 오염물을 담아 저장하는 오염물 수거함(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에 형성된 제1삽입 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오염물 포집부와 오염물 수거부로 구획하되, 저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어 오염물이 오염물 수거부에 수거되도록 하는 격벽, 일측이 상기 격벽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2삽입 홈(1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22),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격자 구조를 형성하며 양측끝단 하단부가 상기 패널 본체(10)의 제3삽입 홈(13)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패널 본체(10)와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23),
    상기 종방향 지지대(22)와 횡방향 지지대(23)가 연결되는 부분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30)와 패널 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그레이팅(40)을 지지하는 다수의 포스트(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 수거함(50)은 일측벽의 저부에 상기 유입부(51)가 형성된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일측벽의 외주면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53), 상기 레일(5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유입부(51)를 개폐하는 개폐판(54), 상기 개폐판(54)을 상기 유입부(51)의 폐쇄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판(54)은 상기 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입부(51)를 폐쇄하며 상기 패널 본체(10)에 수납시 상기 수거함 본체는 하강하더라도 상기 지지대(20)의 격벽에 형성되는 개방턱(25)에 의해 제자리를 유지하여 상기 유입부(51)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30)는 내부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수조가 구비된 가이드 본체(31),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상부에는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40)을 통해 낙하하는 물을 상기 수조 내부로 유도하는 다공성의 망(32),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저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오염물을 저장하는 트레이(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KR1020150157346A 2015-11-10 2015-11-10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KR10159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46A KR101592179B1 (ko) 2015-11-10 2015-11-10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46A KR101592179B1 (ko) 2015-11-10 2015-11-10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179B1 true KR101592179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346A KR101592179B1 (ko) 2015-11-10 2015-11-10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776B1 (ko) 2016-05-04 2016-11-04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1865085B1 (ko) * 2017-08-08 2018-06-07 주식회사 우담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현관 바닥패널
KR101977566B1 (ko) * 2018-07-04 2019-08-28 홍대일 경사판 이중 스크린 장치
KR102435353B1 (ko) * 2022-03-19 2022-08-23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출입소음 감소 효과가 뛰어난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76B1 (ko) 2011-06-08 2012-01-04 대송환경개발(주)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1145811B1 (ko) 2010-04-20 2012-05-16 주식회사 연무기술 신발 털이 장치
KR101374017B1 (ko) 2013-01-07 2014-03-25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1391076B1 (ko) 2013-01-09 2014-04-30 류홍걸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11B1 (ko) 2010-04-20 2012-05-16 주식회사 연무기술 신발 털이 장치
KR101102576B1 (ko) 2011-06-08 2012-01-04 대송환경개발(주)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1374017B1 (ko) 2013-01-07 2014-03-25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1391076B1 (ko) 2013-01-09 2014-04-30 류홍걸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776B1 (ko) 2016-05-04 2016-11-04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1865085B1 (ko) * 2017-08-08 2018-06-07 주식회사 우담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현관 바닥패널
KR101977566B1 (ko) * 2018-07-04 2019-08-28 홍대일 경사판 이중 스크린 장치
KR102435353B1 (ko) * 2022-03-19 2022-08-23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출입소음 감소 효과가 뛰어난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179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RU2257830C2 (ru) Пылесос
ES2331367T3 (es) Unidad colectora de polvo para aspiradora y aspiradora con la unidad colectora de polvo.
AU2005229774A1 (en) Twin cyclone dust box
KR10066786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1193204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391076B1 (ko)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US20100060118A1 (en) Self-Cleaning Entry Mat
KR101363326B1 (ko) 습식 공기청정기
US20120240848A1 (en) Powder dispenser filtration system
CN106175607A (zh) 具有电动灌装洁净空气功能的清洁机器人
KR100841258B1 (ko) 신발 털이 장치
US9237835B2 (en)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JP5620307B2 (ja) 除塵装置
KR101533259B1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KR100437255B1 (ko)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KR100604238B1 (ko)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현관바닥의 구조
KR102630278B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롤타입 방충망장치
KR20200007407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0250230Y1 (ko) 건축물 현관바닥 시공물
KR100634840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0368318Y1 (ko) 창틀 커버
US5582133A (en) Cat litter pan enclosure
KR20120045368A (ko) 폐와이퍼와 테이프크리너를 이용한 바닥청소도구
US20110209617A1 (en) Filter for exhaust air box and a method for cleaning used filte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