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776B1 -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776B1
KR101672776B1 KR1020160055802A KR20160055802A KR101672776B1 KR 101672776 B1 KR101672776 B1 KR 101672776B1 KR 1020160055802 A KR1020160055802 A KR 1020160055802A KR 20160055802 A KR20160055802 A KR 20160055802A KR 101672776 B1 KR101672776 B1 KR 10167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trance
floor panel
switch
hydraulic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5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ㄱ자 형상으로 일측에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부에서 수평연장되어 두 개 이상의 수직관통공을 갖는 수평체결부가 형성되는 현관하단고정쇠;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발이 밟히도록 세대현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설치요부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박스체로, 상기 설치요부 좌우측에 각각 고정쇠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실린더바의 선단에는 저면을 수평면을 이루면서 현관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작동구를 갖는 좌우측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 좌우측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좌우측조명등이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 좌우측에 위치되어 힌지축을 갖는 좌우측힌지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전방측과 후방측 상면에서 스위치바가 각각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후방측압력스위치가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세대현관문 닫힘시 공지의 감지수단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문고정바를 상부로 돌출시켜 상기 현관하단고정쇠 수평체결부의 수직관통공에 삽입시켜 상기 세대현관문을 잠금시키는 현관잠금솔레노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 후방측에 좌우측으로 길게 요부형성되어 이물질수집통이 삽입되는 통삽입요부가 형성되는 바닥패널본체; 상기 바닥패널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평면에서 ㄷ자형상인 바로, 양측선단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측힌지돌부의 힌지축이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축공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에서 내부측으로는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의 슬라이딩작동구의 상부경사면에 대응되게 상면을 수평면을 이루면서 저면이 실내측에서 현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하부경사면을 갖고 하강시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의 슬라이딩작동구를 실내측으로 서서히 밀어내는 좌우측밀판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투명재질의 강화유리가 형성되는 작동프레임; 및 상기 바닥패널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조명등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조명스위치를 갖고, 상기 작동프레임의 하강으로 인한 상기 전후방측압력스위치의 작동으로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가 동작되어 상기 현관하단고정쇠가 문고정바에서 분리되어 세대현관문이 개방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 세대현관문이 개방되면 이를 도둑의 침입으로 간주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으로 이를 알려주는 방범스위치를 갖으며,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의 슬라이딩작동구를 임의적으로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압스위치를 갖고,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세대현관문을 개방시키는 개문스위치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세대 현관의 바닥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현관문을 개폐할 수 있고,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한 곳으로 모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며, 외부나 내부에서의 현관문 강제 개방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을 작동시켜 현관의 보안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Safty pannel for entry hall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대 현관의 바닥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현관문을 개폐할 수 있고,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한 곳으로 모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며, 외부나 내부에서의 현관문 강제 개방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을 작동시켜 현관의 보안기능을 강화시키는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용 세대의 현관은 바닥이 타일과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여 마마감되고 거실보다 낮게 시공된다. 현관문의 문턱은 필요에 따라 시설되며 현관바닥보다 약간 높은 높이에 위치되고 일측에는 신발을 보관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신발장이 구성된다. 현관바닥에 모래나 흙 등이 쌓여 지저분하게 되면 청소를 하여야 하나, 현관바닥이 주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있어서 청소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현관바닥에 모래나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VC매트나 카펫트 등을 현관바닥에 설치하여 해당 계절이나 일기 상태에 따라 외출후 신발 밑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옥내에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매트형태로서 실내 환경을 위해 많이 쓰여지고 있지만 실내 환경에는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불편을 주고 있다. 일례로 청명한 날에 주거용 건축물의 현관바닥이 깨끗하게 청소된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이 매트위로 출입하게 되면, 처음 매트가 세척탈수된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잘 닦아지겠지만 출입 통행수가 많아짐에 따라 출입자의 신발에 상기 매트 상의 흙먼지 및 오물 등을 실내로 옮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상기 매트에 쌓인 흙먼지 등은 그 이후의 출입자 신발에 의해 먼지가 실내공기에 날려 실내의 사람들이 이를 호흡하게 되어 건강상 나쁠 뿐만 아니라 쉽게 청소할 수 없는 곳에 붙어 있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우절기의 비나 동절기의 눈이 올 때에는 출입자 신발창에 흙탕물 또는 붙은 압착눈, 기타 여러 가지 현상으로 인하여 해당 매트는 물론 현관바닥은 흙탕물 얼룩 등으로 청결하지 못하게 되고, 흙탕물이 말라 각 신발의 밑바닥에 비벼진 먼지는 실내공기와 함께 사람이 숨쉬게 될 뿐만 아니라 아무데나 붙어 있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매트를 사용하더라도 현관바닥을 청소하는 횟수가 줄어들 뿐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어려움, 쓰레받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은 여전히 있었고 더욱이 현관바닥을 물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한 물의 수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8097호)은 전후방측이 내측으로 경사져 돌기부를 갖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고정결합되고, 내부는 상측으로 개방되어 다수개의 히팅바가 배열되며, 그 상면에 중심측의 다수개 집수홈으로 경사진 경사판이 고정결합되되, 경사판의 상단면 다수곳에는 히팅바를 작동시키는 수분감지센서가 고정되고, 경사판의 하단면에는 다수개의 흡기팬이 고정결합되며, 일측단으로는 스팀배출관이 형성되고, 상단 전후방측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유압실린더가 매설되어 내측으로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바닥고정틀과; 상기 바닥고정틀의 경사판 상측에 위치된 고무판체로 상하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공을 갖고, 상하측으로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되며,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닥고정틀 상단에 걸림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전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축이 삽입고정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주름발판과; 상기 바닥고정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판체로 중심측에는 상기 주름발판이 드러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전후방측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고정부착된 커버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세대 현관의 안전 바닥패널 시설로서, 흙 등의 오염물을 수거하는 것이 번거롭고 구조적으로 조립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5921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대 현관의 바닥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현관문을 개폐할 수 있고,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한 곳으로 모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며, 외부나 내부에서의 현관문 강제 개방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을 작동시켜 현관의 보안기능을 강화시키는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ㄱ자 형상으로 일측에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부에서 수평연장되어 두 개 이상의 수직관통공을 갖는 수평체결부가 형성되는 현관하단고정쇠;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발이 밟히도록 세대현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설치요부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박스체로, 상기 설치요부 좌우측에 각각 고정쇠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실린더바의 선단에는 저면을 수평면을 이루면서 현관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작동구를 갖는 좌우측유압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 좌우측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좌우측조명등이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 좌우측에 위치되어 힌지축을 갖는 좌우측힌지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전방측과 후방측 상면에서 스위치바가 각각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후방측압력스위치가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세대현관문 닫힘시 공지의 감지수단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문고정바를 상부로 돌출시켜 상기 현관하단고정쇠 수평체결부의 수직관통공에 삽입시켜 상기 세대현관문을 잠금시키는 현관잠금솔레노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 후방측에 좌우측으로 길게 요부형성되어 이물질수집통이 삽입되는 통삽입요부가 형성되는 바닥패널본체;
상기 바닥패널본체의 상면에 위치되는 평면에서 ㄷ자형상인 바로, 양측선단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측힌지돌부의 힌지축이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축공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에서 내부측으로는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의 슬라이딩작동구의 상부경사면에 대응되게 상면을 수평면을 이루면서 저면이 실내측에서 현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하부경사면을 갖고 하강시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의 슬라이딩작동구를 실내측으로 서서히 밀어내는 좌우측밀판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투명재질의 강화유리가 형성되는 작동프레임; 및
상기 바닥패널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조명등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조명스위치를 갖고, 상기 작동프레임의 하강으로 인한 상기 전후방측압력스위치의 작동으로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가 동작되어 상기 현관하단고정쇠가 문고정바에서 분리되어 세대현관문이 개방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 세대현관문이 개방되면 이를 도둑의 침입으로 간주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으로 이를 알려주는 방범스위치를 갖으며,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의 슬라이딩작동구를 임의적으로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압스위치를 갖고,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세대현관문을 개방시키는 개문스위치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대 현관의 바닥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현관문을 개폐할 수 있고,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한 곳으로 모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며, 외부나 내부에서의 현관문 강제 개방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을 작동시켜 현관의 보안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의 결합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의 작동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에서 사용자 부재시 작동프레임 회동에 따른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에서 사용자에 의한 좌우측유압실린더 슬라이딩작동구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1)은, 세대현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현관하단고정쇠(40)와 체결 또는 분리되어 세대현관문(43)을 단속하고 사용자가 흘린 이물질을 이물질수집통(19a)으로 유도하는 바닥패널본체(10)와, 바닥패널본체(10)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위치후 사용자가 없으면 상부로 축회동되어 표면의 이물질이 이물질수집통(19a)으로 자동유입되는 작동프레임(20)과, 작동프레임(20)에 사용자 위치시 좌우측조명등(14,14a)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고 자동으로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를 작동시켜 세대현관문(43)을 개방시키며 작동프레임(20) 상에서 사용자 이탈시 좌우측유압실린더(12,13)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스라이딩작동구(12b,13b)를 현관측으로 이동시켜 작동프레임(20)을 상부측으로 축회동시킴으로써 작동프레임(20)의 상면에 흘려진 각종 이물질을 실내측의 이물질수집통(19a)으로 낙하유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세대현관문(43)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현관하단고정쇠(40)로 구성된다.
상기 현관하단고정쇠(40)는, ㄱ자 형상으로 일측에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43)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부(41)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부(41)에서 수평연장되어 두 개 이상의 수직관통공(42a,42b)을 갖는 수평체결부(42)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패널본체(10)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43)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발이 밟히도록 세대현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설치요부(11)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박스체로, 상기 설치요부(11) 좌우측에 각각 고정쇠(12d,13d)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실린더바(12a,13a)의 선단에는 저면이 수평면을 이루면서 현관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상부경사면(12c,13c)이 형성된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갖는 좌우측유압실린더(12,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11) 좌우측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좌우측조명등(14,14a)이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 좌우측에 위치되어 힌지축(15a,16a)을 갖는 좌우측힌지돌부(15,16)가 각각 형성되고, 전방측과 후방측 상면에서 스위치바(17b)가 각각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후방측압력스위치(17,17a)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세대현관문(43) 닫힘시 공지의 감지수단(도시않음)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문고정바(18a,18b)를 상부로 각각 돌출시켜 상기 현관하단고정쇠(40) 수평체결부(42)의 수직관통공(42a,42b)에 각각 삽입시켜 상기 세대현관문(43)을 잠금시키는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11) 후방측에 좌우측으로 길게 요부형성되어 이물질수집통(19a)이 삽입되는 통삽입요부(19)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프레임(20)은, 상기 바닥패널본체(10)의 상면에 위치되고 평면에서 ㄷ자 형상인 바로, 양측선단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측힌지돌부(15,16)의 힌지축(15a,16a)이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축공(21,21a)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에서 내부측으로는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12,13) 슬라이딩작동구(12b,13b)의 상부경사면(12c,13c)에 각각 대응되게 상면이 수평면을 이루면서 저면이 실내측에서 현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하부경사면(22a,23a)을 갖고 하강시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12,13)의 상부경사면(12c,13c)을 실내측으로 서서히 밀어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이동시키는 좌우측밀판(22,23)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투명재질의 강화유리(24)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바닥패널본체(10)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조명등(14,14a)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조명스위치(3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프레임(20)의 하강으로 인한 상기 전후방측압력스위치(17,17a)의 작동으로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가 동작되어 상기 현관하단고정쇠(40)가 문고정바(18a,18b)에서 분리되고 이에 따라 세대현관문(43)이 개방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 세대현관문(43)이 개방되면 이를 도둑의 침입으로 간주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50)으로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범스위치(32)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12,13)의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임의적으로 세대현관문(4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유압스위치(33)가 형성되며,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를 동작시켜 세대현관문(43)을 개방시키는 개문스위치(34)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정상적으로 세대현관문(43)을 통해서 외부인 또는 내부인 들어와 안전바닥패널(1)의 작동프레임(20) 상에 머물고 다시 실내로 들어가면, 제어부(30)에 의해 바닥패널본체(10)의 좌우측유압실린더(12,13)를 작동시켜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세대현관문(4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좌우측밀판(22,23)에 의해 작동프레임(20)은 좌우측힌지돌부(15,16)의 힌지축(15a.16a)을 축으로 회동되어 작동프레임(20)의 강화유리(24)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자중에 의해 이물질수집통(19a)으로 유도하여 보관한다. 이때, 제어부(30)의 개문스위치(34)를 통해서 실내에서 세대현관문(43)을 개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내부자나 외부 방문자가 안전바닥패널(1)의 작동프레임(20) 상에 머물면, 전후방측압력스위치(17,17a)를 통해서 이를 감지한 제어부(30)는 좌우측조명등(14,14a)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를 동작시켜 세대현관문(43)을 개방시킨 다음, 전후방측압력스위치(17,17a)를 통해서 작동프레임(20) 상에 사용자가 없으면, 상기 절차와 같이 작동프레임(20)을 축회동시켜 강화유리(24)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자중에 의해 이물질수집통(19a)으로 유도하여 보관한다.
사용자가 외출시 제어부(30)를 통해 방범스위치(32)를 온시킨 상태에서 베란다를 통해서 외부인이 실내로 들어온 후 안전바닥패널(1)의 작동프레임(20) 상에 머물거나, 안전바닥패널(1)의 작동프레임(20)을 통하지 않고서 세대현관문(43)이 개방되면, 이를 도둑의 침입으로 간주하여서 이러한 사실을 관리실 보안시스템(50)으로 자동으로 알려주어 관리실에서 이에 필요한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평상시뿐만 아니라 우기시에도 신발 바닥면의 오염물과 물기를 이물질수집통(19a)으로 유도하여 보관하다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물질수집통(19a)을 비우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물질을 한 곳에 모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히고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여 보다 쾌적한 세대현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 안전바닥패널
10 : 바닥패널본체 11 : 설치요부
12,13 : 좌우측유압실린더 12a,13a : 실린더바
12b,13b : 슬라이딩작동구 12c,13c : 상부경사면
12d,13d : 고정쇠 14,14a : 좌우측조명등
15,16 : 좌우측힌지돌부 15a,16a : 힌지축
17,17a : 전후방측압력스위치 17b : 스위치바
18 : 현관잠금솔레노이드 18a,18b : 문고정바
19 : 통삽입요부 19a : 이물질수집통
20 : 작동프레임 21,21a : 좌우측축공
22,23 ; 좌우측밀판 22a,23a : 하부경사면
24 ; 강화유리
30 : 제어부 31 : 조명스위치
32 : 방범스위치 33 : 유압스위치
34 : 개문스위치
40 : 현관하단고정쇠 41 : 수직부
42 : 수평체결부 42a,42b : 수직관통공
43 : 세대현관문
50 : 관리실 보안시스템

Claims (1)

  1. ㄱ자 형상으로 일측에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43)의 내부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부(41)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부(41)에서 수평연장되어 두 개 이상의 수직관통공(42a,42b)을 갖는 수평체결부(42)가 형성되는 현관하단고정쇠(40);
    공동주택의 세대현관문(43)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발이 밟히도록 세대현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설치요부(11)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박스체로, 상기 설치요부(11) 좌우측에 각각 고정쇠(12d,13d)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실린더바(12a,13a)의 선단에는 저면이 수평면을 이루면서 현관측에서 실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상부경사면(12c,13c)이 형성된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갖는 좌우측유압실린더(12,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11) 좌우측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좌우측조명등(14,14a)이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 좌우측에 위치되어 힌지축(15a,16a)을 갖는 좌우측힌지돌부(15,16)가 각각 형성되고, 전방측과 후방측 상면에서 스위치바(17b)가 각각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전후방측압력스위치(17,17a)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세대현관문(43) 닫힘시 공지의 감지수단(도시않음)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문고정바(18a,18b)를 상부로 각각 돌출시켜 상기 현관하단고정쇠(40) 수평체결부(42)의 수직관통공(42a,42b)에 각각 삽입시켜 상기 세대현관문(43)을 잠금시키는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요부(11) 후방측에 좌우측으로 길게 요부형성되어 이물질수집통(19a)이 삽입되는 통삽입요부(19)가 형성되는 바닥패널본체(10);
    상기 바닥패널본체(10)의 상면에 위치되고 평면에서 ㄷ자 형상인 바로, 양측선단 내측면에는 상기 좌우측힌지돌부(15,16)의 힌지축(15a,16a)이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축공(21,21a)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에서 내부측으로는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12,13) 슬라이딩작동구(12b,13b)의 상부경사면(12c,13c)에 각각 대응되게 상면이 수평면을 이루면서 저면이 실내측에서 현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하부경사면(22a,23a)을 갖고 하강시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12,13)의 상부경사면(12c,13c)을 실내측으로 서서히 밀어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이동시키는 좌우측밀판(22,23)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투명재질의 강화유리(24)가 형성되는 작동프레임(20); 및
    상기 바닥패널본체(10)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조명등(14,14a)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조명스위치(31)를 갖고, 상기 작동프레임(20)의 하강으로 인한 상기 전후방측압력스위치(17,17a)의 작동으로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가 동작되어 상기 현관하단고정쇠(40)가 문고정바(18a,18b)에서 분리되고 이에 따라 세대현관문(43)이 개방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 세대현관문(43)이 개방되면 이를 도둑의 침입으로 간주하여 관리실 보안시스템(50)으로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범스위치(32)를 갖으며, 상기 좌우측유압실린더(12,13)의 슬라이딩작동구(12b,13b)를 임의적으로 세대현관문(4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유압스위치(33)를 갖고, 상기 현관잠금솔레노이드(18)를 동작시켜 세대현관문(43)을 개방시키는 개문스위치(34)를 갖는 제어부(30)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20160055802A 2016-05-04 2016-05-04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167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802A KR101672776B1 (ko) 2016-05-04 2016-05-04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802A KR101672776B1 (ko) 2016-05-04 2016-05-04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776B1 true KR101672776B1 (ko) 2016-11-04

Family

ID=5753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802A KR101672776B1 (ko) 2016-05-04 2016-05-04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7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10Y1 (ko) * 2001-05-11 2001-10-15 박세문 슬리퍼의 물기 제거장치
KR200250230Y1 (ko) * 2001-07-04 2001-11-16 김봉근 건축물 현관바닥 시공물
KR100623673B1 (ko) * 2005-04-07 2006-09-20 양수영 충격감지 경보기가 내장된 현관문
KR101592179B1 (ko) 2015-11-10 2016-02-05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10Y1 (ko) * 2001-05-11 2001-10-15 박세문 슬리퍼의 물기 제거장치
KR200250230Y1 (ko) * 2001-07-04 2001-11-16 김봉근 건축물 현관바닥 시공물
KR100623673B1 (ko) * 2005-04-07 2006-09-20 양수영 충격감지 경보기가 내장된 현관문
KR101592179B1 (ko) 2015-11-10 2016-02-05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3234A1 (en) Door threshold vacuum
KR101655305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안전창문구조
KR102272240B1 (ko) 공동주택 현관 입구의 논슬립 및 공기청정 먼지 흡입 발판
KR102158553B1 (ko) 공동주택용 폴딩형 복도창문
KR100648097B1 (ko) 공동주택용 세대 현관의 안전 바닥패널 시설
KR101672776B1 (ko)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20170126927A (ko) 윈도우 장착된 펫리터 하우징 및 펫 셸터 장치
KR100604238B1 (ko)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현관바닥의 구조
KR102623634B1 (ko) 스마트 신발장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2172717B1 (ko) 클린 현관
KR100437255B1 (ko)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US20070246172A1 (en) Rollable screen door and mounting system
KR200274939Y1 (ko) 신발 털이 장치
KR102002157B1 (ko) 공동주택 세대 현관의 안전 바닥 패널
KR200250230Y1 (ko) 건축물 현관바닥 시공물
CN205532114U (zh) 一种除尘防盗门
JP7163751B2 (ja) 住宅
KR100585815B1 (ko) 공동주택의 출입구용 절첩식 논슬립보드구조
KR200419369Y1 (ko) 도어 바닥용 안전발판
KR102548872B1 (ko) 공동주택용 현관 입구의 논슬립과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CN206448480U (zh) 一种便于清理的地面凹槽结构
CN201172959Y (zh) 专用物流通道
JP3061413U (ja) 集塵吸水機能を有する玄関マット組合せ装置
CN2323107Y (zh) 门口防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